르호보암

최근 수정 시각: ()
분류
성경의 인물
이스라엘 왕국 제4대 국왕
르호보암
רְחַבְעָם| Rehoboam
파일:2342346.png
바젤 시청사 벽화에 묘사된 르호보암 왕.
출생
기원전 972년
사망
기원전 913년 (향년 59세)
묘소
예루살렘 다윗성
국적
재위 기간
이스라엘 국왕
기원전 931년 (1년)
남유다 국왕
기원전 931년 ~ 기원전 913년 (18년)
[ 펼치기 · 접기 ]
지파
유다 지파
전임자
후임자
아비얌
부모
가족관계
아들: 아비얌 등 28명
딸: 60명

1. 개요2. 성경에서

1. 개요 [편집]

르호보암(히브리어: רְחַבְעָם, Rechav‘am, 뜻: “백성이 넓어졌다” 또는 “백성의 확장”)은 이스라엘 통일 왕국의 마지막 왕 다윗의 손자이자, 솔로몬과 나아마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유다 왕국의 초대 왕이다. 그는 기원전 10세기경 솔로몬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그의 어리석은 정치적 결정으로 인해 왕국이 북과 남으로 분열되는 결정적 계기를 제공한 인물이다.

2. 성경에서 [편집]

르호보암은 아버지 솔로몬이 죽은 후 왕위에 오르자, 북쪽 열 지파의 지도자들과 백성들은 그에게 솔로몬 시대의 무거운 세금과 노역을 경감해 달라고 요청한다. 그는 먼저 노인들의 온건한 조언을 들었지만, 젊은 신하들의 강경한 조언에 따라 “내 새끼손가락이 내 아버지의 허리보다 굵으니, 나는 채찍이 아니라 전갈로 너희를 징계하겠다”고 응답하며 강압적인 태도를 취한다. 이로 인해 열 지파가 등을 돌리고 여로보암을 중심으로 ‘북이스라엘’을 세움으로써, 통일왕국은 분열된다.

르호보암은 이후 유다와 베냐민 지파만을 다스리며 ‘남유다 왕국’의 초대 왕이 된다. 그는 처음에는 북왕국을 되찾기 위해 전쟁을 시도하지만, 선지자 스마야의 경고를 듣고 전쟁을 중단한다. 그의 통치 중에도 우상숭배와 산당 설치가 만연했으며, 르호보암은 이를 적극적으로 막지 못했다. 그의 5년 통치 무렵, 이집트 왕 시삭(Shishak)이 예루살렘을 침공해 성전과 왕궁의 보물들을 탈취하며 유다는 치욕적인 외세 침략을 겪는다.

성경은 르호보암에 대해 “그가 여호와를 찾는 데에 굳게 하지 아니하였다”(대하 12:14)고 평가하며, 그의 실패가 단순한 정치적 미숙함이 아닌, 신앙적 중심을 잃은 데서 비롯된 것임을 강조한다. 르호보암은 총 17년간 통치하였고, 죽은 뒤에는 예루살렘에 장사되고 그의 아들 아비야가 뒤를 잇는다.

신학적으로 르호보암은 통일 이스라엘의 붕괴와 그 이후의 분열 시대를 연 상징적 인물이며, 지도자의 교만과 잘못된 조언이 얼마나 큰 역사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로 간주된다. 그의 이야기는 정치 권력의 책임, 신앙의 중요성, 그리고 하나님 뜻에 대한 민감한 순종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일깨우는 경고로 읽힌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