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
최근 수정 시각:
1. 개요[편집]
機械工學 / Mechanical Engineering
기계공학은 에너지, 힘, 열, 물질의 운동과 이들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분석·설계·제조·유지보수하는 공학의 한 분야이다. 고체 및 유체 역학, 열역학, 재료과학, 동역학, 제어공학 등을 바탕으로 기계, 장비, 구조물 및 열에너지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 기계공학은 제조업, 자동차, 항공우주, 에너지, 로봇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의 기반 기술을 제공한다.
기계좀 고쳐달라고 하면 안된다
기계공학은 에너지, 힘, 열, 물질의 운동과 이들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분석·설계·제조·유지보수하는 공학의 한 분야이다. 고체 및 유체 역학, 열역학, 재료과학, 동역학, 제어공학 등을 바탕으로 기계, 장비, 구조물 및 열에너지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 기계공학은 제조업, 자동차, 항공우주, 에너지, 로봇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의 기반 기술을 제공한다.
2. 이름에 관하여[편집]
‘기계공학’이라는 번역은 Mechanical Engineering의 표면적 의미에서 'machine(기계)'를 중심으로 옮긴 것이지만, 실제 이 용어의 어원은 mechanics(역학)에서 비롯된 것으로, 힘, 운동, 에너지의 법칙을 기반으로 한 물리 시스템 전체를 다루는 공학이다. 따라서 정확히는 ‘역학공학’ 또는 ‘물리기반 공학’에 가까운 개념이며, 단순히 기계를 설계하거나 조작하는 기술에 한정되는 분야가 아니다.
3. 분과[편집]
3.1. 응용 수학[편집]
공학적 문제 해결을 위한 수학 이론과 수치적 방법에 초점
- 공업수학
- 선형대수
- 수치해석
- 유한요소법 (FEM)
- 최적설계
- 신뢰성공학
3.2. 응용 물리학[편집]
힘, 에너지, 유동, 열 등 물리적 개념을 다루는 중심 분야
- 기체역학
- 공기역학
- 고체역학
- 동역학
- 열전달
- 열유체
- 유체역학
- 유체기계
- 음향학
- 진동학
- 정역학
- 탄성역학
- 마찰학 (Tribology)
- 냉동공학
- 복합재료
- 소음진동
3.3. 사용 목적 및 설계 대상 기반[편집]
실용적 기계 설계, 제작, 운영, 제어 목적
- 기계설계
- 기계요소설계
- 기구학
- 제조공학
- 가공공정
- 소성가공
- 공정자동화
- 구조해석
- 제어공학
- 시스템제어
- 자동제어
- 메카트로닉스
4. 관련 학과[편집]
- 기계공학과
- 기계설계공학과
- 기계시스템공학과
- 기계자동차공학과
- 기계정보공학과
- 기계항공공학과
- 로봇공학과
- 메카트로닉스공학과
- 에너지기계공학과
- 자동차공학과
- 재료공학과
- 조선해양공학과
- 항공우주공학과
5. 여담[편집]
- 과거부터 취업률 3대장 전화기[1]라 불렸으나, 정보화 시대와 제4차 산업혁명으로 AI 분야가 대두되면서, 그 위상은 점점 퇴색되고 있는 분류 중 하나이다.
- 단, AI의 발전과 함께 AI의 손과 발이 되어줄 하드웨어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어, 주도권은 잃고 있을지언정 수요 자체는 증가하고 있다.
- 학문 이름에 '기계'가 있으나, 위에서 언급 한 것처럼 '역학'을 위주로 학습한다. 이로 인해 실제로 응용기계를 만지는 학습은 손에 꼽는다.
- 전통적으로 수학과 물리에 강한 학생들이 선호하는 편이며, 공업수학과 동역학, 열역학 등 4대 역학에서 진입장벽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 졸업 이후 진출 분야가 넓어, 진로 방향은 설계, 해석, 제어, 생산, 연구개발 등으로 다양하게 갈린다.
- 다만, 특정 분야(예: 열유체, 진동, 유한요소해석 등)는 학부 수준에서 수행 가능한 일자리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학원 진학이 사실상 필수에 가깝다.
[1] 전자공학, 화학공학, 기계공학의 앞 글자를 딴 말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인정보 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