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트아미노펜

최근 수정 시각:

1. 개요2. 약리학

1. 개요[편집]

N-4-hydroxyphenylacetamide
기적의 약물이다.

2. 약리학[편집]

AcetaminophenCNSCOX-2PGE2Pain perceptiontext{Acetaminophen} xrightarrow{text{CNS}} downarrow text{COX-2} Rightarrow downarrow text{PGE}_2 Rightarrow downarrow text{Pain perception}
  1. 중추신경계(CNS)에서 선택적으로 COX-2(Cyclooxygenase-2) 효소를 억제한다.
  2. 이로 인해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의 생성이 억제된다.
  3. PGE2는 통각 수용체를 민감하게 만들기 때문에, 그 생성이 줄어들면 통증 민감도도 낮아진다.
  4. 결과적으로, 중추에서의 통증 인지(pain perception)가 감소되어 진통 효과가 나타난다.

어차피 못 알아들을테니, 신경 감도를 낮춘다고 생각해라. 오크가 쓰는 미약의 반대버전 그런거다.

내성이 생기지 않는다. 아세트아미노펜을 오래 복용했더니 약발을 안 받는 것 같다면, 다른 요인이 있는 것이니 병원을 가라.

부작용은 간독성 정도인데, 니가 멍청하게 서방정을 한꺼번에 먹는다거나, 한 통을 털어먹고도 더 먹으면 발생한다. 아니면 술을 마시던가. 산 채로 간이 녹아들어가는 고통에 무조건 응급실로 가게 되어있다. 자살 수단으로는 최악이니 타이레놀 먹고 죽으려는 생각은 하지 말자.

카페인이랑 같이 먹으면 효과가 증대된다. 카페인이 cAMP 작용을 통해 아세트아미노펜의 진통 작용을 증강시키기 때문이다. 이를 상승작용이라고 한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