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파일:namuarrow.svg  
'
,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2021년 출시된 버츄얼 유튜버 그룹에 대한 내용은 이세계아이돌 문서
이세계아이돌#s-번 문단을
이세계아이돌#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문서의 #s-번 문단
    문서의 # 부분
  • :
    문서의 #s-번 문단
    문서의 # 부분
  • :
    문서의 #s-번 문단
    문서의 # 부분
  • :
    문서의 #s-번 문단
    문서의 # 부분
  • :
    문서의 #s-번 문단
    문서의 # 부분
  • :
    문서의 #s-번 문단
    문서의 # 부분
  • :
    문서의 #s-번 문단
    문서의 # 부분
  • :
    문서의 #s-번 문단
    문서의 # 부분
  • :
    문서의 #s-번 문단
    문서의 # 부분
이세돌
李世乭 | Lee Sedol
파일:이세돌.webp
출생
1983년 3월 2일 (42세)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국적
대한민국
본관
경주 이씨
신체
172cm, 57kg
현직
울산과학기술원 특임교수
가족
어머니 박양례[1]
큰형 이상훈, 작은형 이차돌
큰 누나 이상희, 작은 누나 이세나
배우자 김현진(1983년생, 2006년 결혼)
딸 이혜림(2006년 9월 3일생)
학력
비금동초등학교 (졸업)
비금중학교 (중퇴)[2]
병역
전시근로역 (학력 미달)
[ 펼치기 · 접기 ]
단급
九단
입단
1995년
최대 연승 기록
32연승 (한국 2위)
누적 우승 기록
50회 (한국 3위)[3]
타이젬 바둑 닉네임
공짱조폭
칭호
국수[4]
별명
쎈돌
1. 개요2.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바둑 역사상 GOAT

이파리에게 '이세계아이돌 화이팅' 사인을 강요받아서 한 기록이 있다. (...)에서 많은 감정이 느껴진다. 이 외에도 패악질을 당한 기록이 있는데 해당 문서 참고.

2. 여담[편집]

대단히 활기찬 바둑을 두며, 사파 정파를 가리지 않는 자유로운 분위기의 기풍을 뽐낸다. 빠른 두뇌회전을 바탕으로 남들보다 세 수 정도 앞선 수를 두고, 이를 포석 삼아 상대의 집을 일순 무너뜨리는 전략을 즐긴다. 필요한 때에는 두텁고 진중하게 두는 모습도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끈기있는 바둑을 두었던 기존의 바둑계에 비교해보면 발을 빠르게 놀리는 쪽을 선호하는 편이다.

자유로운 기풍이 제대로 빛을 발한 것이 바로 알파고와의 대전. 기존의 대 인간 바둑처럼 두던 1국과 2국의 패배를 교훈삼아 3국부터는 점차 알파고의 행마에 발을 맞춰나갔고, 유일한 1승을 기록했던 4국에선 결국 알파고를 패배시킬 정도로 변칙적인 수읽기와 행마를 보였다.

그래서인지 한창 바둑이 유행하던 시절, 기원에 가서 이세돌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풍이 정적이었던 프로들인 '조훈현처럼 두고 싶다', 혹은 '이창호처럼 두고 싶다'고 하면 다들 고개를 끄덕였지만, '이세돌 처럼 두고 싶다'는 말을 하면 약간 정신나간 놈 취급을 하곤 했다. 그만큼 기존 바둑계에 이례적인 존재였다.

엄청난 복기 귀신으로, 선후배를 가리지 않고 대국이 끝나면 복기에 열중한다. 알파고와의 대국 후에는 알파고와 복기를 할 순 없으니 조력자로 온 다른 프로기사와 함께 한참동안 복기를 하는 모습이 보이기도 했다.

이렇게 바둑에 진심인 사람을 불러다놓고 이세계 아이돌과 이름이 같다는 이유로 무슨 얼토당토않은 바둑 대국(이라 부르기에도 민망한) 컨텐츠를 시켰으니, 바둑 좀 아는 사람 입장에선 참으로 속이 뒤집어질 노릇.
[1] 아버지는 이세돌이 16살 생일이 되던 날 사망[2] 중학교 의무 교육은 2004년에 시작되었다.[3] 1위 조훈현(161회), 2위 이창호(141회)에 많이 밀린다. 바둑의 인기가 떨어지면서 국내 기전 수가 많이 줄고, 이전에는 전년도 우승자가 미리 결승에 진출해 있는 도전기제가 많았으나 현재는 국수전을 제외하면 모든 기전이 토너먼트이므로 전년도 우승자라고 해도 상대적으로 타이틀 획득이 힘들어졌다.[4] 1회 바둑의 날 기념식에서 7인의 국수 중 한 명으로 추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