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두
최근 수정 시각: ()
분류
1. 개요 [편집]
2. 기능 [편집]
3. 감각적 측면 [편집]
남성의 생식 기관 중 성적으로 가장 민감한 부분이자 남성의 가장 예민한 성감대로, 인체 시신 5건을 해부·염색하고 미세해부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쪽 음경(hemipenis)당 평균 신경 축삭(axon) 수는 3,844 ± 1,238개였으며 평균 7,688 ± 1,762개의 축삭돌기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023년 Nature 등재 연구 #[3] 또, 약 8,290 ± 2,553개라는 요약 기사도 있다.# 해부학 위키피디아 확실한 건, 흔히 알려진 것처럼 남성기와 여성기의 신경 개수가 그렇게 극단적으로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4] 물론 쾌감에는 좀 차이가 있을지라도 성관계 시의 만족도는 남성, 여성 모두 파트너와의 좋은 관계와 대화에서 절대적으로 결정된다는 점을 항상 유념하도록 하자.
귀두 부분은 태어날 때부터 외피, 즉 포피에 감싸여서 보호받기 때문에 상당히 부드럽고 연약한데[5], 포피를 까서 드러난 귀두를 손으로 살짝 건드려 보면 엄청 아프다! 그래서 포경 수술을 하기 전까지만 해도 야동에서 보던 것처럼 성행위를 하거나 직접 귀두를 만지거나 핥는 행위가 어떻게 고통스럽지 않고 기분 좋을 수 있는가에 대해 의문을 품는 청소년들이 많은데, 건드린 것만으로 아플 정도로 귀두가 연약한 이유는 별거 없다.[6] 그동안 한 번도 외부와 일체의 접촉 및 자극이 없어서 그런 것이다. 포경 수술을 하고 며칠 안 됐을 때 소독을 하면 매우 고통스러운데 의사들에 의하면 안에 있던 것을 꺼내는 수술이니만큼 찰과상을 입은 것과 같은 상태라고 한다. 개인차는 있겠지만 만져도 아프지 않게 되는 데 2주 정도가 필요하다. 민감한 청소년들은 더 오래 걸릴 수도 있다. 포피를 손으로 까뒤집든, 포경 수술로 잘라내든 간에 귀두를 밖으로 드러나게 한 뒤 자연 건조로 오랫동안 말려주면 시간이 지날수록 외부에 노출된 귀두 외피가 튼튼해져서 아프지 않게 된다. 물론 이건 만져도 아프지 않을 정도로 튼튼해진단 뜻이지, 귀두가 제아무리 튼튼해 봤자 생식기 중 가장 민감한 부분이고 음경 끝부분인 부위인 데다 겉의 피부도 아니고 사실상 몸속에 준하는 기관이라서 다른 부위의 피부보다도 매우 연약하므로 손톱이나 플라스틱처럼 튼튼해질 거라고 생각하는 건 절대 금물이다. 특히 꼬집으면 피부 꼬집을 때보다 아프니 주의할 것.[7]
귀두 부분은 태어날 때부터 외피, 즉 포피에 감싸여서 보호받기 때문에 상당히 부드럽고 연약한데[5], 포피를 까서 드러난 귀두를 손으로 살짝 건드려 보면 엄청 아프다! 그래서 포경 수술을 하기 전까지만 해도 야동에서 보던 것처럼 성행위를 하거나 직접 귀두를 만지거나 핥는 행위가 어떻게 고통스럽지 않고 기분 좋을 수 있는가에 대해 의문을 품는 청소년들이 많은데, 건드린 것만으로 아플 정도로 귀두가 연약한 이유는 별거 없다.[6] 그동안 한 번도 외부와 일체의 접촉 및 자극이 없어서 그런 것이다. 포경 수술을 하고 며칠 안 됐을 때 소독을 하면 매우 고통스러운데 의사들에 의하면 안에 있던 것을 꺼내는 수술이니만큼 찰과상을 입은 것과 같은 상태라고 한다. 개인차는 있겠지만 만져도 아프지 않게 되는 데 2주 정도가 필요하다. 민감한 청소년들은 더 오래 걸릴 수도 있다. 포피를 손으로 까뒤집든, 포경 수술로 잘라내든 간에 귀두를 밖으로 드러나게 한 뒤 자연 건조로 오랫동안 말려주면 시간이 지날수록 외부에 노출된 귀두 외피가 튼튼해져서 아프지 않게 된다. 물론 이건 만져도 아프지 않을 정도로 튼튼해진단 뜻이지, 귀두가 제아무리 튼튼해 봤자 생식기 중 가장 민감한 부분이고 음경 끝부분인 부위인 데다 겉의 피부도 아니고 사실상 몸속에 준하는 기관이라서 다른 부위의 피부보다도 매우 연약하므로 손톱이나 플라스틱처럼 튼튼해질 거라고 생각하는 건 절대 금물이다. 특히 꼬집으면 피부 꼬집을 때보다 아프니 주의할 것.[7]
4. 구조 [편집]
진화 생물학에 의하면 귀두는 암컷 안에 남아있는 정액을 빼내기 위해 그렇게 생겼다는 설이 있다. 주걱 모양 귀두로 피스톤 운동을 하면 여성의 질 안에 있는 다른 남자의 정액을 긁어 끄집어 빼낼 수 있는데 이렇게 효과적으로 경쟁자의 정자를 빼낼 수 있었던 유전 형질이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내용. 하지만 증명된 바는 없다.[8] 애초에 정자 수가 천문학적으로 많은 것과 그 난막을 녹이는 첨체로 다른 사람의 정자들에 몸체에 박아 버리기도 하고 머리가 2개, 꼬리 3개 등이 다양한 이유이기도 하다. 생명체 자체가 밤 같은 것만 봐도 가시가 있고, 인간에 의해 개량된 것이 아닌 원시 바나나 등의 열매를 보면 씨가 매우 많다. 즉, 생존을 위해 진화하기 때문이다.
고양이과 생물의 경우 귀두 부분에 미세한 가시가 수없이 돋아나 있는데 이는 암컷을 배란시키기 위한 것이다. 배란 주기가 정해져 있는 다른 포유류와는 달리 고양이과 생물의 암컷은 배란 주기가 딱히 정해져 있지 않고 교미를 통한 질 내의 자극에 의해서 배란이 시작되므로, 수컷의 귀두에 달려있는 가시가 배란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덕분에 평소 배란을 하지 않는 고양이과 생물의 암컷들은 생리도 하지 않는다. 간혹가다 교미할 때 암컷이 수컷에게 막 화를 내는 것도 이 가시 때문에 아프기 때문이며, 수컷은 암컷이 화낼 때 물리지 않도록 암컷의 목을 물고 교미를 시작한다.
고양이과 생물의 경우 귀두 부분에 미세한 가시가 수없이 돋아나 있는데 이는 암컷을 배란시키기 위한 것이다. 배란 주기가 정해져 있는 다른 포유류와는 달리 고양이과 생물의 암컷은 배란 주기가 딱히 정해져 있지 않고 교미를 통한 질 내의 자극에 의해서 배란이 시작되므로, 수컷의 귀두에 달려있는 가시가 배란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덕분에 평소 배란을 하지 않는 고양이과 생물의 암컷들은 생리도 하지 않는다. 간혹가다 교미할 때 암컷이 수컷에게 막 화를 내는 것도 이 가시 때문에 아프기 때문이며, 수컷은 암컷이 화낼 때 물리지 않도록 암컷의 목을 물고 교미를 시작한다.
5. 상동 기관 [편집]
6. 관련 질환 [편집]
7. 여담 [편집]
- 고대 헬레네인들과 로마인들은 음경 자체를 노출하는 것은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았으나(공공장소에서도), 귀두의 노출은 매우 부끄럽게 생각했다(물론 이들은 아무도 포경 수술을 하지 않았기에 귀두가 쉽게 노출되는 일은 없었다). 때문에 옷을 입지 않고 경기에 임하는 그리스의 올림픽 선수들은 혹시라도 귀두가 포피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키노데스메(κυνοδέσμη)라는 끈으로 음경 포피 끝을 묶어 귀두가 노출되는 것을 막았다. 로마인들은 한술 더 떠서 리가투라 프라이푸티이(ligatura praeputii)라는 금속제 고리를 사용해 포피를 봉인했다. 노예들의 경우 아예 주인들이 쿠노라는 포피 피어싱을 채워 귀두의 노출을 막았다고. 그랬으니 유대인들의 할례에 기겁할 수밖에 없었고[10], 결국 기독교는 세례로 입교 의식을 완전히 변경하게 된다.
- 자주 쓰이는 표현은 아니지만 비뇨기과 등에서 가끔씩 쓰는 표현으로 음경과 귀두를 권투 글러브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발기할 때 도드러진 둥근 부분이 권투 글러브같이 생기기도 했고,[11] 귀두의 역할 자체가 음경이 상대방의 질 안쪽에서 타격을 가할 때에 완충 작용을 하는 것이기 때문인 것.[12] 관련 홈페이지 등에서는 아예 '음경 해면체는 스폰지 형태의 귀두 조직으로 덮여 있어서, 성행위 시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권투 글러브와 비슷)을 하게 된다.'라고 적혀있다. 이러한 충격을 완화하는 조직은 여성 생식기에도 존재해서 질 내에 드러나 있는 자궁 경부는 귀두의 윗면과 굉장히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귀두 상부와 자궁 경부가 부딪치더라도 양 성기가 쿠션 역할을 해서 자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한다. 다만 자궁은 근육으로만 이뤄진 조직이기 때문에 귀두에 비해서 자궁 경부는 조금 더 탄력을 가진다.
- 남성의 주요 성감대인 음경 중에서도 특히 민감한 부분이며 사정 직후 이 부분을 빠르게 자극하면 남성도 시오후키를 경험할 수 있다.
- 상술했듯이 귀두 끝에 뚫린 구멍 입구가 바로 요도인데 보통은 구멍 형태가 1자로 되어있다. 그런데 이 부분을 자주 벌리다 보면 어느새 요도 속을 드러낸 채 벌어져 있을 수 있다. 귀두가 외부로 노출될 때마다 그 끝에 있는 요도 구멍이 노출될 수밖에 없는데 당연히 요도 구멍이 벌어지면 그 안으로 공기 중의 안 좋은 물질들이 들어갈 수 있으니
그리고 내 손으로 벌렸지만 보기 싫을 수도 있으니자꾸 벌리지 말자.
8. 관련 문서 [편집]
[1] 성관계를 많이 하면 색이 변한다는 속설이 있으나 그렇지 않다. 호르몬, 색소의 차이로 태생부터 색이 어두울 수는 있으나 핑크빛이라면 중년에 들어서서도 핑크빛이 유지된다. 색이 변하는 건 거의 관리 부실 문제.[2] 생식 경쟁을 전제하는 논리인데 성적으로 활발한 동물일수록 성기가 커지고 정액의 양이 많아지도록 진화한다는 점이 있다. 정확히 말하면 인간은 난혼제 사회였다가 여러 가지 효율성 때문에 일부일처제로 바꾼 것이다. 하긴 본능적으로 일부일처제를 칼같이 지키는 동물도 많다는데 인간들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간통이 꼭 터지는 걸 보면 연관이 없다고도 할 수 없다.[3] 과거 귀두의 신경 개수가 4000개에 불과해 여성의 음핵에 비해 성적인 쾌감을 훨씬 덜 느낀다는 설도 있었으나, 사실이 아니다.[4] 음핵의 신경 수는 약 10,000개 이상으로 추정된다. 자세한 자료는 해당 문서 참고.[5] 이 포피를 잘라내서 귀두를 드러내는 게 바로 포경 수술이다.[6] 다만 귀두를 자주 만져주면 안 아프게 된다.[7] 그리고 포경 수술을 한 경우 귀두의 색깔이 눈에 보일 정도로 어두워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색소로 인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고, 포경 뒤에 귀두의 예민함은 다소 줄어든다. 상상해 보라. 포경 수술 이후에는 귀두가 항상 노출되어 있게 되고 외부로부터의 마찰이 필연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덜 예민해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절차이다.[8] 다만 잠자리의 경우에는 수컷 잠자리가 이미 교배한 상태의 암컷과 교배할 때 다른 수컷의 정자를 주걱과 비슷하게 생긴 생식기로 긁어서 빼내고, 자신과 교배한 암컷이 산란할 때까지 감시하며 따라다닌다.[9] 유아기 때부터 걸릴 수 있는데 치료 과정도 매우 고통스럽다.[10] 하드리아누스 황제 때는 유대인의 할례를 금하고, 죄인들만 포피를 자르게 했다.[11] 특히 발기하면 귀두가 완전히 드러나는 가성 포경이나, 포경 수술을 해서 귀두가 두드러진 음경.[12] 실제로 만져보면 말랑말랑하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