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r9)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분류
1. 개요[편집]
2. 효율충[편집]
움직이는가? | |||
예 | 아니오 | ||
움직여야 하는가? | 움직여야 하는가? | ||
예 | 아니오 | 예 | 아니오 |
문제 없음 | 덕트 테이프 | WD-40 | 문제없음 |
다만 실제로 덕트 테이프는 매우 강력하다. 비행기 외관의 임시 수리를 위해서 덕트 테이프를 사용할 정도.


돈이 안되는건 안한다.
공학을 배우는것도 돈을 벌기 위해서다.
기본적으로 현실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이기 때문에, 현실 세계의 역학(비용', 시간, 성능, 무게 등)이 강하게 작용한다. 새로운 학문적 탐구보다 '돈을 얼마나 절약할 수 있는가'가 우선순위를 가지며,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면 수백년도 전에 개발된 방법이 현대까지 쓰이기도 하고, 비용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면 탄생한 지 몇달도 안된 신기술로 갈아타기도 한다.
이러한 유연함이 일반적인 이론학계, 순수학계와의 큰 차이점으로, 학교에서 배운 내용과 실무에서 쓰이는 내용이 차이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분야에 따라 상당히 정적인 학과도 있고 학교가 최신 기술을 가르치는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순수학문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최신화되는 건 어쩔 수 없는 듯.
아무래도 돈이 되고, 실제로 판매해서 성능을 테스트하다 보니 학계에서 연구하는 만큼 기업에서도 연구를 자주 하기 때문이다. 기업이랑 친하기 때문에 공대에서는 기업 연계 과정이나 코옵, 협업 과제 등을 같이하기도 한다.
때문에 표준화에 매우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결국 현실세계에서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이 회사에서 만든 거랑 저 회사에서 만든 거랑 안맞으면 개고생이기 때문. 나사에서는 단위계도 하나로 못 쓰다가 탐사선을 날려먹은 전적도 있다.

기본적으로 현실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이기 때문에, 현실 세계의 역학(비용', 시간, 성능, 무게 등)이 강하게 작용한다. 새로운 학문적 탐구보다 '돈을 얼마나 절약할 수 있는가'가 우선순위를 가지며,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면 수백년도 전에 개발된 방법이 현대까지 쓰이기도 하고, 비용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면 탄생한 지 몇달도 안된 신기술로 갈아타기도 한다.
이러한 유연함이 일반적인 이론학계, 순수학계와의 큰 차이점으로, 학교에서 배운 내용과 실무에서 쓰이는 내용이 차이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분야에 따라 상당히 정적인 학과도 있고 학교가 최신 기술을 가르치는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순수학문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최신화되는 건 어쩔 수 없는 듯.
아무래도 돈이 되고, 실제로 판매해서 성능을 테스트하다 보니 학계에서 연구하는 만큼 기업에서도 연구를 자주 하기 때문이다. 기업이랑 친하기 때문에 공대에서는 기업 연계 과정이나 코옵, 협업 과제 등을 같이하기도 한다.
때문에 표준화에 매우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결국 현실세계에서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이 회사에서 만든 거랑 저 회사에서 만든 거랑 안맞으면 개고생이기 때문. 나사에서는 단위계도 하나로 못 쓰다가 탐사선을 날려먹은 전적도 있다.
3. 분야[편집]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인정보 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