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 ANDRE 99
최근 수정 시각: ()
POWER ANDRE 99 THE 2nd ALBUM | |
발매일 | |
장르 | |
재생 시간 | 1:14:10 |
곡 수 | 18곡 |
기획사 | |
유통사 | |
녹음 | 뮤직빌리지 음악역1939 |
1. 개요2. 소개3. 수록곡
3.1. On Black3.2. Eres Tu3.3. Juxtaposition3.4. Realize3.5. Gosan3.6. Andre993.7. Babyface3.8. NO PAIN3.9. The Rim3.10. T3.11. Tik Tak Tok (feat. So!YoON!)3.12. Budland3.13. Ryudejakeiru
4. 관련 영상5. 언사6. 평가7. 여담3.13.1. M/V
3.14. APEX3.14.1. M/V
3.15. Ondine3.16. Mercurial3.17. Machineboy空3.18. PH-10041. 개요 [편집]
Please don't worry about me - Budland |
2. 소개 [편집]
파일:POWER ANDRE 99 로고.svg The 2nd Album | |
|
3. 수록곡 [편집]
|
3.1. On Black [편집]
<On Black> |
|
라이브 공연에서 사용하는 나레이션 가사 [5] |
3.2. Eres Tu [편집]
<Eres Tu> |
|
3.3. Juxtaposition [편집]
<Juxtaposition> |
|
3.4. Realize [편집]
<Realize> |
|
3.5. Gosan [편집]
<Gosan> |
|
3.6. Andre99 [편집]
<Andre99> |
|
3.7. Babyface [편집]
<Babyface> |
|
3.8. NO PAIN [편집]
<NO PAIN> |
|
3.9. The Rim [편집]
<The Rim> |
|
3.10. T [편집]
<T> |
|
3.11. Tik Tak Tok (feat. So!YoON!) [편집]
<Tik Tak Tok (feat. So!YoON!)> | |
|
3.12. Budland [편집]
<Budland> |
|
3.13. Ryudejakeiru [편집]
<Ryudejakeiru> |
|
독특한 기타 톤과 이펙터가 강하게 적용된 김한주의 보컬이 매력적인 곡이다. 실리카겔 특유의 소위 "쇠맛" 사운드가 강하면서도 공동 타이틀곡인 APEX의 펑크 록적인 요소와 대비되는 따뜻함을 갖춰 팬들의 사랑을 받는 곡이기도 하다.
곡의 제목인 Ryudejakeiru의 의미에 대해서 해석한 댓글이 유튜브 베댓을 먹었다.[6] 일본어로 '류데자케이루'는 용 (Ryu/龍) + ~으로 (De/で) + 뱀의 껍질 (Jake/蛇毛) + 있다 (Iru/いる) 라는 뜻으로, 직역하면 "용의 껍질이 있다" 정도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용이 되기 위해 여의주를 물고 기다리는 이무기의 고난의 시간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며, 곡의 가사 중 "백만 가지 재앙 속에서도 성실하게 지킬뿐이라고"는 꿈을 이루기 위한 아픔과 희망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위 해석이 일본어 문법상 맞지 않다는 지적도 있었고, 결정적으로 김한주에게 뜻을 묻자 '아무 뜻도 없다'[7]고 대답했기 때문에 특별한 뜻이 없다고 보는 게 가장 맞겠다.
곡의 제목인 Ryudejakeiru의 의미에 대해서 해석한 댓글이 유튜브 베댓을 먹었다.[6] 일본어로 '류데자케이루'는 용 (Ryu/龍) + ~으로 (De/で) + 뱀의 껍질 (Jake/蛇毛) + 있다 (Iru/いる) 라는 뜻으로, 직역하면 "용의 껍질이 있다" 정도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용이 되기 위해 여의주를 물고 기다리는 이무기의 고난의 시간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며, 곡의 가사 중 "백만 가지 재앙 속에서도 성실하게 지킬뿐이라고"는 꿈을 이루기 위한 아픔과 희망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위 해석이 일본어 문법상 맞지 않다는 지적도 있었고, 결정적으로 김한주에게 뜻을 묻자 '아무 뜻도 없다'[7]고 대답했기 때문에 특별한 뜻이 없다고 보는 게 가장 맞겠다.
3.13.1. M/V [편집]
실리카겔 (Silica Gel) - Ryudejakeiru [MV] |
0:03 부터 등장하는 타이틀 아트워크[8]는 스리랑카에서 쓰이는 싱할라어 문자로, "රහම ැවනැ සරම"라고 적혀있으며, 구글 번역을 돌렸을 때, "Mercy is Everything", 즉 "자비가 전부입니다"라는 번역 결과가 나온다. 뮤비 중간중간에 등장하는 문구는 <Machine Boy>의 4번째 수록곡 Machineboy空의 가사이며, 이를 통해 해당 뮤비에서 김한주가 연기하는 인물이 머신보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머신보이는 지하실에 갇혀서 실험을 당하다가 촉수를 이용해 과학자들로 보이는 사람들을 상당히 잔인하게 살해한 후 탈출한 것으로 묘사된다. Realize와 Mercurial의 뮤비에서 김한주가 연기했던 인물과 동일인인지는 불확실하다.[9]
머신보이는 지하실에 갇혀서 실험을 당하다가 촉수를 이용해 과학자들로 보이는 사람들을 상당히 잔인하게 살해한 후 탈출한 것으로 묘사된다. Realize와 Mercurial의 뮤비에서 김한주가 연기했던 인물과 동일인인지는 불확실하다.[9]
3.14. APEX [편집]
<APEX> |
|
3.14.1. M/V [편집]
실리카겔 (Silica Gel) - APEX [MV] |
3.15. Ondine [편집]
<Ondine> |
3.16. Mercurial [편집]
<Mercurial> | |
|
3.17. Machineboy空 [편집]
<Machineboy空> |
|
3.18. PH-1004 [편집]
<PH-1004> |
|
4. 관련 영상 [편집]
4.1. 전곡 듣기 [편집]
[FULL ALBUM] 실리카겔 (Silica Gel) - POWER ANDRE 99 | |
00:00 - On Black 04:08 - Eres Tu 07:12 - Juxtaposition 11:25 - Realize 15:44 - Gosan 18:55 - Andre99 22:19 - Babyface 25:48 - NO PAIN 29:30 - The Rim | 34:15 - T 35:20 - Tik Tak Tok (feat. So!YoON!) 41:36 - Budland 46:06 - Ryudejakeiru 50:16 - APEX 55:46 - Ondine 59:24 - Mercurial 01:02:55 - Machineboy空 01:12:19 - PH-1004 |
4.2. 공식 라이브 [편집]
실리카겔 (Silica Gel) - NO PAIN [LIVE From YES24 LIVE HALL] |
실리카겔 (Silica Gel) - Budland [LIVE From YES24 LIVE HALL] |
실리카겔 (Silica Gel) - Mercurial [LIVE From YES24 LIVE HALL] |
4.3. 수록곡 M/V 모음 [편집]
실리카겔 (Silica Gel) - Realize [MV] |
실리카겔 (Silica Gel) - NO PAIN [MV] |
실리카겔 (Silica Gel) - T + Tik Tak Tok (feat. So!YoON!) [MV] |
실리카겔 (Silica Gel) - Budland [MV] |
실리카겔 (Silica Gel) - Ryudejakeiru [MV] |
실리카겔 (Silica Gel) - APEX [MV] |
실리카겔 (Silica Gel) - Mercurial [MV] |
5. 언사 [편집]
|
|
|
|
6. 평가 [편집]
소리의 아름다움을 찾아 헤맨 여행자들이 차가운 기계를 인간의 따스함으로 물들이는 실험에 돌입했다. < Power Andre 99>는 그 여행과 실험의 기록문이다. 기존 싱글과 미니 앨범 < Machine Boy >를 포함해 18곡의 거대한 볼륨 안에서 질주하듯 쉬지 않고 달린다. 속도와 행동에 변화는 있을지 몰라도 에너지는 소멸하지 않는다. 수록곡 간 강약을 조절해 킬링 트랙에 힘을 불어넣고 앨범 전체의 기승전결을 명확히 드러낸다. 기계가 시동을 거는 듯한 'On black'의 뒤에는 본격적으로 깨어나 몸을 일으켜 움직이는 'Eres tu'가 있다. 활력적인 'Juxtaposition'의 뒤를 잇는 것은 외로움 속에서 의지를 다지는 'Redlize'다. 대부분 별개의 곡으로서도 존재감이 뚜렷하지만, 유기적인 연결 또한 깔끔하고 섬세하다. 이들은 서로 관절처럼 연결돼 앨범의 도입부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한다. 몸을 일으킨 기계는 자신의 정체를 탐구하고 기록하며 회고한다. 어지러운 혼란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으려는 몸부림의 연속이다. 이 모습을 가장 잘 드러내는 것은 음반의 핵심 코어로 작동해 존재감을 과시하고 동력을 제공하는 < Machine Boy > 수록곡과 기존 싱글들이다. 빠르게 흐르는 시간에 관한 고찰 'Tik tok tok, 시니컬한 듯 따스한 되새김 'Mercurial, 그리고 평화의 유토피아를 꿈꾸는 새로운 세대의 청춘송가 'No pain' 모두 뚜렷한 멜로디에 다채롭고 풍성한 사운드를 자랑한다. 특히 'Tik Tak TOK'에 등장하는 김춘추의 압도적인 기타 솔로 퍼포먼스는 멤버들의 탄탄한 뒷받침 위에서 자유와 광기의 경계를 넘나든다. 새로운 곡들도 무리 없이 제 몫을 하나, 해당 앨범의 압축본에 가까운 < Machine Boy >의 곡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힘이 약하다. 인간성을 고양시키는 'Apex'는 가장 직접적인 작법과 선명한 사운드를 들려주지만, 후반부 구성은 이미 한차례 폭풍을 일으키고 떠난 'Tik tak tok'의 선명한 자취 주변을 맴돈다. 'Gosan'의 몽롱함을 이어 아름다운 유희를 노래하는 'Andre99'는 다프트 펑크 혹은 보이즈(The Voidz)의 노스탤 지어에 묵직함을 더해 세련된 스타일을 들려주며 분전한다.'Babyface', 'The rim'은 원오프릭스 포인트 네버 (Oneohtrix Point Never) 스타일의 전자음과 독특한 비장 함으로 무장했으나 깊은 인상을 남기기보단 각각 'No Pain'과 'T'+'Tik Tak ToK'에 돌입하기 전 예열 도구로만 쓰인다. 'Ryudejakeiru' 만큼은 타이틀곡으로써 눈부시게 빛난다. 현실과 이상의 혼재를 그린 가사는 'No Pain의 이상, 'Realize'에서의 자각, 'Andre99'의 즐거움, 꿈과 시간의 이야기 'Tik Tak Tok' 등 이전 사고들을 융합한다. 차디찬 겨울의 포근한 온기처럼 부드럽게 생동하는 사운드와 예쁜 멜로디 는 20년 전 서태지의 '로보트'가 연상되면서도, 실리카겔 특유의 고난과 희망의 정서를 고스란히 담아낸다. 가장 큰 성취는 풍부한 사운드 탐구다. 이는 실리카겔이 록 밴드로서 갖는 가장 큰 강점이기도 하다. 기존의 사이키델릭 록 위주에서 벗어나 다양한 장르를 시도했으나 각 세션이 묻히거나 겉도는 요소 없이 완전한 조화를 자랑한다. 물론 강렬한 임팩트 자체는 김춘추의 기타에 있지만, 그의 현란함이 과함이 되지 않도록 안전망이 되어주는 것은 탄탄한 베이스와 드럼이다. 여기에 김한주 특유의 멜랑꼴리한 보컬이 더해진다. 재밌게도 이 점이 가장 돋보이는 트랙은 '함께'를 강조하는 'No Pain'이다. < Power Andre 99>는 오랜 집념의 결과물이다. 정규 1집 < 실리카겔 >, 입대 전 EP < Si02.nH20 >, 'Kyo181'이나 'Desert eagle'처럼 여러 싱글로 들려준 오랜 여정들을 돌이켜 보면 더욱 새삼스레 와닿는다. 의도적인 대중성 획득 전략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저 본인들의 자리에서 더 잘할 수 있는 음악과 연주 자체의 쾌감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대중이 그들에게 다가왔다 |
|
|
7. 여담 [편집]
- 여러 언론 매체에서 발매 기념 인터뷰를 진행했다.
- Machine Boy의 정체Mercurial (손)
2023년 3월 15일Machine Boy (눈)
2023년 4월 25일Tik Tak Tok (귀)
2023년 8월 19일POWER ANDRE 99 (공개)
2023년 12월 20일비슬라매거진 인터뷰에 따르면, POWER ANDRE 99는 Machine Boy라는 존재에 대한 이야기이며, EP Machine Boy가 예고편 격의 앨범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최웅희에 따르면 Mercurial - Machine Boy - Tik Tak Tok 그리고 POWER ANDRE 99로 이어지는 시리즈에서 각 앨범 아트는 각각 손 - 눈 - 귀를 의미하며, 이번 앨범이 이 Machine Boy의 정체를 밝히는 앨범이라고 한다. 즉, 앨범 아트에서 분쇄기에 갈려나가고 있는 인물은 바로 Machine Boy이다.
- EBS 스페이스 공감 선정 2000년대 한국대중음악 명반 100 중 발매된 후 가장 단기간에 등재된 앨범이다. 발매 후 103일만에 등재되었다.
- 바이닐(LP)로 발매되었을 때는 1~5번 트랙이 Side A, 6~9번 트랙이 Side B, 10~14번 트랙이 Side C, 15~18번 트랙이 Side D로 발매되었다.
[1] 3번 트랙 Juxtaposition[2] 5번 트랙 Gosan[3] 14번 트랙 APEX[4] 18번 트랙 PH-1004[5] 나레이션은 멤버 김춘추의 조카 목소리. 라이브 공연 영상 바로가기[6] 파일:스크린샷 2023-12-28 211748.png[7] 그냥 이 제목이어야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붙은 계시적 제목이라고 밝혔다.[8] 파일:Ryudejakeiru 로고.png[9] 네이버 블로그의 한 해석글에 따르면, Mercurial과 Realize에서 김한주가 연기한 인물은 "아토"라는 인물로, Machine Boy와는 별개의 인물로 추정된다.[10]
출처1(중앙일보 인터뷰)
출처2(공식 인스타그램 피드)
출처3(공식 X 게시물)
출처1(중앙일보 인터뷰)
출처2(공식 인스타그램 피드)
출처3(공식 X 게시물)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