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혁
최근 수정 시각: ()
Faker에서 넘어옴
분류
이상혁 (李相赫|Lee Sang-hyeok) | |
출생 | |
국적 | |
본관 | |
신체 | |
가족 | |
학력 | |
병역 | |
종교 | |
MBTI | |
ID | |
포지션 | |
경력 상금 | $1,922,084.56 USD (₩2,658,050,738.02 KRW)[13] |
데뷔 | |
소속 | |
서명 | |
국가대표 | |
소속사 | |
응원가 | |
1. 개요 [편집]
2. 플레이 스타일 [편집]
3. 선수 경력 [편집]
4. 대회 경력 [편집]
이상혁의 대회 경력 | ||||||||||||||||||||||||||||||||||||||||||||||||||||||||||||||||||||||||||||||||||||||||||||||||||||||||||||||||||||||||||||||||||||||||||||||||||||||||||||||||||||||||||||||||||||||||||||||||||||||||||||||||||||||||
|
4.1. 대회 기록 [편집]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역대 최다 우승 (5회)[28]
- Mid-Season Invitational 최초 2회 연속 우승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다 우승 (10회)[34]
-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대표 및 아시안 게임 초대 금메달리스트
4.2. 개인 기록 [편집]
- First Stand Tournament 출범 이전 모든 메이저 국제대회에서 MVP로 선정된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
- Mid-Season Invitational 500킬을 달성한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39]
- 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최다 경기, 최다승, 최다패, 최다킬, 최다 데스 기록 보유자[40]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역대 최연소 우승 미드라이너[41], 최고령 우승 선수, 최고령 MVP 수상 선수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역대 최다 경기, 최다승, 최다킬, 최다 데스, 최다 어시스트 기록 보유자[42]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100승, 500킬을 달성한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43]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MVP 다회 수상한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44]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연소 및 최고령 우승을 달성한 미드라이너[45]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1000전, 600승, 3500킬을 달성한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46]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다 경기 출전, 최다 승리, 최다 킬, 최다 데스, 최다 어시스트[47]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를 3회 연속 우승한 최초이자 유일한 미드라이너[48]
- 4연속으로 메이저 국제대회를 우승한 최초이자 유일한 미드라이너[50]
- 6연속으로 메이저 국제대회 결승에 진출한 최초이자 유일한 미드라이너[51]
5. 주요 경력 [편집]
우승 경력 | ||||
→ | SK telecom T1 SK telecom T1 K | → | ||
→ | SK telecom T1 | → | ||
대회 출범 | → | SK telecom T1 K | → | |
→ | SK telecom T1 K | → | ||
→ | SK telecom T1[55] | → | ||
→ | SK telecom T1 | → | ||
Team ICE | → | Team Fire[57] | → | Team ICE |
→ | SK telecom T1 | → | ||
→ | SK telecom T1 | → | ||
→ | SK telecom T1 | → | ||
LPL | → | Team East LCK LCK | → | 대회 취소 |
→ | → | |||
LPL[59] | → | LCK[60] | → | 폐지 |
→ | T1 | →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 ||||
→ | 대한민국 | → | 미정 | |
→ | T1 | → | 미정 | |
대회 출범 | → | T1 | → | 미정 |
Team JGL | → | Team MID | → | 미정 |
준우승 경력 | ||||
→ | SK telecom T1 | → | 폐지[63] | |
→ | SK telecom T1 | → | ||
Team Ice | → | Team Fire | → | LMS |
대회 출범 | → | LCK[65] | → | LPL[66] |
→ | SK telecom T1 | → | ||
→ | SK telecom T1 | → | ||
종목 채택 | → | 대한민국[67] | → | |
→ | T1 | → | ||
→ | T1 | → | ||
→ | T1 | → | ||
→ | T1 | → | ||
대회 출범 | → | Team Faker Team MID | → | Team TOP |
→ | T1 | → | 미정 | |
수상 경력 | ||||
→ | 이상혁 (SK telecom T1) 이상혁 (SK telecom T1 K) | → | ||
→ | 이상혁 (SK telecom T1) | → | 폐지 | |
→ | 이상혁 (SK telecom T1) | → | ||
시상 출범 | → | 이상혁 (SK telecom T1) | → | 폐지 |
→ | 이상혁 (SK telecom T1) | → | 폐지[70] | |
2016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MVP | ||||
결승 MVP 출범[71] | → | 이상혁 (SK telecom T1) | → | |
→ | 이상혁 (SK telecom T1) | → | ||
The Game Awards 2017 최고의 e스포츠 선수 | ||||
Marcelo David (SK Gaming) | → | 이상혁 (SK telecom T1) | → | |
2023 e스포츠 어워드 올해의 선수상 2024 e스포츠 어워드 올해의 선수상 | ||||
→ | 이상혁 (T1) | → | 미정 | |
→ | 이상혁 (T1) | → | 미정 | |
→ | 이상혁 (T1) | → | 미정 | |
→ | 이상혁 (T1) | → | 미정 | |
2024 전설의 전당 헌액자 | ||||
전당 출범 | → | 이상혁 (T1) | → | 젠쯔하오 (Uzi) |
대회 출범 | → | 이상혁 (T1) | → | 김기인 (GEN Kiin) |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결승 MVP | ||||
→ | 이상혁 (T1) | → | 미정 |
2018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 |||||
2019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 |||||
2020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 |||||
2022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 |||||
2023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 |||||
2024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 |||||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히어로즈 |
ALL LCK Team 선정 |
2020 LCK SPRING 3RD TEAM |
2022 LCK SPRING 1ST TEAM |
2022 LCK SUMMER 2ND TEAM |
2023 LCK SPRING 1ST TEAM |
2024 LCK SPRING 2ND TEAM |
LCK 어워드 선정 |
2021 LCK 어워드 카카오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 상 |
2022 LCK 어워드 BBQ치킨 베스트 이니시에이팅 플레이어 상 |
2023 LCK 어워드 OP.GG 서치 킹 상 |
2024 LCK 어워드 OP.GG 서치 킹 상 |
6. 평가 [편집]
6.1. 커리어 [편집]
- LoL e스포츠 프로게이머 누적 상금 전 세계 1위
- Worlds 3연속 결승 진출 2회[84], 총 7회 결승 진출
- Esports World Cup 초대 우승 및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6.2. 퍼포먼스 [편집]
- 2013 LCK 서머 MVP
- 2013 - 2014 LCK 윈터 MVP
- 2015 LCK 서머 포스트시즌 MVP
- 2016 MSI 파이널 MVP
- 2016 월즈 통합 MVP
- 2023 LCK 어워드 올해의 미드
- 2023 LCK 어워드 올해의 선수
- 2024 전설의 전당 초대 헌액
- 2024 EWC 파이널 MVP
- 2024 월즈 파이널 MVP
- 2024 LCK 어워드 올해의 미드
- 2024 LCK 어워드 올해의 선수
- LCK 올프로팀 퍼스트 2회, 세컨드 2회, 서드 1회
- LCK 역대 누적 POG 포인트 1위[96]
라이엇 게임즈 공식 대회를 기준으로 통산 17회 우승 중 6회 MVP를 수상했다. 주목할 만한 업적은 MVP 수상이 가능한 모든 국제 대회에서 MVP를 석권한 유일한 선수라는 점이다.[97] 특히 2016년의 경우 한 해안에 메이저 국제 대회 MVP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였다.
다만 선수 경력 후반으로 가면서 페이커 본인이 말하길 나이를 먹어가면서 피지컬이 저하된 것 같지는 않으나 집중력과 판단력이 낮아졌다고 했는데 2023 월즈 우승, 이어진 2024 월즈에서 결승 MVP까지 수상하는 기염을 토했다.
6.3. 영향력 [편집]
페이커는 LoL이라는 게임 내부적으로 현대 미드 라이너의 개념을 정립한 선수로 평가된다. 페이커의 등장은 고전적 1세대 미드 라이너 시대의 종언을 알렸다. 시즌 2까지 미드 라이너는 무리하지 않고 파밍을 하면서 성장하고 주로 필요한 순간에만 합류를 했는데, 시즌 3부터 등장한 페이커는 상대 라이너를 끊임없이 압박하면서 이득을 취하는 플레이를 시작했다.
유명 아마추어 게이머인 도파는 "미드 라이너로서 최고의 플레이는 상대방을 극단적으로 압박해 적 정글을 불러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고 2:1 상황을 만든 후에 죽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이 2:1 드래블링을 최초로 시작한 것이 페이커였고 이를 최적화시켜 완성한 사람이 루키였다."라고 평가했다.[98] 즉, 상대하는 입장에서 적 정글을 불러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든 뒤 적 정글이 갱이나 견제를 해오면 본인은 어그로를 끌면서 팀적으로 상대 정글의 위치를 이용해 다른 라인에 힘을 실어주기, 혹은 역갱을 성공시켜 그에 따른 스노우볼을 굴리거나 최적의 상황으로는 1:2 역관광을 해 게임을 터뜨리는 것이다. 반대로 본인에게 견제가 오지 않는다면 라인 주도권을 이용해 한 발 빠른 합류와 타 라인에 대한 견제를 넣거나, 아예 솔로킬을 내버리고 라인전을 폭파시켜버리는 등 다시 말해 적 미드 정글을 자기 마음대로 컨트롤하여 게임을 터뜨리는, 소위 스포츠에서 통칭되는 '크랙 플레이'의 정점에 가까웠던 선수였다.
이 2:1 드리블링이 가능한지 여부는 이후 미드, 탑 선수 중 S급과 A급을 가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가 되었다. 페이커가 최초로 시작하고 루키가 최적화시킨 후 2015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마린, 스멥, 큐베, 칸, 더샤이, 비디디, 쵸비 등 속칭 S급 선수들이 대거 등장하기 시작했다.[99] 이러한 플레이의 과정에서 나오는 페이커 특유의 외줄타기, 솔로킬, 넓은 챔피언 폭, 슈퍼 플레이는 사람들을 열광하게 해 경기 외적으로 막 인기를 얻기 시작하던 리그 오브 레전드와 LCK의 유명세를 더욱 증폭시키는 기폭제 역할을 하기도 했고 르블랑, 아리, 제드 등의 암살자 챔피언의 인기가 급상승하기도 했다.
이 패러다임은 2018 시즌까지 미드 라이너의 유일한 크랙 플레이로 남아 있었다. 하지만 2019 시즌에 탁월한 운영과 로밍으로 승부를 보는 도인비와 캡스의 등장과, 2020 시즌에 육각형 플레이로 LCK의 암흑기를 끝낸 쇼메이커 이후로 더 이상 상대 미드를 극한으로 압박하지 않고 맵을 넓게 쓰는 방식으로도 캐리할 수 있다는 해법이 나오면서 전체적인 미드 플레이 스타일은 크게 이 둘로 나뉘게 되었다. 그리고 미드 라이너들의 상향 평준화와 2022 시즌 내구도 패치로 인해 더 이상 프로 레벨에서 상대방을 압도하기가 힘들어지자 도인비와 캡스, 쇼메이커 스타일이 유행하기 시작했다.[100]
그 외에도 단순히 내 눈앞에 서 있는 상대방을 도륙하는 것만이 아니라 와드를 박는 위치나 타이밍, 이를 이용한 상대 미드와 정글 위치 찾기 등의 지능적 플레이 역시 솔로랭크 리플레이와 관전 등으로 알려진 것만 여럿 된다.[101]
종합적으로 페이커는 게임 내외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 선수로, 단기적으로나마 페이커급의 영향력을 끼친 선수는 서포터를 넘어 아예 롤판의 기본 운영을 정립한 마타, LPL 탑 라인에 급변을 불러와 슈퍼스타에 등극한 더샤이, 커리어는 앞선 선수들에 비해 부족하지만 팀의 1옵션으로 포지션의 인식을 뒤바꾼 롤판의 임요환 매드라이프 정도뿐이다. 즉, 리그와 게임을 바꾼 개인.
6.4. 꾸준함 [편집]
방대한 우승과 준우승 커리어 및 기타 성적에서 알 수 있듯이 페이커는 시기별로 팀원의 변화가 있었음에도 꾸준하게 최상위권 미드 라이너로 활약해왔다.[102] 페이커는 원 클럽 플레이어이지만 그 기간 중 팀원 변화가 여러 번 있었음에도 좋은 성적을 냈기 때문에, 원 클럽 플레이어라는 낭만을 챙기면서도 동시에 소위 팀빨 선수라는 프레임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는, 최고의 입지를 갖게 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리그와 국제전에서 '최연소' 혹은 '최고령'이라는 수식어가 들어가는 온갖 기록들을 갖고 있으며, 특히 2024 시즌 기준으로 지금까지 14회 개최된 월즈 결승 중 절반인 7회는 페이커의 결승일 정도로 그의 꾸준함은 설명이 필요없다.
2023 월즈에서 데뷔 11년차에 우승을 차지하자 중국에서는 "명마는 늙어도 천 리를 달리고자 하는 뜻을 품고 있다. 10년을 돌이켜 돌아왔구나."라며 찬양하는 모습도 보였다.
2024 월즈에서도 강적 BLG를 꺾고 또 다시 우승하였으며, 프로게이머로서는 황혼기에 가까운 나이임에도 매치 포인트를 BLG가 선점한 상태에서 신들린 플레이로 팀을 우승으로 이끌며 결승 MVP에까지 선정되었다.
6.5. 위상 및 상징성 [편집]
{{{#212529,#dddddd 독립적인 위원회가 2024년 첫 헌액자에 오를 다양한 잠재 후보 명단을 살펴봤습니다. 하지만 결국, 모든 길은 하나로 이어졌습니다.}}} |
대한민국 e스포츠의 최고참인 스타크래프트의 임요환, 홍진호 선수들도 롤모델로 페이커를 뽑았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의 본사인 라이엇 게임즈에서도 LoL e스포츠에서 페이커가 세운 기록들을 인정해 전설의 전당 최초 헌액자가 되었고, 월즈 우승을 제외한 최초의 전용 스킨[104]을 헌정받기까지 했다.
2020년 2월 18일에는 3년 재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파트 오너 계약을 통해 T1의 지분을 일부 받게 되면서 프로게이머 은퇴 시 회사 임원 자격으로 경영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선수 은퇴 이후부터는 T1의 지도자가 되기로 합의했다. ESPN 기사 네이버 뉴스
그리고 2020 월즈 주제곡인 Take Over 공식 MV에서도 다른 우승자 출신 선수들이 모두 주인공이 꺾고 올라가야 할 대상으로 그려진 반면 페이커는 주인공에게 처음 토큰을 던져주고 주인공이 페이커 해외 팬 별명인 "The Demon King (大魔王)"이란 간판이 달린 장소로 들어서게 한다. 이어 페이커는 게임에서 계속 패배하는 주인공에게 계속 기회를 제공하며 지켜보는 세계관 최강자급 역으로 등장했다. 영상에선 3분 45초 동안 6번이나 등장하고, 아웃트로 또한 페이커가 모바일 기기로 그를 지켜보는 장면으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2018 월즈 주제곡인 RISE, 2023 월즈 주제곡인 GODS 모두 전년도 월즈 우승자인 앰비션과 데프트에 대한 헌정곡인데 결승전 상대가 페이커였기 때문에 두 곡의 뮤비 모두 정상에서 페이커를 만나 승리하여 소환사의 컵을 쟁취하는 장면으로도 등장한다.
그리고 2021년 Burn It All Down 뮤비에서도, 전 시즌 월즈에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Eternal King of The LCK"[105]라는 칭호와 함께 초반부에 등장했다.
2022년에는 칭티안 페이커 솔로랭크 트롤링 사건에서의 발언으로 순식간에 많은 프로게이머 동료들의 동조와 트롤링을 저지른 선수 및 게임단 측의 빠른 피드백이 나오며 그 영향력 또한 엄청나다는 사실을 재각인시켰다.
2025년 5월 2일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아시아 100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 #
7. 솔로 랭크 [편집]
데뷔 전부터 솔랭 패왕으로 유명했고 한동안 최상위권을 달렸으나, 월즈 출전 시즌에는 일정을 소화하느라 휴면 강등을 당하기에 솔랭 상위권을 기대하긴 힘들다.
시즌 2부터 본격적으로 솔로 랭크에서 유명세를 탔으며, 최종 2위로 마무리했다. 원래 당시 솔로 랭크는 라일락과 건웅이 지배하고 있었다. 이 때 페이커가 급격히 떠오르며 최상위권을 유지했고, 한 때 1위를 찍기도 했다. 시즌 말미에 라일락과 마지막까지 접전을 벌였지만 결국 라일락이 1위를 차지했다.
시즌 3 때는 한국 서버 1위를 달성했다. 시즌 내내 앰비션, 썸데이 등과 함께 최상위권을 유지했고 가장 유력한 1위 후보였다. 월즈를 다녀오느라 휴면 강등당했으나, 지금과 달리 이때는 월즈 개막이 한 달 정도 빨랐기 때문에 갔다 와서도 다시 점수를 올릴 시간이 있었다. 다만 세기말 마지막 게임에서 도파(당시 닉네임 Tar ar ais)가 페이커를 밀어준 일이 있었다. 당시 페이커와 도파가 적으로 만났는데, 페이커가 승리하면 썸데이를 제치고 최종 1위를 달성할 수 있었다. 그런데 도파 쪽 팀이 유리한 상황으로 흘러가 썸데이의 1위가 유력해졌는데, 잘 큰 도파가 '미드 라이너가 1위를 해야 한다'는 해괴한 동기로 고의 트롤링을 해서 페이커가 1위가 된 것.[106] 썸데이는 이 결과를 실시간으로 지켜본 뒤 크게 분노하며 '압도개새기'라는 외마디를 남겼다. 썸데이는 곧바로 1위 탈환을 위해 급하게 랭겜을 돌렸으나, 1시간이 넘게 큐가 잡히지 않아 결국 끝내 게임을 못해 페이커의 1위가 최종 확정되었다. 고의적인 밀어주기로 1위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당시 상당한 화젯거리였으며 롤을 즐기는 플레이어들에게는 유명한 사건으로 남았다.
시즌 4 시작 후 치러진 배치 고사를 3승 7패로 시원하게 말아먹었다. 같은 팀원들이 이럴 때 아니면 언제 페이커를 엿 먹여보겠나라는 생각으로 게임을 던졌다고 한다. 물론 상대편도 이럴 때 아니면 언제 페이커를 이겨보겠나 하고 열심히 게임했다. 그리하여 플래티넘 1에 배치되는 놀라운 광경을 보여주었다.[107] 그리고 45게임 만에 챌린저에 입성했다. 이후엔 1위를 계속 유지하다가 막판 나그네의 엄청난 연승에 아쉽게 밀려 2위로 마쳤다.
시즌 5는 다이아몬드로 마쳤다. 한때는 챌린저 1,325점까지 찍고, 뱅과 함께 1위~4위를 독점해서 사실상 뱅과 누가누가 솔랭 1등을 하나 싸움이었다. 그런데 월즈 때문에 랭을 돌리지 못한 사이 다이아 2 75포인트까지 휴면 강등되어 버렸다. 이후 한국으로 복귀해서 다이아 1티어(마스터 승격전)까지 올렸으나, 결국 다이아 1로 시즌을 마감했다. 이때부터는 월즈 종료 시점과 시즌 종료 텀이 너무 짧아서 돌아오자마자 솔랭만 하루종일 돌리지 않는 이상 1위 탈환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했고, 연이어 케스파컵까지 열려서 더더욱 시간이 촉박했다. 또한 매칭 기준 MMR은 변동이 없어서 매칭도 잘 안 되고 자신은 다이아 승급전인데 나머지가 죄다 챌린저라는 억울한 상황이라 더더욱 그렇다. 사실 1,325점까지 찍었던 시기도 이때 최초 챌린저 1,300점대 돌파를 했는데 그해 MSI를 갔다 오는 바람에 천 점대로 한 번 하락했다.
이후 프리시즌에 기어코 본캐 1등, 부캐 4등으로 마무리했다. 재밌게도 이날 프리시즌 종료 마지막 날까지 프레이와의 계속된 1위 경쟁이 치열했는데, 시즌이 종료되기 전 마지막 게임에서 1위를 탈환하려는 프레이(2위)와 부캐를 돌리고 있던 페이커가 만났고(4위), 페이커 팀이 패배했다. 그렇게 프레이가 1등을 하나 싶었는데...
시즌 6 들어선 다인 랭크가 도입돼서 다인큐가 판을 치는 상황이라 서버 최상위권에 쉽게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페이커 본인은 다인큐보다는 솔큐를 훨씬 선호하기 때문에 시즌 초 다인큐를 몇번 돌린거 이외에는 전부 솔큐로만 돌리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결국 최대 1,209점까지 찍으며 상위 5위권 안에 들었지만, MSI를 갔다 오는 바람에 휴면 계정이 되어서 다시 한 번 다이아까지 떨어졌다. 다시 챌린저로 올렸으나, 계속된 패배 속에 마스터 69점까지 떨어지는 사태가 발생했다. 팀원 탓, 불운 탓 등 이에 대한 이유로 여러 말들이 나왔으나, 일단 1지망 미드, 2지망 상관없음으로 랭겜을 돌리면 서포터 유저 부족 때문에 본인이 서포터가 걸리는 상황이 대부분이었다. 거기다 본인 성격상 미드 양보 해달라는 채팅은 거의 안 하다 보니 서포터로 게임하는 판이 많았다. 참고로 페이커뿐 아니라 SKT 멤버들 전원이 이 당시에는 마스터를 전전하고 있었다. 이때 진지하게 다이아 미드를 방송에서 보게 되느냐는 소리도 나왔으나, 1지망 미드 - 2지망 정글(탑)으로 바꾼 뒤, 다시 한 번 챌린저로 복귀하는 데 성공했다.
월즈를 앞둔 시점에서 랭크 점수를 보면 폼이 떨어진 것이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로 좋지 않았다. 다만 랭크 점수에는 페이커의 즐겜 성향도 한몫했다. 이 문단에 서술된 캡틴잭과의 일화도 있고 다른 챌린저들 중에도 페이커에 대한 안 좋은 기억을 갖고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들 말에 따르면 페이커는 나랑 같은편으로 걸리면 즐겜해서 지게 만들고 그 다음판에 상대편으로 만나면 빡겜해서 2연패하게 만든다고. 그러나 솔랭은 솔랭일 뿐이란 걸 증명하듯 귀신같이 월즈를 우승하고 그 와중에 북미 솔랭을 씹어먹으며 클래스를 입증했다. 특히 라이즈는 리메이크 후로도 26게임 승률 85%를 찍고 있다. 덕분에 고전파의 신드라와 월즈의 라이즈는 게임마다 칼밴 목록에서 해제되지 않았다.
시즌 7에는 1,215점까지 올라갔었으나 이후 월즈로 인해 다이아 1 25점까지 휴면 강등되고 월즈가 끝나고 한국으로 돌아온 후에는 피즈 1판을 플레이한 후 승리로 끝내 다이아 1 50점으로 시즌이 마감되었다.
시즌 8에서는 6월 14일에 랭킹 1위를 달성했다.
시즌 9에서는 다이아에서 첼린저 및 서버 3등 이내까지 달성하였으나 결국 최종적으로 그랜드 마스터로 시즌이 마감되었다.
시즌 10 배치가 아쉽게 끝나며 다이아몬드에 배치되는 충격적인 결과가 발생했다. 스프링 종료까지 그랜드 마스터를 유지하다가 휴가 복귀 후 파죽의 13연승으로 챌린저 입성에 성공했다. 10월 15일 기준 휴가로 인해 휴면 강등되었으나 다시 그랜드 마스터까지 복구했다.
그러나 2020년 11월 5일, 솔로 랭크 마감일이 4일 남은 상황에서 챌린저는 무리고 잘해야 그랜드 마스터, 또는 마스터로 시즌을 마감할 가능성이 높다.
페이커는 노닷지, 노듀오, 노밴의 세 가지 규칙을 솔랭에서 유지해오고 있고[108] 같은 팀으로 잡힌 사람들은 본인이 지정한 라인과 다르게 잡혀도 페이커와 게임을 같이 하기 위해 닷지를 하지 않고, 보통 페이커가 솔랭을 할 시간에는 거진 방송을 킨 경우가 많기에 은근슬쩍 도방을 하거나 아예 듀오로 저격을 하거나 저격 트롤을 하는 사람들도 많이 존재한다. 2021년에 들어서는 방송을 켰을 때 방플 방지를 목적으로 송출에 30초 정도 딜레이가 있다.
시즌 11 시작 전에 라이엇이 마스터 이상 듀오 제한을 걸면서 좀 나아지나 싶었지만, 방송과 동시에 부계정 저격으로 의심되는 사람들과 서로 싸우고 고의 트롤을 하는 중국인들로 인해 피해는 여전히 일부 존재한다. 여담으로 페이커와 같이 게임을 잡힌 고의 트롤 혹은 게임을 던지는 행동이 고스란히 방송에 나와서 페이커가 직접 리폿을 한 계정들이 정지 한 번 먹지 않고 돌아다니고 있는 걸 보고 라이엇의 신고 정책에 신뢰가 가지 않는다며 본인이 직접 말하기까지 하였다.[109] 실제로 중국에서 페이커 솔랭 방송의 승패 여부를 베팅하는 토토 사이트가 발견이 되어서 고의 트롤러가 이에 연계된 세력이 아닐까 하고 팬덤 사이에서 의심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이슈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기사에도 언급될 때쯤 거짓말처럼 팀운이 좋아졌다.[110]
게다가 라이엇이 2020년 12월 말부터 솔랭 불법 토토를 계기로 중국에서 한국 서버를 이용할 때 핑 문제를 해결하는 비인가 프로그램을 차단하고 불법 도용 계정들을 전부 차단하는 정책을 펼쳤었는데 2021년 5월이 지난 지금 여전히 그마 혹은 챌린저에 중국인들로 추정되는 계정들이 다수 포진되어있는 걸로 보아 추가적인 조치는 하지 않은 걸로 추정 중.
그러나 참여자가 조작이 가능한 도박이 지속될 가능성은 0에 가깝기 때문에 여러 의견이 오가기도 했다. 도유 방송에서 중국인이 페이커에게 고의 트롤을 저지르고 난 너희들의 영웅이다라는 식의 의심스러운 대화가 오갔던 사건도 있지만 결정적으로 이런 것들은 모두 심증이었으나... 국내 챌린저와 프로게이머를 대상으로 소위 현상금이 걸리는 대리게임 기사들의 카카오톡이 유출되었고, 이로서 조직적으로 특정인을 저격해 트롤링을 하며 수익을 올리는 업자들이 존재함을 밝혀졌다. 한낱 스트리머, BJ에게 개인적 원한따위의 하찮은 것만으로도 특정인의 아이디를 조직적으로 점수를 깎아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중국인의 페이커 고의트롤링은 거의 100% 사실에 가깝다고 밝혀진 상태. 해당 링크.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종료 이후, 월즈 패치 버전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던 벡스로의 연승을 필두로 랭크를 1100점까지 끌어올리며, 실로 오랜만에[111] 프리 시즌을 챌린저로 마무리하게 되었다.
시즌 2부터 본격적으로 솔로 랭크에서 유명세를 탔으며, 최종 2위로 마무리했다. 원래 당시 솔로 랭크는 라일락과 건웅이 지배하고 있었다. 이 때 페이커가 급격히 떠오르며 최상위권을 유지했고, 한 때 1위를 찍기도 했다. 시즌 말미에 라일락과 마지막까지 접전을 벌였지만 결국 라일락이 1위를 차지했다.
시즌 3 때는 한국 서버 1위를 달성했다. 시즌 내내 앰비션, 썸데이 등과 함께 최상위권을 유지했고 가장 유력한 1위 후보였다. 월즈를 다녀오느라 휴면 강등당했으나, 지금과 달리 이때는 월즈 개막이 한 달 정도 빨랐기 때문에 갔다 와서도 다시 점수를 올릴 시간이 있었다. 다만 세기말 마지막 게임에서 도파(당시 닉네임 Tar ar ais)가 페이커를 밀어준 일이 있었다. 당시 페이커와 도파가 적으로 만났는데, 페이커가 승리하면 썸데이를 제치고 최종 1위를 달성할 수 있었다. 그런데 도파 쪽 팀이 유리한 상황으로 흘러가 썸데이의 1위가 유력해졌는데, 잘 큰 도파가 '미드 라이너가 1위를 해야 한다'는 해괴한 동기로 고의 트롤링을 해서 페이커가 1위가 된 것.[106] 썸데이는 이 결과를 실시간으로 지켜본 뒤 크게 분노하며 '압도개새기'라는 외마디를 남겼다. 썸데이는 곧바로 1위 탈환을 위해 급하게 랭겜을 돌렸으나, 1시간이 넘게 큐가 잡히지 않아 결국 끝내 게임을 못해 페이커의 1위가 최종 확정되었다. 고의적인 밀어주기로 1위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당시 상당한 화젯거리였으며 롤을 즐기는 플레이어들에게는 유명한 사건으로 남았다.
시즌 4 시작 후 치러진 배치 고사를 3승 7패로 시원하게 말아먹었다. 같은 팀원들이 이럴 때 아니면 언제 페이커를 엿 먹여보겠나라는 생각으로 게임을 던졌다고 한다. 물론 상대편도 이럴 때 아니면 언제 페이커를 이겨보겠나 하고 열심히 게임했다. 그리하여 플래티넘 1에 배치되는 놀라운 광경을 보여주었다.[107] 그리고 45게임 만에 챌린저에 입성했다. 이후엔 1위를 계속 유지하다가 막판 나그네의 엄청난 연승에 아쉽게 밀려 2위로 마쳤다.
시즌 5는 다이아몬드로 마쳤다. 한때는 챌린저 1,325점까지 찍고, 뱅과 함께 1위~4위를 독점해서 사실상 뱅과 누가누가 솔랭 1등을 하나 싸움이었다. 그런데 월즈 때문에 랭을 돌리지 못한 사이 다이아 2 75포인트까지 휴면 강등되어 버렸다. 이후 한국으로 복귀해서 다이아 1티어(마스터 승격전)까지 올렸으나, 결국 다이아 1로 시즌을 마감했다. 이때부터는 월즈 종료 시점과 시즌 종료 텀이 너무 짧아서 돌아오자마자 솔랭만 하루종일 돌리지 않는 이상 1위 탈환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했고, 연이어 케스파컵까지 열려서 더더욱 시간이 촉박했다. 또한 매칭 기준 MMR은 변동이 없어서 매칭도 잘 안 되고 자신은 다이아 승급전인데 나머지가 죄다 챌린저라는 억울한 상황이라 더더욱 그렇다. 사실 1,325점까지 찍었던 시기도 이때 최초 챌린저 1,300점대 돌파를 했는데 그해 MSI를 갔다 오는 바람에 천 점대로 한 번 하락했다.
이후 프리시즌에 기어코 본캐 1등, 부캐 4등으로 마무리했다. 재밌게도 이날 프리시즌 종료 마지막 날까지 프레이와의 계속된 1위 경쟁이 치열했는데, 시즌이 종료되기 전 마지막 게임에서 1위를 탈환하려는 프레이(2위)와 부캐를 돌리고 있던 페이커가 만났고(4위), 페이커 팀이 패배했다. 그렇게 프레이가 1등을 하나 싶었는데...
시즌 6 들어선 다인 랭크가 도입돼서 다인큐가 판을 치는 상황이라 서버 최상위권에 쉽게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페이커 본인은 다인큐보다는 솔큐를 훨씬 선호하기 때문에 시즌 초 다인큐를 몇번 돌린거 이외에는 전부 솔큐로만 돌리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결국 최대 1,209점까지 찍으며 상위 5위권 안에 들었지만, MSI를 갔다 오는 바람에 휴면 계정이 되어서 다시 한 번 다이아까지 떨어졌다. 다시 챌린저로 올렸으나, 계속된 패배 속에 마스터 69점까지 떨어지는 사태가 발생했다. 팀원 탓, 불운 탓 등 이에 대한 이유로 여러 말들이 나왔으나, 일단 1지망 미드, 2지망 상관없음으로 랭겜을 돌리면 서포터 유저 부족 때문에 본인이 서포터가 걸리는 상황이 대부분이었다. 거기다 본인 성격상 미드 양보 해달라는 채팅은 거의 안 하다 보니 서포터로 게임하는 판이 많았다. 참고로 페이커뿐 아니라 SKT 멤버들 전원이 이 당시에는 마스터를 전전하고 있었다. 이때 진지하게 다이아 미드를 방송에서 보게 되느냐는 소리도 나왔으나, 1지망 미드 - 2지망 정글(탑)으로 바꾼 뒤, 다시 한 번 챌린저로 복귀하는 데 성공했다.
월즈를 앞둔 시점에서 랭크 점수를 보면 폼이 떨어진 것이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로 좋지 않았다. 다만 랭크 점수에는 페이커의 즐겜 성향도 한몫했다. 이 문단에 서술된 캡틴잭과의 일화도 있고 다른 챌린저들 중에도 페이커에 대한 안 좋은 기억을 갖고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들 말에 따르면 페이커는 나랑 같은편으로 걸리면 즐겜해서 지게 만들고 그 다음판에 상대편으로 만나면 빡겜해서 2연패하게 만든다고. 그러나 솔랭은 솔랭일 뿐이란 걸 증명하듯 귀신같이 월즈를 우승하고 그 와중에 북미 솔랭을 씹어먹으며 클래스를 입증했다. 특히 라이즈는 리메이크 후로도 26게임 승률 85%를 찍고 있다. 덕분에 고전파의 신드라와 월즈의 라이즈는 게임마다 칼밴 목록에서 해제되지 않았다.
시즌 7에는 1,215점까지 올라갔었으나 이후 월즈로 인해 다이아 1 25점까지 휴면 강등되고 월즈가 끝나고 한국으로 돌아온 후에는 피즈 1판을 플레이한 후 승리로 끝내 다이아 1 50점으로 시즌이 마감되었다.
시즌 8에서는 6월 14일에 랭킹 1위를 달성했다.
시즌 9에서는 다이아에서 첼린저 및 서버 3등 이내까지 달성하였으나 결국 최종적으로 그랜드 마스터로 시즌이 마감되었다.
시즌 10 배치가 아쉽게 끝나며 다이아몬드에 배치되는 충격적인 결과가 발생했다. 스프링 종료까지 그랜드 마스터를 유지하다가 휴가 복귀 후 파죽의 13연승으로 챌린저 입성에 성공했다. 10월 15일 기준 휴가로 인해 휴면 강등되었으나 다시 그랜드 마스터까지 복구했다.
그러나 2020년 11월 5일, 솔로 랭크 마감일이 4일 남은 상황에서 챌린저는 무리고 잘해야 그랜드 마스터, 또는 마스터로 시즌을 마감할 가능성이 높다.
페이커는 노닷지, 노듀오, 노밴의 세 가지 규칙을 솔랭에서 유지해오고 있고[108] 같은 팀으로 잡힌 사람들은 본인이 지정한 라인과 다르게 잡혀도 페이커와 게임을 같이 하기 위해 닷지를 하지 않고, 보통 페이커가 솔랭을 할 시간에는 거진 방송을 킨 경우가 많기에 은근슬쩍 도방을 하거나 아예 듀오로 저격을 하거나 저격 트롤을 하는 사람들도 많이 존재한다. 2021년에 들어서는 방송을 켰을 때 방플 방지를 목적으로 송출에 30초 정도 딜레이가 있다.
시즌 11 시작 전에 라이엇이 마스터 이상 듀오 제한을 걸면서 좀 나아지나 싶었지만, 방송과 동시에 부계정 저격으로 의심되는 사람들과 서로 싸우고 고의 트롤을 하는 중국인들로 인해 피해는 여전히 일부 존재한다. 여담으로 페이커와 같이 게임을 잡힌 고의 트롤 혹은 게임을 던지는 행동이 고스란히 방송에 나와서 페이커가 직접 리폿을 한 계정들이 정지 한 번 먹지 않고 돌아다니고 있는 걸 보고 라이엇의 신고 정책에 신뢰가 가지 않는다며 본인이 직접 말하기까지 하였다.[109] 실제로 중국에서 페이커 솔랭 방송의 승패 여부를 베팅하는 토토 사이트가 발견이 되어서 고의 트롤러가 이에 연계된 세력이 아닐까 하고 팬덤 사이에서 의심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이슈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기사에도 언급될 때쯤 거짓말처럼 팀운이 좋아졌다.[110]
게다가 라이엇이 2020년 12월 말부터 솔랭 불법 토토를 계기로 중국에서 한국 서버를 이용할 때 핑 문제를 해결하는 비인가 프로그램을 차단하고 불법 도용 계정들을 전부 차단하는 정책을 펼쳤었는데 2021년 5월이 지난 지금 여전히 그마 혹은 챌린저에 중국인들로 추정되는 계정들이 다수 포진되어있는 걸로 보아 추가적인 조치는 하지 않은 걸로 추정 중.
그러나 참여자가 조작이 가능한 도박이 지속될 가능성은 0에 가깝기 때문에 여러 의견이 오가기도 했다. 도유 방송에서 중국인이 페이커에게 고의 트롤을 저지르고 난 너희들의 영웅이다라는 식의 의심스러운 대화가 오갔던 사건도 있지만 결정적으로 이런 것들은 모두 심증이었으나... 국내 챌린저와 프로게이머를 대상으로 소위 현상금이 걸리는 대리게임 기사들의 카카오톡이 유출되었고, 이로서 조직적으로 특정인을 저격해 트롤링을 하며 수익을 올리는 업자들이 존재함을 밝혀졌다. 한낱 스트리머, BJ에게 개인적 원한따위의 하찮은 것만으로도 특정인의 아이디를 조직적으로 점수를 깎아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중국인의 페이커 고의트롤링은 거의 100% 사실에 가깝다고 밝혀진 상태. 해당 링크.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종료 이후, 월즈 패치 버전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던 벡스로의 연승을 필두로 랭크를 1100점까지 끌어올리며, 실로 오랜만에[111] 프리 시즌을 챌린저로 마무리하게 되었다.
7.1. 전적 [편집]
계정 | 시즌 | 최고 티어 | 최종 티어 |
SKT T1 Faker[112] | 2012 | ||
2013 | |||
2014 | |||
2015 | 파일:lol_diamond_old.jpg 다이아몬드 1[휴면강등] | ||
2013 | 파일:lol_diamond_old.jpg 다이아몬드 | ||
2014 | |||
2015 | 파일:lol_diamond_old.jpg 다이아몬드 2[휴면강등] | ||
2016 | 파일:lol_diamond_old.jpg 다이아몬드 2[휴면강등] | ||
2017 | 파일:lol_diamond_old.jpg 다이아몬드 1[휴면강등] | ||
2018 | |||
2019 | 파일:lol_grandmaster_1.png 그랜드 마스터[휴면강등] | ||
2020 | |||
2021 | |||
2022 | 파일:lol_diamond_s2022.png 다이아몬드 1[휴면강등] | ||
2023 스플릿 1 | |||
2023 스플릿 2 | |||
2024 스플릿 1 | 파일:lol_diamond_s2022.png 다이아몬드 1[휴면강등] | ||
2024 스플릿 2 | 파일:lol_grandmaster_s2022.png 그랜드마스터 | ||
2024 스플릿 3 |
월별 순위 (2012. 7.~2025. 1.) | |||||||||||||||||||||||||||||||||||||||||||||||||||||||||||||||||||||||||||||||||||||||||||||||||||||||||||||||||||||||||||||||||||||||||||||||||||||||||||||||||||||||||||||||||||||||||||||||||||||||||||||||||||||||||||||||||||||||||||||||||||||||||||||||||||||||||||||||||||||||||||||||||||||||||||||||||||||||||||||||||||||||||||||||||||||||||||||||||||||||||||||||||||||||||||||||||||||||||||||||||||||||||||||||||||||||||||||||||||||||||||||||||||||||||||||||||||||||||||||||||||||||||||||||||||||||||||||||||||||||||||||||||||||||||||||||||||||||||||||||||||||||||||||||||||||||||||||||||||||||||||||||||||||||||||||||||||||||||||||||||||||||||||||||||||||||||||||||||||||||||||||||||||||||||||||||||||||||||||||||||||||||||||||||||||||||||||||||||||||||||||||||||||||||||||||||||||||||||||||||||||||||||||||||||||||||||||||||||||||||||||||||||||||||||||||||||||||||||||||||||||||||||||||||||||||||||||||||||||||||||||||||||||||||||||||||||||||||||||||||||||||||||||||||||||||||||||||||||||||||
|
8. 개인 방송 [편집]
9. 출연 [편집]
9.1. 방송 [편집]
날짜 | 방송사 | 방송명 | 역할 | 비고 |
2015년 | ||||
10월 21일 | 게스트 | 238회 | ||
2016년 | ||||
2월 25일 | 게스트 | 244회 | ||
2017년 | ||||
1월 26일 | 게스트 | 261회 | ||
2월 16일 | 262회 | |||
2018년 | ||||
11월 19일 | 게스트 | 389회 | ||
2019년 | ||||
12월 22일 | 더 게이머 | 특별 출연 | 1회 | |
2020년 | ||||
1월 1일 | 게스트 | 650회 | ||
1월 20일 | 더 드리머 | 1회 | ||
9월 30일 | 74회 | |||
12월 31일 | 2회 | |||
2023년 | ||||
4월 20일 | 특별출연 | 292회 | ||
7월 2일 | 특별출연[129] | |||
12월 20일 | 게스트 | 224회 | ||
2024년 | ||||
1월 27일 | 게스트 | 418회 | ||
6월 5일 | 특별 출연 | 247회 |
9.2. 영화 [편집]
날짜 | 영화사 | 영화명 | 역할 | 비고 |
2024년 | ||||
9월 4일 | 주연 | 81분 |
9.3. 광고 [편집]
날짜 | 기업명 | 브랜드명 | 비고 |
2014년 9월 18일 | T LoL | ||
2015년~2021년 | |||
2019년 6월 3일 | SK텔레콤 5G | ||
SK텔레콤 5GX | |||
SK텔레콤 5GX CLOUD GAME | |||
2020년 4월 28일 | |||
2020년 11월 13일 | |||
2020년 11월 25일 | |||
2020년~ | |||
하나은행 하나원큐 | |||
2021년 8월 27일 | Be the legend | ||
2021년 | T1 코어밀 | ||
2021년 | |||
2021년~ | |||
2022년 | |||
2022년 | 브라운 시리즈9 프로 | ||
2022년 | 더 챌린저 | ||
2023년 | 이프랜드 | ||
2023년 | |||
2024년~ | |||
2024년 | 랄프 로렌 X T1 (by GQ KOREA) | ||
2024년 | |||
2024년 | Seretlab TITAN EVO | ||
2024년 | |||
2024년 | 스틸러 | ||
2025년 4월 17일 |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 | ||
2025년 | |||
2025년 | Spotify Korea |
9.4. 연설 [편집]
날짜 | 주최 | 연설명 | 비고 |
2024년 11월 20일 | "실패로부터 성장…나에게 가장 큰 배움" |
10. 별명 [편집]
11. 여담 [편집]
12. 둘러보기 [편집]
이상혁의 수상 이력 |
|
이상혁의 달성 기록 |
|
이상혁의 기타 정보 |
|
[1] 워크래프트할 때, 발견한 닉네임인데 마음에 들어서 가져왔다고 한다. 팀에서는 고전파에서 따온 'Classic'을 제안했다고 한다.[2] # 음력 1996년 3월 20일[3] #[4] # 중시조 39세 상(相)○ 항렬.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 이명박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바둑기사 이세돌, 가수 이주노와 동일한 항렬이다.[5]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공식 프로필 기준.[6] #[7] #[8] 2학년 재학 중 중퇴. 고등학교 선생님이 페이커의 재능을 알아보고 중퇴를 제안했고 선생님이 아버지를 설득했다고 한다. 데프트와 동문으로 일명 마포고 전설의 듀오로 불린다고 한다. 덕분에 마포고를 지망하는 프로게이머 신입생들도 늘었다는 후문이다. 김성환 전 마포고 교장이 이상혁을 언급한 적도 있다. #[9] 고등학교 자퇴로 인한 학력미달 사유로 보충역 판정을 받았으며, 이후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나 이미 그 전에 장기대기로 인한 전시근로역으로 전환되어 예술체육요원으로는 편입되지 않았다.[10] 본인은 무종교지만 집안은 가톨릭을 믿는다고 한다.# 해당 영상을 보면 본가에 십자가나 성모상 등의 가톨릭 관련 성물들이 보인다.[11] INTP2021년 -> ISTP2022년 -> ENFP2023년 12월 25일 라이브 방송[12] 약칭, 하온부. 문법적으로는 'on' 대신 'in'이 와야 한다. 여담으로 과거에는 고전파라는 닉네임을 사용했다. [13] Faker 경력 상금. 2024년 기준, 전 세계 프로게이머 누적 상금 순위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중 유일하게 100위 안에 들어가며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게이머 중 세계 1위다.[14] SK텔레콤 T1 형제팀 통합 이전까지 SK telecom T1 #2, SK telecom T1(SK telecom T1 #1팀이 호로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과 계약이 만료되며 서머 시즌을 불참했기에 단일 팀명으로 잠시 바뀌었다.), SK telecom T1 K까지, 총 3번의 팀 명칭을 사용했다.(2013.02.13 ~ 2014.12.02).[15] 시범 종목[16]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e스포츠 부문 금메달)[17] 아버지 이경준이 직계 존속 에이전트 자격으로 등록되어 있는 1인 에이전시다. 출처[18] 2023년 2월에 추가된 페이커 에이전시 FANABLE 출처[19] 우리의 미드 페이커~ 외쳐라 티! 원! 페! 이! 커! 오늘 또~ 한번 승리를~ 위해 외쳐라 티~원 페~이커 협곡을 울릴 함성으로~ 외쳐라 티! 원! 페! 이! 커! 오늘 또~ 한번 승리를~ 위해 외쳐라 티~원 페~이커[20] 2022년 6월 11일 아프리카TV 복귀 공지. 아프리카TV를 떠난 지 약 9년 만의 복귀이다. T1 LoL팀은 아프리카TV와 전속 스트리밍 계약을 맺게 되어 T1 LoL 선수 전부가 아프리카TV로 플랫폼을 이적하게 됐다. #[21] 총 세트 전적(단일+다전제)[22] IEM Worlds Championship[23] 2016년(통합 MVP), 2024년(파이널 MVP) 수상. 2013년도 사실상의 MVP라는 것이 정론이지만 2012년과 2013년도에는 MVP를 선정하지 않았다.[24] LCK All-Pro 팀은 페이커의 데뷔 8년차인 2020 스프링부터 시상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경력에 비해 수상 횟수가 적다.[25] 이지훈이 선발 출전해 우승한 2015년 스프링 결승 제외. 여담으로 이지훈과 페이커는 각각 2015 스프링과 2015 서머 포스트시즌 MVP에 선정되었다.[26] 심지어 우승 기록을 똑 떼놓고 준우승 커리어인 월즈 2회 준우승, MSI 3회 준우승, LCK 6회 준우승만 가져와도 웬만한 프로게이머들은 달성하기 힘든 수준인데, 각 대회 우승 횟수가 준우승 횟수들보다 전부 많다는 점에서 얼마나 압도적인 커리어인지를 살펴볼 수 있다.[27] 참고로 IEM, WCG, 롤 마스터즈, 아시안 게임, KeSPA Cup은 라이엇 주관 대회가 아니다.[28] 2013, 2015, 2016, 2023, 2024 총 5회 우승. 2위는 3회 우승의 Bengi.[A] 29.1 29.2 29.3 롤드컵, MSI, FST[30] 월즈 5회 우승, MSI 2회 우승, 총 7회 우승 관련 기사, 2위는 4회 우승인 벵기, 뱅, 울프[32] 월드 챔피언십 결승 7회 진출, MSI 5회 진출.[33] 4대 메이저 리그 + MSI + Worlds(월즈)[34] 4대 메이저 지역 기준 최고 기록. 마이너 지역까지 포함한다면 LJL에서 15회 우승한 Yutapon, TCL에서 13회 우승한 HolyPhoenix가 있다. 4대 메이저 지역을 기준으로 페이커 다음으로 우승한 선수로는 LEC에서 12회 우승을 기록한 Caps가 있다. LCK를 기준으로는 7번 우승한 피넛이 있고, LCS에서 8회 우승을 기록한 더블리프트, LPL에서 6회 우승을 기록한 클리어러브가 있다.[36] 200승 달성: 2025년 7월 6일 BLG전 3세트[37] 2025 MSI 종료 기준 2위 샤오후는 126승.[38]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Mid-Season Invitational, 리프트 라이벌즈,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22년 월드 챔피언십 이전까지는 페이커가 유일했으나, 데프트가 2022 월즈에서 우승하며 두번째로 달성에 성공했다.[39] 500킬 달성: 2025년 7월 10일 GEN전 4세트[40] 유일하게 1위가 아닌 기록은 어시스트. 2024 MSI 종료 기준 밍에 이은 2위이다.[41] 역대 최연소 우승 선수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시즌1 우승팀 Fnatic의 cyanide가 역대 최연소 우승 선수다. 다만 시즌1은 국제대회로 발돋움하는 과도기 대회라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42] 2024 월즈 종료 기준 최다패 기록은 샤오후, 김혁규, 캡스, 퍽즈에 이은 5위이다.[43] 100승 달성: 2024년 10월 11일 G2전 2세트, 500킬 달성: 2024년 11월 3일 BLG전 4세트[44] 2016년(통합 MVP), 2024년(파이널 MVP) 수상. 2013년 월즈에서도 퍼포먼스나 이후 라이엇의 선수 초청 등으로 미루어볼 때 사실상의 MVP라는 것이 정론이지만 2012년과 2013년도에는 MVP를 선정하지 않았다.[45] 최연소 기록은 자신의 포지션인 미드라이너와 동시에 LCK 전체로 따져도 최연소이기도 하다. 또한 현 LCK 최고령 우승자는 탑 라이너인 플레임의 만 28세이지만 미드라이너로만 한정하면 만 25세 331일의 최고령 기록에 속한다.[46] 1000전 달성: 2025년 4월 10일 KT전 1세트. 600승 달성: 2024년 2월 1일 DRX전 2세트, 3500킬 달성: 2025년 7월 27일 NS전 1세트[47] 유일하게 1위가 아닌 기록은 패배. 2024년 LCK 서머 종료 기준 김혁규, 박진성, 곽보성에 이어 4위이다.[48] 2회 기록. 이후 쇼메이커, 쵸비가 한번씩 기록.[49] 라이엇이 주관하는 메이저 대회를 기준으로 한다. 2015 서머, 2015 월즈, 2016 스프링, 2016 MSI 우승.[50] 2015 월즈, 2016 MSI, 2016 월즈, 2017 MSI 연속 우승. 라이엇 주관 대회는 아니지만 2016년 IEM 우승도 이 기간에 들어있다.[51] 2015 MSI, 2015 월드 챔피언십, 2016 MSI, 2016 월드 챔피언십, 2017 MSI, 2017 월드 챔피언십.[52] 2016 Mid-Season Invitational,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우승. 여담으로, 연속으로 두 대회를 우승한 최초의 선수는 2014 월즈-2015 MSI를 연속으로 우승한 폰이다.[53] EDG가 우승한 2015년부터는 Mid-Season Invitational이라는 명칭으로 올스타전과 분리되었다.[54] NLB의 후신인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의 초대 우승팀이다.[55] 첫번째 3회 연속 우승[56] 데뷔 3년 만에 첫 팬들의 투표로 참가했다. 첫 해는 데뷔 시즌이었고, 심지어 시즌 중반에 투표가 시작된거라 어쩔 수 없이 못 나갔다. 두 번째 해는 투표가 아닌 SK텔레콤 T1 K 팀의 리그 우승 자격으로 인비테이셔널 매치에 출전했다.[57] 북미, 대만 지역과 한 팀.[58] 두번째 3회 연속 우승[59] 2018 RNG, EDG, RW, IG[60] 2019 SKT, GRF, KZ, DWG[61] 시범종목[62] 이 대회의 전신인 롤 클럽마스터즈 준우승팀.[63] 롤챔스가 풀리그 방식으로 개편되면서 폐지.[64] 2014 올스타전 인비테이셔널 매치가 2015년 MSI로 이전되었다.[65] 2017 SKT, kt, SSG, MVP 2018 KZ, AFs, KT, SKT[66] 2019 IG, JDG, FPX, TES[67] 시범종목[68] 단일 팀 통합 이후 리그제로 바뀌면서, 정규시즌과 포스트시즌 MVP를 따로 선정하는 걸로 바뀌었다.[69] 선수가 아닌 팀이 대상 수상[70] 18년도 부터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식을 하는 방향으로 바뀌게 되었다.[71] 2016년부터는 시리즈별로 MVP를 따로 선정하는 걸로 바뀌었다. 이미지 출처. 참고로 2015년 통합 MVP는 클리어러브였다.[72] 2017 시즌부터 통합 MVP 대신 결승 MVP로 바뀌었다. 다만 MVP 계보 자체는 이어진다.[73] 실제로 라이엇 게임즈와 LoL e스포츠는 페이커를 역대 최고의 선수로 공인하고 있다. 2019 월즈 당시 화면 송출과 라이엇 게임즈가 관리하는 롤 e스포츠 트위터를 통해 역체롤로 언급되었던 것을 첫 시작으로 # 2022년에 열린 월즈에서 4강의 선봉장으로 활약한 것과 5년 만에 월즈 결승 진출 및 LCK 내전이 동시에 결성되자 라이엇 공식 트위터와 SNS에서 염소 이모티콘을 올리는 것으로 다시 한 번 재조명되었고, # 2023년에 들어서 트위터에 "페이커를 제외한 GOAT는 누굴까?"라고 글을 남기거나 # 2023 월즈 4강전 직후와 통산 4회 월즈 우승을 기록한 이후에도 강조하는 등 지속적으로 이러한 장면들이 포착되고 있다. # #[74] 페이커를 겨냥해서 한 인터뷰는 아니지만, 인터뷰 시점에서 월즈 3회 우승을 기록한 선수는 페이커, 벵기가 유이하기 때문에 이들의 위상을 설명하는 문구가 되었다. 특히 페이커는 그걸 넘어 5회 우승 및 결승 진출은 7회 기록하였다. 이후 너구리, 칸, 제우스 등 굴지의 임팩트를 남겼던 선수들도 해당 내용에 동의한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75] 사실 월즈 1회 우승이 운일 수 있다는 것도 월즈 1회 우승자인 더샤이가 직접 말해서 어느 정도 넘어가는 것이지 월즈 우승 경력이 없는 사람이 주장했다면 욕을 거하게 먹었을 발언이다. 세계 최고의 팀들이 모이는 시즌 최대의 대회인 월즈를 우승한다는 것은 아무리 운이 따라도 결국 실력 없이는 불가능하며, 이 때문에 월즈를 한 번이라도 들어올리는 순간 선수의 평가가 급상승하는 것이다.[76] MSI와 월즈 우승을 기준으로 하면 페이커 제외한 미드라이너 중에서는 본인이 가장 커리어가 좋기 때문이다. 페이커를 제외하면 월즈를 2회 이상 우승한 미드라이너는 전무하며 MSI와 월즈를 모두 우승한 미드라이너는 페이커와 폰 뿐이다.[77] 2024 시즌 기준으로 월즈 최다 우승자로 유일무이한 기록이다. 2023 월즈 우승 이전에도 최다 우승자였지만 벵기(3회 우승)과 타이 기록이었다. 애초에 벵기와의 타이 기록 자체가 한 팀에서 함께 세운 기록인데, 이후 벵기는 선수로서 은퇴하여 지도자가 된 뒤 2022~2023년엔 T1의 감독으로 부임하기까지 했으나 그때까지도 페이커는 현역으로 남아서 경력을 추가해가고 있다.[78] 단일 선수: 폰, 메이코, 데프트, 룰러, 캐니언 / 동료: 듀크, 벵기, 블랭크, 뱅, 울프[79] 4대 메이저 리그, MSI, Worlds[80] 단일 선수(커리어 그랜드 슬램): 폰, 메이코, 데프트, 룰러, 캐니언 / 동료(논-캘린더 및 커리어 그랜드 슬램): 벵기, 뱅, 울프. 즉 미드 라이너 중에서 월즈와 MSI를 모두 우승한 선수는 페이커와 폰이 유이하며, 한 해 안에 모두 우승한 선수는 페이커가 유일하다.[81] 2015 월즈-2016 MSI-2016 월즈-2017 MSI. 참고로 결승 진출은 2015 MSI, 2017 월즈까지 합해 6연속이다.[82] 2015-2016 월즈, 2023-2024 월즈.[83] 2016-2017 MSI. 결승 진출은 2015 MSI까지 3연속.[84] 2015-2016-2017, 2022-2023-2024[85] 2024 월즈 종료 시점 109승으로, 미드라이너 승수 2위 샤오후 56승, 3위 쇼메이커 55승을 합쳐야 겨우 넘는다.[86] 2024 월즈 종료 시점 506킬[87] 월즈 + MSI[88] 2025 MSI 승자조 젠지전 달성[89] 2024년 기준으로 2013년부터 지금까지 T1에서만 활동하고 있다. 또한 LCK의 모든 원 클럽 플레이어들 중 가장 경력이 길다. 애초에 2024년 기준 캐니언의 젠지 이적으로 1군 경력이 5년 이상인 LCK의 원 클럽 플레이어는 쇼메이커와 페이커 단 두 명뿐이다.[90] 2015 SKT[91] 그 중 한 번은 동일 로스터로 진출했다.[92] 2013-2014 LCK 윈터, 2022 LCK 스프링[93] MSI의 전신[94] 2013년 페이커에게 쓰인 수식어 롤계의 메시라는 별명은 2023년 1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뉴스에서 쓰이고 있다.[95] 시즌3 월즈 선발전 4세트 17분 25초쯤 김동준 해설한테서 저 말이 나왔다. 여담으로 메시 비유를 처음 쓴 것은 막눈이라고 한다. 현 시대와 각기 분야를 대표하는 아이콘이자 실력과 명성의 저명함은 물론이고, 게임 전체를 지배할 수 있는 크랙이자 다재다능한 실력을 가졌다는 점을 가지고 있으며, 팀의 상징이라는 점 역시 비슷하다. 메시 외에도 마이클 조던에 비유되기도 하고, 월즈 5회 우승자라는 점에서 FIFA 월드컵 3회 우승을 달성한 펠레와 비유해서 e스포츠의 펠레라고 기사가 나기도 했다. 그리고 앞서 언급된 위대한 선수들을 제외한 다른 유명 스포츠 슈퍼스타에 비견되기도 했다.[96] 2025년 5월 기준 17700 포인트.[97] 2016 MSI, 2016 월즈, 2024 EWC, 2024 월즈[98] 참고로 전성기 시절의 페이커와 루키는 모두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형 플레이로 유명했다. 그래서 루키는 데뷔 당시 보급형 페이커라는 별명을 듣기도 했다. 굳이 따지면 루키가 라인전에서 더욱 공격적으로 하고 페이커는 운영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99] 해당 선수들은 모두 혼자서 적 여럿을 묶어두거나 역관광시켜버리는 플레이를 자주 보여줬던 선수들이다.[100] 페이커 본인 역시 선수 경력 후반에 들어 안정적인 성향의 플레이 메이킹 스타일로 바뀌었다. 물론 그렇다고 과거 페이커식 플레이가 사장되거나 한 건 아니다. 상대방을 압도하기가 힘들어져서 그렇지, 가능만 하다면 여전히 게임을 역전의 여지조차 없이 터뜨릴 수 있는 최고의 플레이 방식이 맞다. 예를 들어 2023 월즈 8강 T1-LNG전이나 2024 LCK 스프링 정규시즌 1라운드 T1-한화생명전에서 페이커는 오리아나로 라인전부터 터뜨려 버리며 게임을 압도했다.[101] 특히 와딩의 경우 2016 월즈 이후에 유저들의 분석으로 널리 알려지게 된 1레벨 푸시 후 칼날부리 와드가 매우 유명하다. 이 와드 위치가 쓰이게 된 배경은 2016 월즈는 정글러의 성장력이 가장 중요한 메타였기에 캠프를 빠짐없이 도는 게 중요했고, 이것은 칼날부리 또한 그러했다. 이 당시 페이커가 유독 오리아나를 많이 썼던 이유에는 본인의 숙련도 또한 엄청난 수준이었지만 오리아나의 1레벨 푸시력이 다른 미드 메타 챔피언에 비해 월등했기 때문에 이 이점을 활용해서 칼날부리에 와드를 빠르게 박으며 정글 동선을 미리 파악하기 용이했기 때문이다. 지금이야 이런 미세한 팁들이 널리 알려진 지 오래됐으나, 당시엔 아무도 이런 생각을 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페이커의 리그 오브 레전드라는 게임에 대한 이해도와 연구 정신이 얼마나 뛰어난지 보여주는 수많은 일화 중 하나다.[102] 물론 2018 시즌이나 2020 시즌 하반기~2021 시즌 상반기, 2024 MSI~2024 서머 같이 개인 기량에서 몇 번의 부침이 있긴 했으나, 이는 페이커의 길고 긴 커리어에서 충분히 감안하고 봐도 될 정도이다.[103] 봉준호, BTS, 김연아, 손흥민 모두 세계적인 인지도와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과 비교되는 페이커 역시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104] 아리와 르블랑 출시[105] LCK의 영원한 왕[106] 정확히는 사다리타기로 누구를 밀어줄 것인지 결정하기로 했는데, 결과가 페이커 쪽으로 나오게 된 것. 그 뒷이야기는 그 때 도파가 던져서 승급을 못 할 뻔했던 탑솔러 문서의 링크로.[107] 여담으로 프리 시즌이나 시즌이 새로 시작될 때 치르는 배치고사의 티어는 그 전 시즌의 티어와 MMR을 감안하여 배치가 된다. 그 전 시즌에 챌린저급 MMR을 찍었고 실제 티어도 챌린저였으니 배치고사에서 아무리 패가 많아도 플레티넘 1티어에 배치받는 것은 당연한 셈.[108] 옛날에는 가갈갱을 밴하였지만 그때는 저 3챔피언이 고인 소리를 들을 만큼 아무도 플레이 하지 않은데다 노밴을 할 수가 없기에 어쩔 수 없이 했다.[109] 정확히 말하면 신고를 했음에도 그 후에 제재 처분을 내렸다는 피드백 메시지가 온 적이 없어서 앞으로 신고를 안하겠다고 언급했다.[110] 12월 8일자로 중국 프로들의 한국 계정이 대다수가 막혔다고 한다. 트롤러들의 계정도 막혔을 것으로 추정되나 페이커의 방송에서 대놓고 트롤짓을 하고 도유 방송에서 저격 인증까지 한 잔나 유저는 아직도 활동 중이다.[111] 위에 서술했듯이 보통 월즈 및 그 이후의 휴식이나 상술했듯 토토로 인한 트롤 문제 등을 비롯한 여러 이유로 인해 페이커가 솔랭을 챌린저로 마무리하는 경우는 은근히 희귀한 축에 속한다.[112] 본캐이자 전 닉네임 고전파. 2019년 02월 12일 우르프 모드 이즈리얼 플레이 이후 사용하지 않고 있다. 2021년 3월 15일자로 휴면계정으로 전환되어 닉네임이 변경되었다. 2022년 3월 28일 무작위 총력전 모드 노틸러스를 플레이한 전적이 있다.[113] 2012 시즌은 다이아몬드가 최고 티어였다. 챌린저 티어는 2013 시즌에 신설된 티어이다.[2위] 114.1 114.2 한국서버 최종 2위[1위] 한국서버 최종 1위. 2013 시즌 월즈는 10월 초에 일정이 끝나서 대회 기간 중 다이아몬드까지 휴면 강등되었음에도 다시 1위를 찍을 수 있었다. [휴면강등]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7.10 117.11 117.12 [휴면강등]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7.10 117.11 117.12 [휴면강등]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7.10 117.11 117.12 [휴면강등]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7.10 117.11 117.12 [휴면강등]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7.10 117.11 117.12 [휴면강등]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7.10 117.11 117.12 [휴면강등]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7.10 117.11 117.12 [휴면강등]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7.10 117.11 117.12 [휴면강등]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7.10 117.11 117.12 [휴면강등]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7.10 117.11 117.12 [휴면강등]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7.10 117.11 117.12 [휴면강등]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7.10 117.11 117.12 [129] 공항에서 빠니보틀이 페이커와 우연히 만나게 되면서 인사도 하고 T1 선수들과 같이 사진을 찍었다. 마침 선수들의 2023 Mid-Season Invitational 일정과 빠니보틀의 출국일정이 맞물리면서 마주친것으로 보인다.[T1]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130.7 130.8 T1 콜라보[131] 재생목록 이외에도 검색하면 찾아볼 수 있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