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상혁
(r23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영향력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e2012d, #e2012d)" {{{#!wiki style="margin: -13px -8px -13px 13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1 {{{#212529,#dddddd 상혁이 형이 진짜 그... 미드 AP 메이지 시절 때부터 왕이었기 때문에 '''상혁이 형이 빠삭빠삭한 핵심을 많이 만들었죠. 이건 근데 솔직히 다 부정 못할걸?''' }}} }}} ---- {{{-2 '''[[김태민|클리드]]''' [[https://www.fmkorea.com/1651071122|#]]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e2012d, #e2012d)" {{{#!wiki style="margin: -13px -8px -13px 13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1 '''{{{#212529,#dddddd 사실 10년 전에도 많은 미드 라이너들이 페이커를 보고 배웠는데, 아직도 [[2022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A조#s-3.1.4.2|이 경기]]를 보면서 많은 미드 라이너들이 좀 배워야 할 것 같네요.}}}''' }}} ---- {{{-2 '''[[조용인|코어장전]]''' [[https://www.fmkorea.com/4606805829|#]] }}}||}}}}}} 페이커는 LoL이라는 게임 내부적으로 현대 미드 라이너의 개념을 정립한 선수로 평가된다. 페이커의 등장은 고전적 1세대 미드 라이너 시대의 종언을 알렸다. 시즌 2까지 미드 라이너는 무리하지 않고 파밍을 하면서 성장하고 주로 필요한 순간에만 합류를 했는데, 시즌 3부터 등장한 페이커는 상대 라이너를 끊임없이 압박하면서 이득을 취하는 플레이를 시작했다. 유명 아마추어 게이머인 [[정상길|도파]]는 "미드 라이너로서 최고의 플레이는 상대방을 극단적으로 압박해 적 정글을 불러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고 2:1 상황을 만든 후에 죽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이 2:1 드래블링을 최초로 시작한 것이 페이커였고 이를 최적화시켜 완성한 사람이 [[송의진|루키]]였다."라고 평가했다.[* 참고로 전성기 시절의 페이커와 루키는 모두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형 플레이로 유명했다. 그래서 루키는 데뷔 당시 보급형 페이커라는 별명을 듣기도 했다. 굳이 따지면 루키가 라인전에서 더욱 공격적으로 하고 페이커는 운영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즉, 상대하는 입장에서 적 정글을 불러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든 뒤 적 정글이 갱이나 견제를 해오면 본인은 어그로를 끌면서 팀적으로 상대 정글의 위치를 이용해 다른 라인에 힘을 실어주기, 혹은 역갱을 성공시켜 그에 따른 스노우볼을 굴리거나 최적의 상황으로는 1:2 역관광을 해 게임을 터뜨리는 것이다. 반대로 본인에게 견제가 오지 않는다면 라인 주도권을 이용해 한 발 빠른 합류와 타 라인에 대한 견제를 넣거나, 아예 솔로킬을 내버리고 라인전을 폭파시켜버리는 등 다시 말해 적 미드 정글을 자기 마음대로 컨트롤하여 게임을 터뜨리는, 소위 스포츠에서 통칭되는 '크랙 플레이'의 정점에 가까웠던 선수였다. 이 2:1 드리블링이 가능한지 여부는 이후 미드, 탑 선수 중 S급과 A급을 가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가 되었다. 페이커가 최초로 시작하고 루키가 최적화시킨 후 2015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장경환|마린]], [[송경호(프로게이머)|스멥]], [[이성진(프로게이머)|큐베]], [[김동하(프로게이머)|칸]], [[강승록|더샤이]], [[곽보성|비디디]], [[정지훈(2001)|쵸비]] 등 속칭 S급 선수들이 대거 등장하기 시작했다.[* 해당 선수들은 모두 혼자서 적 여럿을 묶어두거나 역관광시켜버리는 플레이를 자주 보여줬던 선수들이다.] 이러한 플레이의 과정에서 나오는 페이커 특유의 외줄타기, 솔로킬, 넓은 챔피언 폭, 슈퍼 플레이는 사람들을 열광하게 해 경기 외적으로 막 인기를 얻기 시작하던 리그 오브 레전드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LCK]]의 유명세를 더욱 증폭시키는 기폭제 역할을 하기도 했고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르블랑]],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아리]], [[제드(리그 오브 레전드)|제드]] 등의 암살자 챔피언의 인기가 급상승하기도 했다. 이 패러다임은 2018 시즌까지 미드 라이너의 유일한 크랙 플레이로 남아 있었다. 하지만 2019 시즌에 탁월한 운영과 로밍으로 승부를 보는 [[김태상|도인비]]와 [[라스무스 뷘터|캡스]]의 등장과, 2020 시즌에 육각형 플레이로 LCK의 암흑기를 끝낸 [[허수(프로게이머)|쇼메이커]] 이후로 더 이상 상대 미드를 극한으로 압박하지 않고 맵을 넓게 쓰는 방식으로도 캐리할 수 있다는 해법이 나오면서 전체적인 미드 플레이 스타일은 크게 이 둘로 나뉘게 되었다. 그리고 미드 라이너들의 상향 평준화와 2022 시즌 내구도 패치로 인해 더 이상 프로 레벨에서 상대방을 압도하기가 힘들어지자 도인비와 캡스, 쇼메이커 스타일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페이커 본인 역시 선수 경력 후반에 들어 안정적인 성향의 플레이 메이킹 스타일로 바뀌었다. 물론 그렇다고 과거 페이커식 플레이가 사장되거나 한 건 아니다. 상대방을 압도하기가 힘들어져서 그렇지, 가능만 하다면 여전히 게임을 역전의 여지조차 없이 터뜨릴 수 있는 최고의 플레이 방식이 맞다. 예를 들어 2023 월즈 8강 T1-LNG전이나 2024 LCK 스프링 정규시즌 1라운드 T1-한화생명전에서 페이커는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로 라인전부터 터뜨려 버리며 게임을 압도했다.] 그 외에도 단순히 내 눈앞에 서 있는 상대방을 도륙하는 것만이 아니라 와드를 박는 위치나 타이밍, 이를 이용한 상대 미드와 정글 위치 찾기 등의 지능적 플레이 역시 솔로랭크 리플레이와 관전 등으로 알려진 것만 여럿 된다.[* 특히 와딩의 경우 2016 월즈 이후에 유저들의 분석으로 널리 알려지게 된 1레벨 푸시 후 칼날부리 와드가 매우 유명하다. 이 와드 위치가 쓰이게 된 배경은 2016 월즈는 정글러의 성장력이 가장 중요한 메타였기에 캠프를 빠짐없이 도는 게 중요했고, 이것은 칼날부리 또한 그러했다. 이 당시 페이커가 유독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를 많이 썼던 이유에는 본인의 숙련도 또한 엄청난 수준이었지만 오리아나의 1레벨 푸시력이 다른 미드 메타 챔피언에 비해 월등했기 때문에 이 이점을 활용해서 칼날부리에 와드를 빠르게 박으며 정글 동선을 미리 파악하기 용이했기 때문이다. 지금이야 이런 미세한 팁들이 널리 알려진 지 오래됐으나, 당시엔 아무도 이런 생각을 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페이커의 리그 오브 레전드라는 게임에 대한 이해도와 연구 정신이 얼마나 뛰어난지 보여주는 수많은 일화 중 하나다.] 종합적으로 페이커는 게임 내외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 선수로, 단기적으로나마 페이커급의 영향력을 끼친 선수는 서포터를 넘어 아예 롤판의 기본 운영을 정립한 [[조세형(e스포츠)|마타]], LPL 탑 라인에 급변을 불러와 슈퍼스타에 등극한 [[강승록|더샤이]], 커리어는 앞선 선수들에 비해 부족하지만 팀의 1옵션으로 포지션의 인식을 뒤바꾼 롤판의 [[임요환]] [[홍민기(프로게이머)|매드라이프]] 정도뿐이다. 즉, 리그와 게임을 바꾼 개인.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