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상혁
(r23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커리어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e2012d, #e2012d)" {{{#!wiki style="margin: -13px -8px -13px 13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1 '''{{{#212529,#dddddd (월즈) 세 번의 우승은 제 목표기도 한데... 첫 번째 우승은, 실력이 좋을 수도 있지만 말 그대로 그 상황이 운일 수도 있기 때문에. 두 번째 우승은, 그 첫 번째 우승이 운이 아니었다는 걸 증명하는 것 같고요. 세 번째 우승은, '''진짜 자신이 실력 있는 사람이다''', 이 팀이 실력 있는 팀이다를 입증하는 겁니다.}}}''' }}} ---- {{{-2 '''[[강승록|더샤이]]''' [[https://www.fmkorea.com/3175610329|#]][* 페이커를 겨냥해서 한 인터뷰는 아니지만, 인터뷰 시점에서 월즈 3회 우승을 기록한 선수는 페이커, [[배성웅|벵기]]가 유이하기 때문에 이들의 위상을 설명하는 문구가 되었다. 특히 페이커는 그걸 넘어 5회 우승 및 결승 진출은 7회 기록하였다. 이후 [[장하권|너구리]], [[김동하(프로게이머)|칸]], [[최우제|제우스]] 등 굴지의 임팩트를 남겼던 선수들도 해당 내용에 동의한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사실 월즈 1회 우승이 운일 수 있다는 것도 월즈 1회 우승자인 더샤이가 직접 말해서 어느 정도 넘어가는 것이지 월즈 우승 경력이 없는 사람이 주장했다면 욕을 거하게 먹었을 발언이다. 세계 최고의 팀들이 모이는 시즌 최대의 대회인 월즈를 우승한다는 것은 아무리 운이 따라도 결국 실력 없이는 불가능하며, 이 때문에 월즈를 한 번이라도 들어올리는 순간 선수의 평가가 급상승하는 것이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e2012d, #e2012d)" {{{#!wiki style="margin: -13px -8px -13px 13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1 '''{{{#212529,#dddddd 저는 페이커 선수가 월즈 결승에 올라왔는데 상대 미드 라이너가 월즈 우승이 없으면 무조건 페이커 선수를 응원해요. 롤드컵 우승이 한 명 더 늘어나는 건 싫거든요? 페이커가 (우승컵) 쌓이는 건 상관없어요. '''어차피 못 넘어요 이건.'''}}}''' }}} ---- {{{-2 '''[[허원석|폰]]''' [[https://youtu.be/dWppkS3GIyI?t=1126|#]][* MSI와 월즈 우승을 기준으로 하면 페이커 제외한 미드라이너 중에서는 본인이 가장 커리어가 좋기 때문이다. 페이커를 제외하면 월즈를 2회 이상 우승한 미드라이너는 전무하며 MSI와 월즈를 모두 우승한 미드라이너는 페이커와 폰 뿐이다.] }}}||}}}}}}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Worlds]] 5회 우승 및 2회 준우승[* 2024 시즌 기준으로 월즈 최다 우승자로 유일무이한 기록이다. 2023 월즈 우승 이전에도 최다 우승자였지만 [[배성웅|벵기]](3회 우승)과 타이 기록이었다. 애초에 벵기와의 타이 기록 자체가 한 팀에서 함께 세운 기록인데, 이후 벵기는 선수로서 은퇴하여 지도자가 된 뒤 2022~2023년엔 T1의 감독으로 부임하기까지 했으나 그때까지도 페이커는 현역으로 남아서 경력을 추가해가고 있다.], [[Mid-Season Invitational|MSI]] 2회 우승 및 3회 준우승,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LCK]] 10회 우승 및 6회 준우승 * [[LoL e스포츠]] 프로게이머 누적 상금 전 세계 1위 * MSI와 월즈라는 양대 국제 대회 석권[* 단일 선수: [[허원석|폰]], [[톈예|메이코]], [[김혁규|데프트]], [[박재혁(1998)|룰러]], [[김건부|캐니언]] / 동료: [[이호성(1994)|듀크]], [[배성웅|벵기]], [[강선구|블랭크]], [[배준식|뱅]], [[이재완|울프]]], 2015 서머-2015 월즈-2016 스프링-2016 MSI까지 라이엇 게임즈 주관 공식 대회[* 4대 메이저 리그, MSI, Worlds]를 기준으로 '''논 캘린더 및 커리어 [[그랜드 슬램(리그 오브 레전드)|그랜드 슬램]]'''이라는 대업을 이룩하였으며, 이는 지금까지 몇몇 소수 인원밖에 기록하지 못했다.[* 단일 선수(커리어 그랜드 슬램): [[허원석|폰]], [[톈예|메이코]], [[김혁규|데프트]], [[박재혁(1998)|룰러]], [[김건부|캐니언]] / 동료(논-캘린더 및 커리어 그랜드 슬램): [[배성웅|벵기]], [[배준식|뱅]], [[이재완|울프]]. 즉 미드 라이너 중에서 월즈와 MSI를 모두 우승한 선수는 페이커와 폰이 유이하며, 한 해 안에 모두 우승한 선수는 페이커가 유일하다.] * 라이엇 게임즈 주관 '''메이저 국제 대회 포핏''' 달성[* 2015 월즈-2016 MSI-2016 월즈-2017 MSI. 참고로 결승 진출은 2015 MSI, 2017 월즈까지 합해 6연속이다.] 및 월즈 리핏 2회[* 2015-2016 월즈, 2023-2024 월즈.], MSI 리핏[* 2016-2017 MSI. 결승 진출은 2015 MSI까지 3연속.] 달성 * Worlds 3연속 결승 진출 2회[* 2015-2016-2017, 2022-2023-2024], 총 7회 결승 진출 * Worlds 최다 승[* 2024 월즈 종료 시점 109승으로, 미드라이너 승수 2위 샤오후 56승, 3위 쇼메이커 55승을 합쳐야 겨우 넘는다.] 및 최다 킬[* 2024 월즈 종료 시점 506킬] 달성 * 국제 대회[* 월즈 + MSI] 최초 1000킬 달성[* 2025 MSI 승자조 젠지전 달성] * [[T1/리그 오브 레전드|T1]]의 유일한 [[원 클럽 플레이어]]이자 [[프랜차이즈 선수|프랜차이즈 간판 스타]][* 2024년 기준으로 2013년부터 지금까지 T1에서만 활동하고 있다. 또한 LCK의 모든 원 클럽 플레이어들 중 가장 경력이 길다. 애초에 2024년 기준 [[김건부|캐니언]]의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젠지]] 이적으로 1군 경력이 5년 이상인 LCK의 원 클럽 플레이어는 [[허수(프로게이머)|쇼메이커]]와 페이커 단 두 명뿐이다.] * [[Esports World Cup 2024/리그 오브 레전드|Esports World Cup]] 초대 우승 및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LCK 최다 우승, 월즈 최다 우승으로 단순 우승만 많이 했을 뿐만 아니라 메이저 국제전 포핏, 단일 국제전 리핏 2회, 논 캘린더 및 커리어 그랜드 슬램, 월즈 최고 승률[* 2015 SKT], 월즈 결승 3연속 진출 2회[* 그 중 한 번은 [[제오페구케|동일 로스터]]로 진출했다.], LCK 쓰리핏 2회, LCK 전승 우승[* 2013-2014 LCK 윈터, 2022 LCK 스프링], 인비테이셔널 전승 우승[* MSI의 전신], IEM World Championship 전승 우승 등이 있으며, EWC나 아시안 게임에서도 우승했다. 그리고 페이커가 T1의 원 클럽 플레이어인 만큼 T1의 커리어가 즉 페이커의 커리어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