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최근 수정 시각: ()
분류
1937년 MCMXXVII |千九百三十七年 | 一九三七年 | ||
← 1936년 | 1938년 → | |
정축년 丁丑年 | ||
← 1877년 | 1997년 → | |
양력 1937년 | 음력 1936년 11월 19일 ~ 1937년 11월 29일 | |
음력 1937년 | 양력 1937년 2월 11일 ~ 1938년 1월 30일 | |
일수 | 365일(평년) |
1. 개요 [편집]
2. 기후 [편집]
서울의 월평균기온 통계는 다음과 같았다. 이상 저온이 매우 심했던 전년도와는 반대로 이상 고온이 길게 이어진 해이며, 특히 2월과 11월의 고온이 강한 편이었다. 여름철도 2년 뒤만큼은 아니나 8월 평균기온이 26.7°C를 기록하는 등 상당히 더운 편이었다. 다만 12월은 평년보다 낮아 추운 편이었다. 9월 이후부터는 2014년과 비슷한 기후특성을 보였다.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
서울 월평균기온(°C) | -3.6 | 0.1 | 3.6 | 10.6 | 15.8 | 21.6 | 24.6 | 26.7 | 20.3 | 13.8 | 7.2 | -3.9 | 11.4 |
평년대비 편차(°C)[3] | 0.9 | 2.0 | 0.3 | 0.1 | 0.1 | 0.7 | 0.1 | 1.4 | 0.6 | 0.8 | 2.1 | -1.8 | 0.6 |
강수량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서울 월평균강수량(mm) | 15.7 | 36.3 | 36.6 | 150.8 | 70.2 | 74.4 | 248.8 | 158.9 | 183.0 | 45.9 | 20.2 | 21.9 | 1062.7 |
평년대비 편차(%) | 54.5 | 159.9 | 90.4 | 197.6 | 84.7 | 59.2 | 62.9 | 60.3 | 158.3 | 108.8 | 43.3 | 87.3 | 84.0 |
연 최저기온 | 연 최고기온 | 연교차 | 서울 일강수량 극값 |
-16.0 °C(1227) | 35.1 °C(0817) | 51.1 °C | 101.0mm(0414) |
3. 사건 [편집]
3.1. 실제 [편집]
- 5월 6일: 독일의 비행선 LZ 129 힌덴부르크가 폭발하면서 당시로서는 최대 규모의 항공참사로 기록되었다(힌덴부르크 참사). 이 사고를 계기로 비행선의 안전 문제가 대두되면서 비행선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된다.
- 7월 30일: 베이핑, 톈진 함락.
- 11월 16일: 헤센 대공가 비행기 추락사고 발생.
3.2. 가상 [편집]
4. 탄생 [편집]
4.1. 실제 [편집]
4.1.1. 1월 [편집]
4.1.2. 2월 [편집]
4.1.3. 3월 [편집]
4.1.4. 4월 [편집]
4.1.5. 5월 [편집]
4.1.6. 6월 [편집]
- 송복: 대한민국의 보수 정치/사회학자
4.1.7. 7월 [편집]
4.1.8. 8월 [편집]
4.1.9. 9월 [편집]
4.1.10. 10월 [편집]
4.1.11. 11월 [편집]
4.1.12. 12월 [편집]
4.1.13. 일자불명 [편집]
- 무함마드 자나티: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의 제 6 · 7대 서기
4.2. 가상 [편집]
5. 사망 [편집]
5.1. 실제 [편집]
- 1월 24일 - 모리나가 타이치로: 일본 모리나가제과 창업주
- 후고 마이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전 축구 감독
- 3월 7일 - 루돌프 오토: 독일의 비교종교학자, 신학자, 겸 철학자
- 11월 16일 - 헤센 대공가 비행기 추락사고에 희생된 왕족, 비행사 등 11명.
- 날짜 미상
5.2. 가상 [편집]
6. 데뷔 [편집]
6.1. 가수 [편집]
7. 히트작 [편집]
7.1. 가요 [편집]
- 남인수 - 애수의 소야곡
7.2. 영화 [편집]
8. 달력 [편집]
2021년과 달력이 같다.
[1] Before Present[2] 아예 이 시점을 제2차 세계 대전의 시작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3] 1907~1930년 평균값 대비 편차이다.[4] 세미놀 족의 인디언이다. 두 사람 다 오클라호마 출신이다.[5] 외교통상부장관 등 역임[6] 노사정위원장 등 역임[7] 서울대학교 총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등 역임[8] 해양수산부장관, 국회부의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등 역임[9] 보천보 전투 때 등장했던 1901년생 김성주(金成株)로, 1994년 7월 8일에 사망한 독재자 김일성과 이름은 같으나 인물이 다르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