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구조론

최근 수정 시각: ()
[ 펼치기 · 접기 ]
기반 학문
SoC · CPU · GPU(그래픽 카드 · GPGPU) · ROM · RAM · SSD · HDD · 참조: 틀:컴퓨터 부품
기술
연구 및 기타

1. 개요2. 세부내용3. 관련 문서

1. 개요 [편집]

computer architecture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조와 동작원리를 배우는 이론이다. 또한 중앙 처리장치(CPU)와 입출력 장치의 기능을 이해하고, 병렬 빛 분산컴퓨터의 기본적인 구조 동작 원리를 배운다. 주로 컴퓨터과학 학부과정에서 폰노이만의 컴퓨터 구조를 주로 배운다. 선수과목에는 논리 회로가 있다. 2000년도 중반까지는 병렬 컴퓨팅, 슈퍼컴퓨터, 그리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이 주요 연구 이슈였다. 최근에는 컴퓨터 구조 자체가 근본적으로 진화하는 양자 컴퓨터 이슈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보통 2학년 ~ 3학년에 수강하는 과목이다.

컴퓨터 구조론의 종류로는 폰 노이만 아키텍처, 하바드 아키텍처, 분산 아키텍처 등이 존재하며, 컴퓨터 구조론은 컴퓨터 시스템의 기능과 한계, 사용 방법을 결정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2. 세부내용 [편집]

대학(학부과정)에서 주로 쓰는 교과서에는 Patterson, Hennessy의 '컴퓨터 구조 및 설계', Mano의 '컴퓨터시스템구조'가 유명하다. 대학원에서는 "Computer Architecture: A Quantitative Approach", "Modern Processor Design: Fundamentals of Superscalar Processors" 등의 교재가 사용된다.

3. 관련 문서 [편집]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