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순

최근 수정 시각: ()
분류
[ 펼치기 · 접기 ]
사람 및 동물
남성(수컷)의 성기
분류
같이 보기
여성(암컷)의 성기
분류
음문(음렬 · 대음순 · 소음순 · 음핵 · 스킨선) · · 나팔관 · 자궁 · 난소 · 난황샘 · 난형성강 · 산란관 · G스팟 · 자궁경부
같이 보기
관련 문서
식물 및 균류
· 꽃잎 · 수술(꽃밥 · 수술대 · 장정기) · 암술(심피 · 암술머리 · 암술대 · 씨방 · 밑씨 · 꽃받침 · 장란기) · 홀씨주머니(포자낭)
포자 · 버섯(자실체 · 버섯모)
소음순의 위치
Mons pubis: 치구 Labia majora: 대음순
Labia minora: 소음순

Clitoris: 음핵
Urethral opening: 요도
Vagina:

Anus: 항문

1. 개요2. 구조3. 기능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편집]

소음순()은 여성생식기(음문)의 한 부분으로, 여성 바깥 생식 기관에서 대음순 안쪽에 위치한 음모가 거의 없는 얇은 피부 주름이다.

2. 구조 [편집]

음핵 포피에서 시작하여 음렬 끝까지 양쪽으로 이어져 있다. 대음순 내부에 완전히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3. 기능 [편집]

대음순으로 한번 보호되는 클리토리스요도, 을 한 번 더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소음순은 외부 세균 침입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평상시 소음순 양쪽이 붙어 있으면서 질의 안쪽과 외음부 사이에서 세균이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인데, 클리토리스에서 바로 이어지기 때문에 아주 예민해서 성감대이기도 하다.

4. 기타 [편집]

소음순 모양이 축 늘어졌거나, 비대칭이거나, 색깔이 검은색이라는 등의 이유로 고민하는 여성도 많다. 소음순은 수술로 성형이 가능한데 모양이 컴플렉스가 되어 수술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단순히 모양과 색깔 때문에 수술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소음순이 늘어나면 일상 생활에 불편함이 매우 크기 때문에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1] 스키니진이나 스타킹처럼 꽉 끼는 하의를 입거나 소변보기, 자전거 타기, 다리 꼬기 등의 일상적인 행위에도 늘어난 소음순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정도가 심하면 단순히 속옷을 착용한 것으로 불편한 경우도 있다. 또 소음순이 늘어나 통풍이 잘되지 않아 냄새가 심하게 나거나 성관계 시 밀려들려가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외음질염을 유발하기도 쉽다. 이러한 증상은 개인차가 커서 늘어짐 정도가 상대적으로 심하지 않은데도 큰 불편을 격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늘어짐 정도가 비교적 큰 편인데도 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수술을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개인차가 있어 수술후 별 차이 못 느끼는 사람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자신의 신체를 건드리는 것이기에 수술 후에 큰 이질감을 호소하는 사람도 있다. 이러한 증상은 결국 시간이 지나면 다들 자연스럽게 익숙해진다고 하지만, 유경험자들은 대체로 수술을 할 것이라면 충분히 정보를 찾은 다음 고민해보고 할 것임을 충고하는 경우가 많다. 예외로 늘어짐과 비대함이 지나쳐서 일상이 계속 불편했던 여성들은 수술로 인해 얼마나 불편하든 원래 상태에 비할바가 못되기 때문에 수술 직후에 너무나 쾌적해 졌다며 만족감을 나타내기도 한다.

성관계를 많이 하면 여성의 소음순 색이 변하거나 크기가 커질 수 있다는 말이 있다. 실제로 온라인에서도 "성관계를 많이 하면 소음순 색이 검게 변하나요?"라는 질문들이 많다. 소음순의 색깔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영향이 가장 크고, 성장 과정에서 일상적인 운동이나 성적인 활동을 하면 이런 자극이 원인이 되어 모양이 늘어지면서 착색되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큰 원인으로 보기는 어렵다.

애초에 소음순의 모양과 색은 타고난 색과 성장기의 호르몬과 연관이 가장 많다고 알려져 있으며, 자위행위 등으로는 변형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엔 보통 소음순은 사춘기 이후에 호르몬의 영향으로 발달되고 착색되는 경우들이다. 또한 얼굴의 생김새가 모두 다른 것처럼 소음순의 모양 역시 제각각이다. 성교육 웹툰.

5. 관련 문서 [편집]

[1] 보통은 성인이 된 후에 시술을 받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3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