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황제/명단

최근 수정 시각: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로마 황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체제
역사
분할국
잔존국
상징
정치
법률
군사
행정구역
종교
문화
문헌
건축
경제
외교
정체성
창작물
로마 황제
IMPERATOR CAESAR AVGVSTVS

ΒΑΣΙΛΙΆΔΕΣ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라바룸.svg
초대
말대
시행
폐지

1. 로마 제국의 역대 황제 [편집]

1.1.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1
기원전 27.01.16.
기원후 14.08.19.
40년 215일
초대 황제, 동서 분열 이전 한정 최장 재위
2
14.09.18.
37.03.06.
22년 175일
최초의 부자 세습으로 임페라토르 직 승계
3
37.03.18.
41.01.24.
3년 313일
초대 황제의 혈육으로서 최초 세습
암살
4
41.01.24.
54.10.13.
13년 265일
프라이토리아니가 제위 계승에 개입한 첫 사례
중독사[1]
5
54.10.13.
68.06.09.
13년 243일
제정 성립 이후 원로원에게 최초 탄핵된 임페라토르
자살

1.2. 네 황제의 해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6
68.06.08.
69.01.15.
221일
암살
7
69.01.15.
69.04.16.
91일
자살
8
69.04.17.
69.12.20.
247일
처형

1.3. 플라비우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9
69.07.01.
79.06.23.
9년 357일
10
79.06.24.
81.09.13.
2년 82일
폼페이 매몰
과로사
11
81.09.14.
96.09.18.
15년 4일
암살

1.4.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12
96.09.18.
98.01.27.
1년 131일
13
98.01.18.
117.08.07.
19년 206일
최초의 속주 출신 임페라토르
14
117.08.11.
138.07.10.
20년 338일
15
138.07.10.
161.03.07.
22년 246일
16
161.03.07.
180.03.17.
19년 10일
공동 통치[2]
전선에서 병사
161.03.07.
169.01.23
7년 322일
17
180.03.18.
192.12.31.
12년 291일
암살

1.5. 다섯 황제의 해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비고
퇴위 원인
내란기
18
193.01.01.
193.03.28.
86일
암살
19
193.03.28.
193.06.01.
65일
처형

1.6. 세베루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20
193.04.09.
211.02.04.
18년 64일
전선에서 병사
21
211.02.04.
211.12.26.
326일
공동 통치[3]
암살
211.02.04.
217.04.08.
6년 65일
암살
22
217.04.11.
218.06.08.
1년 58일
처형
23
218.06.08.
222.03.11.
3년 277일
암살
24
222.03.13.
235.03.18.
13년 5일
암살

1.7. 군인황제시대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25
235.03.20.
238.04.
3년
최초의 순수군인 출신 임페라토르
암살
26
238.03.22.
238.04.12.
21일
공동 통치
자살
238.03.22.
238.04.12.
21일
전사
27
238.04.22.
238.07.29.
98일
공동 통치
암살
238.04.22.
238.07.29.
98일
암살
28
238.7
244.2
5년 7개월
암살
29
244.2
249.9
5년 7개월
로마 건국 천년제 거행
자살
30
249.9
251.6.
1년 9개월
공동 통치
전사
30-2
251.5
251.6
1개월
전사
31
251.06.
253.08.
2년
공동 통치
살해
31-2
251.6
251.7
1개월
병사
31-3
251.8
253.8
2년
암살
32
253.08.
253.10.
3개월
암살
33
253.10.
260.
7년
공동 통치
옥사[5]
33-2
253.10.
268.09.
15년
암살
34
단독 즉위
35
268.09.
270.01.
2년
병사
36
270.01.
270.05.
4개월
암살
37
270.05.
275.04.
5년
암살
38
275.09.25.
276.06.
9개월
전임과의 사이에 5개월 공백
39
276.06.
276.09.
3개월
암살
40
276.09.
282.10.
6년
암살
41
282.10.
283.08.
10개월
사고사[6]
42-2
283.08.
284.11.
1년 3개월
공동 통치
암살[7]
42
283.08.
285.03.
2년
암살[8]

1.8. 사두정치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43
284.11.20.
305.05.01.
20년 167일
4명의 황제와 공동 통치,
동·서 로마 분리의 기틀 마련
자진 퇴위[10]
285.07.
305.05.01.
19년 10개월
자진 퇴위[11]
293.03.01.
311.05.05.
18년 69일
293.03.01.
306.07.25.
13년 149일
44
305.05.01.
313.08.
8년 3개월
자살[14]
305.05.01.
307.03.
1년 8개월
처형[15]
306.10.28.
312.10.28.
6년
전사[16]
308.11.11.
324.09.18.
15년 315일
처형[18]
306.07.05.
337.05.22.
30년 329일
로마제국 최초의 대제
단독통치 시작
콘스탄티노플 행정수도 건설

1.9. 콘스탄티누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44
306.07.05.
337.05.22.
30년 329일
로마제국 최초의 대제
단독통치 시작
콘스탄티노플 행정수도 건설
45
337.05.22.
340.
3년
공동 통치
전사[21]
337.05.22.
350.
13년
암살[22]
337.05.22.
361.11.03.
24년 196일
46
360.02.
363.06.26.
1년 266일
전사
47
363.06.26.
364.02.17.
234일

1.10.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발렌티니아누스
48
364.02.26.
375.11.17.
11년 267일
공동 통치
분사[27]
48-2
364.03.28.
378.08.09.
14년 137일
전사[29]
49
375.11.17.
383.08.25.
16년 21일
암살
49-2
375.11.17.
392.05.15.
16년 184일
암살
-
비정통
392.05.15.
394.09.06.
2년
동로마는 인정하지 않음
테오도시우스
51
383.08.25.
388.08.28.
5년 3일
처형
50
379.01.01.
395.01.17.
16년 16일
로마제국 두번째로 대제 칭호를 받음
기독교를 국교로 삼았다.

2. 서방 [편집]

서방의 황제직은 보편적으로 476년까지 존속했다고 보고 이후 동방이랑 합쳐진다.

2.1. 테오도시우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테오도시우스
52
393.01.23.
423.08.15.
30년 204일
최종 분할통치
52-2
421.02.
421.09.02.
7개월
찬탈
423
425
2년
찬탈(비정통)[34]
53
425.10.23.
455.03.16.
29년 144일
암살

2.2. 서방영토 상실 전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최후의 순간
54
455.03.17.
455.05.31.
75일
암살
55
455.07.09.
456.10.17.
1년 101일
암살
56
457.04.01.
461.08.02.
4년 124일
암살[36]
57
461.11.09.
465.08.15.
3년 280일
자연사/독살[37]
58
467.04.12.
472.07.11.
5년 92일
전사[38]
59
472.03.23
472.07.11.
472.10.23
472.11.02.
214일
114일
암살[40]
60
473.03.03.
474.06.
1년
항복[41]
61
474.06.
475.08.28.
475.08.28.
480.09.09.
1년
5년 13일
474~475(황제)
475~480(계승권)
퇴위(황제)
피살
62
475.10.31.
476.09.04.
309일
폐위[42]
-
-
476.
493.
17년
황제가 아닌 왕(王)
피살

3. 동방 [편집]

후기로 갈수록 황제의 이름이 라틴어보다 그리스어로 표기되는 경우가 잦은데, 이 시기에 로마 제국의 영토가 동방으로 한정되면서 제국 안에 남아있는 군중들이 대부분 그리스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참고로 동로마 제국의 공동황제는 사실상 황태자의 성격을 띄었기에 목록에서 제외한다.

3.1. 테오도시우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테오도시우스
52
395.01.17.
408.05.01.
13년 108일
동·서 로마 본격 분리
53
408.05.01.
450.07.28.
42년 88일
낙마
54
450.
457.01.27.
7년

3.2. 레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레오
55
레오 1세 트락스[43]
457.02.07.
474.01.18.
16년 349일
56
474.01.18.
474.11.17.
303일
병사[44]
57
474.11.17.
475.01.09.
53일
폐위
58
475.01.09.
476.08.
1년
찬탈, 폐위
복위
476.08.
491.04.09.
15년
복위
59
491.04.11.
518.7.9.
27년 96일

3.3.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편집]

이 왕조는 80여 년간 5명의 황제를 배출한, 왕조교체가 잦았던 로마 기준으로는 그렇게 짧지만은 않은 왕조인데도 불구하고[45], 부자상속은 전혀 없이, 연달아서 숙질 계승이 2번[46], 장인-사위 계승이 2번씩 있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유스티니아누스
60
518.07.09.
527.08.01.
9년 22일
61
527.08.01.
565.11.14.
38년 105일
로마제국 세 번째로 대제 칭호를 받음
62
565.11.14.
578.10.05.
12년 328일
63
티베리우스 2세 콘스탄티누스
578.10.05.
582.08.14.
64
582.8.14.
602.11.27.
20년 106일
처형
없음
65
602.11.27.
610.10.05.
7년 314일
찬탈
처형

3.4. 이라클리오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이라클리오스
66
이라클리오스(헤라클리우스)
610.10.05.
641.02.11.
찬탈, 그리스어를 군사 용어로 쓰기로 공식화[47]
67
641.02.11.
641.05.25.
공동 통치
결핵[49]
641.02.11.
641.09.
7개월
쿠데타
68
콘스탄스 2세 포고나토스[51]
641.09.
668.09.15.
27년
암살
69
668.09.15.
685.09.
17년
70
685.09.
695.
10년
폐위

3.5. 20년간의 혼란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71
695.
698.
3년
찬탈
처형
72
698.
705.08.21.
7년
찬탈
처형
복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리노트미토스
705.08.21.
711.11.21.
6년
복위
처형
73
711.12.11.
713.06.03.
2년
폐위
74
713.06.03.
715.05.
2년
폐위
처형
75
715.05.
717.03.25.
2년
반란, 강제퇴위

3.6. 이사브리아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이사브리아
76
717.
741.
성상파괴령 시작
77
콘스탄티노스 5세 코프로니모스[54]
741.06.18.
741.06/07.
폐위
78
741.06/07.
743.11.02.
폐위
복위
콘스탄티노스 5세 코프로니모스
743.11.02.
775.09.14.
복위
79
775.09.14.
780.09.08.
80
780.09.08.
797.08.18.
모친에 의해 퇴위
병사[56]
81
이리니 이 아시니아[57]
797.08.18.
802.10.31.
반란, 폐위

3.7. 니키포로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니키포로스
82
802.10.31.
811.07.26.
추대로 즉위
전사[58]
83
811.07.26.
811.10.02.
자진 퇴위
중병[59]
84
811.10.02.
813.07.11.
자진 퇴위
없음
85
레온 5세 아르메니오스[61]
813.07.11.
820.12.25.
암살

3.8. 아모리아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비고
퇴위 원인
아모리아
86
미하일 2세 트라볼로스
820.12.25.
829.10.02.
87
829.10.02.
842.01.20.
88
미하일 3세 메시소스
842.01.20.
867.09.23.
암살

3.9. 마케도니아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89
867.09.23.
886.08.29.
사고사[62]
90
레온 6세 소포스[63]
886.08.29.
912.05.11.
91
912.05.11.
913.06.06.
공식으로 기독교도임을 부정한 율리아누스 후의 첫 황제.
92
913.05.15.
959.11.09.
공동 황제
로마노스 1세 레카피노스
920.12.17.
944.12.20.
93
로마노스 2세 포르피로예니토스
959.11.09.
963.03.15.
병사[65]
94
963.08.16.
969.12.11.
암살[66]
95
요안니스 1세 쿠르쿠아스 치미스키스[67]
969.12.11.
976.01.10.
병사[68]
96
바실리오스 2세 불가록토노스[69]
976.01.10.
1025.12.15.
최장기간 재위
97
1025.12.15.
1028.11.15.
98
로마노스 3세 아르이로스
1028.11.15.
1034.04.11.
조이의 첫째 남편
암살[70]
99
1034.04.11.
1041.12.10.
조이의 둘째 남편
병사
100
미하일 5세 칼라파티스[72][73]
1041.12.10.
1042.04.20.
폐위
암살
101
1042.04.19.
1042.06.11.
공동 통치
1042.04.19.
1042.06.11.
102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호스
1042.06.11.
1055.01.11.
조이의 셋째 남편
복위
1055.01.11.
1056.08.31.
복위[74]
없음
103
미하일 6세 브링가스[75]스트라티오티코스[76]
1056.08.31.
1057.08.30.
퇴위

3.10. 두카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104
1057.06.03.
1059.11.22.
병으로 인해 자진 퇴위
105
1059.11.24.
1067.05.22.
7년 181일
106
미하일 7세 파라피나키스[78]
1060.
1078.03.24.
18년
폐위
107
로마노스 4세 디오예니스
1068.01.01.
1071.10.
3년 9개월
폐위[79]
108
니키포로스 3세 보타니아티스
1078.03.31.
1081.04.04.
3년 4일
양위

3.11. 콤니노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109
1081.04.04.
1118.08.15.
37년 142일
110
요안니스 2세 칼로얀니스
1118.08.15.
1143.04.08.
24년 242일
사고사[80]
111
마누일 1세 메가스
1143.04.08.
1180.09.24.
37년 179일
로마제국 4번째이자 마지막으로 대제칭호를 받음
112
1180.09.24.
1183.09.24.
1년
살해[81]
113
1183.09.24.
1185.09.11.
1년 353일
반란, 폐위
처형

3.12. 앙겔로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비고
퇴위 원인
앙겔로스
114
1185.09.12.
1195.04.08.
9년 210일
폐위
115
1195.04.08.
1203.07.18.
8년 103일
도주, 폐위
116
1203.07.18.
1204.01.28.
194일
공동 황제
1203.08.01.
1204.01.28.
180일
살해
117
알렉시오스 5세 두카스[82] 무르주플로스[83]
1204.02.05.
1204.04.13.
68일
폐위
처형

3.13. 라스카리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자립
1204.04.13.
1205.03.19.
340일
자칭 황제[84]
118
1205.03.19.
1221.11.
16년
119
1221.12.15.
1254.11.03.
32년 331일
120
1254.11.03.
1258.08.18.
3년 289일
121
1258.08.18.
1261.12.25.
3년 130일
공동 황제
폐위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1259.01.01.
1261.08.15.
3년 24일

3.14. 팔레올로고스 왕조 [편집]

로마 제국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121-2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1261.08.15.
1282.12.11.
20년 356일
122
1282.12.11.
1328.05.23.
45년 175일
공동 황제
1282.
1320.10.12.
38년
123
1328.05.23.
1341.06.15.
13년 22일
124
1341.06.15.
1347.12.
6년
폐위
125
1347.03.31.
1354.12.04.
7년 254일
폐위
복위
1354.12.04.
1376.08.12.
21년 257일
126
1376.08.12.
1379.07.01.
2년 323일
공동 황제[86]
1376.
1379.
3년
복위
1379.07.01.
1390.04.14.
10년 288일
복위
복위
1390.04.14.
1390.09.17.
156일
단독황제 복위와 폐위
복위
1390.09.17.
1391.02.16.
152일
복위
127
1391.02.16.
1425.07.21.
34년 155일
128
1425.07.25.
1448.10.31.
23년 104일
129
1449.01.06.
1453.05.29.
4년 143일
수도 함락, 멸망
전사[89]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후 명목상의 황제들
왕조
대수
이름
즉위(年月日)
퇴위(年月日)
재위기간
특이사항
퇴위 원인
1~2
1453.
1460.
-
콘스탄티노스 11세의 동생. 오스만에 항복
1453.
1465.
콘스탄티노스 11세의 막내동생. 교황령으로 망명 후 황제의 예우를 받다 로마에서 사망
3
1465.
1502.
1453년 출생. 자식 없이 사망. 동로마 황제 혈통의 소멸[90]

[1] 소 아그리피나에 의한 암살설도 있다.[2] 로마 역사상 최초의 공동 통치.[3]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루키우스 베루스와 마찬가지로 형제가 공동으로 제위에 올랐다. 모두 동생이 먼저 죽고 형이 이후 단독통치를 했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차이점은 루키우스 베루스는 자연사, 게타는 카라칼라의 손에 죽었다.[4] 이 사람은 세베루스 황제의 일족이 아니다.[5]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패해 포로로 잡힌 후 사망[6] 전쟁 중에 쳐놓은 천막에 벼락이 떨어져 사망. 하지만 사인이 너무 우연적이기 때문에 번개에 의한 죽음은 사실 암살을 은폐하기 위한 연막이었다는 주장도 있다.[7] 암살범은 친위대장 이페르로 추정. 이때 경호대장이 디오클레스였다. 이가 바로 훗날의 디오클레티아누스.[8] 디오클레티아누스와의 전투를 유리하게 이끌고 있었으나 부하에게 심장을 관통당해 죽었는데 그 이유는 부하의 아내를 유혹했기 때문이라고 한다.[9] 부황제에 있었던 기간 역시 통치 기간으로 정의한다.[10] 로마 제국 역사상 최초로 스스로 퇴위한 경우.[11]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자진 퇴위할 때 같이 퇴위.[12] 역시 부황제에 있었던 기간도 통치 기간으로 정의한다.[13] 나머지 둘은 위에 서술한 갈레리우스와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이기 때문에 생략한다.[14] 또는 독살. 리키니우스에게 패한 후 소아시아 남동부의 타르수스에서 사망. 에드워드 기번로마제국 쇠망사에서 Poison이 확실히 언급된 것으로 보아 사후 독살이나 독을 이용한 자살로 보인다.[15] 막시미아누스-막센티우스에게 항복한 이후 몇 달 있다가 307년 9월에 처형이 되었다.[16] 밀비우스 다리 전투에서 패하여 도주하던 중 전장에서 익사[17] 갈레리우스 사후 그 자리를 이어받은 인물이다. 콘스탄티누스 1세와 324년까지 강화를 맺었으나 결국 밀려난다.[18] 324년 9월 완전 항복 이후 다음해인 325년에 고트족과의 결탁을 구실로 처형이 되었다.[19]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의 아들로 기독교 공인이나 동방천도 등 역사의 물줄기를 많이 돌렸으며 기독교 쪽에서는 성 콘스탄티누스 대제라 부른다.[20]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의 아들로 기독교 공인이나 동방천도(당시에는 정식 천도보다는 행정수도 건설에 가까웠지만) 등 역사의 물줄기를 많이 돌림. 기독교 쪽에서는 성 콘스탄티누스 대제라 부른다.[21] 콘스탄스와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바로 형제싸움.[22] 휘하 장군 마그넨티우스의 반란이었다.[23] 콘스탄티우스 1세는 바로 할아버지인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24] 자신의 숙적을 후계자로 삼았다. 자세한것은 콘스탄티우스 2세 문서참고[25] 배교자란 뜻의 아포스타타란 별칭이 붙고 최후의 '이교도' 황제로 일컬어지지만 엄밀히 따지면 아니다. 그의 이후로도 공개적으로 이교도를 자처한 황제가 한 명 더 등장하기 때문이다.[26] 사실 서로마 제국 황제 가운데, '이교도 황제' 는 한 사람 더 있다. 밑의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말에 나오는 에우게니우스라는 사람인데, 다만 그는 정식 황제로 인정받은 적이 없다. 테오도시우스 1세가 전혀 인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식 황제가 아니었고 그래서 이교도 황제로 부르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27] 콰디족 사절단의 오만방자한 태도를 보고 열받아서 죽었다고 한다.[28] 형인 발렌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공동황제로 임명되어 동로마를 통치했다.[29] 하드리아노폴리스 전투 참조.[30] 일리리쿰에 주둔한 군인들에 의해 추대되었다.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어머니의 섭정을 받았다. 387년 형 그라티아누스를 죽인 찬탈자 마그누스 막시무스가 이탈리아로 쳐들어오자, 동로마로 망명을 갔고, 곧바로 동제 테오도시우스와 함께 서로마의 통치권을 되찾았으나, 서방의 유력한 장군인 플라비우스 아르보가스트에게 (높은 확률로)암살당했다.[31] 그라티아누스를 살해하고 황제에 오른 찬탈자다. 내전을 우려한 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일단은 황제로 인정받았다가, 동쪽으로 망명한 발렌티니아누스 2세와 테오도시우스에 서방 진군에 의해 패사한다.[32] 그라티아누스에 의해 동로마 황제로 임명되었다가 392년 발렌티니아누스 2세가 암살로 죽은 이후 아르보가스트와 그가 세웠던 대립황제 에우게니우스가 있었던 서로마를 공격해 394년 최후의 통일황제로 남게 되었다.[33] 콘스탄티누스 가문과는 큰 연관이 없다.[34] 이 사람을 정식 황제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후대 동로마의 요안니스(=요안네스) 1세 치미스케스가 논란의 여지가 없이 '1세'인 것이다. 만약 이 사람이 정식 황제로 인정받으면 논란의 여지가 있는데, 동서로마가 소위 분리되었다고 하는 395년 이후이기 때문에 요안네스(요안니스) 1세를 동로마 서로마 따로따로 매길 수도 있고, 반면 이 사람을 1세로 하고 후대의 치미스케스를 2세로 매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35] 2년간의 공백이 생긴 이유는 이때 동로마 제국에 체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36] 사실 암살이라고 하기도 뭐한 게 반달족의 근거지가 된 아프리카에 대한 원정에 실패한 뒤 귀환하던 그의 일행을 리키메르의 군대가 대놓고 공격해 몰살시켰기 때문이다.[37] 일부 사료에서는 자연사했다고 하고 다른 사료에서는 리키메르에게 독살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38] 아래에 나오는 올리브리우스가 추대되면서 내전이 일어났다. 최대의 정적이었던 리키메르의 군대가 안테미우스의 군대를 패퇴시키고, 안테미우스는 거지로 분장해서 성당에 숨어들었다가 발각되어 살해되었다.[39] 레오 1세는 절대로 이 사람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한다.[40] 리키메르의 조카인 군도발트가 실권을 잡은 뒤 암살했다.[41] 군도발트가 올린 허수아비 황제.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서로마 제국 황제로 지정한 율리우스 네포스가 쳐들어오자 항복했다.[42] 오도아케르에 의해서 폐위된 후 연금받고 살았다고 전해지지만 사망년도는 불명이다. 보통 율리우스 네포스가 다시 제위에 올랐지만, 역사학자들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43] 별명: 트라키아인[44] 독살당했다는 설도 있다.[45] 위의 플라비우스 왕조는 27년밖에 안 되는데도 불구하고, 772쪽 분량의 'Flavian Rome', 624쪽 분량의 A Companion to the Flavian Age of Imperial Rome이라는 단행본이 있을 정도이다. 특히 후자의 'A Companion to ~' Blackwell이라는 학술 전문 출판사가 특정 주제에 포커스를 맞춰서 내는 시리즈다. 즉 27년짜리의 짧은 왕조도 학계와 출판계에서는 진지한 학술적 분석의 대상이라는 이야기다.[46] 그것도 두 번 다 부계 숙질이 아니라 모계 숙질, 즉 외삼촌과 생질의 관계였다.[47] 그 이전에도 부대 단위로서 메로스(그리스어)가 유스티니아누스 1세 때부터 이미 들어와 있었다. 또한 이 시기부터 황제들의 인명 역시 그리스어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다만 라틴어식 표기를 아주 저버렸던 것 역시 아니니 유의. 그리고 첨언하자면 이후로도 표기 언어만 바뀐 것일 뿐, 법통은 당연히 그대로 이어지기 때문에 넘버링(무슨 황제 몇 세 할 때의 그것, 영어로는 Enumeration.) 또한 고대 로마와 절대 따로 하지 않고 같이 한다. 예컨대 동로마 제국 시대 마케도니아 왕조 때의 알렉산드로스 2세가 '2세' 인 이유는, 고대 로마 세베루스 왕조 때의 알렉산데르 세베루스가 같은 알렉산데르(알렉산드로스)이기 때문에 그를 1세로 꼽기 때문이다.[48] 이라클리오스의 첫째 아내의 아들[49] 독살 의혹도 강하게 존재하고 있다.[50] 이라클리오스의 둘째 아내의 아들, 그런데 그 둘째 아내라는 것이 다름 아닌 조카딸이다. 어지간한 문화권에서는 3촌 숙질 간의 근친관계에 대해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고, 당시의 제국도 마찬가지라서 총대주교 등 종교계와 수도 시민들로부터 근친혼이라고 비난받는 등 인기가 없었고, 여기에 강하게 제기되는 독살 의혹까지 겹쳐져서, 몇달 못 버티고 반대파를 등에 업은 콘스탄스에게 퇴위당한 후 신체훼손을 당한다.[51] 콘스탄티노스 3세의 아들, 별명: 털복숭이[52] 별명: 코가 없는 자[53] 이사브리아에서 출생해서 이 황제의 별칭이 이사브리아인이다.[54] 별명 : 똥싸개... 아기 때 세례받으면서 세례반에 똥을 쌌기 때문.[55] 하자로스. 어머니가 하자르족이었기 때문에 하자르인이라는 별명이 붙었다.[56] 눈이 뽑힌 후에 죽은 것은 사실인데, 자료마다 죽은 시기가 제각각이다.[57] of Athens라는 뜻. 아테네 출신이어서 이런 별명이 붙었다. [58] 불가르족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해골은 은도금되어 크룸의 술잔이 되었다.[59] 불가르족과의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퇴위 3개월 후 사망.[60] 최초의 성을 가진 황제.[61] 아르메니아 출생[62] 사냥을 하다가 사슴뿔에 들이받혀 죽었다고 하는데 암살을 당했다는 설도 있다.[63] 별명 : 현자[64] 1세는 알렉산데르 세베루스.[65] 독살로 추정됨[66] 요안니스 1세 치미스키스에게 살해당했다.[67] 별명: '치미스키스'는 별명. 쿠르쿠아스 가문 출신이다. 어머니가 니키포로스 2세의 여자 형제였으므로 니키포로스 2세의 친조카에 해당한다.[68] 독살로 추정이 된다.[69] 불가르인의 학살자라는 뜻이다.[70] 미하일 4세가 그를 암살하고 조이와 재혼해 황제가 되었다.[71] 파플라고니아인[72] 별명: 땜장이[73] 미하일 4세의 조카로 그의 양자가 되어 즉위[74] 권력에서 밀려나 있다가 단독 여황제로 복권[75][76] 별명: 노인[77] 성. 이후부터 모든 황제들은 성이 있음. 왕조가 있는 경우 그 왕조 구성원이 아닌 인물만 성 표기[78] 마이너스 1/4이란 뜻이다.[79] 만치케르트 전투의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폐위되었다.[80] 사냥 도중에 화살촉에 찔려 중독되어 패혈증으로 사망했다.[81] 안드로니코스에게 살해당한 뒤 보스포루스 해협에 던져졌다.[82][83] 별명:짙은 눈썹[84] 정식황제로는 인정받지 못했다. 그래서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노스가 11세가 되었다.[85] 성 : 테오도로스 1세의 데릴사위. 따라서 아들 테오도로스 2세의 성은 라스카리스[86] 반란으로 즉위했으나 폐위당했다.[87] 별명: 어머니의 성. 자신을 드라가시스로 칭하는 것을 좋아했다.[88] 참고로 이 사람의 조카 딸인 조이가 러시아의 이반 3세와 결혼해서, 이반 3세는 이걸로 자신이 '제3의 로마'의 황제라고 자칭했다.[89] 다만 오스만 제국 측 사료나 후대에 서유럽 역사가들이 쓴 사료 가운데에는 흔히 알려진 것과 달리 도시가 함락되는 순간 목을 맸다거나 겁을 먹고 도망치려다가 끔살당했다거나 하는 등의 내용도 보인다.[90] 다만 토마스 팔레올로고스의 딸인 조이 팔레올로기나가 러시아로 시집을 갔고(시집간 뒤엔 소피아로 개명), 그녀의 핏줄은 이후 1610년까지 이어졌다. 다만 그녀가 낳은 아이들의 성(姓)은 이미 팔레올로고스가 아니었으므로, 팔레올로고스 황가가 조이(소피아)를 통해 이어진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7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