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주(실리카겔)
최근 수정 시각: ()
분류
김한주 Kim Han-joo | |
본명 | 김한주 (金韓主, Kim Hanjoo) |
출생 | |
신장 | 183cm[1] |
가족 | 형[* (7살차이) [220824 인스타 라이브 30:25] |
학력 | |
병역 | |
그룹 | |
소속 | |
데뷔 | |
담당 | 건반, 보컬, 송라이팅, 기타[6] |
좌우명 | 사랑합시다. |
MBTI | |
서명 | |
SNS |
1. 개요 [편집]
2. 데뷔 전 [편집]
어릴 적에 피아노 학원을 다니던 중 재능이 있음을 알아본 강사의 제안으로 클래식 음악을 전문적으로 배우게 된다. 그러나 피아노 연주를 넘어 이를 컨트롤하는 작곡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예원학교에 입학하여 작곡을 전공하게 된다. 하지만 예원학교에 다니면서 클래식 음악에 대해 회의를 느끼던 중, 교수님께 클래식보다는 대중 음악에 더 잘 맞을 것 같다는 이야기를 들은 후 관심을 가지고 대학교에 작곡 전공으로 진학한다.
대학 시절 김건재의 주도 하에 모인 멤버들과 작업한 미디어아트 수업 과제를 계기로 실리카겔의 멤버로서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대학 시절 김건재의 주도 하에 모인 멤버들과 작업한 미디어아트 수업 과제를 계기로 실리카겔의 멤버로서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3. 그룹 활동 [편집]
4. 음반 [편집]
김한주의 단독 활동만 기록한 문단입니다. 2인 이상 그룹 활동은 실리카겔(밴드)/음반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 |
4.1. OST [편집]
김한주의 명의로 발매된 OST에 대해 서술함.
김한주의 OST 참여 목록 |
발매일 | 앨범 아트 | 앨범명 | 곡명 | 듣기 |
2021 | ||||
먹보와 털보 OST | Sunset | |||
2022 | ||||
Rushlight | ||||
Rushlight (Inst.) |
4.2. 참여 음반 [편집]
타 아티스트 음반에 참여한 기록 중 김한주의 보컬이 포함된 것을 서술함.
김한주의 참여음반 목록 |
발매일 | 앨범 아트 | 앨범명 | 곡명 | 듣기 | 아티스트 | 비고 | 프로듀싱 |
2021 | |||||||
lights | lights (Feat.Kim Hanjoo) | 피처링 | 작사/ 공동 작곡/ 공동 편곡 | ||||
2022 | |||||||
Prophet (feat.김한주) | 피처링 | 작사/ 공동 작곡 | |||||
러브플라워 | 러브송 (Feat.김한주) | 피처링 | 작사/ 공동 작곡 | ||||
Monika Remix | lights (Feat.Kim Hanjoo) [NET GALA nightfall Mix] | 피처링 | 작사/ 공동 작곡 | ||||
2023 | |||||||
Slur | Yawn (Feat.Kim Hanjoo & sokodomo) | KONA | 피처링 | 공동 작사/ 공동 작곡 | |||
jericho (Feat.Kim Hanjoo) | 피처링 | 공동 작사/ 공동 작곡 | |||||
Invisible Man (Feat.Kim Hanjoo) | 피처링 | 공동 작곡/ 편곡 | |||||
2024 | |||||||
Debugging | Blue Screen (Feat.김한주) | 피처링 | 공동 작사/ 공동 작곡 | ||||
TCI (Feat. 안흥찬, 김오키, 김한주) | 피처링 | - | |||||
Bat Apt. | Life of... | 컴필레이션 | 작사/작곡/편곡 | ||||
humanly possible (Feat.Kim Hanjoo) | 피처링 | 공동 작사 | |||||
2025 | |||||||
Vacation | Vacation (Feat. Kim Hanjoo) | 피처링 | - | ||||
4.3. 프로듀싱 [편집]
타 아티스트의 음반에 참여한 기록 중 보컬로 참여하지 않은 것에 대해 서술함. (작사, 작곡, 편곡 등)
김한주의 프로듀싱 참여 목록 |
발매일 | 아티스트 | 앨범명 | 곡명 | 참여 내역 | 듣기 | 비고 | ||
작사 | 작곡 | 편곡 | ||||||
2021 | ||||||||
tellusboutyourself Remixes | Lovegame (Kimhanjoo Remix) | - | - | 단독 | 리믹스 (원곡) | |||
2024 | ||||||||
공동 | 공동 | - | ||||||
공동 | 공동 | - | ||||||
공동 | 공동 | - |
5. 사용 장비 [편집]
5.1. 신디사이저 [편집]
- Expressive E Osmose
- Roland SH-3A
실리카겔 공연에선 사용하지 않으며, 실리카겔의 곡 데모를 작업할 때 사용한다.
- Roland D-50
24년 12월 14일, 16일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올라왔다.
- Moog Minimoog Model D
Walnut Limited Edition이다. 2024 부산 국제 록 페스티벌 부터 <Sister>의 리드 신스 연주, <Juxtaposition>의 신디사이저 솔로 일명 한주의 빨래판신디 등을 연주 할 때 사용한다.
- Clavia Nord Lead 2X
2016년 활동 당시에 사용했으며, 현재는 실리카겔의 데모를 작업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 Sequential Mopho x4
2016년 활동 당시에 사용했으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 Sequential OB-6
2016~2018년 활동 당시에 사용했으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 Sequential Prophet X [A]
2024 부산 국제 록 페스티벌부터 사용했으며 <Sister>, <Juxtaposition>의 초반 드럼을 연주 할 때 사용한다.[10]
- Teenage Engineering Pocket Operator PO-16 factory
Teenage Engineering의 포켓 오퍼레이터 중에서도 마이크가 없는 구버전이다. <Juxtaposition> 도입부 클릭 사운드를 메이킹 했을 때 사용했다.
- Teenage Engineering Pocket Operator PO-33 K.O!
Teenage Engineering의 포켓 오퍼레이터 중에서도 마이크가 있는 버전이다. 빠더너스의 오.당.기 컨텐츠에서 문상훈에게 선물받았다.
- UDO Super-6 Desktop
UDO의 데스크탑 신디사이저 Super-6 Desktop이다. 실리카겔 공연에선 사용하지 않으며, 실리카겔의 곡 데모를 작업할 때 사용한다.
- KORG Microsampler
5.2. 마스터 키보드 [편집]
- Arturia Keylab 61 MkII
실리카겔 단독공연 'Syn.THE.Size III'부터 2024 부산 국제 록 페스티벌 이전까지 <T>의 0:22~ 등 많은 곡을 연주할 때 사용했었다. 안국전자음악단 인터뷰에 따르면 Apple의 키보드 라이브 전용 소프트웨어 Mainstage를 Keylab 61과 연동하여 건반을 부분으로 나누어(예를 들어 한부분은 신디사이저 가상악기로, 또 한부분은 샘플러 구간으로) 사용하여 여러 개의 신디사이저가 없어도 다양한 곡을 연주할 수 있었다고 한다.
5.3. 샘플러 [편집]
5.4. 이펙터 [편집]
5.5. 그 외 [편집]
- 주로 쓰는 플러그인은 MeldaProduction의 MUnison 등 M~ 시리즈. MeldaProduction의 플러그인들을 다 좋아해서 아예 번들 풀세트를 구매했다고 한다.
- 이외에도 iZotope의 보컬 신스 시리즈를 애용한다.
- <NO PAIN> 작업 때는 상술한 MUnison과 더불어 UAD Brigade Chorus 같은 다양한 코러스 플러그인을 함께 사용했다고.
- 공연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흰색 마이크는 Sennheiser MD421-2 vintage microphone.
- 일렉트릭 기타 중에서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Fender USA American Professional II Jazzmaster의 Dark Night 색상을 개인 인스타그램 공지채널에 올린 적이 있다.[14] 2023 멜론 뮤직 어워드 등 공연에서도 사용한 기타.
- 무대에서 종종 김한주가 기타를 맬 때가 있는데 그 기타는 상기 서술한 기타를 제외하고 대부분 김춘추의 것이다. 김한주가 맨 기타 정보가 궁금하다면 김춘추의 사용장비를 보도록 하자.
- Desert Eagle 공식 M/V 및 퍼포먼스 비디오에서 연주한 일렉트릭 기타는 Epiphone Wilshire Pro Cherry Red. 최웅희의 것으로 추정된다, EBS 스페이스 공감 NEO SOUL 라이브때 쓰고있는모습을 볼수있다.
- 그 후 2017~2018년부터는 Ableton Liv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
6. 여담 [편집]
- 실리카겔 인터뷰나 공연에서 주도적으로 멘트를 하는 편이다.
- 음악 장비를 구매할 땐 개성이 강한 악기 성향의 장비 위주로 구매하는 편이다. 음향과 관련된 장비들은 실리카겔 멤버 김춘추를 통해 충분히 채워지기 때문에 본인은 자연스럽게 음악에 창의적 요소를 끌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장비를 구매하게 되었다고.
- 실리카겔의 모든 멤버가 작곡에 참여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곡을 쓰는 편이다. NO PAIN 작업기를 담은 [NO PAIN : THE WORLD WITHOUT MUSIC] ep.01 Impression에 따르면 주로 러프하게 작업한 악보나 음원을 멤버들에게 보내고 함께 완성도를 더하면서 곡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 20대 초반 시절 3호선 버터플라이의 객원 키보디스트로 활동했었다.
- 그 다음으로는 사카모토 류이치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어릴 적부터 클래식으로 음악을 시작하여 전자음악과 밴드음악, 영화음악까지 영역을 넓혔던 사카모토 류이치의 궤적과 자신의 삶이 겹쳐지는 부분이 많은 것 같다고.
- 팟캐스트 김혜리의 필름클럽 사카모토 류이치 특집 방송에서 게스트로 출연했다.
- 2025년 4월 17일 <류이치 사카모토 | 플레잉 디 오케스트라> 영화 GV에 참여했다.
- 라디오헤드의 톰 요크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중학교 입학 후 고전음악이 아닌 범주의 음악을 듣고 최초로 충격받았던 음악이 라디오헤드의 음악이었다고. 제일 좋아하는 곡은 라디오헤드의 1집 Pablo Honey의 트랙 Blow Out. 여담으로, 라디오헤드를 처음 접했을 때 1집에서 Creep이라는 곡이 그렇게 유명한지 전혀 몰랐다고 한다. 2024년 10월 11일 공개되었던 KEXP 라디오 방송에서도 톰 요크를 언급한 적이 있다.
- 영화 감독 안드레이 타르콥스키로부터 예술관에 큰 영향을 받았다. 타르콥스키의 모든 장편을 감상하였으며, 동료가 선물해준 <봉인된 시간>을 심취해서 읽었다고. 이후 재번역본인 <시간의 각인>을 황소윤에게 선물받았다고 한다.[B]
- 원오트릭스 포인트 네버에게도 영향을 받았다. <Kyo181>은 원오트릭스 포인트 네버의 샘플링 기반 노이즈를 활용한 작업에서 영향을 받은 곡이라고 한다.
-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모던록 부문에서 수상 받은 곡 <Desert Eagle>과 <NO PAIN>이 사실 힘든 시기에 작업했던 곡이었음을 언급하며, 다음 번엔 행복하게 만든 곡이 수상 후보에 오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수상 소감을 밝힌 바 있다.
- <NO PAIN>이 이전의 실리카겔의 음악보다 더욱 친절해진 곡이라는 평에 대해, 적극적인 곡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한 것 같다고 언급한 적 있다. 김한주가 평소 음악과 음악 팬들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는지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 밴드맨이라는 의식이 없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밴드맨으로서의 의식이 투철했다면 아마 지금 실리카겔의 음악은 안나왔을 것 같다고. 아무래도 평소 작업하는 음악 분야의 범주가 영화음악, 게임음악, 고전음악 등으로 넓기 때문으로 보인다.
- 실리카겔 외에도 isvn games나 다양한 전시 및 공연, 영화를 비롯한 콘텐츠 음악 디렉팅, 프로듀싱, 브랜드 화보 촬영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 2024년 11월 7일~8일 리움미술관 2024 아트 스펙트럼 <드림스크린> 김무영 <미간 위 집> 전시에서 피아노 퍼포먼스로 참여했다.
- 2024년 11월 30일~ 2025년 3월 16일 진행된 부산현대미술관의 <백남준, 백남준, 그리고 백남준> 전시에서 오디오 가이드(전시 해설 녹음)에 참여했다. 큐피커(Qpicker) 모바일 앱을 다운받으면 누구나 청취할 수 있다. 앱 다운로드 후 해당 링크를 누르면 바로가기가 발동됩니다. 앱 미다운로드 시 다운로드 링크로서 기능합니다.
- 할로미늄의 경우 시즌 음악도 제작한 적 있다. 김한주의 사클을 통해 2019년 시즌 음악인 wish I had a friend like me를 들어볼 수 있으며, 2024년 8월 23일~ 시즌 음악은 현재 할로미늄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들어볼 수 있다. 음원 다운로드 링크도 있다.
- 2025년 4월 25일 마리끌레르 영화제에서 영화 <해피 엔드> GV에 참여했다.
- 김한주에 대한 첫 인상으로 실리카겔 멤버 김춘추가 말하길, 당시 김한주는 매우 긴 곱슬머리였다고 한다. 김한주 본인의 말에 따르면 MGMT를 따라하고 싶었다고.
- 2024년 7월 28일 빠더너스 유튜브 채널의 오당기 컨텐츠에 출연했다.
- 평소 아이패드와 작은 책 하나를 항상 가지고 다닌다. 메모하는 습관이 있기도 하고 웬만한 일들은 거의 다 아이패드로 한다고 한다.
- 음원서비스 플랫폼 중에서는 스포티파이를 사용한다.
- n행시를 잘한다
좋아한다.
김한주가 짱이야, 한 번에 모든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곤 합니다, 주기는 다음 곡은 Kyo181~
[1] 181cm에서 183cm로 자랐다고 밝혔다. 신장에 착안하여 쓴 곡 제목으로 2020년 발표된 실리카겔의 'Kyo181'이 있다. 그렇게 큰 의미는 아니라고 한다.[2] 출처[3] 실용음악과 시절 재학 및 중퇴했다. 고등학교를 1학년 2학기 때 중퇴한 후, 18살 때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입시를 치러 19살인 2012년에 입학했다.[4] 인터뷰[5] 결성 발표
파일:웃참퍼 결성.png[6]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타는 Fender Jazzmaster로, 본인이 소장 중인 Dark Night 색상과 김춘추 소장(현재 매각)인 3TS 색상 두 종류가 있다.(사용장비 문단의 '그 외' 참고.) 2024년 5월 'Syn.THE.Size III'부터는 기타를 매지 않고 세션 주 포지션인 건반에 집중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7] 음반은 그룹명인 박쥐단지 명의로, 곡은 Kim Hanjoo 명의로 발매되었다.[8] 실리카겔이 편곡하여 부른 버전도 있다.
[A] 9.1 9.2 Sequential의 신디사이저 Prophet 시리즈는 <NEO SOUL> 중 '춤추는 prophet'이라는 가사로 언급되기도 하였다.[10] 실리카겔 무대에서 사용하던 샘플러 Roland SP-404 MKII이 없어진 관계로 Prophet X로 연주하는듯 하다.[12] 라이브를 할 때만 사용한다.[13]
파일: 김한주 첫 6현베이스.jpg[14]
파일:김한주 재즈마스터 다크나이트.jpg[15] 파일:귀여운 한쥬.jpg[16] (페스티벌 공연 전 올린 인스타 게시글 中)
올해 많은 고민거리가 있었지만 그중 가장 주요한 것은 무대에서 좋은 소리를 확성 시키는 방법이었어요. 신디사이저의 사운드 디자인과 시그널 체인, 미디 프로그래밍, 멀티트랙레코딩과 연계, 그에 따른 재편곡 과정과 수많은 패칭 및 샘플링 등 해야 할 일이 정말 다양했습니다. 그렇게 완성된 사운드 시스템을 오늘 공개하려고 해요. 수개월간 수천만원을 태워서 수많은 시도 끝에 구축해 본 라인업이고, 여태 국내에서 이 정도로 견고한 신디사이저 시스템을 시도한 경우는 못 봤어요. 부산록페스티벌 보러오신 분들은 꼭 지켜봐주세요.[B] 17.1 17.2 17.3 17.4 출처[18] "No Pain, No Fail, 음악 없는 세상
<NO PAIN>[19] 음악 없는 나라로, 죽은 분들의 세계로
<Desert Eagle>[21] 파일:춘추를깔고자는한주.jpg[22] 파일:한주와소바.jpg[23] 설리의 친구로 알려진 적 있는 미미[26] 1F972, 행복해서 눈물을 흘리는 얼굴
파일:웃참퍼 결성.png[6]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타는 Fender Jazzmaster로, 본인이 소장 중인 Dark Night 색상과 김춘추 소장(현재 매각)인 3TS 색상 두 종류가 있다.(사용장비 문단의 '그 외' 참고.) 2024년 5월 'Syn.THE.Size III'부터는 기타를 매지 않고 세션 주 포지션인 건반에 집중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7] 음반은 그룹명인 박쥐단지 명의로, 곡은 Kim Hanjoo 명의로 발매되었다.[8] 실리카겔이 편곡하여 부른 버전도 있다.
파일: 김한주 첫 6현베이스.jpg[14]
파일:김한주 재즈마스터 다크나이트.jpg[15] 파일:귀여운 한쥬.jpg[16] (페스티벌 공연 전 올린 인스타 게시글 中)
올해 많은 고민거리가 있었지만 그중 가장 주요한 것은 무대에서 좋은 소리를 확성 시키는 방법이었어요. 신디사이저의 사운드 디자인과 시그널 체인, 미디 프로그래밍, 멀티트랙레코딩과 연계, 그에 따른 재편곡 과정과 수많은 패칭 및 샘플링 등 해야 할 일이 정말 다양했습니다. 그렇게 완성된 사운드 시스템을 오늘 공개하려고 해요. 수개월간 수천만원을 태워서 수많은 시도 끝에 구축해 본 라인업이고, 여태 국내에서 이 정도로 견고한 신디사이저 시스템을 시도한 경우는 못 봤어요. 부산록페스티벌 보러오신 분들은 꼭 지켜봐주세요.[B] 17.1 17.2 17.3 17.4 출처[18] "No Pain, No Fail, 음악 없는 세상
<NO PAIN>[19] 음악 없는 나라로, 죽은 분들의 세계로
<Desert Eagle>[21] 파일:춘추를깔고자는한주.jpg[22] 파일:한주와소바.jpg[23] 설리의 친구로 알려진 적 있는 미미[26] 1F972, 행복해서 눈물을 흘리는 얼굴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