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최근 수정 시각: ()
4대 성인
공자
孔子
파일:공자.png
공자의 모습
구(丘)
출생
B.C 551년 9월 28일
노 곡부 창평향 추읍
사망
B.C 479년 3월 4일
노 곡부 창평향 추읍
가족관계
아버지 계성왕
어머니 안징재
아들 사수후 공리
손자 기수후 공급
종교
유교

1. 개요2. 역사

1. 개요 [편집]

어디를 가든지 마음을 다해 가라

공자는 기원전 6세기경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이자 교육자이며, 유교(儒敎)의 창시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명은 공구(孔丘), 자는 중니(仲尼)로, 노나라 출신이다. 당시 혼란스럽고 전쟁이 끊이지 않던 시대 속에서, 그는 도덕과 예의, 인간관계의 질서를 회복함으로써 사회 전체의 조화를 이루고자 했다. 공자는 정치적 이상과 도덕적 실천을 연결지으려 했으며, 특히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과 같은 덕목을 중심으로 한 윤리 체계를 강조했다.

2. 역사 [편집]

공자는 관직에 나아가 이상 정치를 실현하려 했으나, 뜻을 펼치지 못하고 각국을 유랑하며 제자들에게 가르침을 전파했다. 그의 교육은 신분과 출신을 가리지 않고 누구에게나 열려 있었고, “가르침에는 차별이 없다”는 평등한 교육 이념을 실천한 선구자였다. 그의 수많은 제자 중에는 후에 여러 나라에서 고위 관직에 오른 인물도 있었으며, 이들이 스승의 사상을 이어받아 유학을 체계화하고 확산시켰다.

공자의 사후, 제자들이 그의 말을 엮어 만든 《논어》는 유교 사상의 핵심 문헌이 되었으며, 수천 년에 걸쳐 동아시아 문화권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공자는 단순한 철학자를 넘어서 성인(聖人)으로 숭배되었으며, 중국에서는 공묘를 세워 제사를 지내고 관학에서 그의 가르침을 기본으로 삼았다. 그는 정치와 도덕, 인간관계에 대한 깊은 통찰을 통해 인간이 어떻게 바르게 살아야 하는지를 제시한 인물로, 오늘날에도 ‘군자’의 이상을 대표하는 사표로 남아 있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