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Imagine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Imagine]][[분류:1971년 앨범]][[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빌보드 200 1위 음반]][[분류:존 레논]][[분류:팝 록]][[분류:Dolby Atmos 지원 음반]] [include(틀:다른 뜻, 설명1=앨범에 수록된 동명의 곡, 설명2=Microsoft의 교육 프로그램, 문서명1=Imagine(노래), 문서명2=Microsoft Imagine)] [include(틀:존 레논/음반 목록)]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6b867e><tablebgcolor=#b3beb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6b867e '''Imagine의 주요 수상'''}}}}}} || ||<bgcolor=#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Uproxx 선정 10대 포스트 비틀즈 명반)] ---- [include(틀:Paste 선정 10대 포스트 비틀즈 명반)] ---- [include(틀:FNAC 선정, 리스트링크=FNAC 선정 1000대 명반, 리스트명=1000대 명반, 순위1=, 순위2=, 순위3=, 음반명1=, 음반명1출력글자=, 음반명2=, 음반명2출력글자=, 음반명3=, 음반명3출력글자=, 아티스트1=, 아티스트1출력글자=, 아티스트2=, 아티스트2출력글자=, 아티스트3=, 아티스트3출력글자=)] ---- }}} || ||<-2><tablebordercolor=#6b867e><tablewidth=500><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b3beb3> '''{{{#6b867e {{{+1 Imagine}}}}}}''' || ||<-2><nopad> [[파일:Imagine.jpg|width=100%]] || ||<colbgcolor=#b3beb3><colcolor=#6b867e><width=25%> '''발매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1971년]] [[9월 9일]][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1971년]] [[10월 8일]]|| || '''녹음일''' ||[[1971년]] 2월 11일 - 12일, 5월 24일 - 7월 5일 || || '''장르''' ||[[팝 록]], [[싱어송라이터(장르)|싱어송라이터]] || || '''재생 시간''' ||39:29 || || '''곡 수''' ||10곡 || || '''프로듀서''' ||[[존 레논]][br][[오노 요코]][br][[필 스펙터]] || || '''스튜디오''' ||애스콧 사운드 스튜디오[br]레코드 플랜트[br][[애비 로드 스튜디오]] || || '''레이블''' ||애플 레코드 || ||<tablewidth=300><nopad><colbgcolor=#b3beb3><colcolor=#6b867e><tablebordercolor=#6b867e> [[파일:lennon_holding_pig.jpg|width=100%]] || || 앨범 내부 엽서사진. 이것이 [[Ram(음반)|뭘 의미하냐면]]... || [목차][clearfix] == 개요 == ||<:><-5><bgcolor=#FFFFFF> {{{+1 [[빌보드 200]] {{{#B2A529 ''' 역대 1위 앨범 ''' }}} }}} || ||<:><width=20%><bgcolor=#FFE400> Every Picture Tells a Story ||<:><bgcolor=#FFE400> {{{+1 → }}} ||<:><width=20%><bgcolor=#FFE400> [[Imagine]] ||<:><bgcolor=#FFE400> {{{+1 → }}} ||<:><width=20%><bgcolor=#FFE400> Shaft || ||<nopad><tablealign=center><colbgcolor=#b3beb3><colcolor=#6b867e><tablebordercolor=#6b867e>[youtube(YkgkThdzX-8?t=40)]|| || '''[[Imagine(노래)|{{{#6b867e Imagine}}}]] 뮤직비디오''' || [[1971년]] 9월 9일에 발매된 [[존 레논]]의 두 번째 솔로 앨범. 존 레논 사후 [[오노 요코]]에 의해서 세워진 [[뉴욕]] [[센트럴 파크]]에 있는 추모 광장 '스트로우베리 필즈'의 중앙에 새겨진 단어이기도 하다. 앨범 아트는 오노 요코가 찍은 [[폴라로이드]] 사진을 활용한 것. == 상세 == 총 10개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작인 [[John Lennon/Plastic Ono Band]]가 비틀즈 해체 시기 자신의 개인사에 대한 독백을 주로 담았다면, 본작은 [[평화주의|반전]]과 [[평화]]에 대한 메시지를 담은 곡의 비중이 높아졌다. "[[Imagine(노래)|Imagine]]" 외에 "[[I Don't Wanna Be A Soldier]]", "[[Gimme Some Truth]]" 같은 곡들이 이에 해당한다. 대중들에게 "[[Jealous Guy]]", "[[Oh My Love]]"도 유명하다. 사운드 측면에서 두드러지는 점은 현악 세션인 'Flux Fiddlers'[* 단순 세션 인력들이 아니라, '''[[뉴욕 필하모닉]]'''의 현악부 단원들이다.]와의 협업이 앨범 수록곡 다수에 걸쳐 이뤄져서 스트링의 사용이 현저하게 늘었다. 이 때문에 전작 [[John Lennon/Plastic Ono Band]]와 비교하면 훨씬 부드럽고 풍성한 사운드가 되었다. 거친 금속성 연주로 이뤄진 트랙을 비교해봐도 전작의 "[[Well Well Well]]" 같은 트랙보다 "[[I Don't Wanna Be A Soldier]]" 쪽이 훨씬 정제된 사운드를 들려준다. 때문에 전작이 실험적인 사운드와 우울한 정서로 인해 상업적으로는 실패한 것과 반대로, Imagine은 성공을 거둔다. 영국과 미국 앨범 차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특이하게도 '[[How Do You Sleep?]]이라는 곡에서 함께 비틀즈를 이끌었던 [[폴 매카트니]]를 [[디스(비판)|까고 있다]]. 이는 폴 매카트니 또한 자신의 앨범 '[[Ram(음반)|Ram]]'에서 "[[Too Many People]]"이라는 곡을 통해 존 레논에 대한 심정적인 앙금을 드러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곡을 비롯하여 다수 트랙에 [[조지 해리슨]]이 세션 기타리스트로 참여하기도 했다. 앨범의 제작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에서 당시 폴 매카트니를 대하는 조지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레논의 저택에서 같이 음반을 구상하고 있는 장면을 촬영할 때, [[오노 요코]]가 "한때 4인조 그룹 [[비틀즈]]의 멤버들인..."이라 이야기를 시작하자, 조지는 곧바로 "3인조야."라고 정정해버리는데 이는 곧 '폴은 비틀즈의 멤버로 인정하기 싫다.'는 뜻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사실 현 시점 대중들에게 비틀즈의 해체 시점은 폴이 탈퇴를 발표한 1970년 [[4월 10일]]로 기억되고 있지만, 저 당시만 해도 밴드 해산을 두고 민사 소송이 진행되던 상황이었다. 그러니 탈퇴를 선언한 폴을 빼고 카운트하는 게 딱히 틀린 말은 아니었던 것.] 그런데 정작 말년에 존과 폴은 화해하고, 심지어 조지마저 폴과 서로 화해하지만 도리어 존과 조지의 사이가 틀어지고 만다.[* 사실 폴과 존을 비롯한 비틀즈의 멤버들이 해체에 이를 정도로 사이가 멀어진 결정적인 이유는 매니저였던 [[브라이언 엡스타인]]의 사망 이후 매니저먼트 방향에 대한 의견의 불일치 때문. 폴을 제외한 나머지 멤버들이 편을 들었던 매니저 앨런 클라인이 그들과 [[롤링 스톤즈]]의 음반의 판권과 세금에 관련된 온갖 소송에 휘말리고, 폴의 의견을 따랐어야 했다는 후회를 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화해를 하게 된 것이다.] == 평가 == [include(틀: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 점수=★★★★)] [include(틀:올뮤직, 링크=https://www.allmusic.com/album/imagine-mw0000198860, 점수=★★★★★)] [include(틀:RYM, 링크=https://rateyourmusic.com/release/album/john-lennon/imagine/, 점수=3.70)] == 트랙리스트 == [include(틀:Imagine)] === Side A === ==== [[Imagine(노래)|Imagine]] ==== ||<nopad><tablebordercolor=#6b867e><tablealign=center> [youtube(rAn-AWXtHv0, height=190)]|| ||<tablebgcolor=#fff><tablecolor=#191919>[anchor(Shadow)]'''{{{+1 Imagine}}}'''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nclude(틀:색상 수평줄, 색상=#6b867e)] {{{#!wiki style="margin: -10px 0 0 0" '''You may say I'm a dreamer''' {{{-2 당신은 저를 몽상가라고 하겠지만}}} {{{#!wiki style="margin: 10px 0 0 0" '''But I'm not the only one''' {{{-2 저는 혼자가 아니랍니다}}}{{{#!wiki style="float: right; margin-right: .5em; margin-top: 1.2em; font-size: .9em" {{{#6b867e 3:03}}}}}}}}}}}}}}} || ==== [[Crippled Inside]] ==== ||<nopad><tablebordercolor=#6b867e><tablealign=center> [youtube(EX7roXRmkOU, height=190)]|| ||<tablebgcolor=#fff><tablecolor=#191919>[anchor(Shadow)]'''{{{+1 Crippled Inside}}}'''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nclude(틀:색상 수평줄, 색상=#6b867e)] {{{#!wiki style="margin: -10px 0 0 0" '''One thing you can't hide''' {{{-2 한 가지 네가 숨길 수 없는 건}}}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s when you're crippled inside''' {{{-2 네 속은 썩어 있다는거야}}}{{{#!wiki style="float: right; margin-right: .5em; margin-top: 1.2em; font-size: .9em" {{{#6b867e 3:47}}}}}}}}}}}}}}} || ==== [[Jealous Guy]] ==== ||<nopad><tablebordercolor=#6b867e><tablealign=center> [youtube(3O4J4DH4tyo, height=190)]|| ||<tablebgcolor=#fff><tablecolor=#191919>[anchor(Shadow)]'''{{{+1 Jealous Guy}}}'''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nclude(틀:색상 수평줄, 색상=#6b867e)]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 was dreaming of the past''' {{{-2 과거를 꿈꾸던 중이었어요}}} {{{#!wiki style="margin: 10px 0 0 0" '''And my heart was beating fast''' {{{-2 제 심장은 빠르게 뛰었죠}}}{{{#!wiki style="float: right; margin-right: .5em; margin-top: 1.2em; font-size: .9em" {{{#6b867e 4:14}}}}}}}}}}}}}}} || ==== [[It's So Hard]] ==== ||<nopad><tablebordercolor=#6b867e><tablealign=center> [youtube(7ZHt8xyeVMg, height=190)]|| ||<tablebgcolor=#fff><tablecolor=#191919>[anchor(Shadow)]'''{{{+1 It's So Hard}}}'''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nclude(틀:색상 수평줄, 색상=#6b867e)] {{{#!wiki style="margin: -10px 0 0 0" '''But it's so hard, it's really hard''' {{{-2 근데 너무 어려워, 정말로 어려워}}} {{{#!wiki style="margin: 10px 0 0 0" '''Sometimes I feel like going down''' {{{-2 가끔씩 나는 다 그만두고 싶어져}}}{{{#!wiki style="float: right; margin-right: .5em; margin-top: 1.2em; font-size: .9em" {{{#6b867e 2:25}}}}}}}}}}}}}}} || ==== [[I Don't Wanna Be A Soldier]] ==== ||<nopad><tablebordercolor=#6b867e><tablealign=center> [youtube(jMk673yHrJE, height=190)]|| ||<tablebgcolor=#fff><tablecolor=#191919>[anchor(Shadow)]'''{{{+1 I Don't Wanna Be A Soldier}}}'''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nclude(틀:색상 수평줄, 색상=#6b867e)] {{{#!wiki style="margin: -10px 0 0 0" '''Well, I don't wanna be a soldier, mama''' {{{-2 저는 군인이 되고 싶지 않아요 엄마}}}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 don't wanna die''' {{{-2 죽고 싶지 않아요}}}{{{#!wiki style="float: right; margin-right: .5em; margin-top: 1.2em; font-size: .9em" {{{#6b867e 6:05}}}}}}}}}}}}}}} || === Side B === ==== [[Gimme Some Truth]] ==== ||<nopad><tablebordercolor=#6b867e><tablealign=center> [youtube(UaiGABTj0aA, height=190)]|| ||<tablebgcolor=#fff><tablecolor=#191919>[anchor(Shadow)]'''{{{+1 Gimme Some Truth}}}'''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nclude(틀:색상 수평줄, 색상=#6b867e)]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m sick and tired of hearing things''' {{{-2 나는 틀에 박혀 앞을 보지 못하는}}} {{{#!wiki style="margin: 10px 0 0 0" '''From uptight, short-sighted Narrow-minded hypocritics''' {{{-2 속 좁은 위선자들의 말을 듣는데 지치고 질렸어}}}{{{#!wiki style="float: right; margin-right: .5em; margin-top: 1.2em; font-size: .9em" {{{#6b867e 3:19}}}}}}}}}}}}}}} || ==== [[Oh My Love]] ==== ||<nopad><tablebordercolor=#6b867e><tablealign=center> [youtube(u3QZVdqUidw, height=190)]|| ||<tablebgcolor=#fff><tablecolor=#191919>[anchor(Shadow)]'''{{{+1 Oh My Love}}}'''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nclude(틀:색상 수평줄, 색상=#6b867e)] {{{#!wiki style="margin: -10px 0 0 0" '''Oh my love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 {{{-2 내 인생의 첫번째 사랑이여}}} {{{#!wiki style="margin: 10px 0 0 0" '''My eyes are wide open''' {{{-2 제 눈은 활짝 떠졌답니다}}}{{{#!wiki style="float: right; margin-right: .5em; margin-top: 1.2em; font-size: .9em" {{{#6b867e 2:44}}}}}}}}}}}}}}} || ==== [[How Do You Sleep?]] ==== ||<nopad><tablebordercolor=#6b867e><tablealign=center> [youtube(teD9t-lO_o0, height=190)]|| ||<tablebgcolor=#fff><tablecolor=#191919>[anchor(Shadow)]'''{{{+1 How Do You Sleep?}}}'''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nclude(틀:색상 수평줄, 색상=#6b867e)] {{{#!wiki style="margin: -10px 0 0 0" '''So Sgt. Pepper took you by surprise''' {{{-2 그래, 페퍼상사는 널 깜짝 놀라게 했지}}} {{{#!wiki style="margin: 10px 0 0 0" '''You better see right through that mother's eyes''' {{{-2 너는 엄마가 시키는대로 사는게 나은 놈이야}}}{{{#!wiki style="float: right; margin-right: .5em; margin-top: 1.2em; font-size: .9em" {{{#6b867e 5:40}}}}}}}}}}}}}}} || ==== [[How?]] ==== ||<nopad><tablebordercolor=#6b867e><tablealign=center> [youtube(5pQ9To3DMuo, height=190)]|| ||<tablebgcolor=#fff><tablecolor=#191919>[anchor(Shadow)]'''{{{+1 How?}}}'''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nclude(틀:색상 수평줄, 색상=#6b867e)] {{{#!wiki style="margin: -10px 0 0 0" '''How can I go forward when I don't know which way I'm facing?''' {{{-2 어떤 길을 걷는지도 모른다면 어떻게 나아갈 수 있을까?}}} {{{#!wiki style="margin: 10px 0 0 0" '''How can I go forward when I don't know which way to turn?''' {{{-2 어디에서 되돌아가야 할지도 모른다면 어떻게 나아갈 수 있을까?}}}{{{#!wiki style="float: right; margin-right: .5em; margin-top: 1.2em; font-size: .9em" {{{#6b867e 3:43}}}}}}}}}}}}}}} || ==== [[Oh Yoko!]] ==== ||<nopad><tablebordercolor=#6b867e><tablealign=center> [youtube(itk-ndTnNWc, height=190)]|| ||<tablebgcolor=#fff><tablecolor=#191919>[anchor(Shadow)]'''{{{+1 Oh Yoko!}}}'''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nclude(틀:색상 수평줄, 색상=#6b867e)]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n the middle of the night''' {{{-2 깊고 어두운 밤에도}}} {{{#!wiki style="margin: 10px 0 0 0" '''In the middle of the night, I call your name''' {{{-2 한밤중에 난 너의 이름을 불러}}}{{{#!wiki style="float: right; margin-right: .5em; margin-top: 1.2em; font-size: .9em" {{{#6b867e 4:21}}}}}}}}}}}}}}} || == [[다큐멘터리]] == '''영화 <존 레논의 이매진 (Imagine: John Lennon)>'''은 바로 위의 음반을 창작하는 과정을 촬영한 것을 겉으로 다루면서 그 속에는 [[존 레논]]의 삶과, 오노 요코를 만나 변화된 레논의 모습을 다루는 전기 다큐멘터리 작품이다. 1971년, 위의 앨범을 만들기 전까지 그동안 촬영했던 필름 중에서 마음에 드는 부분을 레논이 직접 골라 자기 스스로 나레이션을 덧붙여 놓은 것들을, [[1988년]]에 한 편의 영화로 재구성한 작품. 비틀즈 시절의 존과, 솔로 시절의 존의 모습을 거의 동등하게 다룬 작품으로서 레논 팬이라면 반드시 보아야 할 작품. 1988년 당시의 [[조지 마틴]], [[줄리안 레논]]과 [[션 레논]]의 인터뷰도 수록되어 있는 등 인터뷰에 있어서도 정직하고 충실하게 구성되어 있다. 일단 기획 자체도 오노 요코의 요청으로 만들어진 존 레논 관련 공식 다큐멘터리이다. [[2006년]] 워너브러더스 코리아에 의해서 국내에도 DVD로 발매되었다. 'Gimme Some Truth'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진 다큐멘터리이다.[*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도 비슷하게 구성되어서 비틀즈 시절과 솔로 시절의 존 레논의 대표곡을 두루 다루고 있다. 다만 양쪽 다 어중간하게 실려있다는 것이 단점이지만.]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Imagine, version=295, uuid=62f7f39e-e36e-4f61-8cf0-2ec707effa5a)]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