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체코슬로바키아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체코슬로바키아]][[분류:슬로바키아의 역사]][[분류:체코의 역사]][[분류:1992년 해체]][[분류:체코-슬로바키아 관계]][[분류:과거의 공산주의 국가]][[분류:과거의 연맹체 및 연방국가]][[분류:여러 민족 중심의 다민족국가]][[분류:과거의 중부유럽 국가]][[분류:과거의 내륙국]] [include(틀:다른 뜻, 설명1=체코와 슬로바키아 사이의 관계, 문서명1=체코-슬로바키아 관계)]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141A><tablebgcolor=#11457E> '''{{{#FFF 체코슬로바키아 관련 틀}}}''' || ||<bgcolor=#fff,#1f202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 [include(틀:체코의 역사)] [include(틀:슬로바키아의 역사)]}}} || ---- ||<-6><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d7141a><tablewidth=450><bgcolor=#11457e><tablebgcolor=#fff,#1f2023> '''{{{#fff {{{+1 체코슬로바키아}}}[br]{{{-1 Československo | Česko‑Slovensko}}}[br]Czechoslovakia}}}''' || ||<-6>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16px; margin-bottom: -16px" ||<width=50%><height=150> [[파일:체코 국기.svg|width=70%]] || [[파일:체코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 국장.svg|width=50%]] || ||<rowbgcolor=#11457e><rowcolor=#fff><width=50%> '''국기''' || '''국장''' ||}}} || ||<-3><bgcolor=#11457e> {{{#fff '''위치'''}}} || ||<-2><nopad> [[파일:체코슬로바키아 위치.svg|width=100%]] || ||<-2><:> 1918년 10월 28일 ~ 1992년 12월 31일[* 위와 아래의 사진에서 영토의 차이가 나는 까닭은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나치 독일]]의 [[뮌헨 협정|압력에 의해]] [[헝가리 왕국(1920년~1946년)|헝가리]]에 빼앗기고 전후에는 [[소련]]에 할양되었기 때문이다. 이 지방은 카르파티아-루테니아라고 불리는데, [[폴란드]] 동부의 [[갈리치아]] 일대와 더불어 [[제2차 세계 대전]] 후 소련에게 빼앗겨 루테니아와 갈리치아는 소련 영토가 되었고 [[소련 해체]] 후에는 독립국 [[우크라이나]]의 [[자카르파탸주]]가 되었다.][br],,([[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망명정부]]: 1939년~1945년),, || ||<:><colbgcolor=#11457e><colcolor=#fff> '''위치''' ||<(> [[체코]] 및 [[슬로바키아]] || ||<:> '''국가''' ||[[체코슬로바키아 국가]] || ||<:> '''[[수도(행정구역)|{{{#fff 수도}}}]]''' ||<(> [[프라하]] || ||<:> '''[[언어|{{{#fff 언어}}}]]''' ||<(>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 ||<:> '''[[종교|{{{#fff 종교}}}]]''' ||<(> [[가톨릭]], [[국가 무신론]][*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사회주의공화국]] 수립 이후] || ||<:> '''[[민족|{{{#fff 민족}}}]]''' ||<(>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루신인]], [[우크라이나인]], [[헝가리인]][br][[독일인]](1919–1945)[* 독일인은 300만 명으로서 체코슬로바키아 인구의 22 %를 차지해 16 %를 차지하던 슬로바키아인보다 수가 더 많았다. 헝가리인도 슬로바키아 일대에 수십만 명이 거주했다, 독일인과 헝가리인은 [[1945년]] 종전 후 베네시 선언에 따라 [[서독]],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 제2공화국]], [[헝가리 인민공화국|헝가리]]로 추방당했다. 다만 독일인과 달리 헝가리인은 완전히 추방되지 않아 지금도 [[슬로바키아]] 남부에 소수가 잔존하고 있다.] || ||<:> '''주요 지도자'''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토마시 마사리크]][br][[에드바르트 베네시]][br][[클레멘트 고트발트]][br][[알렉산데르 둡체크]] || ||<:> '''[[면적|{{{#fff 면적}}}]]''' ||<(> 140,446km²(1921), 127,900km²(1992) || ||<:> '''[[인구|{{{#fff 인구}}}]]''' ||<(> 1,360만 7,385명(1921), 1,560만 명(1992) || ||<:> '''[[통화|{{{#fff 통화}}}]]''' ||<(> [[체코슬로바키아 코루나]] || ||<:> '''성립 이전'''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보헤미아 왕국]], [[모라비아 변경백국]], [[오스트리아령 실레시아]], [[성 이슈트반 왕관령|헝가리 왕국]]),, || ||<:> '''1차 멸망 이후''' ||<(>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 '''2차 멸망 이후''' ||<(> [[체코]], [[슬로바키아]] || [목차] [clearfix] == 개요 == ||<|3>공식명칭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Československá republika, 1918–1939, 1945–1960)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Československá socialistická republika, ČSSR, 1960–1990) || ||체코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Česká a Slovenská Federativní Republika, ČSFR, 1990–1992)[* 페데라티브니(Federativní)는 [[체코어]] 표기이며 [[슬로바키아어]] 표기는 페데라티우나(Federatívna)이다.] || ||<|3> 약칭 ||[[체코어]]: Československo || ||[[슬로바키아어]]: Česko-Slovensko[* 체코인들이 [[하이픈]] 없는 형태를 선호하고 슬로바키아인들이 하이픈 있는 형태를 선호하는 차이가 있다.] || ||[[영어]]: Czechoslovakia || [[1918년]] [[10월 28일]]부터 [[1992년]] [[12월 31일]]까지 [[동유럽]]에 존재하던 [[공화국]].[* 현재는 체코와 슬로바키아 모두 [[중부유럽]]으로 분류되지만 [[냉전]] 당시 [[소련]]의 영향력이 미치던 지역이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동유럽으로 분류되었다. 그런데 사실 지금도 동유럽으로 분류하는 사람들이 많다. [[UN]]도 동유럽으로 분류한다.] [[체코]]와 [[슬로바키아]]가 결합된 명칭이다. [[1992년]] 이후 '벨벳 이혼'이라 불리는 분리결정으로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각각 분리되어 사라졌다. ||<-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체코슬로바키아 인정 언어의 표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d7141a> [[체코어|{{{#fff '''체코어'''}}}]] ||Československo || || [[슬로바키아어|{{{#fff '''슬로바키아어'''}}}]] ||Česko‑Slovensko || || [[독일어|{{{#fff '''독일어'''}}}]] ||Tschechoslowakei || || [[폴란드어|{{{#fff '''폴란드어'''}}}]] ||Czechosłowacja || || [[루신어|{{{#fff '''루신어'''}}}]] ||Чеськословеньско (Česʹkoslovenʹsko) || || [[이디시어|{{{#fff '''이디시어'''}}}]] ||טשעכאָסלאָװאַקײַ (tshekhoslovakay) ||}}}}}}}}} || 재미있는 건 체코와 슬로바키아는 민족도 같고, 언어도 비슷하고, 문화도 비슷한데 중세 시절의 [[대 모라비아 왕국]](800?~907) 이후 [[1918년]]까지는 거의 1000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대부분 다른 나라로 지내왔다는 것이다. 그렇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대 모라비아 왕국이 동쪽에서 [[카르파티아산맥]]을 넘어온 [[마자르족]]에게 멸망한 뒤 체코에는 [[보헤미아 공국]]-[[보헤미아 왕관령]]이라는 독립국가가 들어섰지만 슬로바키아는 그러지 못하고 마자르족이 세운 [[헝가리 왕국]]이 차지하였기 때문이다. 그나마 [[합스부르크 제국]]시기에는 제국의 틀 안에서 한 나라에 속했다고 볼 수 있지만, [[합스부르크 가문]] 치하에서도 체코는 명목상으로나마 [[합스부르크 가문]]의 [[동군연합]]인 보헤미아 왕국이었던 반면에 슬로바키아는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다. 체코와 슬로바키아는 1918년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무너질 때 통합한 후 약 70년 간 한 나라로 지냈던 게 역사상에서 사실상 유일한 사례다. == 역사 == ===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1918–1938)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신성 로마 제국]] [[신성 로마 제국/역대 황제|황제]]에 의해 왕국으로 승인된 [[보헤미아 왕국]] - 체코와, 천년 동안 헝가리의 일부로서 지배되었던 슬로바키아를 합쳐서 만든 나라다.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면서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Československá republika)으로 독립하였다. 문제는 민족자결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국가인데 민족 구성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흡사했다. 수데티(Sudety) 지방, 이른바 [[주데텐란트]]에 [[독일인]]이, 남부 슬로바키아 지방에 [[헝가리인]]이, 테신[* [[독일어]]로는 테셴, [[폴란드어]]로 치에신, 원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영토였던 것이 제1차 세계 대전 후 영토분할과정에서 도시가 둘로 분단되었고, 때문에 영유권 분쟁의 대상이 되었다. 분할과정에서 도시의 사회 인프라가 폴란드령 치에신과 체코령 체스키테신 간에 편중되어서 이에 따른 불편이 있었으나, 현대에는 [[솅겐 협정]]으로 어느 정도 해소된 상태이다.] 지방에 [[폴란드인]]이, [[자카르파탸주|카르파티아-루테니아]] 지방에 [[우크라이나인]]과 [[루신인]]이 살고 있었다.[* 때문에 오–헝제국을 해체해서 또 오–헝제국을 만들었다는 촌평을 받기도 한다. 남쪽의 [[유고슬라비아 왕국]]도 마찬가지 평을 들었다.] 전간기 동안 독일인 문제로 위기를 맞았으나 연정의 형식을 통해 독일인들을 권력집단의 주요 축으로 끌어들임으로써 민족적 불만을 누그러뜨리는데에 성공했다. 그러나 [[나치 독일]] 성립 후 본국의 막대한 후원을 등에 업은 주데텐 독일당이 득세하기 시작하면서[* 1935년 총선에서는 (다당제라 체코인들의 표가 여러 정당으로 분산된 덕을 보긴 했지만) 독일인들의 몰표에 힘입어 주데텐 독일당이 '''득표율 제1당'''이 되었을 정도였다.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내 독일인들의 68 %가 주데텐 독일당에 투표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위기를 맞았다. [[파일:external/ethnomusicologyreview.ucla.edu/praeger_im_2.jpg]] 1945년 이전 주데텐 독일인의 분포도.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된 이래 [[동방식민운동]]으로 [[독일인]]이 대거 이주했고, 특히 [[30년 전쟁]] 후 [[합스부르크 가문]]이 [[체코인]]을 억압하고 [[독일/문화|독일화]]하는 과정에서 독일인의 이주가 가속화되면서 체코슬로바키아 성립 당시에는 독일인이 인구의 5분의 1을 차지하기에 이르렀는데, 특히 독일과 국경을 이루는 주데텐란트에는 독일인이 거주했다[* 만일 히틀러가 집권하지 않고 제2차 세계 대전이 없어서 체코 거주 독일계가 추방당하지 않았다면, 오늘날의 체코도 [[벨기에]]처럼 체코인-독일인 연방제 국가가 되었을 확률이 높다.]. 독일 민족의 통일을 외치던 나치 독일은 이 '동포'들을 내버려 둘 생각이 없었고 주데텐 독일당을 이용해 독일인들을 자극하여 말썽을 일으키게 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독일인들이 박해를 받고 있다는 선전을 하며 전쟁 분위기를 조성했다. 이미 [[오스트리아 연방국|오스트리아]]가 [[오스트리아 병합|독일에 흡수당한 전적이 있었으므로]] 위협의 메시지는 분명하였고 이 일로 또다시 전쟁을 발생시키고 싶지 않던 [[영국]]의 [[네빌 체임벌린]] 내각은 재빠르게 움직여 [[아돌프 히틀러]]와 대면하였으나 협상을 원치 않던 히틀러는 주데텐란트를 모두 내주도록 해주겠다는 협상조건을 묵살하고 무조건 무력을 동원해 점령하겠다고 엄포를 놓아 영국과 [[프랑스]] 모두를 경악에 빠뜨렸다. 결국 체임벌린과 프랑스 총리 [[에두아르 달라디에]]는 [[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가 제안하고 중재자를 자처한 [[뮌헨 협정|뮌헨 회담]]에 참석하여 [[나치 독일]]과 '협상', 주데텐란트를 [[독일 국방군]]이 직접 점령하는 데에 동의하고 체코슬로바키아에 압력을 넣었다. 체코슬로바키아 정부가 배제된 이 회담의 결과에 굴복한 체코슬로바키아는 나치 독일에 주데텐란트를 할양했을 뿐만이 아니라, 인종 지도에 따라 [[헝가리 왕국(1920년~1946년)|헝가리]]에 슬로바키아 남부지역과 [[자카르파탸주|카르파티아-루테니아]]를, [[폴란드 제2공화국|폴란드]]에 테셴을 내주는 수모를 당했다. ===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1938–1939) === [[뮌헨 협정]] 후 제2공화국이 선포되고, 사임한 [[에드바르트 베네시]]를 대신하여 [[에밀 하하]]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하지만 주데텐란트를 빼앗긴 체코슬로바키아는 더 이상 독일에 대항할 능력이 전무했다. 주데텐란트에는 독일과의 전쟁을 대비해 국경 요새가 건설, 확장되어 소(小)마지노라고 부를 만한 수준에 이르렀었는데, 이것들을 모조리 빼앗긴 것이다. 결국 체코슬로바키아는 이른바 통일당이라는 것을 유일 집권당으로 삼아 독재국가화하고, 중앙은행의 준비금을 베를린으로 옮기는 등, 정치로든 경제로든 나치에 완전히 종속되어 사실상 나치 독일의 [[괴뢰국]]이 되었다. 이 때를 틈탄 슬로바키아 민족주의자들의 압력에 의해 체코-슬로바키아로 국가가 개편되기 시작하였으나 주데텐란트를 복속한 것으로도 만족하지 않은 나치 독일은 슬로바키아 민족주의자들을 사주, 이용하고 이들이 체포되자 즉시 군대를 움직여 슬로바키아 민족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남은 체코슬로바키아의 영토마저 병탄했다. 이후 슬로바키아를 분할하여 [[1939년]]에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이란 [[괴뢰국]]을 성립시키는 한편 나머지 영토는 형식적으로는 체코슬로바키아를 계승하는[* 실제로는 독일에서 파견된 총독이 통치했다. 제2대 독일 총독이 그 유명한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을 설치했다. 후에 결성된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가 영국의 도움을 받아 연합국에 가담하여 [[추축국]]에 대항하였다. ===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1945–1948)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1945년]] 5월 [[나치 독일]]이 항복함으로써 해방이 되었지만 같은 시기 [[소련군]]이 영내로 진주하였다. 그리하여 전쟁 전 [[헝가리 왕국(1920~1946)|헝가리 왕국]]에 빼앗긴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카르파티아-루테니아 지방]]은 [[우크라이나]]인이 거주하던 지역을 빌미로 다시 찾지 못하고 [[소련]]([[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우크라이나 SSR]])에게 빼앗겼다. 종전 직후, 망명정부 인사들이 주축이 된 신정부가 수립되었다. 제2공화국과 망명정부에서 대통령을 했던 [[에드바르트 베네시|베네시]]가 다시 대통령으로 재추대되었고, [[자유주의]] 정당 4곳과 [[사회주의]] 정당 4곳이 [[좌우합작]]으로 [[연립정부]]를 구성했고, 공산당은 원내 1당을 차지하며 연립정부의 추축을 맡았다. 베네시 정부는 [[제5열]] 노릇을 한 (전투를 피해 동유럽에서 피난 온 독일인 난민 포함) 450만명의 [[주데텐란트|독일계 국민]]과 60여만 명의 헝가리계 국민들에 대하여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에서 영감을 얻은 [[시민권 박탈]]→부동산 및 예금을 비롯한 재산[[몰수]]→[[강제퇴거]]로 이어지는 강력한 [[https://cs.wikipedia.org/wiki/Bene%C5%A1ovy_dekrety|대통령령]]을 포고했다. 그 다음에 [[자연인]] 1명당 500[[체코슬로바키아 코루나|코루나]] 이하까지 [[화폐]]와 [[수표]]와 [[어음]] 및 [[예금]]과 [[주식]]과 [[국채]]를 등가교환하는 [[화폐개혁]]을 단행하였는데, 이 때문에 [[외국인]]들이 큰 손해를 많이 보았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상업]]·[[공업]]·[[광업]]의 [[국유화]]를 실행했다. 1945년에 노동자 1만 명 이상을 고용하는 [[주식회사]]를 국유화하고, 1946년에 1천 명 이상을 고용하는 [[대기업]]을, 1947년에 100명 이상을 고용하는 [[유한회사]]를, 마지막으로 1948년에는 10명 이상을 고용하는 [[중소기업]]을 국유화했다. 그러나 [[1947년]] 체코가 마셜플랜을 거절하면서 공산당의 지지율이 추락하였고, 이대로라면 공산당이 정권을 빼앗기거나 아니면 정권에서 차지하는 몫이 작아질 것이 뻔했다. 결국 초조해진 [[소련]]이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에 쿠데타를 지시하였다. [[2월 21일]]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은 행동을 개시했고, 소련 대사 발레리안 조린은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그 결과 [[2월 25일]] [[에드바르트 베네시]] 대통령이 공산당이 장악한 정부를 인정함으로써 제3공화국은 붕괴되었다. === [[체코슬로바키아 제4공화국]](1948–196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문단=2.1)]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1960–199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문단=2.2)] === [[체코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1990–199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체코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 [[냉전]]이 종결되고 [[1989년]] 11월 [[동유럽 혁명]] 결과 동년 12월 [[바츨라프 하벨]]이 새 대통령에 선출되어 [[자유주의]] 정권이 들어서게 된다. [[1990년]] 3월 헌법 개정으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해체되고 국호를 '체코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으로 바꾸었으며 [[1991년]] 6월에는 체코 주둔 [[소련군]]도 철수를 완료했다. 하지만 곧 [[체코]] 정치세력과 [[슬로바키아]] 정치세력 간의 일련의 알력을 빚었다. 가장 유명한 것은 [[http://ko.wikipedia.org/wiki/%ED%95%98%EC%9D%B4%ED%94%88_%EC%A0%84%EC%9F%81|국명분쟁]]이지만, 실제로 문제가 되었던 점은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소속국의 지위와 국체였다. 동구권 붕괴와 경제적 혼란 속에서 급속한 개혁을 요했던 시점이었는데, 체코와 슬로바키아 양자의 인정을 모두 받아야 했던 당시 [[연방제]]에서는 수틀리면 어떤 개혁시도든 쉽게 봉쇄될 수 있었다. 최대한 빨리 [[신자유주의]] 개혁을 단행하여 [[유럽연합]] 가입을 이룩하려고 한 체코와, 상대적으로 [[EU]]나 [[나토]] 가입에 별 관심이 없었을 뿐더러 시장개혁과 정부 역할축소에 반발한 슬로바키아 사이에 다툼이 벌어졌다. 특히 상대적으로 경제가 낙후된 슬로바키아 입장에서 체코의 신자유주의적 개혁은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었다. 그렇다고 별 다른 민족감정이 있는 것은 아니었고, 나라가 무너질 정도로 큰 충돌도 아니었으며, 슬로바키아의 독자적인 외교권을 인정하되 통화정책 등을 계속 연방정부에서 수행하는 등의 합의안도 더러 나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코슬로바키아 정치인들은 평화적으로 연방을 해체하기로 합의를 보았고, 체코슬로바키아 연방은 [[1992년]] 12월 31일 자정을 기하여 해체되었으며 [[1993년]] 1월 1일부로 [[체코]]와 [[슬로바키아]]는 완전히 별개의 국가로 분리되었다. 양국은 협정에 따라 당시 인구비율이었던 2:1로 모든 걸 나눠 가졌다. 심지어 [[국채]]까지. 기존의 [[UN]] 회원국 지위도 어느 한쪽이 [[국가승계|승계]]하지 않고 아예 말소처리하고 새로 가입할 정도로 철저하게 청산절차를 밟았다. 다만 체코슬로바키아를 주도하는 주체가 체코였기 때문에 체코가 단독으로 물려받은 것이 여럿 있는데, 대표적으로 [[6.25 전쟁]]의 [[정전 협정(6.25 전쟁)|정전협정]]에 따라 체코슬로바키아가 맡던 [[중립국감독위원회]] 업무가 있으며 이것은 체코가 물려받았다.[* 그러나 [[북한]]이 분리해 나온 체코의 체코슬로바키아 승계를 거부하면서 활동개시 후 1년 남짓 지난 [[1994년]] [[판문점]] 북측구역에서 추방당하는 수모를 겪고 중감위 활동을 중단하게 된다. 체코 대표단이 북한의 퇴거통보에 항의하자 물과 전기를 끊는 등 상당히 볼썽사나운 장면이 연출되었다.] 주 체코슬로바키아 대사관이 수도 프라하에 있었기 때문에 해외 주재 대사관도 대체로 체코가 물려받았으며,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시절의 기록도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이 승계했다. 분리되었을 적에도 [[벨벳 혁명]]처럼 아무런 군사적 마찰없이 해체됐기 때문에 이를 '''벨벳 이혼'''(sametový rozvod; zamatový rozvod)이라고도 부른다. 다만 체코가 약속을 전부 다 지킨 것은 아니었는데, 처음 약속을 깨고 체코슬로바키아의 국기[* 체코슬로바키아의 국기는 [[보헤미아]]의 깃발에 [[슬로바키아]]를 의미하는 파란색 삼각형을 추가하여 만든 것이다. 보헤미아 깃발 자체는 폴란드 국기랑 동일하기에 변형을 가한 것.]를 그대로 사용한 것. 사실 체코도 새로 국기를 제정하려 했으나 난항을 겪었고 결국 체코슬로바키아 국기에서 의미만 바꾸어 그대로 사용하기로 했다. 의외로 [[슬로바키아]]에서는 별 반발이 없었는데, 딱히 자국 민족과 관련없는 국기인데다가 이미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시절부터 쓰던 국장과 국기를 수정하여 독립 당시 확정했기에 체코슬로바키아 국기에 큰 애착이 없었다고 한다. == 국가 == [youtube(M_YW_mD3OvE)] 전반부는 [[나의 조국은 어디에?|체코의 국가]] 1절, 후반부는 [[타트라 산 위에 번개가 쳐도|슬로바키아의 국가]] 1절을 이어서 연주하였다. [youtube(HGT1-19_uU8)] [[뮌헨 협정]] 전에는 [[소수민족]]이던 독일계 주민들을 위한 [[독일어]] 가사도 있었다. == 국장 == ||<-2><tablewidth=500><tablealign=center> [[파일:체코슬로바키아 대형 국장.svg|width=100%]] || ||<-2> '''대형 국장''' || ||<width=50%> [[파일:체코슬로바키아 중형 국장.svg|width=80%]] ||<width=50%> [[파일:체코슬로바키아 소형 국장.svg|width=80%]] || || '''중형 국장''' || '''소형 국장''' || [[1920년]]부터 [[1938년]]까지는 세 종류의 국장을 사용했다. 이 중 대형 국장은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제1공화국]] 시기에 주로 사용했고, [[뮌헨 협정]] 뒤에 수립된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제2공화국]] 시기에는 중형 국장을 사용했다. 소형 국장은 시기에 상관없이 즐겨 사용했으며 [[나치 독일]]에게서 해방된 [[1945년]]에 수립된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제3공화국]]부터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공산정권]]이 수립된 뒤인 [[1960년]]까지 사용했다.[* 사실 세 국장 모두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헌법에 그대로 남아있었으므로 대형 국장과 중형 국장이 폐기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제2공화국부터는 대통령기를 제외한 거의 모든 곳에서 사용하지 않게 된 것 뿐이다.] == 여담 == * [[NASA]]의 [[아폴로 계획]] 마지막 미션이었던 [[아폴로 17호]]의 사령관 [[유진 서넌]](Eugene Cernan)은 미국으로 이민한 [[슬로바키아인]] 아버지와 [[체코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로서, [[달]]에 가서 [[성조기]]와 별도로 체코슬로바키아의 국기를 놓고 왔다. 이에 훗날 [[슬로바키아]] 정부에서 훈장을 수여했다. * 제1차 세계 대전 직후 체코슬로바키아의 영토형성과정에서 체코슬로바키아와 [[유고슬라비아]]를 잇는 [[회랑(지정학)|회랑]]이 제안된 적이 있었다. [[체코 회랑]] 문서 참조. * [[대한민국]] [[외교부]]가 [[2018년]] [[11월 27일]] 공식 영문 트위터 계정에 [[문재인]] 전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체코 등 순방소식을 알리면서 [[체코]]의 영문국명을 'Czech Republic'이 아니라 '체코슬로바키아(Czechoslovakia)'로 잘못 표기해 비판 받았다. * 계획 경제 게임인 [[Workers & Resources: Soviet Republic]]에선 초반에 성능 좋은 차량을 판매하는 국가로 나온다. * [[중국]]의 전차 [[코레류 게임]]인 [[강철의 왈츠]]에 체코슬로바키아 전차소녀들이 등장한다. 국가 이미지는 [[두더지]]. * 2021년 기준 체코슬로바키아 지역의 인구는 16,185,279명이다. * [[핀란드]]의 게임 [[Fear & Hunger 2: Termina]]의 무대는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를 모티브로 한 '보헤미아'의 수도 '프레헤빌'이다. 실제 역사 속 체코슬로바키아와는 정 반대로 후줄근하고 발전에 뒤쳐진 곳으로 나오며, [[근친번식|근친교배]]와 [[인신공양]]에 미쳐 있는 종교 중심 국가의 모습을 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체코슬로바키아군/1938년]]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 / [[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체코슬로바키아, version=331, uuid=d7aa13bd-097d-4986-8b15-fbb54974ddaa)]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