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여우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tablealign=right><tablewidth=400px><tablebordercolor=#F60><-2><bgcolor=#F60> '''{{{#FFF {{{+1 여우}}}(여의, 여이, 예우, 여수, 예수, [[여시|{{{#fff 여시}}}]], 야시, 미구)[br]狐 | Fox}}}''' || ||<-2><nopad> [[파일:red fox snow.jpg|width=100%]]|| ||<-2> '''[[붉은여우]]'''[br]{{{-2 (Red fox, ''Vulpes vulpes'')}}} || ||<-2><bgcolor=#F96> {{{#000 '''분류'''}}} || ||<colbgcolor=#FC6><colcolor=#000> [[생물 분류 단계#s-3.2|{{{#000 '''계'''}}}]] ||[[동물|동물계]] || ||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s-3.4|{{{#000 '''강'''}}}]] ||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식육목(Carnivora) || || [[생물 분류 단계#s-3.6|{{{#000 '''과'''}}}]] ||[[개과]](Canidae) || [목차] [clearfix] == 개요 == [[개과]]에 속하는 [[포유류]] 일부의 총칭. 흔히 "여우"라고 하면 [[붉은여우]]만이 떠오르고 간혹 [[사막여우]]와 [[북극여우]]가 생각나지만, 그 외에도 여러 종들이 있다. [[여우속]]과도 구분되는 개념으로 여우라고 불리는 포유류 중에 여우속에 해당하지 않는 종류들도 있다. == 습성 == 식성은 잡식성으로, 주로 [[설치류]]와 [[곤충]], [[절지동물]], [[토끼]], [[가금류]], [[개구리]], [[도마뱀]], [[나무열매]]를 먹고 산다. [[개과]] 동물치고는 단체생활보다 단독생활을 훨씬 선호하는등 상당히 독립적이다. 대다수 개과 포유류는 단체생활로 생존을 유지한다. [[늑대]]가 대표적.[* [[갈기늑대]]와 [[너구리]] 같은 예외도 있다. 다만 이들도 동족에 대한 관용성이 높은 편이다.] 여우는 브리더, 주인과의 주종 관계가 없는지 충성심이 있다가도 없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전문가의 평에 따르면 "[[요크셔 테리어|하드웨어는 개]]인데 [[페키니즈|소프트웨어는 고양이다.]]"라고 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T8OAvy3UILM|여우를 기르는 유튜버의 이 동영상]]의 베스트 댓글도 똑같은 평가를 내린다.(I've said it once, I'll say it again. A Fox is what happens when you load cat.exe onto the dog hardware system.) 혹은, 여기서 더 나아가 '"개처럼 생긴 동물이 고양이처럼 행동한다"'라는 평도 자주 보인다.] 신체 구조도 여러모로 일반 개과와는 다른 특징이 많은데, [[세로동공]]이고 발톱도 숨길 수 있다. 같은 개과라 할지라도, 초원에서 무리 사냥을 해온 조상을 둔 쪽과 숲에서 은신과 기습을 통한 단독 또는 가족제 사냥 활동을 해온 조상을 둔 쪽의 차이라고 보면 된다. 초원에서는 몸을 숨긴 채 몰래 다가가서 사냥감을 덮치는 것이 매우 어려워 무리 사냥을 하게 되었고 이런 생활상에 따라 무리와 무리 우두머리라는 개념이 생겨났으며 여기에 속하는 대표적인 동물이 늑대. 개는 늑대에서 다시 분화되었으므로, 개에게 무리 개념과 충성심이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숲에서 단독 혹은 가족제의 단체생활을 해왔던 개과 동물들, 대표적으로 여우와 너구리 등은 지금 길들인다 할지라도 무리 생활을 했던 늑대와 개와는 다른 양상을 보일 수밖에 없다는 것. 그래도 개과는 개과인지라 엄연히 고양이와는 다르다. 고양이와 오소리보다 지저분하다. 오소리와 고양이는 따로 용변 보는 곳을 두지만 여우는 집을 뺏기 위해 오소리 굴에 똥을 싸거나 따로 화장실을 두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개과라 짖기도 하는데 소형견의 앙칼진 짖음을 생각하면 된다. 영리하고 [[호기심]]이 많으며, 반면 의심도 많다. 밤에 닭장에서 [[닭]]을 물고 갈 때 닭을 문 채로 자기 몸 위에 덮어씌워서 얼핏 보면 마치 닭이 혼자서 닭장 밖으로 뛰쳐나가는 것처럼 [[위장]]하는 등 위장술에 능하며, 또한 사람이 뭔가를 만들고 있는 걸 보면 유사시에 바로 모습을 감출 수 있는 숲 입구나 언덕 능선가에서 유심히 구경하는 버릇이 있다. [[붉은여우]]를 포함한 여우도 [[인체]]에 치명적인 [[기생충]]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 여우에게 물리면 여우에게 기생하는 치명적인 [[기생충]]인 에키노콕스에 옮거나, 심지어는 [[광견병]]에 감염될 수 있으므로 물렸다면 곧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이중 에키노콕스는 일본여우의 무려 70%가 감염되어 있으며 여우에게는 치명적이지 않지만 인간에게 옮으면 간에서 기생 후 뇌로 옮겨간다. 이 때문에 홋카이도에서는 야외의 호수나 개천의 물이 1급수 수준으로 깨끗하다고 해도 그냥 마실 수 없다. 여우의 분변 때문에 기생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 오해 === 과거 한반도에 자연산 여우가 많았을 때는 여우가 '''무덤을 파먹는다'''는 괴담이 널리 퍼져 있었으며, 실제로도 지방의 나이든 어르신들은 이를 여우의 대표적 해악으로 꼽고 심지어 본인이 직접 목격한 목격담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선입견은 한국 구미호 설화 등에서 무덤을 파내 시체를 먹는 것으로 구현되거나 [[파묘]]에서 나오듯 여우 서식지를 묫자리로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우가 굴을 파는 습성이 있는 것은 맞으나, 그 빈약한 체급상 인간의 묘를 파헤쳐 시신을 꺼내먹기에는 무리가 있다. 한반도에서 실제로 그 정도의 굴을 파는 동물은 여우가 아닌 [[멧돼지]]나 [[오소리]] 쪽이다. 특히 여우는 오소리가 파놓고 버린 굴을 냉큼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이러한 속설이 퍼지는데 더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여우가 아예 무덤에서 시체를 안 파먹는 것은 아니며, 어디까지나 강우 및 산사태로 무덤이 파헤쳐지거나 다른 동물들이 파놓은 것을 먹는 기회주의적 포식은 한다. 즉 몇몇 실제 사례와 선입견이 합쳐져 부풀려진 습성인 셈이다. == 매체 == 여우의 대표적인 이미지인 [[붉은여우]]는 매체에서 매우 흔하지만 나머지 종들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그나마 특징이 독보적인 [[사막여우]]와 [[북극여우]]가 간혹 등장하는 정도. 영리하다는 점 때문인지 좋은 이미지인 여우 캐릭터는 [[공돌이]]인 경우도 많다. [[뽀롱뽀롱 뽀로로]]의 [[에디(뽀롱뽀롱 뽀로로)|에디]]나 [[소닉 시리즈]]의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테일즈]] 등. 혹은 [[꾀]]가 많고 능글맞은 캐릭터로도 자주 차용된다. [[쾌걸 조로리]]나 [[도라 디 익스플로러]]의 [[도라 디 익스플로러#s-4.5|스와이퍼]], [[주토피아]]의 [[닉 와일드|닉]] 등. 반면 민담이나 괴담에 등장하는 여우는 아주 무서운 존재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특유의 영리하고 교활한 이미지가 옛날부터 문화를 불문하고 인간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기 때문.[* 닭장에서 닭을 잡아먹는 등 작은 가축들을 해치기 때문에 농부들의 주적 중 하나였고, 무엇보다 [[야행성]]이라 사람이 대응하기 힘든 야밤에 슬금슬금 돌아다닌다는 점이 부정적 인식에 한몫했다.] 동양에서도 [[구미호]] 전설에 기반하여 무서운 암여우 요괴가 자주 등장하지만, 일본 괴담에 나오는 여우 괴물은 호러 영화에 나오는 악령 뺨치게 무서우며 인간에게 깊은 악의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여우를 사람에 비유할 때 주로 매혹적이고 아름다운 여성의 이미지를 갖기 때문에, 창작물에서도 여우 관련 요소를 가진 캐릭터들은 [[색기담당]]이거나 혹은 그러한 속성이 없더라도 외모 버프를 잘 받아 높은 인기를 가진 경우가 매우 많다. 그리고 여우를 모티브로 한 괴수들은 상당히 우아하고 기품있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한다. 또 개나 고양이에 비해 귀가 크고 털이 풍성하다는 것 또한 차이점. 이 때문에 귀와 관련된 밈을 가지기도 한다. 이 부분은 [[여우귀]] 문서 참조. 실제 여우는 그렇게 사납지도 않고 겁도 많은 동물이지만, 사실 시골이 아닌 이상 대다수 사람들이 실물로 접할 일이 없는 동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미지가 더욱 고착화되었다. === 여우가 모티브인 캐릭터 === [[붉은여우]], [[북극여우]], [[사막여우]] 캐릭터는 해당종 문서로. '''[[구미호]] 캐릭터의 경우는 [[구미호#s-5|해당 문서 참고.]]'''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 쿠우가]] - [[메 기네 다]] * [[가면라이더 기츠]] - [[가면라이더 기츠(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기츠]], [[가면라이더 X 기츠]], [[가면라이더 둠즈 기츠]] * [[건물주 누나]] - 허유희 * [[고양이 당인전 테얀데에]] - [[키츠네즈카 콘노카미]] * [[구름빵]] - 루이 * 금빛 여우(ごん狐) - 곤: 일본의 동화 작가 니이미 난키치(新美南吉)의 작품. 장난꾸러기 아기 여우 '곤(ごん)'이 주인공인 이야기로 곤이 몰래 '효주'라는 인간 남자가 어머니를 위해 잡은 물고기와 장어를 몰래 풀어놓는 장난으로 인해 효주의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곤은 그 잘못을 속죄하기 위해 매일 밤마다 효주의 집 앞에 몰래 밤과 버섯을 놓고 가다가 또 장난을 치러 온 줄로 오해한 효주의 총에 맞아 죽게 되지만, 효주는 죽어가는 곤의 곁에 놓인 밤과 버섯을 보며 진상을 알게 되며 곤에게 고마움을 표했다는 이야기로 끝난다. * [[길티기어 시리즈]] - [[이즈나(길티기어)|이즈나]] * [[꼬마히어로 슈퍼잭]] - 레오박사 * [[꿈장인과 잊지 못할 검은 요정]] - [[이츠키(유메쿠로)|이츠키]] * [[나루토]] - [[우즈마키 나루토]]: 작중에서 구미인 [[쿠라마(나루토)|쿠라마]]의 인주력인 탓에 미즈키로부터 여우 괴물이라는 소리를 들었고 얼굴에도 여우 수염이 나 있다. 여우 수염은 고스란히 두 자녀인 [[우즈마키 보루토]]와 [[우즈마키 히마와리]]에게 유전. * [[나를 먹고 싶은, 괴물]] - [[야시로 미코]] * [[나와라! 코쿠리씨]] - [[코쿠리상]] * [[난다 난다 니얀다]] - [[콩(난다 난다 니얀다)|콩이]], [[콩치키 도사]] * [[난 뭘로 보여?]] - 강지훈 * [[내연동물]] - [[여지호]], [[여우현]] * [[니플헤임(웹툰)|니플헤임]] - [[휘겔 그리오트]] * [[다이스 이터: 초능력 추리 카드게임]] - [[여우(다이스 이터: 초능력 추리 카드게임)]] * [[달리는 여자]] - [[마리(달리는 여자)|마리]], 시몬 * [[당신을 기다리는 여우]] - [[수아(당신을 기다리는 여우)|수아]], [[유화(당신을 기다리는 여우)|유화]], [[연화(당신을 기다리는 여우)|연화]][* 모티브는 여우지만 도술을 부리거나 여우 구슬을 사용해서 수명을 뺏는다거나 간을 빼 먹는다는 특징으로 보아 구미호와도 비슷하다.]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 [[매츄어]]: [[다이몬 고로]]가 13에서 언급하였다. * [[던전앤파이터]] - [[헌터 폰]], [[에르곤]] * 데니멀즈[* [[JYP엔터테인먼트]] 소속 밴드 [[DAY6]]의 멤버들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이다.] - KE: [[Young K]]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캐릭터. * [[도검난무-ONLINE-]] - [[나키기츠네]], [[코기츠네마루]], [[콘노스케]] * [[도사의 무녀]] - [[코히메]] * [[도우미 여우 센코 씨]] - [[센코(도우미 여우 센코 씨)|센코]], 시로, 소라, 긴, 스즈 * [[도쿄 레이븐스]] - [[콘(도쿄 레이븐스)|콘]], [[히샤마루]] * [[동물의 숲 시리즈]] - [[여욱]] * [[동방 프로젝트]] - [[야쿠모 란]], [[쿠다마키 츠카사]][* 엄밀히 말하면 츠카사는 여우보단 족제비에 가깝다.] * [[디지몬 테이머즈]] - [[레나몬]] 계열: [[구미호몬]]은 구미호 계열 * [[또이또이TV]] - 또이또이(깅도이) * [[라이온 수호대]] - 아스투토와 그녀의 아이들 * [[래브라도 경장]] - 여우 아저씨 * [[랭고]] - 안젤리케 * [[러브히나]] - [[콘노 미츠네]] * [[런닝맨(애니메이션)|런닝맨]] - [[타루(런닝맨)|타루]] * [[레고 키마의 전설]] - [[키마/등장인물#s-3.10.4|퍼티]] * [[로빈 훗(애니메이션)|로빈 훗]] - 로빈 훗 * [[마법선생 네기마]] - [[하세가와 치사메]] * [[마비노기]] - 여우: 야생 동물 랭크는 동물 종류가 더 많이 세분화된 이리아를 제외하면 [[너구리]] - 여우 - [[거미]] - [[늑대]] - 곰순으로 강해진다. 약함을 상징하는 "17살에 여우에게 진" 타이틀도 존재할 정도이며, 너구리 더불어서 대표적인 [[전투력 측정기|맥뎀 측정기]]이자 수련용 몬스터. 오죽하면 던바튼 밖 필드 같은 곳을 지나다 보면 여우가 플레이어도 아니고 지나가던 닭에게 맞아 죽는 광경도 가끔씩 볼 수 있을 정도다. 또 여우는 일반적으로 플레이어를 1-2타씩 끊어서 공격하는데, 돌던지기와 같은 도발용 공격기로 공격 후 공격을 유도하면 헤비 스탠더의 확률 시험도 가능하다. 헤비 스탠더(오토 디펜스)는 3타를 전부 공격하는 다른 몹들의 경우 캐릭터를 넘어뜨리거나 날리기 때문에 변신기의 시간에 영향을 끼친다. 더구나 몹들의 그것과는 달리 랭크 1을 찍었다고 하더라도 밀레시안의 헤비스탠더는 순전히 운빨이다. 그래도 랭크가 높은 만큼 당연히 빈도는 높아진다.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79704|매운 꿀은 없나요]] - 여우: 바닷속에서 매일 짠 식품만 먹는 것에 대한 매너리즘을 타파하고자 육지로 올라온 거북이에게 맛을 교육하는데, 문제는 그게 교육을 빙자한 트롤링이란 것. 그래서 거북이는 토끼들에 의해 자신이 여우에게 맛에 들어가는 이름들을 전부 틀리게 배웠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을 농락한 여우에 미러링을 가하고 바닷속으로 돌아간다. [[https://blog.naver.com/hyuck815/220392298279|링크]] * [[메이플스토리]] - 여우 [[아니마(메이플스토리)|아니마족]], 하쿠[* 음양사 칸나의 식신.], [[모리 란마루]]의 흑여우[* 원정대 보스로 나올 때는 [[흑여우]]를 타고 플레이어와 싸운다. 그러나 그 흑여우는 자세히 보면 흑여우보단 [[흑랑]]에 가깝다.] * [[메이플 타운 이야기]] - 다이아나를 포함한 콘 테릭스 일가 * [[명일방주]] - [[프로스트리프]], [[듀나(명일방주)|듀나]], [[퍼퓨머]], [[미르(명일방주)|미르]], [[브리즈(명일방주)|브리즈]], [[수수로]], [[프란카]], [[버메일]], [[안젤리나(명일방주)|안젤리나]], [[샤메어(명일방주)|샤메어]], [[커터(명일방주)|커터]] 등 불포 종족들 * [[몬스터 헌터 시리즈]] - [[타마미츠네]] * [[못말리는 어린양 숀]] - 여우 * [[무기미도]] - [[Mr.Fox]], [[테트라(무기미도)|테트라]] *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 - [[트릭스(미라큘러스)|트릭스]], [[알리야 세제르|레나 루즈]]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이상한 나라의 여우]], [[새침데기 불여시]] *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 - 여우 몬스터: [[곰]]보다 강력한 몬스터로 나온다. 백여우, 흑여우, 불여우 등의 몬스터가 있으며 불여우는 불꽃마냥 정말 번쩍거린다. 특이하게 초록색 서여우가 있는데, 쥐의 병균에 감염된 여우라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여우굴의 보스 몬스터는 구미호, 불구미호이다. 일반 몬스터들을 잡으면 여우모피를 드랍하고 가끔 돈 200전을 줄 때도 있다. 구미호를 잡으면 사각방패를, 불구미호를 잡으면 철도를 드랍한다. * [[반월당의 기묘한 이야기]] - [[백란]] * [[버츄얼 유튜버]] * [[노리프로]] - [[이나리 이로하]] * [[니지산지 EN]] - [[미스타 리아스]] * [[니지산지 KR]] - [[이시우(유튜버)|이시우]] * [[hololive 프로덕션]] - '''[[시라카미 후부키]]''', [[오마루 폴카]] * [[스텔라이브]] - [[텐코 시부키]] * [[부릉부릉 브루미즈]] - 루시 * [[불쾌한 모노노케안]] - [[불쾌한 모노노케안/등장인물#s-2|야히코]] * [[붕괴: 스타레일]] - [[정운(붕괴: 스타레일)|정운]], [[어공]], [[백주(붕괴: 스타레일)|백주]], [[곽향]], [[초구(붕괴: 스타레일)|초구]], [[비소(붕괴: 스타레일)|비소]], [[망귀인]] * [[브릴리]] - 강예성: 정확히는 늑대 가문 선대 가주인 아버지와 눈여우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 [[블랙 베히모스]] - [[미하일(블랙 베히모스)|미하일]] * [[블러디 로어]] - [[한스 터브만]] * [[블루 아카이브]] - [[쿠다 이즈나]], [[코사카 와카모]], [[유리조노 세이아]], [[쿠와카미 카호]], [[아케시로 루미]], [[FOX 소대]] 전원 * [[생일왕국의 프린세스 프링]] - 클라라 * [[샤르도네 로맨시아]] - 루돌프 콘커드 * [[선천적 얼간이들]] - 알버트 * [[소녀전선]] - [[G41(소녀전선)|G41]]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 피오나 더 폭스 * [[소닉 붐(애니메이션)|소닉 붐]] - 조이 * [[쇠퇴한 꿈]] - [[레이나]] * [[슈퍼전대 시리즈]] * [[수권전대 게키레인저]] - [[츠네키]] * [[수리검전대 닌닌저]] - [[이자요이 큐에몬]] * [[슈팅스타 캐치! 티니핑]] - [[여우핑]] * 스노우폭스 - 스위프티, 제이드 * [[스타폭스 시리즈]] - [[폭스 맥클라우드]], [[제임스 맥클라우드]], [[크리스탈(스타폭스 시리즈)|크리스탈]] * [[스파이로 시리즈]] - 얼음 공주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0203001066|스파이 여우]] - 맑은눈, 싸알립, 리사 * [[시튼 동물기]] - 여우의 눈물 * [[아야카시 럼블!]] - 보좌관 대요호 "이즈나", 미소녀 식신 "코기츠네마루", 미소녀 식신 "야코"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시오미 슈코]] * [[아주르 프로밀리아]] - 도산 지상, 티티 * [[아처키우기]] - [[아처키우기/아처#시몬|시몬]] * [[애프터라이프]] - [[리히트(애프터라이프)|리히트]], [[준(애프터라이프)|준]], [[모리(애프터라이프)|모리]] *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 - [[히키가야 하치만]] - 캐릭터 소개란에 이미지 동물이 여우라고 소개되어 있으며, 본인이 문학 작품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책도 선술한 『금빛 여우(ごん狐)』이다. * [[연애대행]] - 콘 * 열려라, 아바다스! - 엘라 * [[오늘부터 신령님]] - [[토모에(오늘부터 신령님)|토모에]] * [[오버워치 2]] - [[키리코(오버워치)|키리코]] * [[오보로 무라마사]] - [[콘기쿠]], [[유즈루하]] * [[오토기노 우타 ~CHRONICLE~]] - 노노 * [[와글와글 꼬꼬맘]] - 장난 * [[요괴워치 시리즈]] - 이누카미(견신), [[프리티족]]의 콘탄 * [[요랑아 요랑아]], [[쁘띠쁘띠 뮤즈]] - [[요랑]] * [[요리킹 조리킹]] - [[지옥의 사천왕#s-1.3|요염의 츄냥(슈라)]] * [[우라라 미로첩]] - 여우신 * [[워크래프트 시리즈]] - [[불페라]] * [[원피스(만화)|원피스]] - [[폭시(원피스)|은여우 폭시]]* , [[가짜 밀짚모자 일당|가짜 쵸파]], [[카타리나 데본]][* [[악마의 열매/동물계|동물계 환수종]] [[개개 열매]] 모델 [[구미호]]], [[킨에몬|여우불 킨에몬]], [[오니마루(원피스)|오니마루]][* 여우형 [[코마이누]]] * [[월드 플리퍼]] - [[이나호(월드 플리퍼)|이나호]], [[시라노(월드 플리퍼)|시라노]], [[루나르(월드 플리퍼)|루나르]] * [[은여우]] - [[긴타로(은여우)|긴타로]], [[킨지로]], [[하루(은여우)|하루]], [[오토마츠]] * [[은퇴한 히어로]] - 오스카 * [[은혼]] - [[여우불 쵸고로]] * [[음양사]] - [[삼미호(음양사)|삼미호]][* 인간 여성의 모습을 지녔다.], 코하쿠 * [[이나리, 콩콩, 사랑의 첫걸음]] - [[우카]], [[콩(이나리, 콩콩, 사랑의 첫걸음)|콩]] * [[이누야샤]] - [[싯포]] * [[정령환상기]] - [[라티파(정령환상기)|라티파]] * [[젠레스 존 제로]] - [[호시미 미야비]] * [[조이드]] - [[쉐도우 폭스]], 개틀링 폭스 * [[주디세이]] - 미호 * [[주토피아]] - [[닉 와일드]] * [[쥬얼펫]] - [[쥬얼펫/목록|라리마]] * [[지니키즈]] - 여우 소방관 * [[지박소년 하나코군]] - [[야코(지박소년 하나코 군)|야코]] * [[창작물 속으로]] - [[미령(창작물 속으로)]] * [[천사의 꼬리]] - [[여우 아카네]](은비) * 천신란만 - 린도우 루리(은여우) * [[천지해]] - [[홍로(천지해)|홍로]], [[금란]], 수련, 청하, 그 외 여우 일족들 * [[천하무적 크래쉬 비드맨]] - 츠키노 콘타(로이) * [[체인소 맨]] - [[여우의 악마]] * [[치킨 리틀]] - 여우 폭시 * [[카노콘]] - [[미나모토 치즈루]] * [[케모노기가]] - [[카스가 미스즈]], [[카스가 유키모치]], [[미사자키 킨카]] * [[코노하나 기담]] - 주연멤버 전원 * [[코즈믹 브레이크]] - [[이즈나 카무이]], [[이즈나 카무이 나기]], [[하쿠멘 스쿠너]] * [[쾌걸 조로리]] - [[조로리]] * [[쿠베라(웹툰)|쿠베라]] - [[슈리(쿠베라)]]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 [[쿠키멀즈|버터쉘여우 쿠키]] * [[쿵푸팬더 시리즈]] - [[젠(쿵푸팬더 시리즈)|젠]](코사크여우)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 캐릭터: 여우 마리드, 삼미호 * 펫: 사막 여우, 소환 불여우, 분홍이, 삼미호 * 카트바디: [[폭스 9]], [[폭스 X]] * [[크리퍼스큘]] - [[네르갈(크리퍼스큘)|네르갈]] * [[테일즈런너]] - [[시호(테일즈런너)|시호]], [[미호(테일즈런너)|미호]], 천년호 * [[트릭컬 리바이브]] - [[루포]] * [[파이어 엠블렘 if]] - [[카덴]], [[셀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셀키]] * [[페르소나 시리즈]] * [[페르소나 4]]의 등장 축생 - [[여우(페르소나 시리즈)]] * [[페르소나 5]] - [[키타가와 유스케]](폭스): 정확히는 괴도 복장일 때 착용하는 가면이 여우 가면이다. 괴도 복장에 꼬리까지 달려 있다. * [[페어리 테일(만화)|페어리 테일]] - [[셀레네(페어리 테일)|셀레네]] * [[페파피그]] - 프레디 가족 * [[포켓몬스터]] - [[나인테일]] 계열, [[이브이즈]], [[조로아]], [[조로아크]], [[마폭시]] 계열, [[폭슬라이]] 계열 * [[포코팡]] - 젤리 * [[폭스툰]] - 오묘 * [[프리큐어 시리즈]] * [[딜리셔스 파티♡프리큐어]] - [[코메코메]] * [[극장판 프리큐어 드림스타즈!]] - 시즈쿠 * [[극장판 힐링굿♡프리큐어 꿈의 마을에서 큥!하고 GoGo! 대변신!!]] - [[에고에고]]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마호(프린세스 커넥트! Re:Dive)|마호]] * [[피노키오(애니메이션)|피노키오]] - [[어니스트 존]] * [[피터 래빗]] - 여우 * [[필리아로제 - 가시왕관의 예언]] - [[에키나]]: [[성별자]] 중 한 명인 알로베스이며, [[삼손]] 서사가 모티브라 여우를 뜻한다. 별명도 '불붙은 여우'. * [[핑크퐁]] - 주연인 핑크퐁. 애니판인 [[핑크퐁 원더스타]]에서는 별나라 여우 왕자로 마법으로 소원을 들어주는 역할이다. * [[하이큐!!]] - 이나리자키 고교 전원 *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 토랑이 * [[Anarcute]] - 여우 * [[B-PROJECT]] - [[B-PROJECT#s-2.3|아이조메 켄토]]: '고독의 나르시시스트, 유혹하는 여우'. * [[Bad2Bad:Extinction]] - 이사벨 하사 * [[Clock over ORQUESTA]] - [[오토하 이오스케]] * [[DOG DAYS]] - [[유키카제 파네토네]] * [[Five Nights at Freddy's]] - [[해적 폭시|폭시(Foxy)]], [[맹글|맹글(Mangle)]] * [[GON]] - 포그 * [[Happy Tree Friends]] - 원더완다 * [[Kanon]] - [[사와타리 마코토]] * [[MBTI 일상툰]] - [[ENTP]] * [[Night in the Woods]] - [[그레고리 리|그렉(Gregg)]] * [[NU: carnival]] - [[큐야(NU: carnival)|큐야]] * [[Regular Ordinary Swedish Meal Time]] - Mr. Fox: 요리 방송에 나오는 단역이지만 무려 메인 빌런이다. 매번 요리할 때 어딘가에서 꼭 니클라스 룬드베리를 엿먹인다. * [[Sdorica]] - [[이즈미(Sdorica)|이즈미]] * [[SHOW BY ROCK!!]] 시리즈 - [[야이바(SHOW BY ROCK!!)|야이바]], 페네리, [[린(SHOW BY ROCK!!)|린]], [[킷츤]], [[호완]] * [[Summer Pockets]] - [[이나리(Summer Pockets)|이나리]] * [[TLT (Toger the Long Tail]] - 진호 * [[Tooth and Tail]] - 농장 일꾼 카샤 * [[TROVE]] - [[Lunar Lancer]] * [[VOCALOID]] - [[DAINA]] * [[Y∀IBA]] - [[아마쿠사 시로 토키사다(Y∀IBA)|아마쿠사 시로 토키사다]] * [[\#컴파스 전투섭리분석시스템]] - [[후카가와 마토이]], [[키츠네가사키 아마이로]]: 쓰고 있는 가면이 여우 가면이며, 성씨에도 키츠네(狐)가 들어간다. === 여우를 주요 소재로 한 창작물 === 대부분은 [[구미호]] 작품들이다. * [[구미호뎐]] * [[구미호뎐1938]] * [[꼬리를 찾아줘!]] * [[구미호: 여우누이뎐]] * [[구미호 외전]] *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 [[당신을 기다리는 여우]] * [[당신을 기다리는 여우 花]] * [[도우미 여우 센코 씨]] * [[미호이야기]] * 새끼 여우 헬렌 * [[신 구미호]] * [[은여우]] * [[여고괴담 3 - 여우 계단]] * [[여우 이야기]]: 이 소설 때문에 [[프랑스어]]에서 여우를 의미하는 단어 자체가 변했다. * [[여우비 내리는 날에]] * [[여우신부]] * [[오백 년째 열다섯]] * [[우리집의 여우신령님]] * [[은여우(만화)|은여우]] * [[이나리 콩콩 사랑의 첫걸음]] * [[전설의 고향]] - 구미호를 소재로 한 에피소드들 * [[천년구미호]] * [[천년여우 여우비]] * [[https://www.deviantart.com/hi6sho/art/Masaki-s-Trouble-299482222|Masaki's Trouble]]: 암컷 여우 [[수인]]이 [[등용문]]으로 암컷 [[용]] 수인이 되어 고충을 겪는 만화다. 한국에서는 '여우가 용이 된'이라는 키워드의 만화로 퍼졌다. * Spirit of the North * [[The Fox]] == 여우와 관련된 별명을 지닌 사람 == * 데와의 여우(出羽の狐)([[모가미 요시아키]]) * 킨더후크의 [[붉은여우]](미국 제8대 대통령 [[마틴 밴 뷰런]]) * 사막의 여우([[에르빈 롬멜]]) * 그라운드의 여우([[김재박]](야구)[* 대구 출신이라 사람들이 그를 [[동남 방언|사투리]]인 그라운드의 [[여시]]라고도 불렀다.], [[신태용]](축구)) * 코트의 여우([[박미희]]) * 은빛 여우([[앤더슨 쿠퍼]]) 영어권 국가에서 silver fox로 통한다. * 장폭스([[장예원]]) * [[KEY(SHINee)|KEY]] * [[런쥔]] * [[연준(투모로우바이투게더)|연준]] * [[원우]] * [[전웅]] * [[준호]] * [[진영(배우)|진영]] * [[두산 베어스|곰]]의 탈을 쓴 여우 ([[양의지]]) * [[Young K]] * [[사막여우]] - [[김민주]], [[서영은(Kep1er)|서영은]], [[아이엔]], [[반(NINE.i)|반]] * [[영탁]] * [[허균]] - 별명이 "여우"였다. 자세한 내용은 [[허균/특징]] 참고. * [[취한무드등/썰/등장인물#s-3.2.1|라프사]] - [[라트비아어]]로 여우라는 뜻이며, 의인화한 여우 캐릭터를 내세우고 있다. == 언어별 명칭 == ||<-2><colbgcolor=#f5f5f5,#2d2f34><tablebgcolor=#fff,#1f2023> '''언어별 명칭''' || ||<width=30%> [[한국어|{{{#373a3c,#ddd '''한국어'''}}}]] ||여우 || || [[한자|{{{#373a3c,#ddd '''한자'''}}}]] ||[[狐]]([[호]]) || || [[러시아어|{{{#373a3c,#ddd '''러시아어'''}}}]] ||[[리사|лиса(lisa, 리사)]], лис(리쓰)(숫여우), лисица(lisítsa, 리씨짜) || || [[마인어|{{{#373a3c,#ddd '''마인어'''}}}]] ||rubah || || [[몽골어|{{{#373a3c,#ddd '''몽골어'''}}}]] ||үнэг(uneg, 우네그) || || [[베트남어|{{{#373a3c,#ddd '''베트남어'''}}}]] ||con cáo, cáo || ||<|4> [[스페인어|{{{#373a3c,#ddd '''스페인어'''}}}]] ||[[조로|zorro]](소로), zorra, raposa || ||renar/{{{+1 רינאר}}}, rapoza/{{{+1 ראפוזה}}}([[라디노어]]) || ||raboso, rabosa([[아라곤어]]) || ||raposu, rapiegu([[아스투리아스|아스투리아스어]]) || || [[아랍어|{{{#373a3c,#ddd '''아랍어'''}}}]] ||{{{+1 الثعلب}}}(althaelab. 알쌀라브, the fox), {{{+1 ﺛَﻌﻠَﺐ}}}(θáʕlab, thalab/thaelab, 쌀라브/싸알랍/[[https://arabiclibrary.tistory.com/35176|사을룹]]), {{{+1 ثعاليب}}}(thaعa:li:bu, 싸알립), {{{+1 ثعلبة}}}(thaعlaba)(암여우), {{{+1 ثعلبان}}}(thuعlaba:n)(숫여우) || ||<|2> [[영어|{{{#373a3c,#ddd '''영어'''}}}]] ||[[폭스|fox(폭스)]] || ||foxe([[중세 영어]]) || ||<|5> [[이탈리아어|{{{#373a3c,#ddd '''이탈리아어'''}}}]] ||volpe(볼페) || ||volp([[라딘어]]) || ||gorpa(미누차노 방언)[*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B%88%84%EC%B0%A8%EB%85%B8|미누차노]]는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의 코무네(시)로 미누차노 협곡이 있는데, 방언이 [[https://archive.ph/TuDy9|특이한 편]]이다. 토스카나가 과거에 [[에트루리아]]의 영역이었는데, 미누차노 방언이 [[에트루리아어]]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는 설이 있다.] || ||mrexani, fraitzu, liori, grupi([[사르데냐어]]) || ||vurpi; jurpi([[시칠리아어]]) || ||<|2> [[일본어|{{{#373a3c,#ddd '''일본어'''}}}]] ||[[키츠네|[ruby(狐, ruby=きつね)](키츠네)]] || ||cironnup/チロヌッㇷ゚(チロヌップ)([[아이누어]]) || || [[중국어|{{{#373a3c,#ddd '''중국어'''}}}]] ||[[狐]][[狸]](húli), 狐(hú) || || [[칸나다어|{{{#373a3c,#ddd '''칸나다어'''}}}]] ||[[나리|ನರಿ(nari, 나리)]] || || [[타밀어|{{{#373a3c,#ddd '''타밀어'''}}}]] ||[[나리|நரி(nari, 나리)]] || ||<|2> [[포르투갈어|{{{#373a3c,#ddd '''포르투갈어'''}}}]] ||raposa, raposa-vermelha || ||raposo, raposa, golpe([[갈리시아어]]) || ||<|2> [[프랑스어|{{{#373a3c,#ddd '''프랑스어'''}}}]] ||renarde, [[르나르|renard(르나르)]][* 원래 goupil이었는데 [[여우 이야기]] 때문에 바뀌었다.] || ||goupil(중세 [[프랑스어]]) || ||<|2> [[힌디어|{{{#373a3c,#ddd '''힌디어'''}}}]] ||लोमड़ी(lomṛi:) || ||{{{+1 لومڑی}}}(lomṛī)([[우르두어]]) || ||<-2><^|1><height=32>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f5f5f5,#2d2f34><tablebgcolor=#fff,#1f2023> [[가가우즈어|{{{#373a3c,#ddd '''가가우즈어'''}}}]], [[크림 타타르어|{{{#373a3c,#ddd '''크림 타타르어'''}}}]], [[투르크멘어|{{{#373a3c,#ddd '''투르크멘어'''}}}]] ||[[https://en.wiktionary.org/wiki/fox|tilki]] || || [[게르만어파|{{{#373a3c,#ddd '''고대 노르드어'''}}}]] ||fōa || || [[고트어|{{{#373a3c,#ddd '''고트어'''}}}]] ||𐍆𐌰𐌿𐌷𐍉(faúhō) || || [[과라니어|{{{#373a3c,#ddd '''과라니어'''}}}]] ||[[https://archive.is/vPBDQ|aguara]] || || [[구자라트어|{{{#373a3c,#ddd '''구자라트어'''}}}]] ||શિયાળ(šiyāḷ) || ||<|2> [[그리스어|{{{#373a3c,#ddd '''그리스어'''}}}]] ||αλεπού(alepú, 알레푸), αλουπού(alupú)(사어) || ||ἀλώπηξ(alṓpēx), ἀλωπός(alōpos)([[고전 그리스어]]) || || [[나나이어|{{{#373a3c,#ddd '''나나이어'''}}}]] ||соли; солаки || || [[나바호어|{{{#373a3c,#ddd '''나바호어'''}}}]] ||maʼiiʼ łiitsohiʼ || || [[나와틀어|{{{#373a3c,#ddd '''나와틀어'''}}}]] ||oztohua, capizcayotl || || [[네네츠어|{{{#373a3c,#ddd '''네네츠어'''}}}]] ||тёня || || [[네덜란드어|{{{#373a3c,#ddd '''네덜란드어'''}}}]] ||vos, vossen || || [[노가이어|{{{#373a3c,#ddd '''노가이어'''}}}]] ||туьлки(tülki) || || [[노르웨이어|{{{#373a3c,#ddd '''노르웨이어'''}}}]] ||rev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다르긴어'''}}}]] ||гурда || || [[덴마크어|{{{#373a3c,#ddd '''덴마크어'''}}}]] ||ræv || ||<|5> [[독일어|{{{#373a3c,#ddd '''독일어'''}}}]] ||Fuchs(푸흐스) || ||fuhs, fō̮ha(고대 고지 독일어) || ||vuhs(vuohs)(중세 고지 독일어) || ||Voss([[저지 독일어]]) || ||vos(vohe; vō)([[저지 독일어|중세 저지 독일어]]) || || [[디베히어|{{{#373a3c,#ddd '''디베히어'''}}}]] ||{{{+1 ހިޔަޅު}}}(hiyaḷu) || || [[라오어|{{{#373a3c,#ddd '''라오어'''}}}]] ||ຈິກຈອກ(cikcöök), ຫມາຈອກ((h)māčɔ̄k) || || [[라트비아어|{{{#373a3c,#ddd '''라트비아어'''}}}]] ||lapsa || || [[라틴어|{{{#373a3c,#ddd '''라틴어'''}}}]] ||vulpes(울페스/불페스), vulpecula || || [[로망슈어|{{{#373a3c,#ddd '''로망슈어'''}}}]] ||vulp || || [[롬바르드어|{{{#373a3c,#ddd '''롬바르드어'''}}}]] ||volp || || [[롬어|{{{#373a3c,#ddd '''롬어'''}}}]] ||hilpa || ||<|2> [[루마니아어|{{{#373a3c,#ddd '''루마니아어'''}}}]] ||vulpe || ||вулпе(몰도바어) || || [[아나톨리아어파|{{{#373a3c,#ddd '''루비아어'''}}}]] ||ú-li-ip-ni-eš, wa-li-ip-ni || || [[룩셈부르크어|{{{#373a3c,#ddd '''룩셈부르크어'''}}}]] ||Fochs || || [[룬디어|{{{#373a3c,#ddd '''룬디어'''}}}]] ||imbgēbge || || [[리투아니아어|{{{#373a3c,#ddd '''리투아니아어'''}}}]] ||lãpė, lapinas || || [[림뷔르흐어|{{{#373a3c,#ddd '''림뷔르흐어'''}}}]] ||vósj || || [[마라티어|{{{#373a3c,#ddd '''마라티어'''}}}]] ||कोल्हा(kolhā) || || [[마리어|{{{#373a3c,#ddd '''마리어'''}}}]] ||рывыж || || [[마사이어|{{{#373a3c,#ddd '''마사이어'''}}}]] ||entirrash || || [[마케도니아어|{{{#373a3c,#ddd '''마케도니아어'''}}}]] ||лисица(lisica) || || [[마푸체어|{{{#373a3c,#ddd '''마푸체어'''}}}]] ||ngürü, gürü || || [[말라가시어|{{{#373a3c,#ddd '''말라가시어'''}}}]] ||amboahaolo || || [[말라얄람어|{{{#373a3c,#ddd '''말라얄람어'''}}}]] ||കുറുക്കന്(kuṟukkan) || || [[만주어|{{{#373a3c,#ddd '''만주어'''}}}]] ||dorbi(도비/도르비) || || [[모호크|{{{#373a3c,#ddd '''모호크어'''}}}]] ||tsitsho || || [[바시키르어|{{{#373a3c,#ddd '''바시키르어'''}}}]] ||төлкө(tölkö) || || [[바스크어|{{{#373a3c,#ddd '''바스크어'''}}}]] ||azeri || || [[벨라루스어|{{{#373a3c,#ddd '''벨라루스어'''}}}]] ||ліса(łisa) || || [[발트핀어군|{{{#373a3c,#ddd '''벱스어'''}}}]], [[카렐어|{{{#373a3c,#ddd '''카렐어'''}}}]] ||reboi || || [[벵골어|{{{#373a3c,#ddd '''벵골어'''}}}]] ||শিয়াল(šiyāl) || || [[볼라퓌크|{{{#373a3c,#ddd '''볼라퓌크'''}}}]] ||renar || || [[부랴트어|{{{#373a3c,#ddd '''부랴트어'''}}}]] ||үнэгэн || || [[불가리아어|{{{#373a3c,#ddd '''불가리아어'''}}}]] ||лисица(lisitsa) || || [[사모아어|{{{#373a3c,#ddd '''사모아어'''}}}]] ||ʻālope || ||<|3> [[사미어|{{{#373a3c,#ddd '''사미어'''}}}]] ||rieban(북부 사미어) || ||riemnjis(이나리 사미어) || ||рӣммьн(킬딘 사미어) || || [[사하어|{{{#373a3c,#ddd '''사하어'''}}}]] ||саһыл(sahıl) || || [[산스크리트어|{{{#373a3c,#ddd '''산스크리트어'''}}}]] ||श्रुगालः(śrugālaḥ), lopāśá || || [[살라르어|{{{#373a3c,#ddd '''살라르어'''}}}]] ||tülüğü || || [[세르보크로아트어|{{{#373a3c,#ddd '''세르보크로아트어'''}}}]] ||лисица/lisica, лисaц/lisac || || [[소말리어|{{{#373a3c,#ddd '''소말리어'''}}}]] ||dawaco || || [[소르브어|{{{#373a3c,#ddd '''소르브어'''}}}]], [[실레시아어|{{{#373a3c,#ddd '''실레시아어'''}}}]], [[체코어|{{{#373a3c,#ddd '''체코어'''}}}]] ||liška || || [[쇼나어|{{{#373a3c,#ddd '''쇼나어'''}}}]] ||gava || || [[쇼르어|{{{#373a3c,#ddd '''쇼르어'''}}}]] ||тӱлгӱ(tülgü) || || [[수우|{{{#373a3c,#ddd '''수우 족어'''}}}]] ||tokalu, šungila || || [[스와힐리어|{{{#373a3c,#ddd '''스와힐리어'''}}}]] ||mbweha || || [[스웨덴어|{{{#373a3c,#ddd '''스웨덴어'''}}}]] ||räv || || [[스코트어|{{{#373a3c,#ddd '''스코트어'''}}}]] ||tod || || [[슬로바키아어|{{{#373a3c,#ddd '''슬로바키아어'''}}}]] ||líška || || [[슬로베니아어|{{{#373a3c,#ddd '''슬로베니아어'''}}}]] ||lisica, lisjak || || [[신디어|{{{#373a3c,#ddd '''신디어'''}}}]] ||{{{+1 لمڙ}}}(lumaṛu) || || [[싱할라어|{{{#373a3c,#ddd '''싱할라어'''}}}]] ||නරියා(nariyā) || || [[아디게어|{{{#373a3c,#ddd '''아디게어'''}}}]] ||баджэ || || [[아람어|{{{#373a3c,#ddd '''아람어'''}}}]] ||{{{+1 ܬܥܠܐ}}}(taʿlā) || ||<|2> [[아르메니아어|{{{#373a3c,#ddd '''아르메니아어'''}}}]] ||աղվես(aġves) || ||աղվես(ałuēs)(고대 아르메니아어) || || [[북동캅카스어족|{{{#373a3c,#ddd '''아바르어'''}}}]] ||цер || || [[아바자어|{{{#373a3c,#ddd '''아바자어'''}}}]] ||бага || || [[아베스타어|{{{#373a3c,#ddd '''아베스타어'''}}}]] ||raopi || || [[아삼어|{{{#373a3c,#ddd '''아삼어'''}}}]] ||শিয়াল(ĥ̇iyāl) || || [[아이마라어|{{{#373a3c,#ddd '''아이마라어'''}}}]] ||lari || || [[아이슬란드어|{{{#373a3c,#ddd '''아이슬란드어'''}}}]] ||refur, tófa || || [[아이티 크레올어|{{{#373a3c,#ddd '''아이티 크레올어'''}}}]] ||rena || || [[아제르바이잔어|{{{#373a3c,#ddd '''아제르바이잔어'''}}}]] ||tülkü || || [[아프리칸스어|{{{#373a3c,#ddd '''아프리칸스어'''}}}]] ||vos jakkals || || [[앨라배마|{{{#373a3c,#ddd '''알라바마어'''}}}]] ||chola || ||<|3> [[알바니아어|{{{#373a3c,#ddd '''알바니아어'''}}}]] ||dhelpër, dhelpra || ||dhelpër(토스크 [[알바니아어]]) || ||dhelpen(게그 [[알바니아어]]) || || [[알타이어|{{{#373a3c,#ddd '''알타이어'''}}}]] ||тӱлкӱ(tülkü) || || [[암하라어|{{{#373a3c,#ddd '''암하라어'''}}}]] ||ቀበሮ(ḳäbäro) || || [[압하스어|{{{#373a3c,#ddd '''압하스어'''}}}]] ||абгахәҷы || || [[어웡키어|{{{#373a3c,#ddd '''어웡키어'''}}}]] ||сулаки || || [[에벤어|{{{#373a3c,#ddd '''에벤어'''}}}]] ||хуличан; хули || || [[에스토니아어|{{{#373a3c,#ddd '''에스토니아어'''}}}]] ||rebane || ||<|2> [[에스페란토|{{{#373a3c,#ddd '''에스페란토'''}}}]] ||vulpo(불포) || ||foxo([[이도]]) || || [[에웨어|{{{#373a3c,#ddd '''에웨어'''}}}]] ||abei || ||<|2> [[오세트어|{{{#373a3c,#ddd '''오세트어'''}}}]] ||робас(robas)(디고르 방언) || ||рувас(ruvas)(이론 방언) || || [[오크어|{{{#373a3c,#ddd '''오크어'''}}}]] ||mandra, rainal, guèine || || [[왈롱어|{{{#373a3c,#ddd '''왈롱어'''}}}]] ||rnåd || || [[요루바어|{{{#373a3c,#ddd '''요루바어'''}}}]] ||kò̩lò̩kò̩lò̩; akátá; alárèkérekè || || [[우드무르트어|{{{#373a3c,#ddd '''우드무르트어'''}}}]] ||ӟичы || || [[우즈베크어|{{{#373a3c,#ddd '''우즈베크어'''}}}]] ||tulki || || [[우크라이나어|{{{#373a3c,#ddd '''우크라이나어'''}}}]] ||лис(lys), лисиця(lysytsja) || || {{{#373a3c,#ddd '''원시 알곤킨어'''}}} ||*/-a:kw/ || || [[월로프어|{{{#373a3c,#ddd '''월로프어'''}}}]] ||wel || || [[위구르어|{{{#373a3c,#ddd '''위구르어'''}}}]] ||{{{+1 تۈلكە}}}/tülke/түлкә || ||<|3> [[이누이트어|{{{#373a3c,#ddd '''이누이트어'''}}}]] ||ᑎᕆᒐᓐᓂᐊᖅ(tiriganniaq) || ||kayuqtuq; pisukkaaq(이누피아툰) || ||terianniaq([[그린란드어|칼라흘리수트(그린란드어)]]) || || [[이디시어|{{{#373a3c,#ddd '''이디시어'''}}}]] ||{{{+1 פֿוקס}}}(fuks) || || [[인구시어|{{{#373a3c,#ddd '''인구시어'''}}}]] ||tulki || || [[인도유럽조어|{{{#373a3c,#ddd '''인도유럽조어'''}}}]] ||[[https://en.wikipedia.org/wiki/Indo-European_vocabulary|*wl(o)p]] || || [[인테르링구아|{{{#373a3c,#ddd '''인테르링구아'''}}}]] ||vulpe || || [[조지아어|{{{#373a3c,#ddd '''조지아어'''}}}]] ||მელა(mela), მელია(melia) || || [[줄루어|{{{#373a3c,#ddd '''줄루어'''}}}]] ||ngcolisa; gqunkqisa || || [[체로키어|{{{#373a3c,#ddd '''체로키어'''}}}]] ||ᏧᎳ(tsula) || || [[체첸어|{{{#373a3c,#ddd '''체첸어'''}}}]] ||цхьогал || || [[촉토어|{{{#373a3c,#ddd '''촉토어'''}}}]] ||chula || || [[축치어|{{{#373a3c,#ddd '''축치어'''}}}]] ||ятъёл(jat''jol) || || [[츠와나어|{{{#373a3c,#ddd '''츠와나어'''}}}]] ||phokoje || || [[카라차이-발카르어|{{{#373a3c,#ddd '''카라차이-발카르어'''}}}]], [[쿠미크어|{{{#373a3c,#ddd '''쿠미크어'''}}}]] ||тюлкю(tülkü) || || [[카라칼파크어|{{{#373a3c,#ddd '''카라칼파크어'''}}}]] ||tuʻlki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카바르다어'''}}}]] ||бажэ || || [[카슈브어|{{{#373a3c,#ddd '''카슈브어'''}}}]] ||lës || || [[카자흐어|{{{#373a3c,#ddd '''카자흐어'''}}}]] ||түлкі(tülki) || || [[카탈루냐어|{{{#373a3c,#ddd '''카탈루냐어'''}}}]] ||guineu, guilla, rabosa || || [[칼미크어|{{{#373a3c,#ddd '''칼미크어'''}}}]] ||арат, үнгн || || [[케추아어|{{{#373a3c,#ddd '''케추아어'''}}}]] ||atoj || ||<|7> [[켈트어파|{{{#373a3c,#ddd '''켈트어파'''}}}]] ||sionnach, sinnach,[* 크로아티아의 언어학자인 란코 마타소비치가 [[고유럽 제어]]에서 차용한 어휘라고 지목했다.] madra rua([[아일랜드어]]) || ||shynnagh([[맨어]]) || ||louarn([[브르타뉴어]]) || ||madadh-ruadh; sionnach([[스코틀랜드 게일어]]) || ||*loɸernos([[켈트어파|원시 켈트어]]) || ||cadno(남부), llwynog(북부)([[웨일스어]]) || ||lowarn([[콘월어]]) || || [[코미어|{{{#373a3c,#ddd '''코미어'''}}}]] ||руч || || [[쿠르드어|{{{#373a3c,#ddd '''쿠르드어'''}}}]] ||{{{+1 رێوی}}}(rovî)(소라니 방언), {{{+1 رێوی}}}(rêwî), rûvî || || [[크리어|{{{#373a3c,#ddd '''크리어'''}}}]] ||ᒪᕁᐁᓰᐢ(mahkesiis) || || [[키르기스어|{{{#373a3c,#ddd '''키르기스어'''}}}]] ||түлкү(tülkü)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타바사란어'''}}}]] ||сул || || [[타타르어|{{{#373a3c,#ddd '''타타르어'''}}}]] ||төлке || || [[태국어|{{{#373a3c,#ddd '''태국어'''}}}]] ||จิ้งจอก(jîngjòk, 찡쩍) || || [[텔루구어|{{{#373a3c,#ddd '''텔루구어'''}}}]] ||నక్క(nakka), గుంటనక్క(guṃṭanakka); కొంకనక్క(koṃkanakka) || || [[투르크멘어|{{{#373a3c,#ddd '''투르크멘어'''}}}]] ||төлке || || [[투바어|{{{#373a3c,#ddd '''투바어'''}}}]] ||дилги(dilgi) || || [[튀르키예어|{{{#373a3c,#ddd '''튀르키예어'''}}}]] ||tilki || || [[틀링깃어|{{{#373a3c,#ddd '''틀링깃어'''}}}]] ||nɑġʌs’é || || [[파슈토어|{{{#373a3c,#ddd '''파슈토어'''}}}]] ||{{{+1 ګيدړه}}}(gīdṛâ) || || [[파피아멘토어|{{{#373a3c,#ddd '''파피아멘토어'''}}}]] ||soro || || [[펀자브어|{{{#373a3c,#ddd '''펀자브어'''}}}]] ||ਲੂੰਬੜੀ || || [[페로어|{{{#373a3c,#ddd '''페로어'''}}}]] ||revur || ||<|3> [[페르시아어|{{{#373a3c,#ddd '''페르시아어'''}}}]] ||{{{+1 روباه}}}(rubah) || ||{{{+1 رباه}}}(robāh)([[다리어]]) || ||рӯбоҳ([[타지크어]]) || || [[폴란드어|{{{#373a3c,#ddd '''폴란드어'''}}}]] ||lis || || [[프리울리어|{{{#373a3c,#ddd '''프리울리어'''}}}]] ||bolp, volp || || [[프리지아어|{{{#373a3c,#ddd '''프리지아어'''}}}]] ||fos, foks || || [[핀란드어|{{{#373a3c,#ddd '''핀란드어'''}}}]] ||kettu, repo || || [[필리핀어|{{{#373a3c,#ddd '''필리핀어'''}}}]] ||alamid, sora || || [[하와이어|{{{#373a3c,#ddd '''하와이어'''}}}]] ||ʻalopeke || || [[하우사어|{{{#373a3c,#ddd '''하우사어'''}}}]] ||yanyawa || || [[하카스어|{{{#373a3c,#ddd '''하카스어'''}}}]] ||тӱлгӱ(tülgü) || || [[헝가리어|{{{#373a3c,#ddd '''헝가리어'''}}}]] ||róka || || [[호피|{{{#373a3c,#ddd '''호피어'''}}}]] ||leetayo || || [[히브리어|{{{#373a3c,#ddd '''히브리어'''}}}]] ||{{{+1 שׁוּעָל}}}(šu‘al) ||}}}}}}}}} || [[한국어]] 중 [[동남 방언]]으로는 [[여시]][* [[서남 방언|전라도]]에서도 쓴다.] 또는 야시나 미구[* 경북 사투리. 꼬리가 아홉개 달린 [[구미호]]에서 온 듯하며(尾九), 매구의 방언이다. [[https://blog.daum.net/saturi/15964392|링크]],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80102&docId=47599711&qb=66+46rWsIOyXrOyasA==&enc=utf8§ion=kin.ext&rank=1&search_sort=0&spq=0|링크 2]]. 묘구(墓寇)에서 왔다는 [[http://www.srbsm.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533&part_idx=327|설]]도 있다.]라고 한다. 여시 또는 야시는 유명하지만, 미구는 [[어린 왕자]]의 [[동남 방언|경상도 사투리]]([[포항시|포항]] 방언) 판본인 [[애린 왕자]]에 나오면서 알려졌다. 특히 [[경주시]]에서는 예수라고도 하며, 기독교의 [[예수]]와 동음이의어이고 소설가 [[김동리]]가 이와 관련된 사건을 겪었는데 그게 나중에 소설 무녀도의 [[http://www.srbsm.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533&part_idx=327|창작 배경]]이 되었다. 또한 [[서남 방언]]으로는 [[여수]]라고 부른다. == 기타 == * 여배우의 준말로 여우(女優)를 쓰기도 한다. '[[프랑스|불란서]] 여배우의 준말은? = [[불여우]](佛女優)'라는 [[언어유희|우스갯소리]]도 있었다. 여우 주연상/여우 조연상의 여우도 이것이다. * 자판이나 폰트 관련 테스트용 문장으로 [[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날쌘 갈색 여우가 게으른 개를 뛰어넘는다.)란 문장이 활용되는데 알파벳 26자를 모두 표현하는 [[팬그램]]으로 유명하다. * 새끼가 다 자라고 사냥까지 무리없이 할 정도로 성장했을거라고 판단되면 어미가 심하게 물어뜯어 내쫓는다. 이른바 따로나기 == 관련 문서 == * [[MiG-25]], [[MiG-31]] * [[BNK FEARX]] * [[폭스#s-3|FOX 1, 2, 3]] * [[구미호]] * [[레스터 시티 FC]] * [[모질라 파이어폭스]] * [[식육목]] * [[여우귀]] * [[여우누이]] * [[여우짓]] * [[여우사냥]] * [[여우 이야기]] * [[요호]] * [[포유류]] * [[호가호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맛없는 밥 엘프와 유목생활/비판, version=684, uuid=51ae32a1-6dd2-440e-96bd-957bd9a98bae, title2=붉은여우, version2=261, uuid2=5258e617-5e02-4ae4-9acf-f1672649e933)] [[분류:개아과]][[분류:순우리말]]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