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r27 Blame)
r27 | ||
---|---|---|
r1 (새 문서) | 1 | [[분류:언어]] |
2 | [목차] | |
3 | == 개요 == | |
r5 | 4 | >Ricecakericewiki, a camp for those who crave the baits |
5 | >----- | |
r6 | 6 | >[[떡밥위키]], 떡밥을 갈구하는 자들의 수용소 |
r5 | 7 | |
r1 (새 문서) | 8 | {{{+2 영어}}} 英語 | English |
9 | ||
10 | 영어는 인도유럽어족 > 게르만어파 >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영국에서 기원하여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국제 공용어이다. | |
11 | ||
r7 | 12 | == 역사 == |
r9 | 13 | 영국 브리튼섬에 거주하던 [[원주민]]인 켈트족의 언어는 켈트어(Celtic)이었지만, 정작 서로마 제국의 브리튼 정복 이후 [[라틴어]]에 의해 지위를 상실하며 빠르게 쇠퇴하게 된다. 현재도 스코틀랜드 지방 등에는 켈트어 어휘가 다수 남아있다. |
r7 | 14 | |
r9 | 15 | 고대 영어(old English)는 게르만족의 대이동 이후 브리튼섬에 앵글로색슨 민족이 유입되며 현재의 형태로 발전한다. |
16 | ||
r1 (새 문서) | 17 | == 문법 == |
18 | 현행 교육체계에서 배우겠지만 요즈음 급식들이라면 영어 문법은 쓰잘데기없는건 쥰1내게 많고 정작 필요한 것에는 없다는 이 뭔 개같은 모순인가를 깨닫게 될 것이다. | |
19 | 7살 애도 아는 Be동사, 현재진행형을 포함해서 수동태와 능동태, 심화 문법으로 형식과 3000제 다 쳐외우기 등이 있으나 사실 영어는 잼민이가 각잡고 1시간만 공부해도 | |
20 | 12시간 거리에 있는 로스엔젤레스 친구들과 랄부친구를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쉽다. | |
21 | ||
22 | ==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들 == | |
23 | * [[미국]] | |
r2 | 24 | * [[영국]] |
25 | * [[호주]] | |
26 | * [[캐나다]][* 공식적으로는 [[프랑스어]]만 인정하는 주도 있으나, 이곳에서도 대부분은 영어가 통한다.] | |
r4 | 27 | * [[뉴질랜드]] |
28 | * 인도, 아프리카 일부 국가들[* 은 사실 주민의 대부분이 사용하는 건 아니고 입시, 또는 공부를 위해 주민의 일부가 사용한다.] | |
29 | ||
30 | == 교육열 == | |
r17 | 31 | 어렸을 때는 [[영어유치원]], 대학 졸업 및 취업을 위해서는 TOEIC 점수로 설명 끝. |
r10 | 32 | |
r26 | 33 | 문제는 이런 교육열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대다수는 실제로 영어쓰는 외국인이랑 마주치면 입이 안 떨어진다. |
r17 | 34 | |
r10 | 35 | == 영어를 잘 하려면? == |
r16 | 36 | 가장 좋은 방법은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외국에 나가서 사는 것이다. 정확히는 영어권 국가 내지 영어 통용 국가라면 [[미국]]이 아니라 [[인도]], [[싱가포르]], [[캐나다]], [[호주]] 등 어디든 상관없다. 이민을 하거나 나가서 평생 살기가 꺼려진다면 기간이 정해진 워홀, 유학 등을 가도 좋다. 너무 당연한 말이지만 영어권 국가에 가면 살아남기 위해(...) 강제로 영어를 할 수 밖에 없게 된다. |
r13 | 37 | |
r23 | 38 | 외국에 나가기는 싫은데 영어는 외국인만큼 잘하고 싶다면 외국에서 사는 것을 대신할 만한 '환경'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간단히 스마트폰이나 PC의 환경설정을 영어로 바꾼다던가, 게임을 영어로 플레이한다던가, 영어로 된 유튜브 채널/스트리밍[* [[씹덕]]이라면 영어권 [[버튜버]]를 봐도 좋다.]을 즐겨 본다던가, 모든 책을 영어로만 구입한다던가, 외국인들이 있는 SNS 서비스[* [[VRChat]]이나 [[디스코드]] 등이 가장 접근성이 높다.]에서 실시간 보이스 채팅 참여를 한다던가, 영화를 볼때 자막을 끄고 본다던가, 생각할 때마다 숫자를 영어로 센다던가, 영어권 위키에서 활동한다던가, 외국인 [[여자친구]]/[[남자친구]]를 사귄다던가~~음?~~, 장보러 나갈 때마다 물건들의 영어 이름을 떠올려 보는 것 등이 있다. |
r21 | 39 | |
r24 | 40 | 위에 나열된 걸 하나만 하는 게 아니라 전부 하는 게 중요하다~~여친은 어케하노~~. 학계나 전문 분야를 배우다보면 당연히 해당 분야 한정해서는 기술적 영어를 도입해 익숙해지는 경우가 많겠지만(예: 영어 논문, 영어 기술서적) 다른 분야, 가령 셰익스피어 문학작품을 보여주면 읽기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또, 글자로만 배우면 리스닝은 전혀 안 는다. 리딩만 하는 것 같다 싶으면 가끔 영어 영화나 유튜브도 봐야 전반적인 실력이 올라가며, 한국인들이 원하는 '영어를 진짜로 잘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 |
r21 | 41 | |
42 | 사실 이는 영어뿐 아니라 어느 언어더라도 동일하다. | |
r22 | 43 | |
r25 | 44 | 그래서 1시간만 각잡고 공부해서 대화하는 법 알려주세요 |
r27 | 45 | ㄴ그런거 없다 게이야 |
46 | ㄴ로블록스 입양하세요에서 펫구걸부터 해야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