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비교)
r20 vs r21 | ||
---|---|---|
... | ... | |
35 | 35 | == 영어를 잘 하려면? == |
36 | 36 | 가장 좋은 방법은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외국에 나가서 사는 것이다. 정확히는 영어권 국가 내지 영어 통용 국가라면 [[미국]]이 아니라 [[인도]], [[싱가포르]], [[캐나다]], [[호주]] 등 어디든 상관없다. 이민을 하거나 나가서 평생 살기가 꺼려진다면 기간이 정해진 워홀, 유학 등을 가도 좋다. 너무 당연한 말이지만 영어권 국가에 가면 살아남기 위해(...) 강제로 영어를 할 수 밖에 없게 된다. |
37 | 37 | |
38 | 외국에 나가기는 싫은데 영어는 외국인만큼 잘하고 싶다면 외국에서 사는 것을 대신할 만한 '환경'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간단히 스마트폰이나 PC의 환경설정을 영어로 바꾼다던가, 게임을 영어로 플레이한다던가, 영어로 된 유튜브 채널/스트리밍[* [[씹덕]]이라면 영어권 [[버튜버]]를 봐도 좋다.]을 즐겨 본다던가, 모든 책을 영어로만 구입한다던가, 외국인들이 있는 SNS 서비스[* [[VRChat]]이나 [[디스코드]] 등이 가장 접근성이 높다.]에서 실시간 보이스 채팅 참여를 한다던가, 영화를 볼때 자막을 끄고 본다던가, 생각할 때마다 숫자를 영어로 센다던가, 외국인 [[여자친구]]/[[남자친구]]를 사귄다던가~~음?~~, 장보러 나갈 때마다 물건들의 영어 이름을 떠올려 보는 것 등이 있다. |
|
38 | 외국에 나가기는 싫은데 영어는 외국인만큼 잘하고 싶다면 외국에서 사는 것을 대신할 만한 '환경'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간단히 스마트폰이나 PC의 환경설정을 영어로 바꾼다던가, 게임을 영어로 플레이한다던가, 영어로 된 유튜브 채널/스트리밍[* [[씹덕]]이라면 영어권 [[버튜버]]를 봐도 좋다.]을 즐겨 본다던가, 모든 책을 영어로만 구입한다던가, 외국인들이 있는 SNS 서비스[* [[VRChat]]이나 [[디스코드]] 등이 가장 접근성이 높다.]에서 실시간 보이스 채팅 참여를 한다던가, 영화를 볼때 자막을 끄고 본다던가, 생각할 때마다 숫자를 영어로 센다던가, 외국인 [[여자친구]]/[[남자친구]]를 사귄다던가~~음?~~, 장보러 나갈 때마다 물건들의 영어 이름을 떠올려 보는 것 등이 있다. |
|
39 | ||
40 | 위에 나열된 걸 하나만 하는 게 아니라 전부 하는 게 중요하다~~여친은 어케하노~~. 학계나 전문 분야를 배우다보면 당연히 해당 분야 한정해서는 기술적 영어를 도입해 익숙해지는 경우가 많겠지만(예: 영어 논문, 영어 기술서적) 다른 분야, 예를 가령 셰익스피어 문학작품을 보여주면 읽기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또, 글자로만 배우면 리스닝은 전혀 안 는다. 리딩만 하는 것 같다 싶으면 가끔 영어 영화나 유튜브도 봐야 전반적인 실력이 올라가며, 한국인들이 원하는 '영어를 진짜로 잘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 |
|
41 | ||
42 | 사실 이는 영어뿐 아니라 어느 언어더라도 동일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