왁스코드
최근 수정 시각: ()
왁스코드 Wakscord | |
| |
개발 및 유통 | |
런칭 | |
서비스 종료 | |
구독 수 | 143,900개 [기준] |
유형 | |
서비스 형태 | 무료 |
홈페이지 | [2] | |
1. 개요 [편집]
2. 상세 [편집]
2.1. 웹 앱 [편집]
- PC 엣지 브라우저: 왁스코드 앱 사이트 접속 - 브라우저 우측 상단에 있는 설정(점 세개) - 기타 도구 - 작업 표시줄에 고정 혹은 시작화면에 고정.
- PC 크롬 브라우저: 왁스코드 앱 사이트 접속 - 브라우저 우측 상단에 있는 설정(점 세개) - 전송,저장,공유 - 페이지를 앱으로 설치
- 모바일 엣지 브라우저: 왁스코드 앱 사이트 접속 - 하단 도구 바에서 도구 모음(짝대기 세개) - 휴대폰에 추가. 만약 휴대폰에 추가가 없다면 모든 메뉴로 들어가면 나온다.
- 모바일 크롬 브라우저: 왁스코드 앱 사이트 접속 - 상단 주소 바에서 도구 모음(점 세개) - 홈 화면에 추가.
홈화면에서는 현재 우왁굳, 이세계아이돌, 천양, 고정멤버의 아프리카TV 방송 상태와 방송 제목[4], 방송 유무[5]를 보여주며 왁타버스 멤버들의 SNS[6]의 바로가기 링크를 제공한다.
내 알림 탭에서는 알림을 구독하고 채팅 기록과 방송 알림을 볼 수 있다. 유저가 원하는대로 알림을 커스텀 할 수 있다. 웹사이트 자체에 알림을 구독하는 것으로 Discord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왁타버스 멤버들의 알림을 받아볼 수 있다.
DIscord 웹후크를 이용해 자신의 디스코드 채널에 구독할 수 있다.
메시지 탭은 후술할 왁물원 자체 SNS 서비스로, 우왁굳, 이세계아이돌이 팬들에게 전달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단, 메시지 응답 기능은 왁물원에서만 가능하고 여기선 불가능하다.
2.2. Discord 웹후크 [편집]
사실상 주기능이다.
한번 원하는대로 구독해두면 왁타버스 요인들에 대한 다양한 알림을 원하는 디스코드 서버의 원하는 채널에서 자동,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다.
한번 원하는대로 구독해두면 왁타버스 요인들에 대한 다양한 알림을 원하는 디스코드 서버의 원하는 채널에서 자동,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다.
- 방송 켜짐 알림
- 방송 제목 변경 알림
- 유튜브 업로드 알림
- 왁물원 글 작성 알림
- 왁물원 자체 SNS 메시지 알림
- X 스페이스 방송 알림
- 네임드들의 채팅 알림
2.3. 왁물원 자체 SNS [편집]
왁스코드 아이콘 | |||||||
왁스코드 안내문 | |||||||
우왁굳, 이세계아이돌의 전용 SNS 서비스로, 우왁굳 및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이 방송 중이 아닌 다른 원하는 때에도 팬들과의 실시간 소통을 가능케 하도록 관련 게시판에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일종의 반공개 방식의 Dear U bubble 같은 시스템.
우왁굳, 혹은 이세계아이돌이 채팅을 시작하면, 왁스코드 봇 계정으로 새 게시글이 작성되고 채팅 세션이 열린다. 팬들은 왁물원에 가입하면 해당 게시글에 댓글을 달아 채팅을 시작한 멤버에게 자신의 채팅을 보낼 수 있었다. [7] 2025년 7월 10일 논란 이후 댓글을 통한 답장 기능은 삭제되었다.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모티콘, 사진, 음성메시지도 받아볼 수 있으며 채팅을 시작한 멤버가 세션을 나가면 채팅이 종료되어 더 이상 답장이 보내지지 않는다. 해당 서비스를 통해 우왁굳과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이 작성한 채팅은 왁스코드 웹사이트 및 Discord 웹후크에도 전송되며 관련 옵션을 구독한 경우 알림을 받을 수 있다.
2.4. 트위치 확장 프로그램 [편집]
Discord를 클론 코딩해 우왁굳, 이세계아이돌, 뢴트게늄, 천양의 트위치 채널 정보 창에 디스코드 같은 정보 창을 추가한다.
원래 트위치 채팅은 당시 채팅방에 접속해있던 사람들끼리만 볼 수 있고 바로 삭제되어 나중에 접속한 사람들은 이 기록을 볼 수 없다. 이 트위치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이 채팅 기록이 사라지기 전에 왁스코드 서버로 후킹해서 저장한 뒤 트위치 채널의 채팅창으로 보내서 볼 수 있게 만든다.
데스크톱 버전에선 채널 정보창에서 채팅 기록을 볼 수 있다.
모바일 버전에선 채널 채팅창에 들어가면 우측 상단에 왁스코드 로고가 생성된다. 이것을 클릭하면 채팅을 볼 수 있다.
트위치가 대한민국에서의 사업을 종료했기 때문에 더 이상 볼 수 없다.
3. 논란 및 사건 사고 [편집]
3.1. 개인정보 무단 수집 논란 [편집]
|
개드립@, 루리웹@
WJMAX 저작권 침해 논란으로 시끄러운 가운데 개인정보 무단 수집 논란이 불거졌다.# 이용자에게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충분한 고지가 없었다는 점, 메신저가 남긴 채팅 내용이 자동으로 왁물원에 게시글로 올라가고 해당 게시글에 왁물원 가입자들이 남긴 댓글이 메신저의 디스코드로 전송되는 일명 매크로 방식을 사용하는 점, 등이 네이버 서비스 이용약관을 위반한다. 이에 방송통신위원회는 형사법 314조 제2항 위반 소지가 있기에 경찰청의 검토가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남겼으며, 우왁굳 및 왁스코드측의 답변은 없는 상태이다.
다만 카페에 자동으로 작성되는 공지는 아래와 같이 변하였다.
WJMAX 저작권 침해 논란으로 시끄러운 가운데 개인정보 무단 수집 논란이 불거졌다.# 이용자에게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충분한 고지가 없었다는 점, 메신저가 남긴 채팅 내용이 자동으로 왁물원에 게시글로 올라가고 해당 게시글에 왁물원 가입자들이 남긴 댓글이 메신저의 디스코드로 전송되는 일명 매크로 방식을 사용하는 점, 등이 네이버 서비스 이용약관을 위반한다. 이에 방송통신위원회는 형사법 314조 제2항 위반 소지가 있기에 경찰청의 검토가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남겼으며, 우왁굳 및 왁스코드측의 답변은 없는 상태이다.
다만 카페에 자동으로 작성되는 공지는 아래와 같이 변하였다.
|
|
3.2. 네이버, SOOP, 디스코드 내부 API 무단 사용 논란 [편집]
2025년 7월 27일 내부자 폭로 기사에서, 왁스코드 개발진이 공개 API의 한계점을 우회하기 위해 외부적으로 공개되지 않는 비공개 API를 사용하고 수많은 IP 주소로 차단을 우회해가며 개발을 해왔다는 의혹이 나왔다. 그런데 왁스코드의 소스 코드는 GitHub에 공개된 상태였고, 코드를 확인한 네티즌들에 의해 많은 의혹이 사실로 밝혀지며 논란이 되었다. GitHub에 있던 코드는 논란이 점화되자 비공개되었다.
문제가 된 API는 많은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 웹 API로, 해당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웹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자동화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버에 요청하고 읽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많은 경우 제3자가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일부 API를 공개하는데, 당연히 서버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데 드는 리소스가 있다 보니 API를 무제한으로 열어놓으면 부하가 걸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관리한다.
문제가 된 API는 많은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 웹 API로, 해당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웹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자동화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버에 요청하고 읽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많은 경우 제3자가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일부 API를 공개하는데, 당연히 서버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데 드는 리소스가 있다 보니 API를 무제한으로 열어놓으면 부하가 걸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관리한다.
- 요청을 할 때 API key를 요구한다. API key는 제3자가 애플리케이션 제작 요청을 하면 검토해서 발급해주는 방식이 많으며, API key를 통해 누가 어떤 요청을 언제 얼마나 했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상적인 요청이 감지되거나 해당 키가 유출되면 서버에서 키를 회수(revoke)하는 방식으로 DDoS 공격에 대비할 수 있고, API 요청 횟수에 따라 개발자에게 과금을 하는 서비스도 많다.
- Rate limit을 설정한다. Rate limit은 API 요청 속도 제한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는 1분에 최대 100회만 요청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서버에서 처리가 오래걸리는 API일수록 제한을 강하게 하는 방식으로 서버의 부하를 조절한다.
당연하지만 rate limit을 걸거나 특정 API를 공개하지 않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으며, 보안 위협이나 DDoS 공격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하나라도 우회하는 것은 모든 서비스에서 중대한 약관 위반 사항이다. 왁스코드 개발진이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 여러 서비스에서 약관에 어긋나는 사용을 해왔던 만큼 많은 비판과 제재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왁스코드 개발자 중 한 명이 과거 내 트리를 꾸며줘!의 DDoS 공격을 가한 당사자 중 하나라는 폭로가 올라왔다.#
2025년 7월 30일 SOOP 홍보팀 일원이 글로벌e의 기사를 통해 이번 논란에 대해 '드릴 말씀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같은 날 왁스코드 개발자 중 한 명이 내부자 폭로 기사를 올렸던 DNN을 상대로 DMCA 게시 중단 조치 신청을 구글에 제출했으나, 8월 1일에 DMCA 클레임을 철회했다.
이후 2025년 8월 2일 오전 8시 18분에 우왁굳이 상술한 문제들을 근거로 직접 왁스코드 운영 중단을 요청했고 스태프[10]만 작성가능한 왁타 메모장을 통해 간단한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마지막 줄에 "네이버 이용약관을 준수 하겠습니다."라는 짧은 입장을 작성했다. 관련 왁물원 게시글멤버전용
2025년 8월 12일, 우왁굳은 공지를 통해 외부 프로그램 사용 이슈로 인해 경고조치를 받았음이 확인됐다. 우왁굳은 왁물원 내에 이와 관련한 글을 전부 삭제했고 관리 부족으로 인한 사죄 및 해당 내용에 대한 클린 캠페인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2
이후 왁스코드 개발자 중 한 명이 과거 내 트리를 꾸며줘!의 DDoS 공격을 가한 당사자 중 하나라는 폭로가 올라왔다.#
2025년 7월 30일 SOOP 홍보팀 일원이 글로벌e의 기사를 통해 이번 논란에 대해 '드릴 말씀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같은 날 왁스코드 개발자 중 한 명이 내부자 폭로 기사를 올렸던 DNN을 상대로 DMCA 게시 중단 조치 신청을 구글에 제출했으나, 8월 1일에 DMCA 클레임을 철회했다.
이후 2025년 8월 2일 오전 8시 18분에 우왁굳이 상술한 문제들을 근거로 직접 왁스코드 운영 중단을 요청했고 스태프[10]만 작성가능한 왁타 메모장을 통해 간단한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마지막 줄에 "네이버 이용약관을 준수 하겠습니다."라는 짧은 입장을 작성했다. 관련 왁물원 게시글멤버전용
2025년 8월 12일, 우왁굳은 공지를 통해 외부 프로그램 사용 이슈로 인해 경고조치를 받았음이 확인됐다. 우왁굳은 왁물원 내에 이와 관련한 글을 전부 삭제했고 관리 부족으로 인한 사죄 및 해당 내용에 대한 클린 캠페인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2
4. 여담 [편집]
- 본래 '이세돌 CCTV' 라는 이름으로 운영하였고, 왁물원과 이세계아이돌 미니 갤러리에 홍보해 인지도를 얻었다.[11] 2022년 6월 초순, 왁스코드로 서비스명을 바꾸었다. 과거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 운영 초창기에는 커뮤니티에서 스토킹 논란이 있었으나 이름 변경 이후 우왁굳과 이세계아이돌의 방송에서 노출을 여러 차례 성공시키고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며 잠잠해졌다.
- 종종 구독 옵션에 없는 추가 정보를 개발자가 수동으로 전송한다.[13]
- 2023년 8월 18일에 이세계아이돌 3rd 싱글 스트리밍 독려 메시지를 '에브리원핑'으로 보냈다.
[기준] 2024년 4월 19일[2] API 무단 사용 논란으로 비공개처리되었다.[3] 2025년 8월 2일 오전 8시 30분 기준 해당 게시판은 삭제되었으며 해당 게시판에 있던 글들은 자유게시판으로 이동되었다.[4] 방송이 켜졌을 때[5] 휴뱅/뱅온[6] 인스타그램, X. 아프리카 TV, 유튜브[7] OGQ 이모티콘은 보내지지 않는다.[8] 해당 공지가 첨부된 마지막 글 #[9] 해당 공지가 첨부된 최초 글 #[10] 이 과정에서 기존의 이세계아이돌뿐만 아니라 뢴트게늄 등 일부 고정 멤버들(유치원 제외한 클래식, 아카데미 일부)이 스태프로 발탁되었다.[11] 당시 홍보글[12] 고세구의 글씨체를 딥러닝으로 제작한 폰트이다.[13] 파일:왁스코드 우왁굳 그분.png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