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분류

1. 개요

1. 개요 [편집]

업 | karma

업(業, Karma)은 불교를 비롯한 인도 종교 전통에서 매우 핵심적인 개념으로, 말 그대로는 ‘행위’를 의미한다. 그러나 단순한 행동만이 아니라, 그 행위가 낳는 결과와 인과 관계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업은 행동—특히 의도를 가진 행동—이 미래의 결과를 낳는다는 원리를 말하며, 이는 개인의 삶뿐 아니라 죽음 이후의 윤회와 내세에도 영향을 준다고 여겨진다.
불교에서는 업을 ‘의도된 행위’로 정의하며, 몸으로 하는 행동(신업), 말로 하는 행동(구업), 마음으로 하는 생각(의업) 모두가 업이 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단순한 행동 그 자체가 아니라 그 행동을 일으킨 동기와 의도이다. 악한 의도를 가진 행동은 악업(惡業)을 낳고, 선한 의도를 가진 행동은 선업(善業)을 낳는다. 이러한 업은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결과를 가져오며, 그 결과는 현세 혹은 내세에서 반드시 나타난다고 본다.

업은 고정된 운명이나 신의 뜻이 아니라, 스스로의 행위로 인해 자초하는 결과라는 점에서 인간에게 책임과 자율성을 부여한다. 즉, 사람은 자기 업의 주인이며, 업을 지음으로써 자신의 미래를 형성해 나간다. 이 점은 불교의 윤회사상과도 깊이 연결되어 있다. 중생은 무수한 생을 거듭하면서 쌓은 업에 따라 육도 가운데 하나로 태어나며, 이 순환은 해탈을 통해서만 끊어낼 수 있다.

불교에서는 업을 단순히 도덕적 보상 체계로 보지 않는다. 업은 복잡하고 다층적인 인과 관계 속에 있으며, 모든 일이 단일한 원인에서 비롯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좋은 일을 했다고 반드시 곧바로 좋은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으며, 나쁜 일이 일어났다고 반드시 그것이 당사자의 과거 악업 때문이라고 단정짓는 것도 경계한다. 오히려 이러한 인과의 복잡성 속에서 끊임없이 깨어 있는 마음으로 삶을 살아가는 것이 강조된다.

요약하면, 업은 인간의 의도적 행위와 그 결과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불교에서 윤회와 해탈, 존재의 고통과 해방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틀을 제공한다. 인간은 업을 통해 자신과 세계를 만들어가며, 수행을 통해 그 업의 사슬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본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