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ttle Brothers/방어구
최근 수정 시각: ()
1. 개요 [편집]
배틀 브라더스에서 나오는 방어구에 대한 정보를 담은 문서이다. 기본적인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 내구도 = 방어력: 데미지를 입으면 방어구의 내구도가 줄어들며, 방어력도 함께 줄어든다. 내구도가 0이 되면 방어력도 똑같이 0이 되어 버린다. 내구도가 0이 된 상태에서 장착한 대상이 죽을 시 장착된 방어구는 영원히 사라져버린다.
- 방어구의 소모 피로도를 주의하라 이름 그대로 방어구를 착용했을때 유닛이 점점피로를 느낀다. 이 소모피로도는 방어구의 내구도에 비례한다. 강력한 방어구를 모든 유닛에게 착용시킬 수 없게 만드는 시스템이다. 방어구의 소모피로도와 유닛의 최대 피로도 스탯, 전투 지속시간을 계산하자.
2. 희귀한 방어구 [편집]
2.1. 유니크 방어구 [편집]
유니크 갑옷과 투구는 베이스가 된 방어구에 내구도 1.1~1.25배, 피로도 감소 수치 감소 3~9가 붙는다. 예를 들어 내구 320에 피로도 감소 -42인 Coat of Plate 유니크의 경우, 내구도는 352~400, 피로도 감소는 -39~33까지 나올 수 있다.
유니크 방패는 내구도(20~60%), 근접 방어력(20~40%), 원거리 방어력(20~40%), 최대 피로도 감소(0.9~0.7배), 스킬 사용시 소모 피로도 감소(1~3) 중 랜덤한 2개의 스펙이 더 좋다. 유니크 방패라도 전투 중 부서졌다면 사라지며 예외적으로 상대 챔피언이 들고 있었던 경우, 부숴도 내구도 0으로 루팅된다.
유니크 방패는 내구도(20~60%), 근접 방어력(20~40%), 원거리 방어력(20~40%), 최대 피로도 감소(0.9~0.7배), 스킬 사용시 소모 피로도 감소(1~3) 중 랜덤한 2개의 스펙이 더 좋다. 유니크 방패라도 전투 중 부서졌다면 사라지며 예외적으로 상대 챔피언이 들고 있었던 경우, 부숴도 내구도 0으로 루팅된다.
2.2. 레전더리 방어구 [편집]
일반 방어구보다 스펙만 더 좋은 유니크 방어구와 다르게, 레전더리 방어구는 특수한 고유 효과가 있으며 한 개씩만 얻을 수 있다.
- 이지록 세트 : 전설적 던전인 얼음 동굴과 사냥터를 순서대로 클리어하면 얻을 수 있다. 매 턴 체력을 10씩 회복시킨다. 자체 내구도에 비해 피로도 감소가 커서 특수효과를 제외하고 보면 일반 유니크보다도 좋지 않다. 하지만 방어구 무시 피해를 입히는 적은 꾸준히 등장하므로 피로도가 상대적으로 넉넉한 용병에게 입혀주면 이런 상황에서 생존률이 꽤 높아진다. 세트를 같이 입으면 매 턴 체력을 20씩 회복하게 되는데, 룩에 신경쓰지 않으면 그보다는 두 명의 용병에게 따로 입혀서 두 용병이 체력을 10씩 회복하도록 하는 것이 더 좋다. 획득 방법이 레전더리 방어구 중 가장 쉬워서 활약할 기회는 가장 많은 편.
- 이지록의 투구(투구) : 내구도 310, 피로도 -20. 매 턴 체력을 10씩 회복시킨다.
- 이지록의 갑옷(갑옷) : 내구도 320, 피로도 -32. 매 턴 체력을 10씩 회복시킨다.
- 황제 세트 : 전설적 던전인 룰'가직스에서 투구를, 블랙 모노리스에서 갑옷을 얻을 수 있다.[1] 받은 피해의 25%를 적에게 반사한다. 반사 효과도 좋고 기본 내구도 자체가 매우 뛰어나서 반사 효과를 빼고 봐도 어떤 유니크 갑옷보다도 좋다. 성능 외적 단점으로 사실상 게임내 최종 컨텐츠인 블랙 모노리스를 클리어해야 얻을 수 있어서 활약할 기회가 적다는 것.
- 황제의 얼굴(투구) : 내구도 400, 피로도 -20. 받은 피해의 25%를 적에게 반사한다.
- 황제의 갑옷(갑옷) : 내구도 400, 피로도 -30. 받은 피해의 25%를 적에게 반사한다.
- 다브쿨 세트 : 이벤트로 11레벨 이상의 용병 하나를 희생하여 획득.[2] 매 턴 내구도를 90씩 회복한다. 자체 내구도만 보면 일반 중갑보다도 내구도가 떨어지지만 내구도가 자동으로 회복되니 사실상 내구도는 한 턴에 집중공격당하지 않는다면 황제의 갑옷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피로도 감소치가 다른 중갑들에 비해 비교도 안 되게 적어서 방어력도 최대로 챙기면서 피로도도 넉넉하게 쓸 수 있는 게임 내 최강의 갑옷으로 취급된다. 다만 얻는 과정이 복잡하고 대가가 큰 것이 단점.
- 다브쿨의 주시(투구) : 내구도 270, 피로도 -10. 매 턴 내구도 90 회복.
- 다브쿨의 양상(갑옷) : 내구도 270, 피로도 -18. 매 턴 내구도 90 회복.
- 길더의 포옹(방패) : 가라앉은 도서관 클리어 후 역사가 배경의 용병이 책을 해석하는 데에 성공하면 3가지 보상 중 하나로 선택 가능하다. 내구도 768, 근접 방어 25, 원거리 방어 25, 피로도 -16, 방패를 때리는 적은 혼란 효과를 받음.이라는 사기적인 스펙을 가졌다.
- 팽샤이어(투구) : DLC 특전. 내구도 60, 피로도 -5. 착용자의 야간 페널티를 무효화한다. 특수 효과가 궁수에게 매우 유용하지만 방어도가 다른 궁수용 투구에 비해 많이 부실하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팽샤이어를 착용하는 궁수 한정으로 스틸 블로우 퍽을 고려하기도 한다.
3. 몸통 [편집]
3.1. 의류 [편집]
전투 경험이 없는 출신의 용병들이 주로 입고 나오며 농부, 민병대, 산적 깡패 등 약한 적들이 입고 나온다.
제일 좋은 의류인 갬비슨조차 제일 약한 갑옷보다 약하므로 결국 갑옷으로 갈아타야 한다.
불타는 사막 DLC 업데이트로 암살자의 로브가 추가되었는데, 웬만한 경갑 수준의 내구도에 소모 피로도가 9 밖에 되지 않아 님블 갑옷으로 상당히 쓸만하다.
제일 좋은 의류인 갬비슨조차 제일 약한 갑옷보다 약하므로 결국 갑옷으로 갈아타야 한다.
불타는 사막 DLC 업데이트로 암살자의 로브가 추가되었는데, 웬만한 경갑 수준의 내구도에 소모 피로도가 9 밖에 되지 않아 님블 갑옷으로 상당히 쓸만하다.
의류 | 값어치 | 내구도 | 소모 피로도 | 힌트 |
0 | 5 | |||
20 | 10 | |||
40 | 20 | 고행자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입고 있는 옷 | ||
45 | 20 | |||
30 | 20 | |||
45 | 20 | 수도승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입고 있는 옷 | ||
100 | 20 | 포주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입고 있는 옷 | ||
60 | 20 | 이벤트 중 군견에 의해 얻을 수 있음 | ||
65 | 30 | |||
55 | 25 | 도축업자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입고 있는 옷 | ||
65 | 30 | 해부학자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입고 있는 옷 | ||
65 | 30 | |||
40 | 30 | -1 | 바바리안 노예가 주로 입고 있는 옷 | |
50 | 30 | -2 | ||
75 | 35 | -2 | 네크로맨서들이 주로 입고 있는 옷 | |
75 | 35 | -2 | ||
150 | 40 | -4 | 가끔 투기장에서 보상으로 제공하는 옷 | |
80 | 45 | -3 | 바바리안 노예가 주로 입고 있는 옷 | |
90 | 50 | -4 | ||
80 | 50 | -5 | ||
100 | 55 | -6 | 산적 약탈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옷 | |
100 | 60 | -4 | 네크로맨서들이 주로 입고 있는 옷 | |
140 | 60 | -5 | ||
180 | 65 | -5 | 해부학자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입고 있는 옷 | |
150 | 65 | -6 | 상점에서 판매하는 의류 중 가장 방어력이 높음 | |
140 | 65 | -7 | 유목민 무법자가 주로 입고 있는 옷 | |
160 | 70 | -7 | 산적이 주로 입고 있는 옷 | |
240 | 88 | -9 | 이교도 직업인 캐릭터가 가끔 입고 있는 옷 | |
1400 | 120 | -9 | 암살자, 블레이드 댄서가 입고 있는 옷 |
3.2. 갑옷 [편집]
용병, 방랑기사 등 전투 경험이 있는 출신의 캐릭터들은 처음부터 하나쯤 입고 나오며 산적 약탈자 이상의 인간형 적들은 대부분 갑옷을 입고 있다.
언데드, 바바리안 방어구는 소모 피로도에 비해 방어력이 낮으므로 임시로 입히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추천하지 않는다.
2000크라운 가치에 210의 방어도를 가지는 강화된 호버크가 가성비가 좋아서 보급용으로 좋다.
언데드, 바바리안 방어구는 소모 피로도에 비해 방어력이 낮으므로 임시로 입히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추천하지 않는다.
2000크라운 가치에 210의 방어도를 가지는 강화된 호버크가 가성비가 좋아서 보급용으로 좋다.
갑옷 | 값어치 | 내구도 | 소모 피로도 | 힌트 |
120 | 65 | -7 | 바바리안 파괴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180 | 75 | -7 | 도시국가 징집병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130 | 75 | -8 | 바바리안 파괴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200 | 80 | -8 | 산적 약탈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200 | 80 | -8 | 유목민 무법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250 | 90 | -10 | 산적 약탈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300 | 95 | -10 | 산적 약탈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220 | 95 | -10 | 바바리안 파괴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500 | 100 | -9 | 해부학자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350 | 100 | -14 | 고대 언데드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350 | 105 | -11 | 유목민 무법자, 지도자, 사막 추적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400 | 110 | -11 | 도시국가 징집병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400 | 110 | -12 | 산적 약탈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450 | 115 | -12 | 산적 약탈자들과 산적 대장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450 | 120 | -16 | 고대 언데드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750 | 125 | -20 | 고대 군단병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650 | 130 | -14 | 산적 약탈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750 | 135 | -15 | 도시국가 장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900 | 135 | -22 | 고대 군단병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800 | 140 | -16 | ||
550 | 140 | -18 | 바바리안 선택받은 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1050 | 150 | -16 | 서약자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1000 | 150 | -18 | ||
2500 | 160 | -15 | ||
1300 | 170 | -21 | ||
700 | 170 | -24 | 바바리안 선택받은 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1000 | 170 | -26 | 쓰러진 영웅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2000 | 180 | -22 | 고대 언데드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1600 | 190 | -24 | ||
2400 | 190 | -25 | 고대 의장대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1600 | 200 | -22 | 서약자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1800 | 200 | -25 | 유목민 지도자, 도시국가 장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2800 | 200 | -28 | 고대 의장대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2000 | 210 | -26 | 산적 대장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3200 | 210 | -30 | 고대 의장대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3000 | 230 | -30 | 산적 대장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1200 | 230 | -35 | 바바리안 선택받은 자, 왕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3000 | 240 | -38 | 쓰러진 영웅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4000 | 240 | -28 | ||
4000 | 250 | -26 | 야망을 완수하면 얻을 수 있음 | |
4000 | 260 | -42 | 쓰러진 영웅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4500 | 260 | -32 | 용병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5000 | 285 | -40 | ||
5600 | 290 | -36 | 도시국가 장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6000 | 300 | -34 | 서약자 직업, 서약인도자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6000 | 300 | -38 | 방랑 기사들이 주로 입고 있는 갑옷 | |
7000 | 320 | -42 | 방어구 대장간에서 파는 일반 갑옷 중에서 가장 방어력이 높음 |
3.3. 방어구 부착물 [편집]
모든 방어구에는 1개의 부착물을 영구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이는 방어구의 스펙을 강화시키거나 특별한 효과를 더해줄 수 있다.
부착물은 1개만 부착 가능하며 다른 부착물로 덮어씌워 제거는 가능하나 부착을 해제하고 다른 방어구로 옮겨달 수 없으므로 초반에 고급 부착물을 얻었을 때 이를 싸구려 갑옷에 붙이면 후회할 수 있다. 상점에서 구입하거나, 랜덤하게 입수하거나, 야수의 부산물로 박제관에서 제작할 수 있다. DLC 추가 이후로는 이미 부착물이 부착되어 있는 고유 갑옷을 얻는 경우도 생겼다. 상점제, 사전 부착물은 오직 내구도를 높이는 스펙 강화형 뿐이며 제작 아이템들은 고유 효과가 있다.
부착물은 1개만 부착 가능하며 다른 부착물로 덮어씌워 제거는 가능하나 부착을 해제하고 다른 방어구로 옮겨달 수 없으므로 초반에 고급 부착물을 얻었을 때 이를 싸구려 갑옷에 붙이면 후회할 수 있다. 상점에서 구입하거나, 랜덤하게 입수하거나, 야수의 부산물로 박제관에서 제작할 수 있다. DLC 추가 이후로는 이미 부착물이 부착되어 있는 고유 갑옷을 얻는 경우도 생겼다. 상점제, 사전 부착물은 오직 내구도를 높이는 스펙 강화형 뿐이며 제작 아이템들은 고유 효과가 있다.
상점제 | |||
이름 | 내구도 증가치 | 소모 피로도 변동치 | 가격 |
10 | 0 | 100 | |
10 | 0 | 100 | |
20 | -2 | 200 | |
20 | -2 | 200 | |
30 | -3 | 300 | |
30 | -3 | 500 | |
40 | -4 | 500 | |
40 | -4 | 500 |
제작 | |||
이름 | 효과 | 재료 | 가격 |
방어구 관통 대미지 33% 감소 | 설원 언홀트 가죽 + 다이어울프 가죽 | 400 | |
모든 전투에서 갑옷무시 공격을 제외한 첫번째 피격 무효화 | 언홀트 뼈*3 혹은 언홀트 뼈 + 린트부름 뼈 | 450 | |
내구도 +15, 근접한 적 리졸브 -5 | 다이어울프 가죽*3 | 250 | |
몸통에 입는 모든 근접공격 피해 10% 감소 | 크라켄 껍질 + 나흐체러 뿔*2 | 650 | |
갑옷의 최대 피로도 페널티 20% 감소 | 거미줄*2 + 빛나는 숲요정 진액 | 450 | |
내구도 +60, 최대 피로도 -3, 린트부름 산성액 무시 | 린트부름 비늘 + 언홀트 가죽 | 350 | |
공포, 패닉, 정신지배에 대항해 리졸브 체크 시 +15 | 네크로서번트 재 + 알프 가죽 + 마녀 머리카락 | 500 | |
몸통에 입는 모든 원거리공격 피해 20% 감소 | 설원 언홀트 가죽*2 | 500 | |
내구도 +15, 주도력 +15 | 하이에나 가죽*3 | 200 | |
내구도 +30, 최대 피로도 -2, 총기와 화염 피해 -33% | 뱀가죽*2 + 나흐체러 뿔 | 300 |
사전 부착 | ||
이름 | 내구도 증가치 | 소모 피로도 변동치 |
40 | -4 | |
60 | -4 | |
115 | -10 |
4. 머리 [편집]
4.1. 의류 모자 [편집]
전투 경험이 없는 출신의 캐릭터가 쓰고 나오며 약한 적들이 쓰고 나온다. 가장 강한 모자인 듀얼리스트의 모자도 가장 약한 투구보다 방어도가 낮으므로 결국 전부 투구로 갈아타게 된다. 다만 전설 아이템인 팽샤이어는 방어도가 모자 치고 그럭저럭 높으면서 밤에 시야를 늘려주는 효과가 있어서 궁수 중 원거리 방어력이 높은 한 명이 쓰면 좋다.
의류 | 값어치 | 내구도 | 소모 피로도 | 시야 | 힌트 |
15 | 10 | 광부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30 | 20 | 캐러밴 일꾼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20 | 30 | -1 | 이교도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80 | 30 | 재단사, 음유시인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40 | 30 | ||||
70 | 30 | 가끔 시장에서 판매함 | |||
70 | 30 | 광대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60 | 30 | 농부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30 | 30 | 바바리안 노예, 파괴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40 | 30 | ||||
50 | 30 | ||||
40 | 30 | 공병이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40 | 30 | 총병이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70 | 40 | -1 | |||
100 | 40 | 네크로맨서가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60 | 40 | -2 | |||
120 | 40 | 해부학자 직업이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100 | 40 | 마녀사냥꾼 직업인 캐릭터나 네크로맨서가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60 | 40 | 암살자가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60 | 40 | -2 | |||
120 | 45 | 사막 추적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80 | 45 | -3 | |||
100 | 50 | -2 | |||
110 | 50 | -2 | |||
100 | 50 | -3 | 바바리안 노예, 파괴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150 | 60 | -1 | 블레이드 댄서들이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140 | 60 | -3 | -1 | 이교도 직업인 캐릭터가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200 | 70 | -3 | 소드마스터 직업인 캐릭터나 츠바이헨더들이 주로 쓰고 있는 모자 | ||
300 | 60 | -5 | 밤에 의한 시야 페널티를 없애줌 |
4.2. 투구 [편집]
전투 경험이 있는 출신의 캐릭터들이 쓰고 나오며 산적 약탈자 이상의 적들이 쓰고 나온다. 주로 적들이 몸통을 맞고 죽을 때가 많기 때문에 갑옷보다 온전하게 노획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상대적으로 더 쉽게 얻을 수 있다.
바바리안, 고대 군단과 쓰러진 영웅의 투구는 쉽게 노획할 수 있는 것에 비해 내구도가 괜찮지만 녹슬어서 소모 피로도에 비해 방어도가 낮으므로 임시로 쓰더라도 장기적으로는 다른 장비로 바꾸는 것이 좋다. 최고 티어 투구인 풀 헬름은 귀족 가문 기사들이 하나씩 쓰고 나오므로 전쟁 중에 최대한 확보해보자.
바바리안, 고대 군단과 쓰러진 영웅의 투구는 쉽게 노획할 수 있는 것에 비해 내구도가 괜찮지만 녹슬어서 소모 피로도에 비해 방어도가 낮으므로 임시로 쓰더라도 장기적으로는 다른 장비로 바꾸는 것이 좋다. 최고 티어 투구인 풀 헬름은 귀족 가문 기사들이 하나씩 쓰고 나오므로 전쟁 중에 최대한 확보해보자.
투구 | 값어치 | 내구도 | 소모 피로도 | 시야 | 힌트 |
140 | 70 | -3 | |||
170 | 70 | -3 | -1 | 해부학자 직업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독기 내에서 입는 피해 50% 감소 | |
150 | 70 | -4 | 산적 약탈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200 | 80 | -4 | |||
250 | 90 | -4 | |||
250 | 95 | -8 | -1 | 고대 군단병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300 | 100 | -5 | -1 | ||
350 | 105 | -5 | -1 | 산적 약탈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350 | 105 | -5 | -1 | ||
320 | 105 | -6 | -1 | 바바리안 파괴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375 | 110 | -5 | 서약자 직업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350 | 110 | -7 | -1 | 산적 약탈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450 | 115 | -6 | -1 | 무장한 좀비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1200 | 120 | -5 | 시야 페널티가 없는 일반 투구들 중에서 방어력이 가장 좋음 | ||
550 | 120 | -6 | -2 | 해부학자 직업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500 | 125 | -7 | -1 | ||
500 | 125 | -7 | -1 | 용병, 현상금 사냥꾼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500 | 125 | -7 | -1 | ||
450 | 125 | -8 | -1 | ||
600 | 130 | -10 | -2 | 고대 군단병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550 | 130 | -7 | -1 | ||
350 | 130 | -8 | -1 | 바바리안 야수 조련사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600 | 140 | -9 | -2 | 산적 약탈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1800 | 140 | -6 | -2 | 암살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650 | 140 | -8 | -1 | 무장한 좀비들과 산적 대장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550 | 145 | -11 | -1 | 바바리안 파괴자, 선택받은 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800 | -150 | -9 | -1 | 산적 대장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850 | 150 | -7 | -1 | 츠바이헨더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650 | 150 | -15 | -2 | 바바리안 선택받은 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1000 | 170 | -10 | -3 | ||
1000 | 180 | -13 | -3 | 고대 의장대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1250 | 180 | -11 | -3 | ||
2600 | 190 | -9 | -2 | ||
800 | 190 | -18 | -2 | 바바리안 선택받은 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1250 | 200 | -12 | -2 | 산적 대장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1250 | 200 | -12 | -2 | 용병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1250 | 200 | -12 | -2 | ||
1400 | 210 | -13 | -2 | 산적 대장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1500 | 215 | -14 | -2 | 산적 대장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2200 | 225 | -13 | -3 | 검투사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150 | 230 | -19 | -3 | 쓰러진 영웅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1250 | 230 | -19 | -3 | 쓰러진 영웅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1800 | 230 | -15 | -2 | ||
1500 | 240 | -20 | -3 | 쓰러진 영웅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2000 | 240 | -16 | -2 | ||
2000 | 250 | -15 | -3 | 서약자 직업, 서약인도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2200 | 250 | -17 | -2 | ||
1300 | 250 | -23 | -3 | 바바리안 왕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2500 | 255 | -17 | -2 | 도시국가 장교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2000 | 255 | -22 | -3 | 쓰러진 영웅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2600 | 265 | -18 | -2 | ||
2600 | 265 | -18 | -2 | ||
2600 | 265 | -18 | -2 | ||
3000 | 280 | -19 | -3 | ||
3000 | 280 | -19 | -3 | 방랑 기사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3200 | 290 | -20 | -3 | ||
3700 | 300 | -18 | -3 | 서약자 직업, 서약인도자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3500 | 300 | -20 | -3 | 방어구 대장간에서 살 수 있는 일반 투구중 방어력이 가장 좋음 방랑 기사, 귀족 기사들이 주로 쓰고 있는 투구 | |
4000 | 320 | -21 | -3 | 야망을 완수하거나 귀족 기사들을 죽여서 얻을 수 있음 |
5. 방패 [편집]
캐릭터의 한쪽 손에 장착하는 방어구로, 착용시 방패벽[3]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투구와 갑옷과 달리 들고 있는 캐릭터가 살아있어도 내구도가 0이 되면 부서져 완전히 사라지기 때문에 적이 도끼를 들고 있다면 조심하자. 적이 수십명 단위로 몰려오는 후반에는 방패 전문가 퍽으로도 버틸 수 없어서 인벤토리에 예비 방패를 넣고 다니는 것이 좋다. [4]
보통 근접 방어를 원하면 히터 방패, 원거리 방어를 원하면 카이트 방패를 장착하면 되는데 카이트 방패의 내구도가 더 높아서 카이트 방패를 장착하는 게 더 보편적이며 원거리 공격이 전혀 없는 적을 상대로는 히터 방패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오크제 방패는 내구도가 매우 뛰어나지만 방패스킬 사용시 피로도가 5 더 든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 방패 중에는 살아있는 나무 방패의 성능이 가장 뛰어나나 숲요정을 잡고 다닐 쯤에는 이미 네임드 방패 한둘은 있을 가능성이 높다.
불타는 사막 DLC를 구매했다면 사막 유목민들이나 남부 도시국가 상점에서 아다르가 방패와 시파르 방패를 얻을 수 있다. 아다르가 방패는 나무 방패보다 원거리 방어가 더 뛰어나지만 내구도가 약해서 쉽게 부숴지는 단점이 있다. 시파르 방패는 높은 내구도 때문에 상점제 방패 중에서는 가장 좋은 장비로 선호된다.
보통 근접 방어를 원하면 히터 방패, 원거리 방어를 원하면 카이트 방패를 장착하면 되는데 카이트 방패의 내구도가 더 높아서 카이트 방패를 장착하는 게 더 보편적이며 원거리 공격이 전혀 없는 적을 상대로는 히터 방패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오크제 방패는 내구도가 매우 뛰어나지만 방패스킬 사용시 피로도가 5 더 든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 방패 중에는 살아있는 나무 방패의 성능이 가장 뛰어나나 숲요정을 잡고 다닐 쯤에는 이미 네임드 방패 한둘은 있을 가능성이 높다.
불타는 사막 DLC를 구매했다면 사막 유목민들이나 남부 도시국가 상점에서 아다르가 방패와 시파르 방패를 얻을 수 있다. 아다르가 방패는 나무 방패보다 원거리 방어가 더 뛰어나지만 내구도가 약해서 쉽게 부숴지는 단점이 있다. 시파르 방패는 높은 내구도 때문에 상점제 방패 중에서는 가장 좋은 장비로 선호된다.
방패 | 값어치 | 내구도 | 소모 피로도 | 근접 방어 | 원거리 방어 | 힌트 |
45 | 12 | -4 | +10 | +10 | 고블린 척후병들이 주로 장착하는 방패 | |
80 | 16 | -10 | +15 | +15 | 고대 보조병들이 주로 장착하는 방패 | |
45 | 16 | -4 | +10 | +5 | 장착시 방패벽 기술을 사용 할 수 없음 | |
50 | 16 | -12 | +15 | +20 | 오크 영들이 주로 장착하는 방패 | |
60 | 16 | -10 | +15 | +15 | 무장한 좀비, 바바리안들이 주로 장착하는 방패 | |
65 | 16 | -8 | +10 | +10 | 고블린 척후병들이 주로 장착하는 방패 | |
100 | 18 | -10 | +15 | +20 | 유목민들이 주로 장착하는 방패 (DLC) | |
100 | 20 | -12 | +15 | +20 | 고대 군단병들이 주로 장착하는 방패 | |
200 | 24 | -20 | +20 | +20 | 고대 군단병들과 고대 의장대들이 주로 장착하는 방패 | |
150 | 24 | -14 | +20 | +15 | 쓰러진 영웅들이 주로 장착하는 방패 | |
90 | 24 | -10 | +15 | +15 | ||
250 | 32 | -14 | +20 | +15 | 산적 대장들과 방랑 기사들이 주로 장착하는 방패 | |
150 | 40 | -16 | +15 | +20 | 쓰러진 영웅들이 주로 장착하는 방패 | |
200 | 48 | -16 | +15 | +25 | 산적 약탈자들과 산적 대장들이 주로 장착하는 방패 | |
250 | 60 | -18 | +18 | +18 | 유목민들이 주로 장착하는 방패 (DLC) | |
250 | 72 | -22 | +15 | +15 | 오크 전사들이 주로 장착하고 오크 군벌들이 가끔 장착하는 방패 | |
700 | 40 | -12 | +20 | +17 | 숲요정이 드랍하는 고대 나무와 빛나는 진액을 조합하여 제작, 매턴 내구도 20회복 (DLC) | |
1200 | 50 | -15 | +24 | +24 | 크라켄이 드랍하는 크라켄장갑과 빛나는 진액을 조합하여 제작 | |
800 | 64 | -14 | +17 | +25 | 린트부름이 드랍하는 린트부름 비늘과 린트부름의 뼈를 조합하여 제작 |
[1] 설정상 플레이어 용병대장의 전생이었던 고대 제국 황제의 갑옷이다. 플레이어가 이 갑옷을 얻은 것은 주인에게 돌아온 셈이다.[2] 용병 하나를 죽여서 가죽을 벗겨 만든 것이다. 이지록 갑옷, 황제의 갑옷과 다르게 피로도 감소가 적은 이유는 가죽갑옷이라 가벼워서 그런 것.[3] 사용시 4ap, 20 피로도 소모. 방패로 인해 받는 방어력 보너스가 두배가 된다.[4] 수행원 중에 대장장이가 있다면 내구도가 0이 되어도 전투 후에 회수가 가능하다. 아래 서술될 살아있는 나무 방패는 부서져 바닥에 널부러진 상태에서 내구도가 스스로 차서 다시 주울 수 있게된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