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4!ただいま配信CHU!
최근 수정 시각: ()
수록 정보 | |
장르 | |
BPM | 275 |
작곡 | |
작사 | ricono[1] |
보컬 | |
BGA | |
|
1. 개요 [편집]
Sobrem이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DJMAX 시리즈 최초로 원제가 일본어인 악곡이며, 제목은 1! 2! 3! 4! 지금 방송 CHU![5]라는 뜻으로, CHU가 일본어에서 中의 음독임을 고려하면 지금 방송 중이라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유저들은 스트리밍, 구츄[6] 라는 별칭으로 부르고 있다.
Sobrem은 처음 참여한 V EXTENSION 4부터 DJMAX 시리즈에 꾸준히 참전하고 있는데, 곡을 내는 족족 화제를 모으는 작곡가인만큼 이번 곡 역시 엄청난 화제를 모았다. DJMAX에 처음 등장하는 전파송 스타일의 곡을 투고하였는데, 마치 보컬로이드 악곡이나 서브 컬쳐 등지에서 주로 보여지는, 귀엽지만 일반인이 듣기에는 다소 오글거릴 수 있는 분위기를 보여주는 곡으로, 아무리 장르 폭이 넓은 Sobrem이라도 평소에 잘 보여주지 않았던 장르인지라 상당히 이색적이라는 말이 많다.[7] 이후 제작진이 직접 DJMAX 시리즈 최초의 전파송임을 공인하였다.
이런 귀여운 곡과 후술할 BGA와는 별개로,전작에서 어지간히 참았는지 자유분방한 전파송 장르에 재즈를 기반으로 한 자유분방한 노래 스타일을 즐기는 Sobrem 특유의 작곡 스타일이 맞물려 엇박[8], 즈레, 변속 등이 난무하는 매우 까다로운 노래이다. 프리뷰 방송부터 제작진이 대놓고 패턴은 귀엽지 않을 것, VoidRover가 Delusion으로 작정하고 보스곡을 썼으나 Sobrem의 노래를 들어보면 Delusion이 보스곡이 될수 없음을 느낄 것, 보스곡은 하늘이 내리는 것, '유저 분들 큰일난 거 같다' 등의 발언이 나온데다 5B SC 역시 작곡가인 Sobrem이 직접 제작했다는 후문 등으로 인해 V LIBERTY 2의 보스곡으로 추정되고 있었으며[9] 실제로 출시 되자 난이도 개편 이후 DIE IN[10]에 이어 2번째로 전 버튼에 SC 15레벨을 받은 곡이 되었다.
실제로 곡이 공개되고 나자, 275라는 무지막지한 BPM에 더불어 쉬는 파트조차 없이 계속 달리는 난해한 드럼 비트, 빼곡히 들어차 있는 칩튠 사운드 등, 쉬는 구간 없는 Carrot Carrot이란 말까지 나오면서 무시무시한 난곡이 될 것임을 예고하며 유저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Sobrem은 처음 참여한 V EXTENSION 4부터 DJMAX 시리즈에 꾸준히 참전하고 있는데, 곡을 내는 족족 화제를 모으는 작곡가인만큼 이번 곡 역시 엄청난 화제를 모았다. DJMAX에 처음 등장하는 전파송 스타일의 곡을 투고하였는데, 마치 보컬로이드 악곡이나 서브 컬쳐 등지에서 주로 보여지는, 귀엽지만 일반인이 듣기에는 다소 오글거릴 수 있는 분위기를 보여주는 곡으로, 아무리 장르 폭이 넓은 Sobrem이라도 평소에 잘 보여주지 않았던 장르인지라 상당히 이색적이라는 말이 많다.[7] 이후 제작진이 직접 DJMAX 시리즈 최초의 전파송임을 공인하였다.
이런 귀여운 곡과 후술할 BGA와는 별개로,
실제로 곡이 공개되고 나자, 275라는 무지막지한 BPM에 더불어 쉬는 파트조차 없이 계속 달리는 난해한 드럼 비트, 빼곡히 들어차 있는 칩튠 사운드 등, 쉬는 구간 없는 Carrot Carrot이란 말까지 나오면서 무시무시한 난곡이 될 것임을 예고하며 유저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2. BGA [편집]
BGA는 전작인 V LIBERTY에서 Break Out의 BGA를 맡았던 Jyutpi가 담당했다. BGA의 내용은 제목과 마찬가지로 흥이와 망이의 인터넷 라이브 방송을 다룬 것으로 보이며, 전작 Break Out의 BGA가 상당히 귀여운 비주얼과 내용으로 곡의 인기를 견인하기까지 한 것은 물론, 유저들 사이에서 단골 밈과 움짤로도 사용되었던 전적이 있는 만큼 이번 곡 역시 DJMAX 커뮤니티의 밈을 잘 파악한 귀여운 BGA로 화제를 몰았다.
이러한 곡과 BGA의 화제성 덕에, 출시 전 진행된 BGA 선공개 투표에서도 압도적으로 1위를 달성하여 선공개되었고, 전통대로 BGA를 맡은 Jyutpi가 축전 일러스트를 보내왔다.
스토리는 예상대로 클리어와 페일이 인터넷 방송인으로 데뷔하여 좌충우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둘이 다투는 모습이 우연히 라이브에 담기게 되고, 이에 오히려 티격태격하는 케미 때문에 예상치 못하게 인기를 끌면서 시청자 수가 급상승하게 되지만, 마지막에 특별출연한 레나가 방송을 키기만 했는데도 흥망이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많은 후원과 채팅창 반응이 나오면서 마무리되는 결말.인기의 비결이 설마... Sweet Dream의 세나와 루미, I want You의 스이, Only for you의 센과 지수, Showtime의 동물 4인방 등이 카메오로 찬조출연한 건 덤이다.[11]
절묘하게도 이 곡이 포함된 V LIBERTY 2는 오리지널 시리즈 전체로 치면 7번째에 해당하는데, 우연의 일치로 똑같이 인터넷 방송을 주제로 진행되었던 시즌도 시즌 7이었다. 심지어 당시 스트리머로 활약한 캐릭터까지 흥이, 망이, 레나 세 명으로 똑같아 제작 과정에서 시즌 7 컨셉이 영향을 준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다.
스토리는 예상대로 클리어와 페일이 인터넷 방송인으로 데뷔하여 좌충우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둘이 다투는 모습이 우연히 라이브에 담기게 되고, 이에 오히려 티격태격하는 케미 때문에 예상치 못하게 인기를 끌면서 시청자 수가 급상승하게 되지만, 마지막에 특별출연한 레나가 방송을 키기만 했는데도 흥망이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많은 후원과 채팅창 반응이 나오면서 마무리되는 결말.
절묘하게도 이 곡이 포함된 V LIBERTY 2는 오리지널 시리즈 전체로 치면 7번째에 해당하는데, 우연의 일치로 똑같이 인터넷 방송을 주제로 진행되었던 시즌도 시즌 7이었다. 심지어 당시 스트리머로 활약한 캐릭터까지 흥이, 망이, 레나 세 명으로 똑같아 제작 과정에서 시즌 7 컨셉이 영향을 준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다.
3. DJMAX RESPECT & V [편집]
| ||||||||||||||||||||||||||||||||||||||||||||
V LIBERTY 2 | ||||
1! 2! 3! 4! Streaming rn CHU! | ||||
모드 | NM | HD | MX | SC |
4B | ||||
5B | ||||
6B | ||||
8B | ||||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유저들이 출시 전 보스곡으로 나올 것을 점치긴 했지만, 예상치 못하게 전 버튼 SC 15레벨을 배정받으며 많은 화제가 되었다. 제작진이 DLC 발매 전부터 해당 곡이 보스곡이라 암시한 것을 증명하듯이, DIE IN에 이어 두 번째로 전 버튼 SC 15레벨을 배정받았다. 전 버튼 15레벨도 모자라서 6B SC는 아예 Nightmare와 대등한 6B 최종보스곡 자리를 넘보고 있는 등 실질적인 난이도 역시 평균 난이도가 높은 V LIBERTY 2의 최종 보스곡으로 평가받는다.
SC 패턴들의 특징은 압도적인 체급을 들 수 있다. 보통 리스펙트 V 하면 떠오르는 고레벨 패턴들의 특징인 일자 연타나 사이드 노트를 활용한 인식난, 5, 8버튼 특유의 기믹 패턴 요소 등을 과감하게 배제하고 275라는 압도적인 BPM에서 나오는 순수 피지컬 요구도와 휴식구간 없는 무자비한 폭타로 곡 내내 밀어붙이는 깡 피지컬 타입. 이 때문에 피지컬 요구치와 체력소모가 상당하지만, 호불호가 갈리는 패턴 요소가 적어 모드 불문하고 맛있게 매운 패턴으로 호평받고 있다. 다만, 곡 내내 빠른 계단과 트릴이 무자비하게 쏟아지는 데다 군데군데 섞인 소브렘다운 즈레 때문에 퍼펙트 플레이를 노리는 유저들에게는 통곡의 벽 취급이다.
4B SC를 제외한 모든 SC 패턴의 후반부 돌입 직전[12]에 피아노음에 맞추어 불규칙한 동시치기가 등장하며, 후반부[13]에 16비트 고속 계단이 쏟아지는 것이 특징.
3.1. 4B TUNES [편집]
NM | HD |
MX | SC |
3.2. 5B TUNES [편집]
NM | HD |
MX | SC |
V LIBERTY 2 DLC 소개 방송에서 XeoN이 밝히길 5B SC를 작곡가 본인이 제작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사실이 공표됨에 따라 Vertical Eclipse와 같이 DPC 입상작이 아닌 패턴임에도 로딩 크레딧에 패턴 디자이너명이 표기되었다.
디맥 5버튼하면 생각나는 레이저 등 가변 요소를 일체 배제하고 피지컬적인 요소로 난이도를 올린 패턴이다. 가변 요소와 노트 리딩 부분을 철저히 배척하고 단순하게 만든 패턴이기 때문에 손속도에 따라 개인차가 꽤나 갈리는 패턴이지만, 요구하는 손속도가 상당히 높기에 일반적으로는 Vertical Eclipse, Diomedes와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받는 편. 후반부에 잠깐 나오는 EZ2AC BEDLAM 5K ONLY스러운 드르륵→부등호 계단은 디맥에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기조의 패턴이라 이 패턴에서 맥스 콤보와 퍼펙트가 막히는 유저들이 많다.[14]
Sobrem이 2024년 12월 22일 개인 방송에서 이 채보를 플레이했는데, 첫 도전에 99.27%라는 높은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이후 Sobrem이 후기 방송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본인은 13~14 정도의 난이도를 상정하고 패턴을 짰으나 제작진 측에서 난이도를 높여줄 것을 주문했다고 한다.
3.3. 6B TUNES [편집]
NM | HD |
MX | SC |
3.4. 8B TUNES [편집]
NM | HD |
MX | SC |
8B SC는 고속계단 위주로 난이도를 올렸다는 점에서 BlueWhite와 흡사한 느낌을 주는데, 고속계단 말고도 트리거 롱노트를 잡고 123-654 드르륵 트릴, 275BPM의 16비트 트리거 트릴, 만담 파트에서는 트리거와 13-46, 2-5가 어지럽게 섞인 복합 트릴이 나오는 등 BlueWhite에 비해 계단의 복잡성 자체는 덜하나 피지컬 요구량은 더욱 상승하여 15레벨에 걸맞은 포스를 보여준다.
만담 파트를 제외하면 트리거 리딩 요구치가 그리 높은 편은 아니고, 뭉개기 편한 패턴인지라 97~98% 정도의 스코어링에 한정해서는 15레벨 내에서 그나마 수월한 편에 속하지만, 통상 난이도인 99%+맥스 콤보부터는 8버튼 최상위권 곡들인 We're All Gonna Die, Bamboo on Bamboo와 맞먹는 수준이며, 퍼펙트 난이도까지 가면 논외로 평가받는 DIE IN을 제외하면 상술한 BlueWhite, Zero-Break와 더불어 8버튼 최종 보스곡으로 꼽아도 손색이 없는 난이도를 보여준다.
4. 둘러보기 [편집]
|
[1] KHYMΞXΛ 등의 보컬을 맡았고, STARDUST SONG의 작사를 담당했다.[2] 클리어 파트 담당[3] 페일 파트 담당[4] Still Wood Garden 소속 성우. 산리오 캐릭터 코기뮹의 성우를 담당했고, 大好きなぬいぐるみ의 보컬을 담당했다.[5] 영제인 Streaming rn(=right now) CHU!에서 해석.[6] 영제인 rn CHU에서 rn을 한글 자판인 구로 읽은 것.[7] 다만 리듬게이머들에게 익숙한 Prim, 카메나나, 릿슈 feat.쵸코 같은 전파송 보다는 전체적으로는 Sobrem이 자주 보여준 재즈 느낌이 강하다. 이 때문에 비슷하게 재즈/펑크 계열 곡을 많이 쓴 Yamajet의 Sweets Holic 같은 곡들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는 편.[8] https://chzzk.naver.com/video/4938040 작곡가 라이브에 의하면 상당히 빠르고 난해한 드럼이 난이도를 높여놓은 곡인데, 막상 드럼은 정박이라고. [9] 실제로 작곡가가 직접 패턴을 제작한 Vertical Eclipse 5B SC가 레벨15로 나온 전례가 있다.[10] 이곡 역시 Sobrem이 작곡(TAK과 합작)한 곡이다.[11] 세나, 루미는 최초의 카메오 등장이며 동물 4인방의 경우 Over Me 이후 오랜만의 등장이다. 스이는 시즌 5에서, 센과 지수는 Tic! Tac! Toe!의 카메오 및 시즌6 테마, DRIVE에서 등장한 바 있다.[12] 가사 기준 'もっと沢山バズりたーい!'에 해당하는 부분.[13] 가사 기준 '私たち今まだまだ未完成で'로 시작하는 부분.[14] 후에 소브렘 본인이 개인 방송에서 진짜로 EZ2 시리즈의 BEDLAM과 비슷하게 만들었다고 하며 초안에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걸 DJMAX 패턴 디자이너 팀에서도 그대로 OK하고 통과시킨 상태.[15] Hell'o의 24비트 고속계단보다 아주 약간 느리지만 별 차이 없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