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식 언어
최근 수정 시각: ()
1. 개요 [편집]
2. 언어 형식 [편집]
인공 언어인 형식 언어에서 언어 형식은 자연 언어에서 문법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형식 언어를 정의함으로써 구조와 범위가 무결성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2.1. 퍼스트 오더 로직 [편집]
논리학 :
2.2. 기호논리학의 예 [편집]
기호논리학(Symbolic Logic) 또는 1차 술어 논리(first-order predicate logic)에서의 추론 형식의 예
추론 형식 | 논리식 | 예 |
F1 | ||
F2 | 드모르간의 법칙 | |
F3 | 단순화 논리 | 이중부정() ,논리곱 논법 등 |
F4 | 양화사 논리 | 존재양화사 (existential quantifier) 보편양화사 (universal quantifier) |
F5 | 등호 논리 |
기호논리(Symbolic Logic)의 추론 예
자연언어 | 형식 언어 | 추론 형식 |
만일 비가 온다()면, 소풍을 가지() 않는다. | F1 (가언 명제) | |
소풍을 가지 않는다면, 우리는 학교에 가야()된다. | F1 (가언 명제) | |
비가 오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는 학교에 가지() 않는다. | F1 (연언 명제), F3(단순화 논리) | |
비가 온다() 또는 우리는 학교에 간다() | 이중부정(F3),드모르간의 법칙(F2), 등호 논리(F5) | |
비가 오지 않는다() 우리는 소풍을 간다() | 정언 명제 (F1, 결론) |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