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궤적 the 1st
최근 수정 시각: ()
하늘의 궤적 the 1st 空の軌跡 the 1st | Trails in the Sky 1st Chapter | ||
개발 | ||
유통 | ||
Clouded Leopard Entertainment Inc. | ||
플랫폼 | ||
ESD | PC Steam | |
장르 | 스토리 RPG | |
출시 | 2025년 9월 19일 | |
한국어 지원 | 자막 지원 | |
심의 등급 | ||
관련 사이트 | ||
상점 페이지 |
1. 개요 [편집]
2024년 8월 27일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발표된 하늘의 궤적 시리즈 풀 리메이크 프로젝트의 첫 번째 작품이자 영웅전설 계의 궤적에 이은 궤적 시리즈 20주년 기념 두 번째 작품이다.
2. 발매 전 정보 [편집]
닌텐도 다이렉트 영상 |
- 2024.08.27 ~ 28
궤적 시리즈 초기 작품 중 크로스벨 자치주 편인 제로의 궤적, 벽의 궤적은 각종 편의 기능이 추가된 kai판이 PlayStation 4, Nintendo Switch, PC(Steam)으로 이식돼 2024년에도 플레이하는데 문제가 없었던 반면 시리즈 최초 작품인 하늘의 궤적 시리즈는 PlayStation 3로 이식된 kai판, PS Vita로 이식된 Evolution판만이 존재하고, Steam에 판매중인 버전도 개량된게 하나도 없는 첫 발매 당시의 PC판이라 접근성이 지나치게 떨어지는 상황이었다.[1] 이에 유저들이 꾸준히 하늘의 궤적 시리즈의 이식 혹은 리마스터 등을 요구했고 팔콤도 이를 인지하여 인터뷰를 통해 리마스터든, 리메이크든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겠다고 언급하였다. 그러다 인터뷰에서 20주년 기간 내에 어떠한 형태로든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예고하였는데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마침내 그 첫 작품인 하늘의 궤적 the 1st를 발표하였다.
가칭이긴 하나 최초 발표 시 the 1st라고 하였고 그 다음 날인 2024년 8월 28일 리메이크 프로젝트 특설 사이트를 열면서 FC뿐만이 아닌 SC, the 3rd 또한 순차적으로 리메이크 할 예정임을 밝혔다.
가칭이긴 하나 최초 발표 시 the 1st라고 하였고 그 다음 날인 2024년 8월 28일 리메이크 프로젝트 특설 사이트를 열면서 FC뿐만이 아닌 SC, the 3rd 또한 순차적으로 리메이크 할 예정임을 밝혔다.
풀 리메이크 작품답게 게임의 그래픽도 섬의 궤적 시리즈부터 이어진 풀 3D로 바뀌었다. 뿐만 아니라 필드와 마을의 심리스 이동, 맵에 존재하는 몬스터와 조우 후 심리스 배틀 이행 등 그간 작품을 제작하며 쌓인 노하우를 활용하였다. 심리스 커맨드 배틀 뿐만 아니라 여의 궤적부터 도입 된 액션 배틀도 가능하다.
|
- 2024.08.30
팔콤과 밀접한 마케팅 관계를 맺고 있는 덴게키 온라인 측에서는 풀 리메이크 기념 및 하궤 시리즈를 더 이상 접하기 힘든 걸 감안하여 PS3판 영웅전설 하늘의 궤적 FC: Kai HD EDITION 클리어까지 생방송 기획을 진행하였다. 제1회에서는 팔콤의 콘도 사장이 직접 게스트로 출연해 관련 썰을 풀었다.
- 2024.12.19
주주총회에서 이스 Ⅹ -노딕스-의 파워업 버전인 이스 Ⅹ -프라우드 노딕스-와 함께 정식 타이틀 명칭이 영웅전설을 뺀 하늘의 궤적 the 1st로 결정났다는 사실과 함께 새로운 트레일러를 공개했다. 발매 시기는 2025년에서 바뀌지 않았지만 전세계 동시 발매 예정이며 다들 예상했듯 대응 플랫폼으로 PS5와 Steam이 추가됐는데 PS4가 빠지게 되었다.
- 2025.03.11
공식 사이트가 정식으로 열렸으며 쇼트 무비 제1탄과 성우진을 발표하였다. 근데 성우진 일부가 교체되었다. 변경 전후 성우 정보를 비롯한 상세 내용은 기타를 참고할 것.
게임 초반부 이벤트 무비 |
- 2025.05.16
프롤로그에 해당되는 에스텔과 요슈아의 첫만남이 선행 공개되었다.
3. 성우진 교체 [편집]
- [ 펼치기 · 접기 ]
- 캐릭터변경 전 성우변경 후 성우메이벨글라츠콜린스질 리드너한스카르나장구스타프알리시아 여왕에르난
2025년 3월 11일 공식 사이트를 오픈하면서 성우진이 공개되었는데, 2006년에 발매된 하늘의 궤적 SC부터 계속 유지되어 오던 파티 캐릭터 8명의 성우 중 올리비에와 진을 제외한 6명의 성우가 교체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이어진 2보, 3보에서도 성우진이 교체된다는 사실이 밝혀져 하궤에서 등장하는 캐릭터 대부분의 성우가 완전히 교체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이번 교체에 대해 각자 견해의 차이나 호불호는 있을지언정 타이밍 자체는 적절하다고 볼 수 있는데, 2006년 이후 2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난 만큼 기존 성우진 중에 작고하거나 은퇴한 성우도 있으며 아직 활동하고는 있지만 이미 고령이라[2][3] 당시와 같은 연기는 이제 힘든 성우가 있기도 하고, 시리즈 첫 작품의 리메이크인 만큼 새롭게 입문하는 유저들과 맞춰간다는 이미지도 챙길 수 있기 때문에 변경 된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관점에 따라서 시리즈 전체를 위한 필연적인 교체라고 할 수 있다.
한가지 특기할 점은, 아오니 프로덕션 소속 성우로 대부분 구성되어있던 구 성우진에 비해 신 성우진은 다양한 사무소 소속이라는 것이다.[4] 원작은 캐스팅을 아오니 프로덕션이 담당하였으나 현재는 캐스팅 체제가 바뀌었기 때문에[5] 비중이 큰 캐릭터를 특정 소속사가 독점하는 일은 없어졌다.
한편, 영어판 성우는 리벨 왕국 등장인물들이 마지막으로 등장한 섬의 궤적/시작의 궤적 당시 성우에서 변하지 않았다.
4. 등장인물 [편집]
4.1. 여행 동료들 [편집]
4.2. 롤렌트에서의 만남 [편집]
4.3. 보스에서의 만남 [편집]
4.4. 루안에서의 만남 [편집]
4.5. 차이스에서의 만남 [편집]
4.6. 그란셀에서의 만남 [편집]
5. 영상 [편집]
티저 트레일러 |
WebCM |
발표 트레일러 |
Short Movie 첫번째 |
프로모션 트레일러 |
6. 평가 [편집]
7. 흥행 [편집]
8. 기타 [편집]
- 크로스벨 편 이후로 항상 플레이스테이션 플랫폼으로 최초 발매되던 궤적 시리즈였으나 최초 발표 시 닌텐도 스위치만을 공개하였는데, 일반적인 멀티 플랫폼 게임들은 닌텐도 다이렉트를 통해 공개되더라도 다음 날 공식 홈페이지나 추가 트레일러를 공개하면서 멀티 플랫폼이라는 것을 밝혔다. 근데 하궤1st는 사이트를 갱신한 이후에도 추가적인 플랫폼을 공개하지 않아 유저들의 의아함을 자아냈었다. 그래도 매번 플레이스테이션 쪽으로 내왔던 궤적 시리즈인만큼 다들 큰 걱정은 하지 않았고 12월 중순 주주총회에서 정식으로 PS5, Steam으로도 발매된다는 것을 발표했다. 다만 대응 플랫폼에서 PS4가 빠지게 되었다. 이제 슬슬 PS4가 도태되는 시기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사실 닌텐도 스위치1으로 출시할 수 있다면 당연히 사양으로는 그래픽 퀄리티를 닌텐도 스위치보다 훨씬 좋게 PS4로 출시할 수 있지만 의도적으로 소니와의 협의하에 플스4판은 출시하지 않는 것 같다.
- 여의 궤적 II까지는 NIS가 니혼 팔콤 타이틀의 북미 퍼블리싱을 담당해 왔지만 이 타이틀은 겅호 온라인 엔터테인먼트가 북미 및 유럽 퍼블리싱을 맡게 되었다. 북미·유럽 발매판에는 일본어 및 영어 음성이 실릴 예정이며, 텍스트는 일본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지원한다. 아시아권은 이번에도 CLE가 유통한다.
- 일단 쇼트 무비 1편에 공개된 영상을 보면, 영상 초기 우상단에 표시된 곡명은 [ZEMURIA GRAND ODYSSEY 19999-XXXXX]다.
- 한국어판 번역의 경우, 지명, 인명, 캐릭터 소개 항목의 대사 번역을 볼 때 추가 스크립트 분량을 제외하고[6] 기존과 중복되는 부분은 새로이 번역하지 않고 에볼루션 판의 번역을 그대로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 지금에 와서는 다소 촌스럽게 보일 수 있는 조연 유격사들의 복장 디자인이 시대에 맞게 어레인지 되었다.
- 니혼팔콤 최초 서양권 동시 발매 타이틀로,[7] 일본 현지 발매와 동시에 메타 점수 및 오픈크리틱 점수를 받게 된 최초의 타이틀이기도 하다.
[1] 덧붙여 하궤 시리즈 Steam판의 경우 이스 Ⅰ & Ⅱ 크로니클즈 등의 다른 팔콤 구작 Steam판들과 마찬가지로 일본어 없이 영어만 지원하기에, 유일하게 하궤 시리즈만 한국 스팀에서 플레이가 불가능 했다.[2] 예를 들어 나이얼 반즈 역의 후지와라 케이지는 2020년에 작고했으며 클로제 린츠 역의 미나구치 유코는 본작이 발매되는 2025년을 기준으로 환갑을 앞두고 있어 여전히 나이에 비해서는 미성이긴 하지만 이제 10대 소녀 연기는 슬슬 무리가 있지 않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3] 다만 예외적으로 메이벨 시장의 에볼루션 판의 성우였던 키도 이부키는 교체 성우인 오오니시 사오리보다 오히려 어린데, 이는 키도 이부키의 최근 몇 년 사이 성우 활동량이 한 해에 작품 1~2개 출연할까 말까한 수준으로 저조해진 것이 교체 사유로 추정된다.[4] 변경된 플레이어블 캐릭터 성우 여섯 중 다섯이 아오니 프로덕션 소속이었으나 현재는 하나[5] 현재는 니혼팔콤 타이틀의 음향 제작을 맡고 있는 Bloomz가 캐스팅을 담당하고 있으며, 녹음 분량이 적은 캐릭터의 경우에는 Bloomz나 제휴사인 크로커다일 소속 성우들 위주로 캐스팅되지만 비중이 큰 주조연 캐릭터는 공개 오디션을 통해 캐스팅하고 있다.[6] 에볼루션 판에는 없었던 신규 퀘스트의 텍스트나 액티브 보이스의 텍스트는 추가 번역이 필요하다.[7] 리메이크 게임인 만큼 오리지널 판의 텍스트를 그대로 가져왔기 때문에 제작과 동시에 텍스트를 구축하는 완전 신작과는 달리 영문판 번역 및 더빙을 미리 준비할 수 있어서 가능했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