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셀네트워크
최근 수정 시각: ()
법인명 | 정식: 주식회사 픽셀네트워크 영문: PIXEL NETWORK Co., Ltd. |
업종 | |
국가 | |
설립일 | |
설립자 | |
대표자 | 김진혁 |
위치 | |
기업 규모 | |
상장 여부 | |
직원 수 | 8명(2025년 2월) |
자본금 | 100만원(2020년) |
매출액 | 15억 5743만원(2020년)[5] |
영업이익 | 3억 3741만원(2020년) |
당기순이익 | 2억 9809만원(2020년) |
자산총액 | 4억 6168만원(2020년) |
링크 | |
광고 문의 메일 |
1. 개요 [편집]
프로모션 영상 |
2. 소속 스트리머 및 직원 목록 [편집]
2.1. 소속 스트리머 계약 관련 연혁 [편집]
연혁 | ||
날짜 | 이름 | 비고 |
2019년 12월 10일 | 최초 설립 멤버 | |
최초 설립 멤버 2024년 3월 2일 방송에서 이적 발표 이후 3월 8일부로 인챈트 엔터테인먼트 이적 | ||
최초 설립 멤버 2024년 4월 28일 방송에서 탈퇴 발표 이후 개인 소속으로 활동 | ||
2020년 7월 1일 | 2024년 7월 1일 방송에서 계약만료로 탈퇴 | |
2020년 7월 5일 | 2023년 2월 말 방송 은퇴로 계약 해지 | |
2020년 7월 6일 | 영상 5분 50초 경 지누가 애덕, 코시, 김똘복, 공파리파 순으로 합류했다고 언급함 | |
2020년 7월 8일 | 2024년 8월 5일부로 샌드박스 네트워크 이적 | |
2020년 9월 10일 | 2023년 12월 6일부로 샌드박스 네트워크 이적 | |
2020년 12월 9일 | 계약 사실을 트위치 방송에서 공지 | |
2020년 12월 22일 | ||
2020년 12월 23일 | 트레져헌터 이적 | |
2021년 1월 6일 | 계약 사실을 트위터에서 공지 | |
2021년 1월 26일 | 계약 사실을 트위치 방송에서 공지 | |
2021년 3월 1일 | ||
2021년 3월 18일 | ||
2022년 8월 1일 | ||
2022년 11월 13일 | ||
2023년 8월 18일 | ||
2024년 3월 1일 | 계약 사실을 치지직 방송에서 공지 | |
2024년 7월 4일 | ||
2024년 9월 29일 | ||
2024년 11월 8일 | ||
2025년 1월 17일 | ||
2025년 3월 12일 | ||
2025년 8월 14일 | 계약 사실을 픽셀 채널을 통해 발표 |
3. 유튜브 채널 [편집]
픽셀 유튜브
픽셀네트워크의 공식 유튜브 채널로 소속 스트리머들의 하이라이트 클립, 짧은 애니메이션 영상이 올라오며 픽셀스토어 굿즈 발매시 커뮤니티를 통해 공유하는 역할 또한 수행한다.
전속 일러스트레이터 아리스톨이 취미로 개인 채널에 스트리머 애니메이션을 올리던 것을 지누가 긍정적으로 보고 만든 것을 시작으로 초창기에는 소속 스트리머들의 머그컵 굿즈의 출시에 맞추어 관련된 짧고 귀여운 애니메이션을 비정기적으로 업로드 하였다.
이후 2022년 이후 커뮤니티의 굿즈 관련 글 외에 영상은 거의 올라오지 않으며 개점휴업 상태가 되었다가 2024년 6월부터 채널 배너 및 프사를 바꾸고, 본격적으로 하이라이트 클립을 올리기 시작하면서 재가동을 시작했다. 하이라이트 외에도 스트리머 애니메이션이 올라온다.
픽셀네트워크의 공식 유튜브 채널로 소속 스트리머들의 하이라이트 클립, 짧은 애니메이션 영상이 올라오며 픽셀스토어 굿즈 발매시 커뮤니티를 통해 공유하는 역할 또한 수행한다.
전속 일러스트레이터 아리스톨이 취미로 개인 채널에 스트리머 애니메이션을 올리던 것을 지누가 긍정적으로 보고 만든 것을 시작으로 초창기에는 소속 스트리머들의 머그컵 굿즈의 출시에 맞추어 관련된 짧고 귀여운 애니메이션을 비정기적으로 업로드 하였다.
이후 2022년 이후 커뮤니티의 굿즈 관련 글 외에 영상은 거의 올라오지 않으며 개점휴업 상태가 되었다가 2024년 6월부터 채널 배너 및 프사를 바꾸고, 본격적으로 하이라이트 클립을 올리기 시작하면서 재가동을 시작했다. 하이라이트 외에도 스트리머 애니메이션이 올라온다.
4. 합동 콘텐츠 [편집]
5. 픽셀스토어 [편집]
픽셀스토어 공식 홈페이지
픽셀에서 운영하는 굿즈 판매 쇼핑몰. 소속 스트리머와 관련된 굿즈를 판매하고 있으며 MCN에 속하지 않은 스트리머들과의 협업을 통한 굿즈 판매 또한 가끔씩 진행하고 있다.[7]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대체로 모든 판매 시작 시각은 14시(오후 2시)다. 대체로 예약구매를 받아 수량에 맞추어 주문제작하는 형태라서, 판매기간 내 조기품절은 없지만 반대로 재고가 남지 않기 때문에 판매기한이 지나면 구매할 수 없다.
픽셀에서 운영하는 굿즈 판매 쇼핑몰. 소속 스트리머와 관련된 굿즈를 판매하고 있으며 MCN에 속하지 않은 스트리머들과의 협업을 통한 굿즈 판매 또한 가끔씩 진행하고 있다.[7]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대체로 모든 판매 시작 시각은 14시(오후 2시)다. 대체로 예약구매를 받아 수량에 맞추어 주문제작하는 형태라서, 판매기간 내 조기품절은 없지만 반대로 재고가 남지 않기 때문에 판매기한이 지나면 구매할 수 없다.
5.1. 컵 [편집]
- 머그컵
- [ 펼치기 · 접기 ]
- 순서는 머그컵 일러스트 영상 최초 공개일 기준. #2020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0년 1월 2일
~ 1월 7일2020년 5월 23/24일
~ 6월 1일[9]2020년 9월 5일
~ 9월 13일2021년도2021년 3월 26일
~ 4월 4일2021년 6월 25일
~ 7월 4일2021년 12월 10일
~ 12월 19일2022년도2022년 7월 29일
~ 8월 7일2022년 9월 16일
~ 9월 25일2023년도2023년 2월 24일
~ 3월 5일
- 코스터
- 시리얼컵
- [ 펼치기 · 접기 ]
- 2022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2년 8월 19일
~ 8월 28일2024년도2024년 10월 4일
~ 10월 13일2025년도2025년 1월 3일
~ 1월 12일[픽셀미소속]
키링과 동일 날짜에 판매
- 유리컵
- [ 펼치기 · 접기 ]
- 2023년도2023년 1월 27일
~ 2월 5일2024년도2024년 1월 12일
~ 1월 21일2024년 6월 7일
~ 6월 16일2024년 8월 11일
~ 8월 23일금속뱃지, 포토카드, 아크릴 블록과 동일 날짜에 판매
금사향 10주년 set 포함 품목
- 다회용 텀블러
- [ 펼치기 · 접기 ]
- 2024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4년 3월 29일
~ 4월 7일픽셀 리유저블 텀블러
(감블러, 강지, 김뚜띠, 김뿡, 지누, 탬탬버린)아크릴 스탠드, 그림카드와 동일 날짜에 판매
4종 세트 포함 품목
5.2. 핸드폰 액세서리 [편집]
- 폰케이스
- [ 펼치기 · 접기 ]
- 2020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0년 3월 16일
~ 3월 23일2020년 8월 21일
~ 8월 30일2020년 9월 25일
~ 10월 4일2020년 11월 20일
~ 11월 29일그립톡과 동일 날짜에 판매2021년도2021년 1월 8일
~ 1월 17일2021년 6월 4일
~ 6월 13일2021년 11월 5일
~ 11월 14일2022년도2022년 12월 23일 ~
2023년 1월 1일2023년도2023년 2월 10일
~ 2월 19일그립톡과 동일 날짜에 판매2023년 3월 24일
~ 4월 3일2024년도2024년 6월 7일
~ 6월 16일2024년 7월 18일
~ 7월 28일티켓 스마트톡, 에코백과 동일 날짜에 판매
- 그립톡
- [ 펼치기 · 접기 ]
- 2020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0년 8월 21일
~ 8월 30일2020년 9월 25일
~ 10월 4일2020년 11월 20일
~ 11월 29일폰케이스와 동일 날짜에 판매2021년도2021년 1월 8일
~ 1월 17일2021년 6월 4일
~ 6월 13일2021년 11월 5일
~ 11월 14일2022년도2022년 12월 23일
~ 2023년 1월 1일2023년도2023년 2월 10일
~ 2월 19일폰케이스와 동일 날짜에 판매2024년 7월 18일
~ 7월 28일폰케이스, 에코백과 동일 날짜에 판매
- 폰스트랩
- [ 펼치기 · 접기 ]
- 2023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3년 3월 24일
~ 4월 3일폰케이스와 동일 날짜에 판매
- 음반
5.3. 패션 [편집]
- 후드티
- [ 펼치기 · 접기 ]
- 2022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2년 9월 30일
~ 10월 9일2023년도2023년 10월 20일
~ 10월 29일키링과 동일 날짜에 판매2024년도2024년 11월 15일
~ 11월 24일장패드와 동일 날짜에 판매
- 티셔츠
- [ 펼치기 · 접기 ]
- 2020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0년 7월 25일
~ 재고 소진시까지2023년도2023년 7월 14일
~ 7월 27일[픽셀미소속]
키링과 동일 날짜에 판매
- 에코백
- [ 펼치기 · 접기 ]
- 2021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1년 8월 6일
~ 8월 15일2024년도2024년 7월 18일
~ 7월 24일티켓 스마트톡, 폰케이스와 동일 날짜에 판매
5.4. 데스크 [편집]
- 장패드
- [ 펼치기 · 접기 ]
- 2020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0년 10월 23일
~ 11월 1일2021년도2021년 2월 11일
~ 2월 21일2021년 5월 7일
~ 5월 16일2021년 6월 11일
~ 6월 20일2021년 10월 15일
~ 10월 24일2022년도2022년 2월 11일
~ 2월 20일2023년도2023년 1월 6일
~ 1월 15일2023년 6월 30일
~ 7월 9일2024년도2024년 7월 5일
~ 7월 14일2024년 11월 15일
~ 11월 24일후드티와 동일 날짜에 판매2025년도2025년 5월 16일
~ 5월 25일캐릭터 리뉴얼 기념 굿즈
아크릴 스탠드와 동일 날짜에 판매
- 달력
- [ 펼치기 · 접기 ]
- 2021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1년 12월 10일
~ 12월 19일포스트잇, 스티커와 동일 날짜에 판매2023년도2023년 11월 17일
~ 11월 26일2024년도2024년 10월 25일
~ 11월 3일
- 메모지
- [ 펼치기 · 접기 ]
- 2021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1년 12월 10일
~ 12월 19일달력, 스티커와 동일 날짜에 판매
- 스티커
- [ 펼치기 · 접기 ]
- 2021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1년 12월 10일
~ 12월 19일달력, 메모지와 동일 날짜에 판매2023년도2023년 9월 22일
~ 10월 3일키캡+틴케이스, 아크릴스탠드, 포토카드와 동일 날짜에 판매2025년도2025년 2월 21일
~ 3월 7일포토카드와 스티커 개별 구매 불가
아크릴 스탠드, 아크릴 키링과 동일 날짜에 판매
삐부 올인원 세트 포함 품목
}}}
- 키캡
- [ 펼치기 · 접기 ]
- 2021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1년 12월 17일
~ 12월 26일틴케이스 및 LED 스위치 키링 추가 구매 가능2022년도2022년 5월 27일
~ 6월 5일틴케이스 추가 구매 가능2022년 6월 10일
~ 6월 19일틴케이스 및 LED 스위치 키링 추가 구매 가능2022년 6월 24일
~ 7월 3일2023년도2023년 1월 27일
~ 2월 5일틴케이스 추가 구매 가능2023년 3월 3일
~ 3월 12일2023년 9월 22일
~ 10월 3일틴케이스 추가 구매 가능,
아크릴 스탠드, 포토카드. 조각스티커와 동일 날짜에 판매2025년도2025년 1월 31일
~ 2월 9일아티산 키캡과 동일 날짜에 판매
모든 항목 틴케이스 추가 구매 가능
설백 키캡 세트 포함 품목
- 아크릴 스탠드
- [ 펼치기 · 접기 ]
- 2023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3년 9월 22일
~ 10월 3일키캡, 아크릴스탠드, 포토카드와 동일 날짜에 판매2024년도2024년 3월 29일
~ 4월 7일픽셀 4종 SET 포함 품목2024년 8월 11일
~ 8월 23일포토카드, 금속뱃지, 온더락잔과 동일 날짜에 판매
금사향 10주년 set 포함 품목2024년 9월 22일
~ 9월 29일아크릴 키링, 엽서와 동일 날짜에 판매2025년도2025년 2월 21일
~ 3월 7일포토카드 스티커set, 아크릴 키링과 동일 날짜에 판매
삐부 올인원 세트 포함 품목2025년 5월 16일
~ 5월 25일캐릭터 리뉴얼 기념 굿즈
장패드와 동일 날짜에 판매
- 포토카드
- [ 펼치기 · 접기 ]
- 2023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3년 9월 22일
~ 10월 3일키캡, 아크릴 스탠드, 조각스티커와 동일 날짜에 판매2024년도2024년 3월 29일
~ 4월 7일픽셀 포토카드
(감블러, 강지, 김뚜띠, 김뿡, 지누, 탬탬버린)아크릴 스탠드 2종, 리유저블 텀블러와 동일 날짜에 판매
픽셀 4종 SET 포함 품목2025년도2025년 2월 21일
~ 3월 7일포토카드와 스티커 개별 구매 불가
아크릴 스탠드, 아크릴 키링과 동일 날짜에 판매
삐부 올인원 세트 포함 품목
- 엽서
- [ 펼치기 · 접기 ]
- 2024년도날짜상품명비고2024년 9월 22일
~ 9월 29일아크릴 스탠드, 아크릴 블록, 아크릴 키링과 동일 날짜에 판매
5.5. 인형 [편집]
2022년도 | ||
날짜 | 상품명 | 비고 |
2022년 9월 2일 ~ 9월 11일 | ||
2023년도 | ||
2023년 4월 21일 ~ 4월 30일 | ||
2023년 6월 16일 ~ 6월 29일 | [픽셀미소속] 키링과 동일 날짜에 판매 | |
2024년도 | ||
2024년 1월 26일 ~ 2월 4일 | ||
2024년 5월 10일 ~ 5월 19일 |
5.6. 키링 [편집]
2023년도 | ||
날짜 | 상품명 | 비고 |
2023년 6월 16일 ~ 6월 29일 | [픽셀미소속] 땡컨이 인형과 동일 날짜에 판매 | |
2023년 7월 14일 ~ 7월 27일 | [픽셀미소속] 와펜 티셔츠와 동일 날짜에 판매 | |
2023년 10월 20일 ~ 10월 29일 | 후드티와 동일 날짜에 판매 | |
2024년도 | ||
2024년 9월 22일 ~ 9월 29일 | 아크릴 스탠드, 아크릴 블록, 엽서와 동일 날짜에 판매 | |
2025년도 | ||
2025년 1월 3일 ~ 1월 12일 | [픽셀미소속] 시리얼컵과 동일 날짜에 판매 | |
2025년 2월 21일 ~ 3월 7일 | 아크릴 스탠드, 포토카드 스티커set와 동일 날짜에 판매 삐부 올인원 세트 포함 품목 |
5.7. 뱃지 [편집]
5.8. 이벤트 [편집]
5.9. 세트 [편집]
2024년도 | ||
날짜 | 상품명 | 비고 |
2024년 3월 29일 ~ 4월 7일 | 4종 SET (아크릴 스탠드 2종 + 리유저블 텀블러 + 포토카드 4종) | 품목 개별구매 가능 |
2024년 8월 11일 ~ 8월 23일 | 금사향 10주년 set (포토카드 1장 + 아크릴 블록+ 금속뱃지 2종 + 온더락잔) | |
2025년도 | ||
2025년 1월 31일 ~ 2월 9일 | 설백 키캡 세트 LED키캡 6구(화이트/블랙 중 선택) + 서리 아티산 키캡 얼굴/꼬리 2구 | 품목 개별구매 가능 키캡 틴케이스(6구)별도 구매 |
2025년 2월 21일 ~ 3월 7일 | 삐부 올인원 세트 아크릴 스탠드 + 아크릴 키링 + 포토카드 스티커set | 품목 개별구매 가능 |
6. 진행한 광고/이벤트 [편집]
6.1. 2020년도 [편집]
- 2020년 8월에 폰케이스 N행시 이벤트를 진행했다.
6.2. 2021년도 [편집]
6.3. 2023년도 [편집]
- 2023년 11월 24일, 픽셀네트워크 vs 인챈트 스톰스트라이커 이벤트 매치를 진행하였다. 매치는 9판 5선승제였으나 9경기를 전부 치루는 막상막하의 경기를 치뤘고 결과는 인챈트팀이 5:4로 승리하였다.
파일:픽셀인챈트스톰스트라이커이벤트매치.png
6.4. 2024년도 [편집]
- 2024년 8월 8일, MCN 대전 시즌1: 오버워치2 커뮤니티 매치에 참여하여 PIXEL BLACK팀이 최종 우승을 거두었다.
- 2024년 9월 28일, MCN 대전 시즌2 :Chained Together에 참여하여 최종 순위 3위를 기록하였다.
- 2024년 11월 9일, MCN 대전 시즌3 :Lethal Company에 참여하여 최종 순위 3위를 기록하였다.
6.5. 2025년도 [편집]
7. 기업신용평가 [편집]
- NICE신용평가에서 기업대상 신용평가를 주기적으로 받고 있다.
- 종합재무감사에서 자산총계 4억 6200만원, 부채총계 1억 6100만원, 자본총계 3억 백만원, 연매출액 15억 5700만원, 영업이익 3억 3700만원, 순이익 2억 9800만원의 재무현황으로 밝혀졌다.
-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21.66%가 기록되며 영업활동의 능률이 대단히 높은 회사로 평가되었다.
- 자기자본비율은 65.18%이며, 속한 산업인 매니저업의 자기자본비율 평균은 33.03%로 산업평균 대비 상대적으로 우수한 편으로 평가되었다.
- 부채비율은 53.42%로 평가되었으나, 이는 산업 평균 부채수치에 비하면 적은 수치에 해당한다.
- 2022년 2월 8일 최종갱신된 주요 주주는 김진우 주주가 1만 주 전부를 소유하며 지분율 100%를 기록하였다.
- 재무재표상 현금 및 등가물이 3억 8300만원이 있으며, 매출채권 및 영업미수금 4천만원을 더해 유동자산 4억 2400만원이 자산의 91.9%를 차지하였다. 비유동자산은 3700만원으로 자산의 8.1%를 차지하였으며, 이중 유형자산은 300만원으로 0.6%에 달하였다.
- 유동부채가 1억 6100만원으로 자산의 34.8%에 해당하나, 이중 단기차입금이 3700만원으로 8.1%에 해당하였다.
- 단기차입금의 종류는 유동성 장기차입금이나 단기사채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 매출액은 15억 5700만원으로, 이중 판매비와 관리비에 8억 7800만원 가량이 소요되었으며 인건비 3억 3200만원 가량 소요, 감가상각비 백만원 가량이 소요되었다.
- 법인세 비용으로는 3200만원이 소모되었다.
- NICE신용평가는 재무안정성, 재무활동성, 유동성, 만기도래 여신금액 상환능력 등을 근거로 들어 2021년 10월 9일 Watch등급 유보 결정(최근 기업 내/외부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나, 기업의 신용도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임)을 내렸으며, 이후 2021년 11월 25일 관찰등급(최근 발생한 신용도의 변화가 기업의 수익 및 신용위험 등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으로 지정하였다.
- 2023년 1월 1일부로 기업평가등급 B+로 지정하였으며, 상거래를 위한 신용능력이 보통이며 경제여건 및 환경 악화시에는 거래 안전성 저하 가능이 높은 기업으로 기술하였다.
8. 여담 [편집]
- 설립자인 김진우는 회사를 만든 이유가 자신의 지인들이나 친구들이 정산이나 세금 문제로 등쳐 먹히는걸 너무 많이 봐와서라고 밝혔다.
- 쫀득의 방송에서 픽셀은 소속 스트리머한테 투명하게 모두 공개한다는 이야기가 나왔었고, 이후 12월 22일 아구이뽀의 픽셀 입단 발표 방송에서 아구이뽀는 픽셀 측의 계약서가 스트리머에게 많은 배려를 해주는 계약서라는 평을 했다.[37] 대부분의 계약서에 흔히 있는 독소조항이 픽셀의 경우는 없었다는 듯 하다. 이렇게 운영하는 것은 지누의 방침이라고 한다. 설립자 지누부터가 스트리머인 만큼 스트리머 친화적으로 운영하는 듯. 이외 공통적으로 INFP도 쉽게 거절할 수 있는 매우 프리한 분위기를 소속 스트리머들은 장점으로 꼽는다.
- 원래 친한 스트리머들끼리 합동으로 굿즈를 만들어 판매할 목적으로 간단하게 차려진 회사였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소속 스트리머들끼리 서로 어느 정도 친한 사이이다. 아예 너불이 픽셀네트워크와 계약한 이후 아구이뽀, 악녀, 김똘복과의 디스코드 대화에서 픽셀네트워크 구조자체가 서로 친한 스트리머들끼리 추천을 해주어서 들어오는 시스템이라고 말을 했다. 때문에 MCN이지만 방송인들 크루처럼 교류 및 합방이 활발하다는 것이 픽셀네트워크의 특징이다.
- 쫀득의 입단 방송에서 언급된 바에 의하면 산돌커뮤니케이션과 폰트 사용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 하도 픽셀코인에 시달렸는지 플러스친구 공식 메뉴에 <☆픽셀코인은 저희가 아닙니다☆>라는 안내사항이 올라와 있다. 이와는 별개로 지누는 픽셀코인을 보고 픽셀네트워크의 미래를 점친다고 한다.[44]
- 픽셀 소속으로 발표난 스트리머 외에도 여러 스트리머들에게 지원을 해주고 있다.
- 코렛트의 경우 픽셀네트워크 소속은 아니나, 픽셀스토어에서 머그컵과 하드케이스를 낸 적이 있다. 게다가 픽셀네트워크에 가입된 사람들과 고루고루 친하기도 하고 평소에도 합방을 많이 하다보니 많이들 헷갈린다.[45] 그래서 가끔 스트리머들이 픽셀 관련으로 이야기하거나 팬영상이 제작될 때 같이 등장하는 경우가 있으나 본인이 픽셀 소속은 아니라고 부정한 상태. 본인 입장 뿐만 아니라 픽셀 공식 사이트에도 코렛트는 등록되어 있지 않고, 이터널 리턴 픽셀 내전 후 일부 참가자들이 2부로 진행한 리그 오브 레전드 내전에 코렛트가 참가 의사를 보이자 스트리머들이 '그러면 이젠 픽셀 내전인 척하는 내전'이라는 반응을 보이는 등 픽셀 소속이 아니라는 증거는 꽤 많이 보인다. 아예 던전앤파이터 스트리머 매치에서는 픽셀팀에 용병으로 참여하게 되었는데, 용병임에도 픽셀팀 팀장까지 맡게 되면서 트수들은 명예픽셀, 유사픽셀 정도로 취급하는 중이다만, 2023년 9월 1일 부로 샌드박스 네트워크 소속이 되었다.
- 그 외에도 여러 무소속 스트리머들이 픽셀 소속 스트리머들과 비슷한 시기에 같은 광고를 한다거나, 어디라고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우리 소속이라고 밝히지 않고 광고만 받아도 된다'고 컨택한 회사가 있었다고 밝히는 스트리머도 있었다.
- 네클릿의 말에 따르면 인챈트 엔터테인먼트의 롤모델로 삼고 있다고. 인챈트는 이후 픽셀 출신 견자희를 영입한다.
- 2024년 4월 탬탬버린이 현 대표인 지누형과 이야기한 썰에 따르면, 지누가 일을 벌리고 형이 수습하던 것이 언제나 좋게 해결되었는데 픽셀의 설립도 이러한 흐름이었다고 한다. 지누도 일을 벌이면 형이 다 해결해줄 거라 믿고 일단 일을 벌인다고. 픽셀 설립도 전술한 대로 스트리머에게 불리한 정산 구조 때문에 만들었는데, 만드는 과정도 갑자기 탬탬버린에게 전화해서 픽셀을 만들겠다고 했고 탬탬버린이 취지는 좋은데 우리가 그걸 어떻게 하냐고 하자 할 줄 아는 사람을 데리고 하면 된다고 말하며 시작한 것이라고 한다. 그러다 지누가 사회복무를 시작하게 되자 현 대표인 형에게 SOS를 쳤고 형이 그것을 이어받아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 2024년 전까지는 픽셀네트워크의 위치가 굿즈 및 광고 대행사 역할만 하는지 MCN 역할을 하는지 혼동이 많았는데, 2024년 5월 27일 지누가 개인 방송에서 픽셀네트워크는 MCN이라기에는 애매했다는 기존의 입장을 번복하고 픽셀네트워크는 MCN이 맞다고 언급하였다.
- 2025년 8월 지누가 개인방송에서 픽셀네트워크는 처음 설립되었을때부터 MCN 이였으며 시청자가 오해 한것은 "픽셀은 다른 MCN과 다르게 CMS(Content Management System)가 없다" 에서 비롯된 오해였다는것을 다시 한번 설명 하였다.
- 스트리머 대부분이 성덕이다. 금사향, 설백, 윤이샘은 지누의 팬이고, 감블러는 탬탬버린의 팬, 나나양은 실프[47]의 팬이다. 이외에도 탈퇴한 애덕은 금사향의 팬이다.
- 영입 방식이 추천제라는 특성상 공통된 크루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탬탬버린, 김뚜띠, 나나양은 공포게임 동호회, 탬탬버린과 삐부는 힐링캠프, 루다와 채현찌는 애니멀즈, 너불과 남봉은 늪지대 소속이다. 김뚜띠, 김뿡, 감블러, 삐부, 前 멤버 쫀득은 램램TV 출신이다. 그리고 前 멤버 견자희, 삐부, 금사향은 과거 버츄얼 그룹 세컨드 라이프 소속이었다. 그외에도 김진우, 탬탬버린, 루다 등은 거의 10년 가까이 알고 지냈고, 탬탬버린, 악녀, 강지는 픽셀 이전부터 신호등 자매로 묶이는 등 대부분의 멤버들이 오랜 시간 서로 알고 지내온 사이들이다.
[1] 등기사항증명서상 성립연월일은 2019년 10월 31일[2] 현재 등기사항증명서상 소재지이고, 이 주소는 공유오피스 주소다.[3] 과거 주소는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천서로 471 (서신동) 서진빌딩 4층이다.[픽셀네트워크] 홈페이지상 주소[5] 2022년 매출은 30억 정도라고 방송 중 언급된 바 있다.[6] 대표 직책을 내려놨을 뿐 소속 스트리머 신분은 유지한 상태다. 사회복무요원 복무 기간이 끝났지만 대표직은 앞으로도 김진혁 대표에게 의임할것이라고 밝혔다. 김진혁 대표의 말에 의하면 이미 깊게 얽히게 되면서 더이상 발을 뺄수가 없다고...[7] 지금까지 뚜니랑, 리타, 멋사, 수닝, 코렛트와의 협업을 진행되었다.[8] 공식 영상 중 머그컵 일러스트가 있는 영상이며, 2020년 6월부터 비공개 상태였다가 7월 14일부터 재공개했다. 다른 영상으로는 이보다 먼저 공개된 영상인 탬탬버린과 밀감이가 있다.[9] 각 스트리머들의 한정 머그컵들은 각각 오픈 후 한 시간 내에 모두 품절되었다.[23일] 10.1 10.2 [23일] 10.1 10.2 [24일] [푸린] 유일하게 닉네임이 아닌 본명 구형준 명의로 올라왔다. 푸린 명의로 할 경우 포켓몬 측의 상표권과 충돌할 위협이 있을 것 같았다고 한다.[픽셀미소속] 14.1 14.2 14.3 14.4 14.5 14.6 14.7 [픽셀미소속] 14.1 14.2 14.3 14.4 14.5 14.6 14.7 [픽셀미소속]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7] 1월-이초홍, 2월-삐부, 3월-김똘복, 4월-망개, 5월-악녀, 6월-아구이뽀, 7월-탬탬버린, 8월-공파리파, 9월-애덕, 10월-지누, 11월-김뿡, 12월-금사향[18] 1월-설백, 2월-망개, 3월-김똘복, 4월-김뿡, 5월-지누, 6월-너불, 7월-윤이샘, 8월-금사향, 9월-행돌, 10월-임나은, 11월-이초홍, 12월-실프[픽셀미소속] 14.1 14.2 14.3 14.4 14.5 14.6 14.7 [픽셀미소속] 14.1 14.2 14.3 14.4 14.5 14.6 14.7 [픽셀미소속] 14.1 14.2 14.3 14.4 14.5 14.6 14.7 [픽셀미소속] 14.1 14.2 14.3 14.4 14.5 14.6 14.7 [23] 스크랩 메카닉 문서에도 서술되어 있듯이, 한국어 번역 파일 자체는 있으나 파일이 깨져 있다고 한다.[24] 참여 스트리머는 고차비, 김똘복, 김뿡, 지누, 탬탬버린[25] 이벤트 내 비하인드 스토리에 의하면 디자인의 시안을 그린 건 탬탬버린인데 그림이 여러 의미로 압권이다.좋아하는 매니저들과 극혐하는 지누의 상반된 반응이 재밌다[픽셀_탬탬로고] 파일:PIXEL_newlogo.png[27] 참여 스트리머는 고차비, 탬탬버린, 지누, 나나양, 김뿡[28] 원래 출시 당일 진행하려 했으나 서버가 터져버렸다.[29] 견자희, 금사향, 나나양, 쫀득이 참여했다.[30] 견자희, 고차비, 공파리파, 금사향, 나나양, 망개, 삐부, 쫀득, 탬탬버린, 푸린이 참여했으나, 공파리파, 나나양과 같은 해외 거주 스트리머들은 원활히 진행하지 못했다.[31] 해설은 감블러, 캐스터는 김진우가 맡았고, 참가자로 강지, 견자희, 고차비, 공파리파, 금사향, 김똘복, 김뿡, 나나양, 마젠타, 망개, 실프, 악녀, 애덕, 이초홍, 쫀득, 코시, 탬탬버린, 푸린이 참여하였다.[32] 픽셀 소속은 아니지만 용병으로 참여했다.[33] 참고로 상대 팀은 샌드박스 네트워크로, 팀장은 에렌디라, 팀원은 똘킹, 양아지, 이춘향이 참여했다.[34] 1위를 기록하다가 김진우가 트롤을 저지르는 바람에 역전을 허용하며 주인공은 김진우솝이 되었다.[35] 본래 나나양이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건강 문제로 루다가 대체 출전한다.[36] 2022-08-12 Watch 경보일[37] 계약서를 달라고 하자 픽셀 측에서는 계약서를 주면서 3줄 요약을 해줬고 그 사이 계약서를 다 읽은 아구이뽀는 망설임 없이 바로 계약했다고... 이때 든 예시가 웃긴데, 흔한 계약서가 독거노인들에게 가서 옥장판을 파는 다단계 같다면 픽셀의 계약서는 소나기에서 남자 주인공이 품에서 감자를 주섬주섬 꺼내 '이..이거 먹을래..?' 하고 건네주는 순수한 마음으로 느껴졌다고. 그리고 굳이 얘기하자면 사실 감자는 소나기가 아니라 동백꽃의 여자주인공이 준다. 아마도 말하는 중에 헷갈린듯. 감자를 무로 바꾸면 대강 맞는 얘기긴 하다.[38] 대부분이 얼굴 공개를 안 한 것은 물론, 캠을 키는 경우도 보통 삐부나 임나은처럼 마스크캠/반캠이고, 얼굴이 알려졌거나 과거엔 캠방을 했던 감블러, 김뿡, 실프, 이초홍 등도 현재는 일절 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아구이뽀와 푸린의 경우 캠방이 필요한 광고를 본인들이 대부분 몰아 받는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2025년 기준 픽셀에서 '지속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캠방을 한다'라고 불릴만한 스트리머는 아구이뽀와 채현찌, 루다, 너불 정도밖에 없다. 4명 중에 아구이뽀를 제외하면 공파리파, 푸린, 쫀득, 마젠타 등 과거 캠방 인물들이 탈퇴하고 나서 들어온 인물들이라, 일부러 캠방 인원을 충원하기 위해 영입했다는 썰도 있다.[39] 캠방을 하지 않지만 광고나 행사 대회등등으로 얼굴을 비추는것에 대해서 딱히 신경안쓰는 멤버엔 남봉, 실프, 삐부, 눈꽃까지 4명이있다.[40] 이는 트위치 철수 이후 들어온 스트리머들에게도 해당되는 얘기다. 트위치 철수 이후에 들어온 7명의 스트리머 모두 지누처럼 트위치에서 치지직으로 이적했기 때문.[41] 방송의 방향성 및 새로운 시도를 위해 간 윤이샘, 견자희와는 다르게 공파리파는 치지직 방송 시 해외계좌 환전이 불가능해서 SOOP 밖에 선택지가 없었다.[42] 본래 픽셀 멤버들이 다 같이 치지직으로 이적한다는 루머가 돌았는데, 해당 유튜브 댓글에 지누가 "내가 언제"라는 댓글로 이를 일축했다.[43] 견자희와 공파리파는 SOOP 이적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픽셀네트워크와 계약을 종료했다.[44] 하지만 픽셀 코인은 업비트 상장폐지되었다.[45] 이춘향, 꽃핀, 마뫄, 램램, 백곰파 등도 코렛트와 비슷한 이유로 픽셀 아니냐는 오해를 받는다. 물론 이들은 픽셀 관련 굿즈가 나온 적이 없긴 하지만... 합방이나 교류가 굉장히 활발하기 때문에 이러한 오해가 생긴다. 소속 스트리머들도 가끔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나나양이 이춘향의 소속을 헷갈려하는 영상 애석하게도 모두 샌드박스 네트워크 소속이며, 이의 연장선으로 픽셀 멤버가 요상한 일을 저지를 때 샌첩(샌박+간첩) 드립이 가끔 쓰인다.[46] 후에 늪지대 소속인 너불과 남봉이 합류했다.[47] 정확히는 포엔트로의 팬.[48] 사실 마지막으로 들어온 건 남봉이지만, 알고 지낸 기간으로나 이미지로나 채현찌가 막내 취급을 받고 있다. 남봉 본인도 낙하산이라는 드립을 치며, 선배 행세를 하려는 채현찌를 누르고 동기 관계라고 밀고 있다. 나이로도 채현찌가 막내가 아니며, 이 역시 두 번째로 어리다. 제일 막내는 망개지만, SOOP 이적으로 교류 자체가 줄어든 편이라 채현찌가 갈굼당하는 장면이 많아진 것의 영향도 있다. 실제로 오버워치 픽셀컵 전까지 채현찌와 망개는 서로 마주한 적이 없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