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래그마타
최근 수정 시각: ()
프래그마타 PRAGMATA | ||
개발·유통 | ||
장르 | ||
플랫폼 | ||
ESD | ||
엔진 | ||
출시 | ||
심의 등급 | ||
한국어 지원 | 자막·음성 지원 | |
관련 사이트 | ||
상점 페이지 |
1. 개요 [편집]
2. 시놉시스 [편집]
What is That?
저게 뭐예요?
Freedom. Our Freedom.
자유란다. 우리의 자유.
가까운 미래, 인류가 달의 광석
루넘을 발견한 지 수년이 지났다.
루넘을 정제해 얻은 루나필라멘트는
물체의 정보만 있으면 무엇이든 복제할 수 있는
꿈의 물질로써 연구가 지속되었다.
어느 날, 루나필라멘트의 연구가 진행 중인
달 기지와의 연락이 모두 끊어져 버린다.
대응팀이 즉시 달 기지로 파견되었지만
대규모 달 지진이 그들을 강타한다.
휴 윌리엄스는 팀과 떨어지고 중상을 입어 의식을 잃지만,
이윽고 수수께끼의 어린 소녀가 그를 발견하고 구해준다.
그 소녀는 루나필라멘트로 만들어진 수수께끼의 안드로이드,
―'프래그마타'였다.
3. 트레일러 [편집]
프래그마타 공식 트레일러 (20.06.12) |
프래그마타 공식 트레일러 확장컷 |
2023년 발매 트레일러 (21.11.18) |
2023년 트레일러 (23.06.13)[2] |
2025년 트레일러 (25.06.05) |
4. 발매 전 정보 [편집]
- SGF 2023의 캡콤 쇼케이스에서 출시일 미정으로 연기되었다.
- 캡콤은 2023년 6월 13일 IGN과 게임스팟 등 각종 게임 정보 사이트와 자사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게임플레이 티저 트레일러를 공개했다. 게임플레이 이외에도 트레일러 초반부에서 다이애나의 손을 빌려 발매일이 무기한 연기되었다는 메세지의 연출, 그리고 영상의 끝자락에서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것에 대한 사과의 글이 포함되어 있다. 여타 개발사들이 글 몇 줄로 발매 연기를 공지하는 것에 비해 트레일러에 직접 사과의 메세지를 연출한 것에 대해서, 게임 개발의 진정성이 느껴진다는 호평이 많다. 한국 또한 캡콤아시아를 통해 한글로 발매가 연기된 것에 대한 사과와 프래그마타의 성원을 공지했다.
5. 등장인물 [편집]
- 휴 윌리엄스(Hugh Williams)우주복을 입은 남성 주인공. 모종의 사고를 겪었다가 다이애나에게 구출된 뒤 달 기지를 탈출하기 위해 다이애나와 동행한다.
- 다이애나(Diana)[6]휴와 동행하는 신비로운 힘을 가진 소녀 모습의 안드로이드. 자신을 식별번호 D-I-0336-7이라고 소개하지만, 휴가 너무 복잡하다고 생각했는지 다이애나라는 이름을 새로 붙여준다. 게임 내에서는 휴의 등에 붙어 해킹을 맡는다.
6. 기타 [편집]
- 트레일러의 영상 부분 내용은 우주복을 입은 캐릭터가 안드로이드 혹은 인공지능 로봇 타입의 적을 총으로 공격한 뒤 소녀를 등에 업고 탈출하며 소녀가 그린 그림에 발매 연기를 사과하는 메시지가 작성된 종이를 떨어뜨리고 이를 비춰준다.[7] 바로 이어지는 인게임 영상은 NPC로 보이는 로봇과 우주복을 입은 캐릭터 다이애나가 나란히 서 있는 모습, 이동시 다이애나를 업고 다니는 모습과 베는 타입의 장비를 사용한 근접전, 우주복을 입은 주인공 캐릭터의 등 뒤에서 공격 모션을 똑같이 따라하는 대형 메카와 폭격급의 공격을 받는 장면, 땅바닥에 앉아서 유저쪽으로 고개를 돌리는 장면, 꾸준히 등장했던 소녀 다이애나가 해킹하는 듯한 이미지의 장면이다.
- 스토리의 큰 틀은 기업에 의해 새롭게 개발된 신소재(게임 속 델파이 코퍼레이션이 개발한 것은 루나 필라멘트)와 고성능 AI를 사용한 무언가를 만들었고 이를 지구권 전역에 패치하면서 생긴 사건 혹은 사고를 해결하는 것으로 보인다. 델파이 코퍼레이션의 광고영상에서 「생명을 창조한다」라고 되어있는 만큼 최종완성형이 다이애나로 보인다.
- 게임 지원 음성으로 한국어 더빙까지 지원 확정되었으며, 이는 캡콤 AAA 게임 최초이다.[8]
[1] PlayStation 5 Pro 대응.[2] 인게임 액션 장면 추가 및 사과 공지[3] 코지마 프로덕션의 마스코트인 루덴스가 우주복을 입은 캐릭터이며, 트레일러 내내 추상적 형태의 객체들이 비춰지는 공통점이 있다.[4] 과거 플래티넘 게임즈 소속 직원이었으며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의 개발에 참여했다. 대표적인 작품이 바로 최종보스인 스티븐 암스트롱.[5] 단독&총괄 디렉터인지는 불명이다.[6] 일본어 원문에서는 프랑스식으로 디아나(ディアナ)라고 읽는다. 한국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Diana의 독음으로 '디아나'와 '다이아나'가 혼용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딱히 오역은 아니다.[7] 소녀의 이름은 다이애나로 우주복을 입은 캐릭터에 의해서 공개됐다. 다급한 우주복의 캐릭터와 달리 콧노래까지 부르면서 주저앉아 그림을 그리는 모습이 무겁고 아리송했던 분위기였던 이전과는 달라졌다.[8] 캡콤의 첫 한국어 더빙 지원 작품은 역전재판이다. 주인공의 얼굴 모델로 한국 배우 이병헌을 기용했던 로스트 플래닛은 한국어 더빙은 지원하지 않았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