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
최근 수정 시각: ()
당신은 이곳에서 환영받지 못한다.
1. 소개 [편집]
폴아웃 3의 4번째 DLC. 메릴랜드 주 포인트 룩아웃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종래의 1, 2번째 DLC처럼 스핀오프 스토리다.
본작의 최대 의의는 섬의 형태를 갖춘 소규모 오픈월드로서의 베데스다 확장팩(DLC)의 전통을 따랐다는 거다. DLC 등에서 구현된 섬형 오픈월드는 본편에 비해 적은 노력으로 본편과 유사한 구조[1]의 오픈월드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고 거기에 더해 본편과는 다른 환경과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점 때문에 그동안 베데스다가 애호했던 방식이기도 하다. 즉, 모로윈드의 블러드문, 오블리비언의 쉬버링 아일즈, 스카이림의 드래곤본, 폴아웃 4의 파 하버라는 섬 DLC 전통의 연장에서 본 DLC를 해석 가능하다.
또한 포인트 룩아웃은 구성 요소가 다양하기 때문에 나름대로의 개성이 있다. 일단 사이드 퀘스트들은 깊이는 없지만 각자의 독특한 개성을 갖추고 있어서 뒷배경을 파악하는 분위기가 쏠쏠하고, 그럭저럭 쓸만한 신무기나 강력한 몹들이 여럿 추가되었다.
Broken Steel을 클리어한 고렙 유저들을 전제로 만든 DLC이다 보니 전반적으로 난이도가 한 단계 높다. 저레벨 플레이어나 고레벨 플레이어에게 모두 어렵지만, 그나마 짜증을 덜 내면서 플레이하고 싶다면 저레벨인 상태에서 가우스 소총을 얻어서 가는 등 꼼수를 동원하는 것이 좋다. 자신의 캐릭터에 대한 믿음 같은 것을 가지고 덤볐다간 저항 무시 대미지에 녹아나는 캐릭터를 보며 혈압이 오르기 십상이다. 가우스 소총과 같이 딸려오는 중국 스텔스 아머를 장착하고 은신 상태로 다니는 것도 상당한 도움이 되는데, 은신 크리티컬을 밥먹듯이 낼 수 있으므로 체력이 많은 적들의 피통을 순식간에 깎아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주요 퀘스트는 총 다섯 가지로 칼버드 저택에서 시작되는 메인 퀘스트 외 홈스테드 모텔, USS 오지맨디아스, 마거릿의 판잣집, 블랙홀 저택에서 각각 네 개의 서브 퀘스트를 받을 수 있다. 블랙홀 저택에서 받는 퀘스트는 폴아웃 3의 모든 DLC를 통틀어 유일하게 본편 지역과 연계된다. 그밖에도 등대 등 갈아 끼우기나 헤르조그 광산에서 케니의 곰인형 찾아주기 등등의 별도 표기되지 않는 마이너 퀘스트들이 존재한다.
종래의 1, 2번째 DLC처럼 스핀오프 스토리다.
본작의 최대 의의는 섬의 형태를 갖춘 소규모 오픈월드로서의 베데스다 확장팩(DLC)의 전통을 따랐다는 거다. DLC 등에서 구현된 섬형 오픈월드는 본편에 비해 적은 노력으로 본편과 유사한 구조[1]의 오픈월드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고 거기에 더해 본편과는 다른 환경과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점 때문에 그동안 베데스다가 애호했던 방식이기도 하다. 즉, 모로윈드의 블러드문, 오블리비언의 쉬버링 아일즈, 스카이림의 드래곤본, 폴아웃 4의 파 하버라는 섬 DLC 전통의 연장에서 본 DLC를 해석 가능하다.
또한 포인트 룩아웃은 구성 요소가 다양하기 때문에 나름대로의 개성이 있다. 일단 사이드 퀘스트들은 깊이는 없지만 각자의 독특한 개성을 갖추고 있어서 뒷배경을 파악하는 분위기가 쏠쏠하고, 그럭저럭 쓸만한 신무기나 강력한 몹들이 여럿 추가되었다.
Broken Steel을 클리어한 고렙 유저들을 전제로 만든 DLC이다 보니 전반적으로 난이도가 한 단계 높다. 저레벨 플레이어나 고레벨 플레이어에게 모두 어렵지만, 그나마 짜증을 덜 내면서 플레이하고 싶다면 저레벨인 상태에서 가우스 소총을 얻어서 가는 등 꼼수를 동원하는 것이 좋다. 자신의 캐릭터에 대한 믿음 같은 것을 가지고 덤볐다간 저항 무시 대미지에 녹아나는 캐릭터를 보며 혈압이 오르기 십상이다. 가우스 소총과 같이 딸려오는 중국 스텔스 아머를 장착하고 은신 상태로 다니는 것도 상당한 도움이 되는데, 은신 크리티컬을 밥먹듯이 낼 수 있으므로 체력이 많은 적들의 피통을 순식간에 깎아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주요 퀘스트는 총 다섯 가지로 칼버드 저택에서 시작되는 메인 퀘스트 외 홈스테드 모텔, USS 오지맨디아스, 마거릿의 판잣집, 블랙홀 저택에서 각각 네 개의 서브 퀘스트를 받을 수 있다. 블랙홀 저택에서 받는 퀘스트는 폴아웃 3의 모든 DLC를 통틀어 유일하게 본편 지역과 연계된다. 그밖에도 등대 등 갈아 끼우기나 헤르조그 광산에서 케니의 곰인형 찾아주기 등등의 별도 표기되지 않는 마이너 퀘스트들이 존재한다.
2. 줄거리 [편집]
리벳 시티 계단통 맨 아래층에 있는 진흙게 술집에 들어가면[2] '포인트 룩아웃'에서 잃어버린 자기네 딸 "나딘(Nadine)"을 찾아달라는 "캐서린(Catherine)"이란 아주머니를 만나 퀘스트를 받게 된다. 여객 표를 받고 알링턴 도서관에서 동남쪽에 위치한 선착장에 가면 왠지 능글맞은 "토바(Tobar)"라는 상인과 '더치맨즈 갬빗'호를 볼 수 있다. 배 선실에 있는 침대에 누우면 배가 '포인트 룩아웃'으로 가게 된다.[3]
포인트 룩아웃으로 간 다음에는, 토바가 제안한 대로 언덕 위에 연기가 피어오르는 '칼버트 저택'으로 가게 되며, 그곳에서 구울 과학자 데스몬드와 만나게 된다. 하지만 갑자기 이상한 광신도들이 '펑가를 찬양하라.'면서 습격해온다. 저택을 돌며 침입 통로를 막고 광신도를 모두 물리치면 데스몬드가 '펑가'라는 과일을 숭배하는 그 사이비 종교 집단에 접근하라고 하는데...
폐허가 된 성당 건물을 사용하는 사이비 종교(?)의 본산을 찔러보는 과정에서 외로운 방랑자는 일단 사이비 교단에 위장전입(?) 하기 위해서 지역 서쪽의 깊숙한 늪지대에 있는 거대한 펑가 나무에서 씨앗을 채취한다. 그러자 펑가 나무에서 나온 기체로 인해 쓰러진 뒤 가짜 보블헤드를 시작으로 각종 환영[4]을 보게 되는데 볼트 106이나 러브크래프트의 문학을 오마주해서 등장한 던위치 빌딩보다 더 소름 끼친다.[5] 오리지널 시나리오를 1주 차라도 돌았다면 감회가 남다를 것이다.
이후 신도로 인정받고 성당에 들어가면 아줌마가 찾아달라 했던 딸 나딘을 만나게 된다. 신도로 위장한 나딘은 기회를 노려 도망갈 생각을 하면서 이 사이비 교단의 뒤통수를 단단히 쳐서 목돈을 마련한 상태. 주인공 이마의 흉터를 치료해주고 사이비 종교의 지도자라는 잭슨(Jackson)이 있는 '명상의 방'이 어디있는지 가르쳐 준다.
명상의 방은 동쪽 끝 동굴 안에 있는데 거기서 잭슨은 웬 뇌처럼 보이는 홀로그램과 대화를 하면서 그에게 충성하고 있었다. 잭슨은 허수아비일뿐이므로 그를 무시하고 홀로그램과 대화하면 그는 본래 칼버트 교수라는 인물로서 데스몬드가 가진 전파 방해기가 본인의 전파를 방해하고 있으므로 그가 있던 저택을 끊임없이 공격한 것이라고 한다. 또한 칼버트 교수는 외로운 방랑자에게 데스몬드를 대신 처리해달라고 제안한다.
데스몬드에게 돌아와서 이를 보고하면 데스몬드는 칼버트 교수와의 라이벌 매치에 크게 흥분하며 전파 방해기를 포인트 룩아웃에서 가장 높은 대관람차에 설치해달라고 의뢰한다. 이에 따라 대관람차로 가면 중간에 칼버트 교수가 텔레파시로 외로운 방랑자에게 말을 걸어 전파 방해기를 근처의 쓰레기 압축기로 파괴해달라고 제안한다.
전파방해기를 대관람차에 설치할 경우 : 대관람차가 작동해 전파 방해기는 꼭대기까지 올라가고 칼버트 교수는 텔레파시 능력을 봉쇄당한다. 그리고 인근에는 원주민들이 우르르 등장하여 외로운 방랑자를 공격한다. 또한 멧비둘기 성당을 비롯한 모든 곳에 위치한 원주민들이 다시 적대화된다.
전파방해기를 쓰레기 압축기로 파괴할 경우 : 칼버트 교수는 기뻐하면서 데스몬드에게 가라고 명한다. 원주민은 그대로 우호적 관계를 유지한다.
어떤 루트를 선택하든 데스몬드에게 돌아가면 갑자기 칼버트 저택이 거대한 폭발에 휩싸여 무너지는 모습을 보게 된다. 데스몬드는 지하의 패닉룸으로 피신한 덕에 무사했고 그는 칼버트 교수가 등대 지하에 숨어있는 것을 알아냈으며 200여년에 걸친 라이벌 관계를 끝내고자 같이 공격하러 가자고 한다.
데스몬드와 함께 등대 지하에 가면 비밀 연구실이 있는데, 로봇 경비병의 방해를 뚫고 칼버트 교수에게 다가가면 칼버트 교수는 다시 한번 외로운 방랑자에게 데스몬드를 죽여달라고 제안한다. 이 때 구울 과학자 데스몬드 편에 설 것인가, 아니면 사이비 종교의 배후에 있는 칼버트 교수 편에 설 것인가로 전개가 다소 다르다.
데스몬드의 편을 들어 칼버트 교수를 죽일 경우: 칼버트 교수를 죽이면 그를 호위하고 있던 모든 프로텍트론은 작동을 멈추며 데스몬드는 자신이 승리자가 되었음에 기뻐하며 외로운 방랑자에게 등대 지하의 연구실에 있는 모든 물품을 가져가도 된다고 허락한다. 또한 데스몬드는 칼버트 교수의 모든 연구자산을 본인 것으로 만들어 연구할 것이며 또다른 경쟁자를 이기기 위해 장차 북쪽으로 향할 것이라는 언질을 남긴다.
칼버트 교수의 편을 들어 데스몬드를 죽일 경우: 칼버트 교수는 외로운 방랑자에게 보상을 주겠다고 하는데, 그건 바로 죽음, 즉 배신이다. 통수를 맞은 외로운 방랑자는 데스몬드 루트와 동일하게 칼버트 교수를 죽인다.
포인트 룩아웃으로 간 다음에는, 토바가 제안한 대로 언덕 위에 연기가 피어오르는 '칼버트 저택'으로 가게 되며, 그곳에서 구울 과학자 데스몬드와 만나게 된다. 하지만 갑자기 이상한 광신도들이 '펑가를 찬양하라.'면서 습격해온다. 저택을 돌며 침입 통로를 막고 광신도를 모두 물리치면 데스몬드가 '펑가'라는 과일을 숭배하는 그 사이비 종교 집단에 접근하라고 하는데...
폐허가 된 성당 건물을 사용하는 사이비 종교(?)의 본산을 찔러보는 과정에서 외로운 방랑자는 일단 사이비 교단에 위장전입(?) 하기 위해서 지역 서쪽의 깊숙한 늪지대에 있는 거대한 펑가 나무에서 씨앗을 채취한다. 그러자 펑가 나무에서 나온 기체로 인해 쓰러진 뒤 가짜 보블헤드를 시작으로 각종 환영[4]을 보게 되는데 볼트 106이나 러브크래프트의 문학을 오마주해서 등장한 던위치 빌딩보다 더 소름 끼친다.[5] 오리지널 시나리오를 1주 차라도 돌았다면 감회가 남다를 것이다.
이후 신도로 인정받고 성당에 들어가면 아줌마가 찾아달라 했던 딸 나딘을 만나게 된다. 신도로 위장한 나딘은 기회를 노려 도망갈 생각을 하면서 이 사이비 교단의 뒤통수를 단단히 쳐서 목돈을 마련한 상태. 주인공 이마의 흉터를 치료해주고 사이비 종교의 지도자라는 잭슨(Jackson)이 있는 '명상의 방'이 어디있는지 가르쳐 준다.
명상의 방은 동쪽 끝 동굴 안에 있는데 거기서 잭슨은 웬 뇌처럼 보이는 홀로그램과 대화를 하면서 그에게 충성하고 있었다. 잭슨은 허수아비일뿐이므로 그를 무시하고 홀로그램과 대화하면 그는 본래 칼버트 교수라는 인물로서 데스몬드가 가진 전파 방해기가 본인의 전파를 방해하고 있으므로 그가 있던 저택을 끊임없이 공격한 것이라고 한다. 또한 칼버트 교수는 외로운 방랑자에게 데스몬드를 대신 처리해달라고 제안한다.
데스몬드에게 돌아와서 이를 보고하면 데스몬드는 칼버트 교수와의 라이벌 매치에 크게 흥분하며 전파 방해기를 포인트 룩아웃에서 가장 높은 대관람차에 설치해달라고 의뢰한다. 이에 따라 대관람차로 가면 중간에 칼버트 교수가 텔레파시로 외로운 방랑자에게 말을 걸어 전파 방해기를 근처의 쓰레기 압축기로 파괴해달라고 제안한다.
전파방해기를 대관람차에 설치할 경우 : 대관람차가 작동해 전파 방해기는 꼭대기까지 올라가고 칼버트 교수는 텔레파시 능력을 봉쇄당한다. 그리고 인근에는 원주민들이 우르르 등장하여 외로운 방랑자를 공격한다. 또한 멧비둘기 성당을 비롯한 모든 곳에 위치한 원주민들이 다시 적대화된다.
전파방해기를 쓰레기 압축기로 파괴할 경우 : 칼버트 교수는 기뻐하면서 데스몬드에게 가라고 명한다. 원주민은 그대로 우호적 관계를 유지한다.
어떤 루트를 선택하든 데스몬드에게 돌아가면 갑자기 칼버트 저택이 거대한 폭발에 휩싸여 무너지는 모습을 보게 된다. 데스몬드는 지하의 패닉룸으로 피신한 덕에 무사했고 그는 칼버트 교수가 등대 지하에 숨어있는 것을 알아냈으며 200여년에 걸친 라이벌 관계를 끝내고자 같이 공격하러 가자고 한다.
데스몬드와 함께 등대 지하에 가면 비밀 연구실이 있는데, 로봇 경비병의 방해를 뚫고 칼버트 교수에게 다가가면 칼버트 교수는 다시 한번 외로운 방랑자에게 데스몬드를 죽여달라고 제안한다. 이 때 구울 과학자 데스몬드 편에 설 것인가, 아니면 사이비 종교의 배후에 있는 칼버트 교수 편에 설 것인가로 전개가 다소 다르다.
데스몬드의 편을 들어 칼버트 교수를 죽일 경우: 칼버트 교수를 죽이면 그를 호위하고 있던 모든 프로텍트론은 작동을 멈추며 데스몬드는 자신이 승리자가 되었음에 기뻐하며 외로운 방랑자에게 등대 지하의 연구실에 있는 모든 물품을 가져가도 된다고 허락한다. 또한 데스몬드는 칼버트 교수의 모든 연구자산을 본인 것으로 만들어 연구할 것이며 또다른 경쟁자를 이기기 위해 장차 북쪽으로 향할 것이라는 언질을 남긴다.
칼버트 교수의 편을 들어 데스몬드를 죽일 경우: 칼버트 교수는 외로운 방랑자에게 보상을 주겠다고 하는데, 그건 바로 죽음, 즉 배신이다. 통수를 맞은 외로운 방랑자는 데스몬드 루트와 동일하게 칼버트 교수를 죽인다.
3. 등장 아이템 [편집]
3.1. 무기 [편집]
- 쌍열 산탄총(Double barrel shotgun): 샷건계열중에서 가장 강한 단발화력과 특유의 묵직한 타격감을 갖춘 무기. V.A.T.S아닌 쌩조준으로도 그럭저럭 쓸만하다. 그러나 아쉽게도 대응되는 유니크 종류가 없고[6], 실전으로 평가해보면 유니크 바리에이션이 존재하는 컴뱃 샷건에 약간 밀리는 감이 없지 않다.
- 아빠의 낚시 도우미(Pa's Fishing Aid): 유니크 쌍열 산탄총. 더미 데이터로만 남아있고 실제로 게임 상에선 찾아볼 수 없다.
- 레버액션 소총(Lever-action Rifle): 링컨의 리피터와 외형 및 모델이 같지만, 권총용 탄종인 10mm 탄환을 사용한다. 10mm 탄창을 사용하는 병기 중에서는 한발 당 대미지가 가장 좋고 크리티컬률도 5배로 높으며 장탄수가 10발로 사냥용 소총의 두 배이다.
- 삽(Shovel): 근접 무기 취급이지만 상자를 묻은 구덩이를 파낼 때도 쓰인다. 들고 있을 필요는 없고, 그냥 인벤토리에 하나 있으면 된다. 유니크로 거름 푸는 삽이 있다.
3.2. 방어구 [편집]
3.3. 소모품 [편집]
4. 등장인물 [편집]
5. 적 [편집]
- 습지인(Swampfolks): 해당 문서 참조.
- 밀수업자(Smugglers): 탈론 컴퍼니 같은 유랑 군인집단. 대충 외양이 얼굴은 레이더인데 몸통은 탈론 컴퍼니다. 포인트 룩아웃 최악의 강적이며 주인공 레벨이 올라가면 상대방의 전투력도 올라가는 특성상 레벨 20 넘은 시점에서는 일부 파워 아머 입은 엔클레이브 군인을 상회하는 전투력까지 보여주는 괴물. 게다가 앞서 말했듯 주인공 방어 따위 씹어버리니... 왜냐하면 이 녀석들은 10mm 권총만 들고 오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플라즈마 소총을 들고 다니고, 저격소총, 차이니즈 어설트 라이플이나 최악의 경우에는 미사일 런처도 들고 나오기 때문. 이 녀석들은 카르마가 악이기 때문에 잡았을 경우 보안관 퍽을 찍었으면 금지된 물품을 밀수한 혐의로 손가락을 드랍한다.
- 늪지 마이얼럭(Swamplurk): 본토의 친척과 달리 몸이 녹색이다. 마이어러크 킹과 유사하고 늪지 마이얼럭 퀸도 등장한다.
6. 지역 [편집]
포인트 룩아웃 참조.
7. 평가 [편집]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굵직한 메인 스토리는 없지만 폴아웃 3 DLC중 가장 평가를 잘 받았는데, 유저들이 기대하던 확장팩급 DLC가 드디어 출시되었기 때문이다. 기존 폴아웃 3 DLC가 비판을 받은 가장 큰 이유는 20달러라는 금액 대비 볼륨이 크지 않다는 점이었는데 포인트 룩아웃 DLC에서는 마침내 소규모 오픈월드 맵이 등장하고 플레이어는 폴아웃 3 본편처럼 그 오픈월드를 자유롭게 다니면서 다양한 적과 NPC, 던전, 퀘스트를 체험할 수 있었고 신규 무기가 꽤 많았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았다.
볼륨 문제를 제외하고라도 안개와 늪지, 습지인, 오컬트 같은 환경적인 요소 구현이 본편과는 다른 의미로 포스트 아포칼립스를 느끼게 해서 호평을 받았고 메인 퀘스트 중 등장하는 환각 장면은 폴아웃 3에서 가장 인상깊은 연출 중 하나로 꼽힌다. 다만 고레벨 유저를 전제로 한 지나치게 높은 전투 난이도와 레벨링은 비판을 받았다.
8. 기타 [편집]
- 수도 황무지에서 포인트 룩아웃까지 배로 이동하는 것은 게임내 시간으로 약 1달의 시간이 걸린다.
- 본작에서 등장한 뇌버섯(Brain fungus)은 본래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배경에 불과했고 이름도 없는 존재였으나 특유의 그로테스크한 모습이 인기를 끌어 후속작인 폴아웃 4에서는 정식 채집용 아이템으로 등장한다.
- 본 DLC의 배경은 폴아웃 4 대형 DLC의 배경과 매우 닮았다. 언제나 안개에 휩싸인 늪지대로서 사이비 종교가 판치는 외딴 지대라는 설정은 폴아웃 4 - 파 하버로, 대관람차나 사파리 사냥이 있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놀이공원 및 휴양지로서의 이미지는 폴아웃 4 - 누카 월드로 이어졌다.
- 사소한 개선이긴 하나, 포인트 룩아웃에서는 식물에서 열매를 채집할시, 열매의 모습이 사라지는 모습을 최초로 보인다. 과거 엘더스크롤 모로윈드/오블리비언에서는 열매나 꽃을 채집해도 그래픽상 열매나 꽃이 그대로 남아있었고 폴아웃 3 본편에서는 채집 가능한 식물이 등장하지 않았다.
- 깡촌의 레드넥 돌연변이들 주제에 게임에서 가장 위협적인 적이라는 점에서 불만을 가진 플레이어도 많기에 포인트 룩아웃 적들의 특징인 DR 무시 특성을 제거하는 모드도 존재한다.
[1] 드넓은 신규 필드 위에 마을이나 던전, 몬스터, 퀘스트가 뿌려져서 탐험을 수행하는 형태[2] 술집에 들어가지 않고 바로 선착장으로 가도 만날 수 있다.[3] 참고로 이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배표가 폴아웃 3에서는 상당히 비싼 편이다. 최소가 300캡인데 흥정 수치가 낮으면 거의 바가지 수준. 은신 수치가 높다면 토바에게 배표를 주고 소매치기로 토바의 물건들을 거의 다 빼앗을 수 있으니 참고.[4] 톱이 스걱스걱 하는 소리, 보이지 않는 바늘이 꿰매지는 형상 등등... 아마 이건 뇌가 뽑혀나가는 것이 의식 속에 구현되는 것이다. 돌아가는 길의 마지막에는 주인공 엄마의 해골이 침대에 누워 있고 주위에서 삐- 하는 소리가 들린다.[5] 이곳의 서브 퀘스트중에는 아예 던위치 빌딩과 연계되는 악마의 책 퀘스트가 있다.[6] 원래는 있긴 하지만 게임상에서는 삭제[7] 노멀난이도/데스몬드 저택 방어퀘 기준으로 보통 4~6인 1조정도지만 폴아웃 3의 적 출현 빈도를 감안하면 이정도도 굉장한 물량. 물론 MOD를 깔지 않았다는 전제아래[8] 그리고 피통도 생각보다 크다! 슈퍼뮤턴트급 이상이라고 생각될 정도.[9] 특히 환각 장면이 압권이다. 폴3에서 부모였던 부분을 배우자로 어레인지하고, 물에서 떠오르는 중요 인물 시신 환각은 폴아웃 4 3대 팩션 수장으로, 마지막에 가짜 미스터 버크는 가짜 켈로그로 어레인지했다. 짝퉁 보블헤드들의 악담들 역시 부모 관련 패드립에서 배우자 관련 패드립으로 대체되었다. 다만 배경에 수도황무지 오벨리스크가 여전히 남아있다는게 옥의 티. 폴아웃 4 스토리라인과의 개연성을 감안했다면 매스퓨전 빌딩 등으로 어레인지하는게 타당하지 않았나 싶다. 아니면 벙커 힐의 그 건축물을 의도한것으로 보인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