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장비류/주무기/배틀 라이플
최근 수정 시각: ()
이 문서는 분류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분류:분류에서 적절한 분류를 찾아 문서를 분류해주세요!
1. 개요 [편집]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의 전투 소총을 서술하는 문서.
전작 AR중 FAL과 오든을 아예 별개로 출시한 무기군. 구체적인 구분 기준은 없고 대략 장탄수가 적은 대신, 강력한 위력으로 반자동 속사를 통한 장거리 교전, 자동 사격을 통한 근거리 교전 모두가 가능한 일종의 AR과 DMR의 하이브리드 포지션의 총기군이다. DMR의 반자동 특성을 가져, TAQ-V, 크로넨 스콜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조정간이 반자동으로 세팅되어 있어 단발로 나간다. 그러나 단발만 쏠 수 있는 DMR과는 다르게 플레이 중 B키를 통해 전자동, 즉 연발로 바꿔줄 수 있다. 다만 전자동 사격은 반자동 사격보다 반동 컨트롤이 극단적으로 어려워지고 피해량이 감소하기에, #1#2 전반적인 스탯이 전자동 사격 위주로 맞춰진 TAQ-V와 크로넨 스콜을 제외한 나머지 3종의 배틀 라이플은 전자동 사격의 효율이 좋지 않은 편이다.
배틀라이플은 총기군 자체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은데, 게임 자체가 TTK가 짧아서 장점인 높은 대미지를 상쇄시키는 특유의 느린 줌속으로 인해 다른 총기와의 맞교전이 상당히 불리하기 때문. 반자동 모드는 그래도 낫지만 전자동 모드는 차라리 AR의 카스토프-762를 쓰겠다는 의견이 다분하다. 이는 많은 유저들이 배틀 라이플의 렙작을 고통스러워하며 3인칭이나 목표 점령 기반 모드(ex.지상전)에서 할 것을 추천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너프 좀 먹어도 꽤 안정적인 성능의 TAQ-V이나 앵간한 AR들을 제쳤다는 얘기까지 들은 신흥 강자인 스콜의 평가는 매우 좋은 편이지만 라흐만 762와 SO-14, FTAC 리콘은 각각 단점이 매우 뚜렷해서 평가가 그렇게 좋지 않은 편이고 픽률도 매우 저조하다.
플래티넘 위장은 총 4종의 BR의 골드 위장을 해제하면 해금 조건이 열리며, 원거리 처치 판정은 AR과 동일한 38 m이다.
전작 AR중 FAL과 오든을 아예 별개로 출시한 무기군. 구체적인 구분 기준은 없고 대략 장탄수가 적은 대신, 강력한 위력으로 반자동 속사를 통한 장거리 교전, 자동 사격을 통한 근거리 교전 모두가 가능한 일종의 AR과 DMR의 하이브리드 포지션의 총기군이다. DMR의 반자동 특성을 가져, TAQ-V, 크로넨 스콜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조정간이 반자동으로 세팅되어 있어 단발로 나간다. 그러나 단발만 쏠 수 있는 DMR과는 다르게 플레이 중 B키를 통해 전자동, 즉 연발로 바꿔줄 수 있다. 다만 전자동 사격은 반자동 사격보다 반동 컨트롤이 극단적으로 어려워지고 피해량이 감소하기에, #1#2 전반적인 스탯이 전자동 사격 위주로 맞춰진 TAQ-V와 크로넨 스콜을 제외한 나머지 3종의 배틀 라이플은 전자동 사격의 효율이 좋지 않은 편이다.
배틀라이플은 총기군 자체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은데, 게임 자체가 TTK가 짧아서 장점인 높은 대미지를 상쇄시키는 특유의 느린 줌속으로 인해 다른 총기와의 맞교전이 상당히 불리하기 때문. 반자동 모드는 그래도 낫지만 전자동 모드는 차라리 AR의 카스토프-762를 쓰겠다는 의견이 다분하다. 이는 많은 유저들이 배틀 라이플의 렙작을 고통스러워하며 3인칭이나 목표 점령 기반 모드(ex.지상전)에서 할 것을 추천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너프 좀 먹어도 꽤 안정적인 성능의 TAQ-V이나 앵간한 AR들을 제쳤다는 얘기까지 들은 신흥 강자인 스콜의 평가는 매우 좋은 편이지만 라흐만 762와 SO-14, FTAC 리콘은 각각 단점이 매우 뚜렷해서 평가가 그렇게 좋지 않은 편이고 픽률도 매우 저조하다.
플래티넘 위장은 총 4종의 BR의 골드 위장을 해제하면 해금 조건이 열리며, 원거리 처치 판정은 AR과 동일한 38 m이다.
2. 라흐만-762 [편집]
플랫폼 | 라흐만 & 미어 플랫폼 | |||
지연 블로우백 7.62 리시버로 화력과 컨트롤을 확보했습니다. 모드를 전환하여 정확한 반자동 사격, 또는 강력한 전자동 점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1] | ||||
탄종 | 7.62 NATO | |||
해제 레벨 | 사격 모드 | 정조준 전환 | 달리기 후 사격 |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16 | 반자동 | 전자동 | 0.260 초 | 0.210 초 | 0.310 초 |
총구 탄속 | 연사력 | 장탄수 | 일반 재장전 시간 | 전술 재장전 시간 |
660 m/s | 반자동: 492 RPM 전자동: 606 RPM | 20 | 2.87 초 | 2.04 초 |
피해량 / BTK / TTK - 기본 반자동 사격 모드 기준 | ||||
구간 | 0 m 20.3 m | 20.3 m 30.5 m | 30.5 m 43.2 m | 43.2 m + |
머리 | 100 / 1 0.000 초 | 96 / 2 0.122 초 | 92 / 2 0.122 초 | 67 / 2 0.122 초 |
목 | 57 / 2 0.122 초 | 55 / 2 0.122 초 | 52 / 2 0.122 초 | 38 / 3 0.244 초 |
몸통 상부 | 57 / 2 0.122 초 | 55 / 2 0.122 초 | 52 / 2 0.122 초 | 38 / 3 0.244 초 |
몸통 하부 | 52 / 2 0.122 초 | 50 / 2 0.122 초 | 48 / 3 0.244 초 | 35 / 3 0.244 초 |
팔 상부 | 48 / 3 0.244 초 | 46 / 3 0.244 초 | 44 / 3 0.244 초 | 32 / 4 0.366 초 |
팔 하부 | 48 / 3 0.244 초 | 46 / 3 0.244 초 | 44 / 3 0.244 초 | 32 / 4 0.366 초 |
다리 상부 | 48 / 3 0.244 초 | 46 / 3 0.244 초 | 44 / 3 0.244 초 | 32 / 4 0.366 초 |
다리 하부 | 48 / 3 0.244 초 | 46 / 3 0.244 초 | 44 / 3 0.244 초 | 32 / 4 0.366 초 |
- [ 전자동 사격 모드 피해량 / BTK / TTK ]
- 피해량 / BTK / TTK - 전자동 사격 모드 기준구간0 m
20.3 m20.3 m
30.5 m30.5 m
43.2 m43.2 m
+머리77 / 2
0.099 초74 / 2
0.099 초72 / 2
0.099 초67 / 2
0.099 초목48 / 3
0.198 초46 / 3
0.198 초44 / 3
0.198 초32 / 4
0.297 초몸통 상부48 / 3
0.198 초46 / 3
0.198 초44 / 3
0.198 초32 / 4
0.297 초몸통 하부48 / 3
0.198 초46 / 3
0.198 초44 / 3
0.198 초32 / 4
0.297 초팔 상부36 / 3
0.198 초34 / 3
0.198 초33 / 4
0.297 초24 / 5
0.396 초팔 하부36 / 3
0.198 초34 / 3
0.198 초33 / 4
0.297 초24 / 5
0.396 초다리 상부36 / 3
0.198 초34 / 3
0.198 초33 / 4
0.297 초24 / 5
0.396 초다리 하부36 / 3
0.198 초34 / 3
0.198 초33 / 4
0.297 초24 / 5
0.396 초
실제 모델은 H&K사의 G3A3이다. 핸드가드에 구멍이 뚫려있고 전체적으로 G3보다는 민수용인 HK91에 가깝게 모델링되어 있다. 개조를 통해 G3/SG-1을 만들어 LM-S의 성능을 일부 가져올 수 있고, 혹은 라흐만 556 총열을 달아 HK51을 만들 수도 있다. 마스터키를 장착할 수 없다.
개인 무장이 열리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기본 배틀 라이플. 반자동 모드에서는 연사력이 500RPM 수준으로 느려 리콘에 비해 화력이 좀 떨어지는 대신 반동이 안정적이고 탄창도 기본 20발로 부족하지 않은 정도는 제공된다. 완전 자동 모드에서는 연사력이 카스토프 762와 대등한 수준까지 오르지만 대미지가 낮아져서 헤드샷 원샷킬과 가슴 2발킬이 불가능해지고 반동이 굉장히 커진다. 확장 탄창 부품도 적절하게 30발, 50발 탄창을 지원한다. 꽤 강력한 근접 똥파워를 보여주나 원거리는 매우 힘든 것까지 전작의 오든에서 연사력과 데미지를 조금 손본, 덜떨어진(?) 오든 느낌이 강하다.
평가는 그냥 그저그런 소총. 낮은 평가의 이유는 반동이 거칠다는 점이 가장 크다. 전자동 사격 모드에서는 연사력 자체는 괜찮지만 수평 반동부터 잡기 만만치 않으며 수직 반동조차 FTAC 리콘보다 나은 정도지 만만할 정도로 작은 것은 아닌데다 데미지도 낮아지면서 3힛킬 소총이 되는 바람에 카스토프계열 3힛킬 AR들에게 무난하게 털리고, 반자동 정확도도 DMR까지 갈 필요도 없이 같은 배틀 라이플군의 SO-14, TAQ-V에게도 무난하게 밀리는 탓에 효율이 생각보다 높지 않다. 초반 소총이다보니 이 총을 가장 먼저 뚫게 되는 경우가 많고 사용 가능한 파츠도 거의 없는 것기 마련이라 파츠를 통한 능력치 보정도 험난하다. 다만 원거리 특화를 위해 조준안정, 반동제어에 도움을 주는 저격용 스톡과 후방 손잡이 파츠는 자체적으로도 보유하고 있어 참고 레벨을 올리면 어느 정도 쓸만한 수준까지 개조가 가능하긴 하다. 나쁘진 않지만 그래도 모자란 성능에도 불구하고 픽률이 제법 있는데 일단 초반에 해금되는 총인 탓이 가장 크며 라흐만 테크를 뚫기 위한 것도 있다. 여러모로 냉전기 서독 뽕맛을 경험하고 싶은 유저들을 위한 총이라 볼 수 있겠다.
시즌 2부터 원거리 대미지가 증가했고, 그 외 단발 사격은 버프를 먹고 연발 사격은 너프를 먹었다. 단발 사격의 경우 흉부 대미지 증가와 사격 속도가 빨라졌고, 연발 사격은 반동이 감소되었지만 머리와 흉부에 들어가는 대미지가 감소되었다.
설계도 |
- 그루브 앤 무브: 사이키델릭 번들. 총열에는 Scrapyard vacant, 하부 총몸에는 Crash, 그립에는 Rust, 개머리판에는 알 수 없는 단어가 적혀져 있으며 총몸에는 울고있는 여성의 얼굴이 그려져 있다.
- 평등 조약: 시즌1 DMZ 블랙 마우스 5티어 임무 '비행 계획' 완료 보상. 포지택제로 변경된다.
- 파티 크래셔: 시즌 2 명성 9(레벨 450) 달성 보상. 아래에 설명할 시즌 1 당시의 명성 최고레벨 보상인 버텍스 드라이브와 마찬가지로 은도금이라도 한 것처럼 광택이 나는 강철 색상 & 총 여기저기에 가로로 긁은 듯한 스크래치 줄무늬 조합이다.
- 황금 꼬꼬: 그림: 황금 거위 번들.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모티브라 금장에 거위가 그려져있다.
- 상습범: 클리어코트 코만도 번들. 총몸은 맥8, 그립은 XRK, 총열과 탄창은 브루엔, 수직 손잡이는 XTEN, 개머리판은 슐라거가 만들었다.
- 시트러스 블리츠: 스위트 스팟 번들. 그래피티로 그린 문자가 그려져 있다. XTEN제로 변경된다.
- 운하지구: 시즌4 배틀패스 D18 섹터 보상. 총열에 월드 와이드 프로파간다, 탄창에 닉토의 얼굴이 그려져 있으며 개머리판에는 MP-4라 적혀져 있다. FJX제로 변경된다.
플랫폼 부속 | ||||||||||||||||||||||||||||||||||||||||||||||||||||||||||
|
3. TAQ-V [편집]
플랫폼 | 택틱 베르트 플랫폼 | |||
TAQ-V는 평범한 사격 속도, 강력한 7.62 탄환, 그리고 제어하기 쉬운 반동으로 중장거리 교전의 떠오르는 강자가 되었습니다. | ||||
탄종 | 7.62 NATO | |||
해제 레벨 | 사격 모드 | 정조준 전환 | 달리기 후 사격 |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TAQ-56으로 11레벨 달성 | 전자동 | 반자동 | 0.290 초 | 0.210 초 | 0.310 초 |
총구 탄속 | 연사력 | 장탄수 | 일반 재장전 시간 | 전술 재장전 시간 |
660 m/s | 전자동: 571 RPM 반자동: 476 RPM | 20 | 2.20 초 |
|
피해량 / BTK / TTK - 기본 전자동 사격 모드 기준 | ||||
구간 | 0 m 19.1 m | 19.1 m 31.5 m | 31.5 m 46.0 m | 46.0 m + |
머리 | 76 / 2 0.105 초 | 74 / 2 0.105 초 | 68 / 2 0.105 초 | 51 / 2 0.105 초 |
목 | 49 / 3 0.210 초 | 48 / 3 0.210 초 | 44 / 3 0.210 초 | 33 / 4 0.315 초 |
몸통 상부 | 49 / 3 0.210 초 | 48 / 3 0.210 초 | 44 / 3 0.210 초 | 33 / 4 0.315 초 |
몸통 하부 | 37 / 3 0.210 초 | 36 / 3 0.210 초 | 33 / 4 0.315 초 | 25 / 4 0.315 초 |
팔 상부 | 37 / 3 0.210 초 | 36 / 3 0.210 초 | 33 / 4 0.315 초 | 25 / 4 0.315 초 |
팔 하부 | 37 / 3 0.210 초 | 36 / 3 0.210 초 | 33 / 4 0.315 초 | 25 / 4 0.315 초 |
다리 상부 | 37 / 3 0.210 초 | 36 / 3 0.210 초 | 33 / 4 0.315 초 | 25 / 4 0.315 초 |
다리 하부 | 37 / 3 0.210 초 | 36 / 3 0.210 초 | 33 / 4 0.315 초 | 25 / 4 0.315 초 |
- [ 반자동 사격 모드 피해량 / BTK / TTK ]
- 피해량 / BTK / TTK - 반자동 사격 모드 기준구간0 m
19.1 m19.1 m
31.5 m31.5 m
46.0 m46.0 m
+머리98 / 2
0.126 초96 / 2
0.126 초88 / 2
0.126 초68 / 2
0.126 초목57 / 2
0.126 초55 / 2
0.126 초50 / 2
0.126 초39 / 3
0.252 초몸통 상부57 / 2
0.126 초55 / 2
0.126 초50 / 2
0.126 초39 / 3
0.252 초몸통 하부51 / 2
0.126 초50 / 2
0.126 초46 / 3
0.252 초35 / 3
0.252 초팔 상부47 / 3
0.252 초46 / 3
0.252 초43 / 3
0.252 초32 / 4
0.378 초팔 하부47 / 3
0.252 초46 / 3
0.252 초43 / 3
0.252 초32 / 4
0.378 초다리 상부47 / 3
0.252 초46 / 3
0.252 초43 / 3
0.252 초32 / 4
0.378 초다리 하부47 / 3
0.252 초46 / 3
0.252 초43 / 3
0.252 초32 / 4
0.378 초
실제 모델은 FN 에르스탈의 Mk.17 SCAR-H이다. 전작에서 돌격소총으로 등장한 만큼 이번 작에서도 배틀 라이플 중 유일하게 기본 조정간이 전자동으로 되어있고 전자동 사격시 반동도 상당히 안정적인 등 배틀 라이플이라기 보다는 돌격소총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준다. 전작의 스카와 가장 큰 차이점은 엄청 착해진 비쥬얼 리코일. 이게 7탄 스카 반동이 맞나 싶을 정도로 순정 상태로도 50m 정도 되는 거리에 있는 적을 상대해도 푹푹 박힌다. 근거리의 경우에도 특유의 높은 깡딜로 AR에 밀리지 않지만 여기에 높은 헤드샷 대미지 배수 덕분에 헤드에 1방이라도 박힐경우 훨씬 빠른 TTK를 보여준다. 단점은 전투소총 특유의 연사속도와 에임이 크게 벌어지는 지향사격, 그리고 탄창 옵션이 후반에서나 해금되기 때문에 레벨업 전에는 20발 탄창으로 계속 들고 가야 한다는 점. 이 점을 상쇄하기 위해선 DMZ 모드 리전 1티어 최종 미션을 완수하면 보상으로 지급하는 도안이 50발 탄창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장탄수 압박에 시달리기 싫다면 얻어두는 편이 낫다. 튜토리얼 격 미션이므로 꽤나 쉽게 클리어가 가능하다. 한발한발 화력이 강력하기 때문에 50발 탄창을 장착하면 준 기관총처럼 써먹을수도 있다. 다만 그에 대한 페널티로 조준이 꽤나 느려지니 런앤 건 유저들은 30발 탄창이나 빠른 손놀림 퍼크로 타협을 볼수도 있다. TAQ-56/-M과 마찬가지로 기본 가늠자가 깔끔해서 옵틱 선택의 부담을 덜수 있다는 것도 소소한 장점.
시즌 2에서 중거리 대미지가 감소했고, 단발 사격은 상체에 들어가는 대미지는 증가하고 다리에 들어가는 대미지는 감소해 단발 사격 시 상체를 우선적으로 노려야 하는 성능이 되었다. 연발 사격은 헤드샷 대미지가 감소되었다.
여담이지만 전작보다 발포 사운드가 많이 가벼워져서 전작의 무겁고 둔탁한 느낌의 사운드를 선호하던 사람들은 불호를 표하기도 한다.
설계도 |
- 펜듈럼: 시즌1 DMZ 리전 1티어 미션 '요새 습격' 보상.
- 일수꾼: 그림자 중대 번들. 조준경에 그림자 중대의 마크가 그려져 있다.
- 장식용 용: 양각된 용 Ⅱ 번들. 말 그대로 동양권 용이 양각되어있다. 코버스 리미티드가 만든 것으로 변경된다.
- 엑토플라즈믹: XRK 세대 번들. 총의 윗부분만 초록색으로 칠한 심플한 외형이다. XRK제로 변경되며 개머리판은 맥8제로 변경된다.
- 아방가르드: 패션 동물 번들. 택틱 베르트가 직접 화려하게 장식했다.
- 현장 승진: 땅개 번들. 조준경이 코리오제로 변경된다.
- 킬로비트: 컴퓨터 시대 번들. 전체적인 배색이 NES를 연상케한다. 메이코제로 변경된다.
- 장식: 아이보리 스팅 번들. 말 그대로 일본풍으로 장식했다. 메이코제로 변경된다.
- 핵의 악몽: 시즌3 워존 2.0에서 알 마즈라에서 전사의 길 수행 시 획득. 대놓고 방사능 마크가 박혀져 있다.
- 운전대: WSOW 지정 운전사 번들. 레이싱카가 모티브라 개머리판과 연결되는 부위에 각종 기업들의 로고가 붙어있으며 탄창에는 차량 번호 00이 적혀 있다.
- 튀어나간 막대기: 2023년 8월 7일부터 15일까지 모던Ⅱ/워존 2.0에 4일 접속시 획득. 벽을 뚫고 나간듯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XTEN제로 변경되며 그립은 신가드 암즈제가 된다.
- 레이더: 시즌5 배틀패스 E14 섹터 보상. 그림자 중대 소유물이라고 대놓고 적혀있다.
- 뼈춤: 시즌6 배틀패스 F9 섹터 보상. 총열에는 Horror night가 적혀져 있고 Spooky Scary Skeletons을 연상케하는 스켈레톤이 총몸에 그려져 있다. 애초에 할로윈 컨셉이라 전체적인 배색도 주황색을 중점으로 삼았다. 크로넨제로 변경된다.
플랫폼 부속 | ||||||||||||||||||||||||||||||||||||||||
|
4. SO-14 [편집]
플랫폼 | 오드넌스 웨폰 플랫폼 | |||
이 사격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라이플로 어떤 상황에든 대응하십시오. 장거리 표적 사격 시에는 반자동을 유지하고, 가까운 거리에서 싸워야 할 때는 전자동으로 전환하십시오. | ||||
탄종 | 7.62 NATO | |||
해제 레벨 | 사격 모드 | 정조준 전환 | 달리기 후 사격 |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EBR-14로 12레벨 달성 | 반자동 | 전자동 | 0.302 초 | 0.270 초 | 0.390 초 |
총구 탄속 | 연사력 | 장탄수 | 일반 재장전 시간 | 전술 재장전 시간 |
660 m/s | 반자동: 545 RPM 전자동: 750 RPM | 20 | 2.43 초 |
|
피해량 / BTK / TTK - 기본 반자동 사격 모드 기준 | ||||
구간 | 0 m 15.5 m | 15.5 m 24.9 m | 24.9 m 36.8 m | 36.8 m + |
머리 | 98 / 2 0.140 초 | 96 / 2 0.140 초 | 86 / 2 0.140 초 | 71 / 2 0.140 초 |
목 | 60 / 2 0.140 초 | 57 / 2 0.140 초 | 51 / 2 0.140 초 | 43 / 3 0.280 초 |
몸통 상부 | 60 / 2 0.140 초 | 57 / 2 0.140 초 | 51 / 2 0.140 초 | 43 / 3 0.280 초 |
몸통 하부 | 50 / 3 0.280 초 | 48 / 3 0.280 초 | 43 / 3 0.280 초 | 36 / 4 0.420 초 |
팔 상부 | 38 / 3 0.280 초 | 36 / 3 0.280 초 | 32 / 4 0.420 초 | 28 / 4 0.420 초 |
팔 하부 | 38 / 3 0.280 초 | 36 / 3 0.280 초 | 32 / 4 0.420 초 | 28 / 4 0.420 초 |
다리 상부 | 38 / 3 0.280 초 | 36 / 3 0.280 초 | 32 / 4 0.420 초 | 28 / 4 0.420 초 |
다리 하부 | 38 / 3 0.280 초 | 36 / 3 0.280 초 | 32 / 4 0.420 초 | 28 / 4 0.420 초 |
- [ 전자동 사격 모드 피해량 / BTK / TTK ]
- 피해량 / BTK / TTK - 전자동 사격 모드 기준구간0 m
15.5 m15.5 m
24.9 m24.9 m
36.8 m36.8 m
+머리50 / 2
0.081 초50 / 2
0.081 초43 / 3
0.162 초36 / 3
0.162 초목39 / 3
0.162 초39 / 3
0.162 초34 / 3
0.162 초26 / 4
0.243 초몸통 상부39 / 3
0.162 초39 / 3
0.162 초34 / 3
0.162 초26 / 4
0.243 초몸통 하부34 / 3
0.162 초34 / 3
0.162 초30 / 4
0.243 초25 / 4
0.243 초팔 상부27 / 4
0.243 초27 / 4
0.243 초24 / 5
0.324 초20 / 5
0.324 초팔 하부27 / 4
0.243 초27 / 4
0.243 초24 / 5
0.324 초20 / 5
0.324 초다리 상부27 / 4
0.243 초27 / 4
0.243 초24 / 5
0.324 초20 / 5
0.324 초다리 하부27 / 4
0.243 초27 / 4
0.243 초24 / 5
0.324 초20 / 5
0.324 초
시리즈 최초로 전자동 사격이 가능해진 M14 소총이다. 전자동 사격시에는 751 RPM의 연사력으로 3발킬이 가능한 전기톱이 되지만 반동 또한 미쳐 날뛰기 때문에, 이걸로 장거리 연사를 하겠다는 생각은 버리는 게 좋다. 그래도 부착물을 적용하면 중거리까진 제어해낼 정도는 되므로 근접전에선 다른 배틀 라이플들과 비교해 꽤나 강력한 성능을 보여준다. 반자동 사격은 전자동 사격과는 완전히 딴판으로, 광클을 해도 거의 무반동으로 박히기 때문에 근접에서 연사로 쏘다가 적과 거리가 멀어지면 반자동로 바꿔 한 발 한 발 정확하게 박는 식으로 상황에 따라 다른 운용을 해줄 수 있다. 전작의 M14는 EBR 스톡으로 바꾸면 반동과 조준시 흔들림이 미쳐 날뛰었지만 본작에선 EBR 스톡을 사용해도 반동이 그리 크게 나빠지지 않아서 채용을 고려해볼 만하다.
단점은 끔찍하게 느린 질주 후 사격전환 속도. 질주 도중 질주를 취소하고 다시 사격이 가능한 상태로 돌아가는 속도가 어지간한 저격소총이나 경기관총보다도 느리다. 게다가 조준속도마저도 배틀라이플 중 가장 느린 편이라서 갑작스런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은 거의 경기관총에 비견할 정도로 최악으로, 무턱대고 런앤건을 시도하면 갑자기 튀어나온 적에게 저항도 못해보고 당할 수 있다. EBR 스톡과 레이저/후방 손잡이로 최대한 보정하면 나름대로 괜찮아지지만 이럴 경우 전자동 사격 모드의 반동이 말 그대로 미쳐 날뛰기 때문에 근접 전투가 아닌 이상 반자동 운용이 반강제된다는 것이 문제. 빠르게 여기저기 쏘다니는 유사 AR 플레이는 사거리던, 기동성이던 어떻게든 제약이 존재하게 되므로 적이 있을 만한 곳에서는 천천히 걸어다니거나 아예 적이 올만한 지점에서 대기하는 등, 유사 LMG로 활용하는 쪽이 권장된다.
근접전에서 TTK 자체는 빠르지만 상술했듯이 조준속도와 질주 후 사격 전환 속도가 전투소총 중에서도 가장 느린 편에 속하니 근접전에 들어가면 미리 조준해놓고 교전에 들어가는 것이 좋고, EBR과는 달리 헤드 한 방이 안 뜨니 머리를 딸 각이 나온다고 머리를 계속 노리는 것보단 반자동로 상체 2방을 빠르게 연타로 넣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또한 BR중에서 단발광클이 가장 빠른데 전작의 FAL급으로 엄청 빠르게 단발광클을 낼수있다 한발이 미스나도 차탄으로 빠르게 박아서 적을 제압하면된다.
이 총의 다른 장점으로는 소이탄과 50발 확장탄창을 달아 연발 사격시 호버젯이나 공격 헬기같은 킬스트릭을 가장 빠르게 떨어트릴 수 있는 총 중 하나라는 점이다. 장총열과 소음기를 달아주면 탄속 상승으로 더 맞추기 쉬워진다. 대략 호버젯 기준 40발 공헬 기준 25발 내외면 떨어진다. 익숙해지면 호버젯이 전투를 시작하기도 전에 보내버릴수도 있다.
하부총열에 발사기를 아예 장착 못하는 유일한 전투소총이다.
22.11.17. 시즌 1 업데이트로 너프되었다. 전자동 사격 시 지향사격 탄퍼짐이 증가했다.
설계도 |
- 더스트 데빌: 사막 도적 프로 팩 번들. 정석적인 사막 위장색이다.
- 롱볼: 트레이서 팩: 네이마르 주니오르 번들. 과 스파크 버스트 처치 효과가 적용된다. 월드컵 콜라보이기 때문인지 불꽃놀이 이펙트를 가진 예광탄이라는 것이 특징. 브라질 국가대표팀 컬러링으로 도색되어 있으며, 제조사가 엑스페다이트제로 변경된다. 예광탄 + 소이탄 조합이기 때문에 맞는 사람은 물론이고 쏘는 사람까지 눈이 아플 정도다.
- 비물질상태: 시즌2 배틀패스 구매 보상. 코버스제로 변경되며 도트 사이트는 루카제로 변경된다.
- 정신과 미덕: 시즌2 배틀패시 B17 섹터 보상. 총몸에 空이 적혀져 있다. 메이코제로 변경된다.
- 블롯 X: 잉크 반점 번들. 개머리판에 로르샤흐 테스트처럼 보이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포지택제로 변경된다.
- 적출: 데스 트랩 데빌 번들. ZLR제로 변경되며 칙패드는 코리오제로 변경된다.
- 사신의 정예병: 시즌6 배틀패스 F6 섹터 보상. 검은색 바탕에 녹색 균열이 일어난 것처럼 보이며 XTEN제로 변경된다.
- 라스라이플: 듄 파트 2: 사다우카 번들. 템푸스제로 변경된다.
플랫폼 부속 | |||||||||||||||||||||||||||||||||||||||||||||||||||||
|
5. FTAC 리콘 [편집]
플랫폼 | M4 플랫폼 | |||
중거리에서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는 .458 배틀 라이플입니다. | ||||
탄종 | .458 SOCOM | |||
해제 레벨 | 사격 모드 | 정조준 전환 | 달리기 후 사격 |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M4로 14레벨 달성 | 반자동 | 전자동 | 0.270 초 | 0.210 초 | 0.310 초 |
총구 탄속 | 연사력 | 장탄수 | 일반 재장전 시간 | 전술 재장전 시간 |
480 m/s | 반자동: 500 RPM 전자동: 550 RPM | 10 |
|
|
피해량 / BTK / TTK - 기본 반자동 사격 모드 기준 | |||||
구간 | 0 m 18.0 m | 18.0 m 33.3 m | 33.3 m 42.7 m | 42.7 m 51.3 m | 51.3 m + |
머리 | 100 / 1 0.000 초 | 98 / 2 0.120 초 | 90 / 2 0.120 초 | 70 / 2 0.120 초 | 60 / 2 0.120 초 |
목 | 58 / 2 0.120 초 | 57 / 2 0.120 초 | 52 / 2 0.120 초 | 41 / 3 0.240 초 | 35 / 3 0.240 초 |
몸통 상부 | 58 / 2 0.120 초 | 57 / 2 0.120 초 | 52 / 2 0.120 초 | 41 / 3 0.240 초 | 35 / 3 0.240 초 |
몸통 하부 | 49 / 3 0.240 초 | 48 / 3 0.240 초 | 44 / 3 0.240 초 | 34 / 3 0.240 초 | 29 / 4 0.360 초 |
팔 상부 | 47 / 3 0.240 초 | 46 / 3 0.240 초 | 42 / 3 0.240 초 | 33 / 4 0.360 초 | 28 / 4 0.360 초 |
팔 하부 | 47 / 3 0.240 초 | 46 / 3 0.240 초 | 42 / 3 0.240 초 | 33 / 4 0.360 초 | 28 / 4 0.360 초 |
다리 상부 | 47 / 3 0.240 초 | 46 / 3 0.240 초 | 42 / 3 0.240 초 | 33 / 4 0.360 초 | 28 / 4 0.360 초 |
다리 하부 | 47 / 3 0.240 초 | 46 / 3 0.240 초 | 42 / 3 0.240 초 | 33 / 4 0.360 초 | 28 / 4 0.360 초 |
- [ 전자동 사격 모드 피해량 / BTK / TTK ]
- 피해량 / BTK / TTK - 전자동 사격 모드 기준구간0 m
18.0 m18.0 m
33.3 m33.3 m
42.7 m42.7 m
51.3 m51.3 m
+머리61 / 2
0.109 초59 / 2
0.109 초54 / 2
0.109 초43 / 3
0.218 초36 / 3
0.218 초목47 / 3
0.218 초46 / 3
0.218 초43 / 3
0.218 초33 / 4
0.327 초28 / 4
0.327 초몸통 상부47 / 3
0.218 초46 / 3
0.218 초43 / 3
0.218 초33 / 4
0.327 초28 / 4
0.327 초몸통 하부43 / 3
0.218 초42 / 3
0.218 초37 / 3
0.218 초29 / 4
0.327 초25 / 4
0.327 초팔 상부35 / 3
0.218 초34 / 3
0.218 초33 / 4
0.327 초25 / 4
0.327 초21 / 5
0.436 초팔 하부35 / 3
0.218 초34 / 3
0.218 초33 / 4
0.327 초25 / 4
0.327 초21 / 5
0.436 초다리 상부35 / 3
0.218 초34 / 3
0.218 초33 / 4
0.327 초25 / 4
0.327 초21 / 5
0.436 초다리 하부35 / 3
0.218 초34 / 3
0.218 초33 / 4
0.327 초25 / 4
0.327 초21 / 5
0.436 초
원본은 .458 SOCOM탄을 사용할 수 있는 AR-15로, 노리쇠 전진기가 없는 외형을 보았을 때 동일 탄종을 사용하는 CMMG MkW-15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전자동 사격 영상
반자동 사격 시에는 어딜 맞춰도 2~3발킬인데다가 반자동 총기들 중에서는 연사력이 빠른 편이라 근접 교전 시 빠르게 적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작 458탄 M4의 고질적인 단점도 똑같이 계승되었는데, 기본 탄창이 고작 10발에 확장 탄창도 꼴랑 15발뿐인 장탄수 문제다. 심지어 확장 탄창은 거의 만렙에 가까운 20렙에서나 해금된다. 때문에 전자동 사격은 빗나갈 사격이 거의 없는 근접전에서나 사용할만하고 대부분 그냥 얌전하게 반자동으로 운영하는 것이 더 낫다.
전자동 사격 시에는 대미지가 낮아져 헤드샷 원샷킬과 가슴 2발킬이 불가능해지며 반동이 매우 거세진다. 연사력은 TAQ-V와 비슷한 수준. 타 연발 총기에 비해서 탄창 용량이 심각하게 모자라면서 반동도 매우 거칠고 느린 연사력 때문에 TTK가 빠르다고 보기도 힘들어 배틀 라이플들 중에서 전자동 사격 모드에 대한 평가가 가장 좋지 못하다. 배틀 라이플 무기군 중 전자동 사격 모드로 쓰라고 만든 Tac-V와는 정반대로 사실상 반자동용 소총으로 보는게 맞을 듯. 전자동 연사로 쓸바엔 똑같은 3발킬이 나면서 연사력도 더 빠르고 반동도 훨씬 부드러운 카스토프 762나 빠른 조준속도와 지향사격 명중률을 앞세운 SMG류가 훨씬 유리하다.
종합적인 평가는 전작의 장점을 모두 잃고 단점이 극대화 되어 명백한 똥총으로 판명 났다. 전작 M4A1의 .458 SOCOM의 경우 사거리와 기본 TTK와 헤드샷 TTK 모두 특출나게 뛰어나고, 특유의 대미지로 헤드샷 한방+ 몸샷 한방으로 TTK를 줄이기 쉬울 뿐만 아니라 사거리까지 길어서[3] 그 거지같은 조루 탄창만 극복하면 꽤나 고평가를 받았으나, FTAC 리콘은 연사력이 100 낮아져 기본과 헤드샷 TTK 모두 평균 쯤으로 하락했는데 본작 특유의 개악된 반동과 안정성, 조작성에 더해 강해진 사거리별 대미지 차감이 더 해져 고점이 매우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보상 버프라는 15발짜리 조루 확장 탄창 하나가 끝이기에 총이 좋을래야 좋을 수 없다.
결국 배틀 라이플 무기군 자체가 전반적으로 성능이 애매하다는 평가를 받는데, 리콘은 그 중에서도 가장 나쁜 성능을 보여준다. SO-14, TAQ-V에게는 압도적으로 밀리며 애매하다는 라흐만 762와 비교해도 약소하게 밀리고, 가장 구린 소총으로 꼽히는 M16과 비교해야할 수준이다. 거기에 기본 10발의 소용량 탄창 때문에 단발/연발 사격 모두 에임 미스를 용납하지 않아 초보자들이 원활하게 쓰기엔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것도 주요한 원인이다. 꼴에 만렙이 23씩이나 해서 배틀 라이플 중 가장 필요 경험치가 많은 것도 마이너스 요소.
본작에서 손꼽는 똥총임에도 불구하고 픽률은 생각보단 높은데, FSS 허리케인을 해금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FTAC 리콘을 쓸 수밖에 없는 트리 구조 때문이다. 심지어 꽤 고렙에 할당되어 있어 꽤 오랜 기간 사용해야 다음 총이 열리는 바람에 많은 유저들이 리콘을 쓰느라 고통받고 있다. 그나마 인피니티 워드 쪽에서도 총의 성능이 너무 심각한 것을 인정하는지 시즌마다 지속적으로 버프를 먹고 있다.
22.11.17. 시즌1 업데이트에서 소소하게 여러모로 상향받았다. 정조준 전환 시간이 290ms에서 270ms로 감소했다. 지향사격 최대 탄퍼짐이 7.5% 감소했다. 적에게 총탄으로 주는 에임 펀치가 증가했다. 5발 탄창의 이동 속도 보너스와 핸들링 보너스가 증가했다.
시즌 2에서는 정조준 시간이 짧아지고, 근거리 대미지 거리와 복부 대미지 배율이 증가와 장갑에 대한 최소 대미지가 증가했고, 연발 사격의 경우 흉부 대미지는 감소되었지만 반동도 감소되었다.
시즌 3는 이동 속도 증가와 반자동 한정으로 다리 대미지와 흉부 대미지가 증가했고 워존 2.0에서는 장갑에 대한 최소 대미지가 증가되는 등 반자동 성능 위주로 버프를 먹었다.
설계도 |
- FJX 신더: 볼트 에디션 구매. 총몸 윗부분이 XTEN제로 변한다.
- 우화 속 용: 양각된 용 번들. 서구권의 용이 양각되어 있으며 개머리판에는 비늘을 묘사했다.
- 하브링어: 시즌1 DMZ 리전 5티어 미션 '관짝에 못 박기' 보상.
- 빛바랜 장미: 흑장미 번들. ZLR제로 변경된다.
- 스무 걸음: 결투 번들. 서부시대에 쓰일법한 목재 부품으로 변경되어 있다.
- 반짝이는 뱀: 황금 비단뱀 번들. 총열 보호대와 총몸이 뱀의 가죽으로 도색했다.
- 폴란드식 톤: 듀얼 톤 번들. 회색과 검은색 위주로 도색했으며 XRK제로 변경된다.
- 코스 챔피언: 시즌3 배틀패스 C1 섹터 보상. 레이싱카가 모티브라 온갖 제조사의 이름이 적혀 있다. 총열 보호대는 슐라거, 탄창은 메이코, 조준경에는 신가드 암즈와 XTEN, 총몸에는 저하르트&볼프, 루카, 코리오, 드랙스턴 소머스, 개머리판에는 브라이슨과 저하르트&볼트가 적혀 있다.
저하르트&볼프가 스폰서라서 두 번 적었다. - 깨져나감: 죽음의 한발 번들. 두개골이 박살나는듯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 XRK 펄크럼: 소프: 어둠 속으로 번들. 총몸에 브라보-7-1이 적혀져 있는건 모던 워페어 리부트 시리즈에서 부르는 호출 번호다. 조준경이 FJX제가 된다.
플랫폼 부속 | ||||||||||||||||||||||||||||||||||||||||||||||
|
6. 크로넨 스콜 [편집]
플랫폼 | 헤일파이어 플랫폼 | |||
불펍 오픈 볼트 라이플로 6.8레이스탄을 씁니다. 원거리 사격과 탁월한 피해량이 특징입니다. | ||||
탄종 | 6.8mm 레이스 | |||
해금 조건 | 사격 모드 | 정조준 전환 | 달리기 후 사격 |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DMZ[B] 배틀패스[5] | 전자동 | 반자동 | 0.285 초 | 0.140 초 | 0.250 초 |
총구 탄속 | 연사력 | 장탄수 | 일반 재장전 시간 | 전술 재장전 시간 |
660 m/s | 전자동: 674 RPM 반자동: 448 RPM | 20 | 2.2 초 | 2.8 초 |
시즌 3에서 등장한 크로넨 사의 차세대 전투소총. 원본은 제너럴 다이내믹스 사의 RM277 돌격소총. 실총은 단발은 클로즈드 볼트, 연사는 오픈볼트로 기능하지만, 인게임에선 단발 연사 모두 오픈볼트 딜레이가 존재한다.[6] 실총과는 달리 사업의 승리자인 SIG M7과 M250이 사용하는 6.8mm 퓨리[7] 탄약을 급탄한다.
전자동의 경우 은근 호불호가 있다. BR임에도 연사 반동이 대구경 AR 수준이라 거리 싸움이 그다지 길지 않은 코어에서는 중근거리 교전은 씹어먹고 장거리도 좌상탄 반동을 잘 잡는다면 생각보다는 잡을 만 하다. 배틀라이플에 비해 반동이 적긴 하나 그래도 좌상탄 특유의 반동 패턴때문에 특히 장거리 교전이 상당히 까다롭다는 평가도 많다. 연사시의 오픈볼트 딜레이도 마이너스 요소.
단발의 경우 다른 전투소총들처럼 근거리에서 헤드샷 한방, 그외에도 몸샷 두방 화력을 제공하며, 연사 속도가 그리 느리지도 않다. 물론 단발도 총 특유의 좌상탄 반동은 그대로 받는 탓에 어느 정도 거리가 벌어지면 탄이 옆으로 많이 튄다는 느낌을 받긴 하지만 연사로 쏘는 것보단 장거리도 어찌저찌 맞을 수 있는 수준은 된다.
출시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 단발, 연발을 가리지 않고 엄청난 피해량과 준수한 반동으로 코어와 워존을 가리지 않는 1티어 무장으로 활약했으나, 시즌 4 밸런스 패치에서 워존 한정으로 대장갑판 피해량이 연발, 단발을 가리지 않고 기존의 1/3 ~ 절반 가까이 떨어지는 너프를 먹어 픽률이 엄청나게 떨어졌었다. 이후 시즌 4 리로리드 밸런스 패치에서 어느 정도 롤백 되어 이제는 취향에 따라 써볼 법한 무기가 되었다.
기계식 조준기가 전형적인 오픈형 조준기로 익숙해지면 중거리까지는 충분히 사용 가능한 정도이다.
버그인건지, 모션상으로는 오픈볼트 사격, 및 클로즈드 볼트 재장전 애니메이션만 재생되는 현상이 있다.
ISO 플랫폼에 있는 후방 손잡이처럼 M4 플랫폼의 후방 손잡이를 공유하기 때문에 M4 쪽에서 먼저 해금하면 쓸 수 있다. 다만, 출시 당시에는 사킨 zx 후방 손잡이가 잠겨있었으며, 시즌 3 리로디드부터 사용이 가능해졌다.
전자동의 경우 은근 호불호가 있다. BR임에도 연사 반동이 대구경 AR 수준이라 거리 싸움이 그다지 길지 않은 코어에서는 중근거리 교전은 씹어먹고 장거리도 좌상탄 반동을 잘 잡는다면 생각보다는 잡을 만 하다. 배틀라이플에 비해 반동이 적긴 하나 그래도 좌상탄 특유의 반동 패턴때문에 특히 장거리 교전이 상당히 까다롭다는 평가도 많다. 연사시의 오픈볼트 딜레이도 마이너스 요소.
단발의 경우 다른 전투소총들처럼 근거리에서 헤드샷 한방, 그외에도 몸샷 두방 화력을 제공하며, 연사 속도가 그리 느리지도 않다. 물론 단발도 총 특유의 좌상탄 반동은 그대로 받는 탓에 어느 정도 거리가 벌어지면 탄이 옆으로 많이 튄다는 느낌을 받긴 하지만 연사로 쏘는 것보단 장거리도 어찌저찌 맞을 수 있는 수준은 된다.
출시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 단발, 연발을 가리지 않고 엄청난 피해량과 준수한 반동으로 코어와 워존을 가리지 않는 1티어 무장으로 활약했으나, 시즌 4 밸런스 패치에서 워존 한정으로 대장갑판 피해량이 연발, 단발을 가리지 않고 기존의 1/3 ~ 절반 가까이 떨어지는 너프를 먹어 픽률이 엄청나게 떨어졌었다. 이후 시즌 4 리로리드 밸런스 패치에서 어느 정도 롤백 되어 이제는 취향에 따라 써볼 법한 무기가 되었다.
기계식 조준기가 전형적인 오픈형 조준기로 익숙해지면 중거리까지는 충분히 사용 가능한 정도이다.
버그인건지, 모션상으로는 오픈볼트 사격, 및 클로즈드 볼트 재장전 애니메이션만 재생되는 현상이 있다.
ISO 플랫폼에 있는 후방 손잡이처럼 M4 플랫폼의 후방 손잡이를 공유하기 때문에 M4 쪽에서 먼저 해금하면 쓸 수 있다. 다만, 출시 당시에는 사킨 zx 후방 손잡이가 잠겨있었으며, 시즌 3 리로디드부터 사용이 가능해졌다.
설계도 |
- 전기화된 주스: 트레이서 팩: 아니메 부기 번들. 죠죠의 기묘한 모험에 등장할법한 캐릭터가 그려져 있다. ZLR제로 변경된다.
- Viborón: 시즌3 배틀패스 C18 섹터 보상. 금장이 되며 XRK제로 변경된다.
- 라 에스피나: 시즌3 배틀 패스 100티어 보상. 시즌 2의 100티어 보상 해방된 분노 도안처럼 애니메이션 효과를 가진 무기 도안이며, 적을 맞춰 사살할 경우 원형으로 벌집 형상이 그려져 박히는 특수한 이펙트를 볼 수 있다. 택틱 베르트제로 변경된다.
- 타이드 터너: 시즌4 배틀패스 D1 섹터 보상. 크로넨제로 변경된다.
- 배대스트: 트레이서 팩: 닉키 미나흐 오퍼레이터 번들. 핑크빛으로 물든 도색이 되며 브라이슨제로 변경된다.
- 자산 통제: 고위급 워파이터 3 번들. 총몸에 ET3라 적혀 있으며 그립이 목재로 변한다.
- 죽음의 문턱: 트레이서 팩: 어둠의 의식 3 번들. 검은색과 붉은색 위주의 도색으로 칠해지며 FJX제로 변경된다. 그런데 여기 포함된 전용 SZ열화상 스킨이 바닐라 SZ열화상에 비해 가시성이 좋아서 속편에서까지 숨겨진 P2W 파츠 취급받고 있다.
- 크롬매셔: 크롬과 픽셀 번들. 사이버펑크스러운 효과가 나온다.
- Flip off: 사랑과 증오 번들. 총에 Fudge you라던가 Toxic같은 글이 적혀 있고 피격 이펙트나 중지 올린 손이 가득 있고 탄창 끝부분에 서양판 TRG가 붙어 있는 등 총 전체가 병맛 머시니마 영상처럼 정신없다. 애초에 설계도 명칭부터 자기보다 잘하는 플레이어에게 보이스 채팅을 켜서 그 사람에게 온갖 욕 내뱉는 콜옵 커뮤니티를 풍자했기 때문.
플랫폼 부속 | |||||||||||||||||||||||||||||||||||||||||||||||||||||||||||||||||||||||||||||||||||||||||||||||||||||||
|
[1] 원문은 short bursts of devastating full-auto firepower로 전자동이지만 점사를 지원한다고 잘못 설명되어있다. 좀 더 정확한 번역은 '짧게 끊어 쏘는 막강한 전자동 사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다.[A] 2.1 2.2 [3] 대미지가 감소하긴 하나 TTK를 건들지 않아서 이론상 장거리에서도 0.09~0.18초의 TTK를 자랑했다.[B] [5] 시즌 3 C11섹터 완료[6] 사격장에서 단발사격시 볼트 폐쇄 소리가 들린다.[7] .277 FURY. 인게임 명칭 6.8mm 레이스[A] 2.1 2.2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