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팝 데몬 헌터스/사운드트랙(r1)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A Soundtrack Album {{{+2 K-Pop Demon Hunters}}} Soundtrack from the Netflix Film | |
발매일 | |
아티스트 | |
레이블 | |
프로듀서 | |
장르 | |
곡 정보 | 12곡 | 37분 56초 |
타이틀곡 | |
전곡 듣기 |
1. 개요 [편집]
2. 수록곡 [편집]
TRACK LIST | |||||
# | 곡 | 영화 속 아티스트 | 실제 아티스트 | 송라이터 | 프로듀서 |
1 | - | 작사 | Lindgren | Lindgren, Ian Eisendrath | ||
작곡 | Lindgren | |||||
편곡 | - | |||||
2 | HUNTR/X | 작사 | EJAE, Mark Sonnenblick, Danny Chung | |||
작곡 | 24, IDO, TEDDY, EJAE, Mark Sonnenblick | |||||
편곡 | 24, IDO, TEDDY, Ian Eisendrath | |||||
3 | Saja Boys | Andrew Choi, Neckwav, Danny Chung, 케빈, samUIL Lee, KPop Demon Hunters Cast | 24, Dominsuk, Ian Eisendrath | ||
작곡 | 24, Dominsuk, Vince, KUSH | |||||
편곡 | 24, Dominsuk, Ian Eisendrath | |||||
4 | HUNTR/X | 작사 | EJAE, Mark Sonnenblick | IDO, 24, Teddy | ||
작곡 | IDO, 24, TEDDY, EJAE, Mark Sonnenblick | |||||
편곡 | IDO, 24, TEDDY, Ian Eisendrath | |||||
5 | 작사 | Boy Matthews, Cleo Tighe | 이우현 | |||
작곡 | earattack, Boy Matthews, Cleo Tighe, 이우현 | |||||
편곡 | earattack, 이우현 | |||||
6 | HUNTR/X | 작사 | Lindgren | Lindgren, Ian Eisendrath | ||
작곡 | Lindgren | |||||
편곡 | Ian eisendrath, EJAE | |||||
7 | Saja Boys | Andrew Choi, Neckwav, Danny Chung, 케빈, samUIL Lee, KPop Demon Hunters Cast | 작사 | EJAE, Mark Sonnenblick | 24, IDO, Ian Eisendrath | |
작곡 | 24, IDO, KUSH, Vince | |||||
편곡 | 24, IDO, Ian Eisendrath | |||||
8 | EJAE, Andrew Choi, KPop Demon Hunters Cast | 작사 | Mark Sonnenblick, Jenna Andrews, Stephen Kirk | Jenna Andrews, Stephen Krik, Ian Eisendrath | ||
작곡 | Mark Sonnenblick, Jenna Andrews, Stephen Kirk | |||||
편곡 | Ian Eisendrath, EJAE | |||||
9 | HUNTR/X | EJAE, 오드리 누나, REI AMI, KPop Demon Hunters Cast | 작사 | Mark Sonnenblick, Jenna Andrews, Stephen Kirk | ||
작곡 | Mark Sonnenblick, Jenna Andrews, Stephen Kirk | |||||
편곡 | Ian eisendrath, EJAE | |||||
10 | - | 작사 | 김민석 | - | ||
작곡 | 정동환, 김민석 | |||||
편곡 | 정동환 | |||||
11 | Jokers | 작사 | 강준우, 조갑치, 이수영, 김영현, 장웅범 | Jokers | ||
작곡 | 강준우, 조갑치, 이수영, 김영현, 장웅범 | |||||
편곡 | - | |||||
12 | Marcelo Zarvos | 작곡 | Marcelo Zarvos | Marcelo Zarvos | ||
편곡 | Marcelo Zarvos, Randy Miller |
2.1. TAKEDOWN (TWICE) [편집]
TAKEDOWN (JEONGYEON, JIHYO, CHAEYOUNG) 01 3:01 TITLE |
|
2.2. How It's Done [편집]
How It's Done 02 2:56 |
|
- 가장 먼저 나오는 삽입곡. 비행기 공중전 장면에서 등장한다. 악령들을 퇴치하는 헌트릭스의 자신감을 나타낸 곡.
- 다소 유치해 보이는 작품 제목 때문에 별 기대감 없이 봤다가, How It's Done이 흘러나올 때부터 몰입하기 시작했다는 평이 많다. 작품의 정체성을 일목요연하게 나타내는 전투신도 좋지만, 이 곡 또한 완성도가 좋은 편.
- Golden과는 다르게 모든 멤버에게 파트가 골고루 배분되어 있다. golden은 루미가 헌트릭스의 메인 보컬이라는 점을 감안해도 파트 배분의 형평성 면에서 논란이 안 생기는 것이 신기할 정도로 조이와 미라의 파트가 현저히 적다.
루미 목 살려 - Golden에 이어 TJ미디어에 수록되었다. 번호는 88041.
- 8월 6일 1시경, Golden에 이어 케이팝 데몬 헌터스 삽입곡 중 두 번째로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채널에 업로드된 가사 영상이 조회수 1억 회를 달성하였다.
2.2.1. 가사 영상 [편집]
How It's Done Lyric Video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채널 |
How It's Done 넷플릭스 코리아 채널Lyric Video |
2.3. Soda Pop [편집]
Soda Pop 03 2:30 TITLE |
|
2.4. Golden [편집]
Golden 04 3:14 TITLE |
|
2.5. Strategy [편집]
Strategy 05 2:47 |
|
2.6. Takedown [편집]
Takedown 06 3:02 |
|
2.7. Your Idol [편집]
Your Idol 07 3:11 TITLE |
|
2.8. Free [편집]
Free 08 3:07 |
|
- 루미와 진우의 듀엣곡. 자신의 몸에 흐르는 악령의 피를 숨겨야 하던 루미의 고뇌와, 귀마의 손아귀에서 빠져나오고 싶어하던 진우가 서로의 마음을 나누며 부른 노래. 노래의 제목인 Free는 억눌러야만 했던 자신의 정체성을 자유롭게 풀어내고자 하는 루미의 소망과, 귀마의 손아귀에서 벗어나 자유가 되고 싶은 진우의 소망을 뜻한다.
- 이 곡으로 숨겨왔던 자신의 진정한 상처를 드러내어 진우와 함께 바라보게 된 루미는 악령의 문양의 영향으로 올라가지 않던 목소리가 다시 잘 나오게 되었지만, 자신의 진정한 마음의 상처를 숨긴 진우는[17] 귀마의 속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다시 귀마의 앞으로 끌려내려가며 귀마에게 비웃음을 당한다.
- 다른 노래들과는 다르게 가사에 한국어가 아예 없다.[18]
2.8.1. 가사 영상 [편집]
Free Lyric Video |
2.9. What It Sounds Like [편집]
What It Sounds Like 09 4:10 |
|
- 귀마를 무찌를 때 부른 대단원 곡으로, K-POP 아이돌 풍인 다른 곡들에 비해 뮤지컬 스코어풍으로 시작해서 2010년대 미국 팝 느낌으로 전개된다. 브릿지의 합창에서 Golden의 멜로디가 샘플링된 것 또한 특징.
- Golden이 '과거에 입은 상처를 극복하고 찬란히 빛나는' 헌트릭스를 노래한다면, What It Sounds Like는 오히려 '영원히 깨지지 않는'이라는 가사에서 드러나던 Golden의 영웅주의[19]를 내려놓고[20] '사실 우리는 그 과거에 입은 상처를 숨겨두기만 했을 뿐 극복하지 못했다. 하지만 상처를 입어 망가진 자신도 그 자체로 아름답다.[21] 우리는 서로 갈등하며 무너지고 지쳤지만, 함께 한다면 상처를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노래하고 있다. 또한 음악적으로도 Golden과는 완전히 반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Golden은 다른 멤버의 비중이 극단적으로 적고 오직 루미만이 온전히 부를 수 있는 고음역대의 노래라면, What It Sounds Like는 음역대가 상대적으로 낮은 데다 루미의 솔로로 이루어진 초반부 이후가 전부 3인방의 합창으로 채워져 있고, 관객들도 하이라이트 가사를 후렴으로 제창한다.[22]
- 한편 Your Idol에 Golden을 디스하는 가사가 들어가 있었듯, 이 노래 또한 Your Idol, 더 나아가 귀마의 유혹에 반박하는 노래이기도 하다. 귀마는 사람마다 지니고 있는 죄책감과 고통을 짚어내면서 '나에게 모든 것을 바치면 불행과 고통에서 해방시켜 주겠다'라고 유혹하고, Your Idol 역시 "너의 우상이 되어 너를 죄에서 구해주겠다"라는 내용의 노래[23]라는 점에서 이러한 유혹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그러나 What It Sounds Like는 '믿음직한 상대에게 자신의 결정권을 온전히 맡기는' Your Idol의 해법 대신, '스스로 상처를 직시하고, 결함을 지닌 타인과 함께하며 상처를 치유하겠다'라는 해법을 제시한다. '타인에게 모든 것을 바친다고 고통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라고 반박하는 셈. 달리 보자면 Free의 연장선상에 있는 노래이자 진우에게 전하는 노래이기도 한데, 이 때문에 다른 사자 보이즈 멤버들이 헌트릭스에게 달려들 때 진우만 유일하게 나서지 못하고 혼자 자리를 지킨다.[24]
- 그리고 결국 헌트릭스는 이 노래를 함께 부르면서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유대를 회복하며,[25] 귀마의 세뇌에서 벗어난 관객들의 제창으로 얽힌 마음의 힘을 받아 황금 혼문과는 다른 무지갯빛 혼문으로 세상을 덮으며 귀마를 퇴치하는 데 성공한다.
- Golden과 How It's Done에 이어 TJ미디어에 수록되었다. 번호는 88982.
2.9.1. 클립 [편집]
What It Sounds Like Official Song Clip |
2.10. 사랑인가 봐 Love, Maybe[27] [편집]
사랑인가 봐 Love, Maybe 10 3:05 |
|
2.11. 오솔길 Path [편집]
오솔길 Path 11 3:41 |
|
- 1971년 발표된 한국 4인조 그룹 죠커스[28]의 노래. 루미가 목소리를 치료하러 한의원에서 한약을 기다리는 장면에서 배경음악으로 10초가량 작게 흘러나온다.
2.12. Score Suite [편집]
Score Suite 12 3:00 |
- 영화 도입부에서 헌터의 역사를 설명하는 장면의 삽입곡, 'The Huntrix Mantra'[30]를 이 트랙에서 들을 수 있다. 다만 본편 내에서는 '홀로 어둠을 밝히랴, 우리 노래 부르리라, 굳건한 이 소리로 이 세상을 고치리라'[31]라는 한국어 보컬이 들어가 있으나, 음원에서는 빠졌다. 보컬 포함 버전(유튜브)
- 본 트랙 2분 20초부터 나오는 음악은 호랑이 더피와 서씨가 진우의 편지를 전달한 뒤 사라지는 장면의 곡이다.[32]
- what it sounds like의 마지막 부분에도 가사는 명확하진 않으나 분명히 'The Huntrix Mantra'의 멜로디가 수록되어 있다.[33]
- 본작의 오리지널 스코어는 앨범 수록곡 중에서 이 곡이 유일하다. 오리지널 스코어 전체를 따로 수록한 앨범은 아직 발매되지 않았다.
3. 성적 [편집]
3.1. 음원 [편집]
K-pop Demon Hunters 주요 음원 차트 최고 순위 | |||||||||||||||||||||||||||||||||||||||||||||||||||||||||||||||||||||||||||||||||||||||||||||||||||||||||||||
| |||||||||||||||||||||||||||||||||||||||||||||||||||||||||||||||||||||||||||||||||||||||||||||||||||||||||||||
| |||||||||||||||||||||||||||||||||||||||||||||||||||||||||||||||||||||||||||||||||||||||||||||||||||||||||||||
|
3.2. 빌보드 차트 [편집]
차트 종류 | 앨범 / 곡 | 순위 | 차트인 | |
Billboard 200 | 2위 | 8주 | ||
Hot 100 | 1위 | 8주 | ||
4위 | 8주 | |||
10위 | 7주 | |||
14위 | 7주 | |||
24위 | 7주 | |||
25위 | 7주 | |||
26위 | 7주 | |||
60위 | 6주 | |||
62위 | 4주 | |||
Global 200 | 1위 | 8주 | ||
3위 | 8주 | |||
4위 | 8주 | |||
5위 | 8주 | |||
11위 | 8주 | |||
13위 | 8주 | |||
14위 | 7주 | |||
36위 | 7주 | |||
57위 | 13주 [35] |
3.3. UK 오피셜 차트 [편집]
K-pop Demon Hunters 오피셜 차트 | ||||
차트 종류 | 곡 | 최고 순위 | 차트인 | |
Official Single Chart | 1위 | 8주 | ||
6위 | 4주 | |||
7위 | 7주 | |||
29위 | 3주 | |||
35위 | 3주 | |||
45위 | 3주 |
3.4. 음반 [편집]
- 대중들의 반응이 좋은 덕에 실물 음반도 제작되며, 각종 시상식 대상 후보 지정과 수상도 유력해졌다.[36]
4. 평가 [편집]
- 미국, 아랍에미리트 등에서 아이튠즈 1위, 각종 국가에서 차트에 진입하였다.
5. 여담 [편집]
- 넷플릭스 한국어 더빙 버전에 나오는 가사 번역을 잘 살펴보면, 그냥 한국어 가사로 써도 될 정도로 운율이 잘 맞는다. 한국어 더빙일때와 원어 음성에 한국어 자막을 달았을 때의 노래 번역이 완전히 다른데, 원어+자막 버젼에서는 원래의 의미에 충실한 반면, 한국어 더빙의 자막은 일부 의미손실을 감수하더라도 한국어 OST 제작을 염두에 두고 운율을 신경 쓴 느낌이다. 다만 번안까지 해놓고 노래 더빙은 안했는지는 불명.
- 일본은 언어가 가진 가독성의 문제로 인해 모든 영상물에 일본어 더빙을 진행하는 방식이 자리잡았는데 그 때문인지 케데헌 또한 일본판 만큼은 몇몇 사운드트랙을 별도의 가수들로 재더빙했지만 정작 모든 곡들이 아닌 특정한 곡들만[37] 이렇게 재더빙되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하필 가장 어려운 곡으로 불리는 골든까지 굳이 재더빙해버리는 바람에 가수들이 원곡의 음정을 따라가지 못했고 아예 한 옥타브를 낮춰서 부른거 같은 힘 빠진 느낌의 곡이 되어버렸다. 일본판 골든. 더빙하기로 한 곡을 선정하는 기준도 많이 애매한 편인데, 한국어 가사가 들어간 곡들을 기준으로 했다기엔 Soda Pop이 재더빙되지 않았고 Free는 영어 가사만 있는 곡인데도 굳이 재더빙을 하는 등 작중 서사에 중요한 곡들만 고른건가 싶은 추측 정도만 할 수 있다.
[1] EJAE, 오드리 누나, REI AMI[2] Andrew Choi, Neckwav, Danny Chung, 케빈, samUIL Lee[3] 정연, 지효, 채영[4] 기존에는 TAKEDOWN이 단독 타이틀곡이었으나, 수록곡들의 인기에 힘입어 3곡이 타이틀곡으로 추가되었다.[5] 더빙판에서는 너는 끝, 끝, 끝[6] 자막에서는 '외모 체크, 폭탄보다 더 핫하지'[7] 만델라 효과의 대표적인 예시로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의 대사는 Magic mirror on the wall이지만 Mirror mirror로 기억하는 경우가 많다.[8] I'm gonna show You,[9] We show you how, how, how (Show you howㅡ휘슬 레지스터)[10] 실제로 EJAE는 aespa와 여러 곡을 작업했다. 특히 Armageddon(aespa)은 EJAE가 작곡과 가이드 보컬까지 맡았던 곡이다.[11] 공식 가사와는 달리 "차지"가 아니라 "자치" 또는 "닿지"로 들린다. #[12] 실제 노래에서는 Hah(어) 두워진, Hah(아)ㅍ길 속에로 부른다.[13] illa는 여기서 주격으로 보기보다 탈격으로 보아야 한다. 시간의 탈격으로 해석하면 ‘그날에’로 해석할 수 있다.[14] 기존의 solve는 2인칭 단수 동사라서, 그대로 해석하면 ‘너는 너희를 흩어버린다’이다. 따라서 뒤의 Maledictus erus를 주어로 보면 문장이 맞기 때문에, 미래시제 3인칭 단수 동사로 수정한다. 이러할 경우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저주받은 주인께서 너희를 불길 속에서 영원히 흩어버리시리라.’[15] 라틴어 전치사 in은 대격 명사를 취할 때 보통 ~안으로, ~을 위하여로 해석되지만, 고전시대를 벗어나면서 자주 ~안에서로 해석된다. 따라서 불길 속에서로 수정한다.[16] '성가대에게 전도하다(preach to the choir)'는 '어차피 이미 다들 동의하고 있는 주장을 공연히 역설하다' 라는 의미의 관용구로, '말 안 해도 알겠지만' 정도의 의미다. 다만 넷플릭스 공식 자막에서는 '너희에게 고하노라'로 번역하였다.[17] 이때까지 진우가 밝힌 자신의 상처는 귀마에게 속아 자신의 가족을 잃은 아픔이었지만, 진우의 진정한 마음의 상처는 귀마의 꼬임에 넘어가 자신의 손으로 가족을 버린 죄책감이었다.[18] 다른 노래들에는 다 군데군데 한국어 가사가 들어가며, 심지어 HUNTR/X - What It Sounds Like에도 후렴구에 한국어 가사가 조금이나마 있다. TWICE - Strategy에서도 한국어 가사가 없긴 하나, 해당 노래는 원래 버전도 한국어 가사가 없을 뿐더러 사운드트랙에 추가된 노래가 아닌 원래 있던 노래를 사용한 것이기에 제외.[19] 실제로 작중에서는 Golden을 완창하는 장면이 없으며, 곡 완창을 시도할 때마다 루미의 정체가 발목을 잡아 방해받는다.[20] Golden에서 '나는 태어날 때부터 빛났다', '영원히 깨질 수 없는 황금빛으로 빛나겠다'라던 것과 달리, '나는 산산이 조각났다', '우리는 영웅이 아니라 오히려 겁쟁이에 거짓말쟁이다'라고 노래하는 What It Sounds Like의 고백은 진솔하다 못해 초라해 보일 정도다. 또한 Golden에서도 '우리는 함께일 때 빛난다'라며 유대가 언급되기는 하나, What It Sounds Like는 'Show me what's underneath, I'll find your harmony'라는 가사처럼 자기고백을 연대라는 주제로 이어나간다.[21] 특히 "But now we're seeing all the beauty in the broken glass"라는 가사가 이를 직유법으로 드러낸다.[22] 정확히는 'The Huntrix Mantra'의 가사인 '홀로 어둠을 밝히랴, 우리 노래 부르리라'로 시작해서 본 곡의 영어 가사로 넘어간다.[23] "I can be your sanctuary", "I'm the only one who'll love your sins", "Don't you know I'm here to save you" 등의 가사에서 알 수 있다.[24] 그리고 진우가 루미를 지키며 자신의 영혼을 건넨 뒤, 공식 음원 기준으로는 약 3분 15초경부터 코러스에 남자 목소리 하나가 화음을 넣기 시작한다.[25] 셋이 포옹하면서 의상이 흰색으로 바뀌는데, 이때 자세히 보면 미라와 조이의 의상에도 마치 루미의 문양같은 무늬가 생긴다. 셋이 서로를 진정으로 이해하고 하나가 되었음을 보여주는 연출.[26] 데몬 귀마와 데몬 헌터스가 만날 때, 또는 어두운 약점과 결함을 지닌 멤버들이 서로의 내면을 드러내고 진심으로 받아들일 때 등 중의적으로 다양한 해석 가능.[27] 사운드트랙 중 유일하게 OST가 아닌 드라마 사내맞선 OST가 재활용 되었다.[28] 이 영화 크레딧에는 JOKERS로만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 음반에는 죠커스(JOKERS)로 병기되어 정발되었고, 다른 음반에는 JOKER's 라는 명칭도 썼다.[29] ‘Suite’는 여러 곡을 하나로 엮은 모음곡을 의미한다.[30] 헌트릭스(사냥꾼)의 진언[31] 혼자서는 어둠을 물리칠 수 없으며, 함께 노래부르는 것으로 굳건한 소리를 세워 귀마를 막고 세상을 지킨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그런데 해외 유튜브나 틱톡 영상에서는 "어둠을 밝히려 우린 노래를 부르리라" 같이 잘못된 가사를 쓴 경우가 많으며 의외로 한국인들도 가사를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홀로' 부분을 추임새로 아는 이들이 많다. 가사를 그렇게 적었다간 '우리 노래 부르리라'가 내포하는 '혼자서는 해낼 수 없으니 함께 힘을 합쳐야 한다'란 의미가 퇴색되어 버리며, 더 나아가 '어둠을 밝히랴'라고 가사를 적었다간 뜻이 완전히 꼬여서 '어둠을 밝히지 않을 것이다 = 귀마의 편이 될 것이다'라는 기괴한 결론이 나와버린다.[32] 해당 영상의 35초 - 45초[33] 해당 영상의 3분 31초 부터다.[기준] [35] 24년에 발매한 앨범의 6주 랭크인이 합산된 수치. 케데헌 OST로는 7주[36] 멜론은 수록 음원를 평가하는데 기존에 발매된 곡을 제외하면 전곡이 차트인을 하였기에 수상 가능성이 높다.[37] Free, Golden 그리고 What It Sounds Like가 해당된다.[38] 트랙 12 Score Suite 제외[39] 하지만 (국내 & 해외) 음원과 영향력을 보면 Golden이 더 유력하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