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팝 데몬 헌터스/무대탐방

최근 수정 시각: ()

1. 개요 [편집]

케이팝 데몬 헌터스실제 무대를 정리한 문서.[1] 실제 모습과 애니메이션을 비교하며 고증이 얼마나 잘됐는지를 탐구해 보는 것도 작품의 볼거리 중 하나이다.

2. 목록 [편집]

2.1. 안동 하회마을 [편집]


초대 헌터들이 등장한 조선시대 장면의 배경으로, 전통 가옥과 고즈넉한 분위기가 어우러져 있다. 물론 설정상 조선시대이므로 해당 장면의 구체적인 위치는 알 수 없지만 제작 과정에서 하회마을을 모티브로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2. K-POP SQUARE MEDIA [편집]


헌트릭스의 'Golden' 뮤직비디오가 최초로 공개된 곳으로, 강남 코엑스 3D 전광판이 있는 장소이다. 해당 스크린은 삼성역 6번 출구에서 내리면 바로 볼 수 있다.

후반부 사자 보이즈가 여러 스크린을 통해 입체적으로 나타나[3] 자신들의 공연을 홍보할 때도 재등장한다. 이때 저 스크린 외에도 여러 스크린을 통해 등장하는데 실제로 곳곳에 대형 스크린이 많은 장소이다.

한 가지 현실성 반영 오류가 있는데 사자 보이즈가 자신들의 공연을 예고할 때 저 스크린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자 남산타워가 보이는 것으로 나오지만, 실제론 남산타워는 해당 위치에서는 절대 보이지 않으며, 보인다 치더라도 남산타워는 해당 위치로 부터 북서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오히려 왼쪽으로 방향을 틀어야 한다.

2.3. 명동 거리 [편집]


사자 보이즈Soda Pop 거리 퍼포먼스를 펼친 장소로, 실제 서울 중구 명동길 부근이 모티브이다. 좀 더 정확히는 다이소 명동본점(명동길 43) 인근으로, 바닥의 무늬를 통해 이쪽 길을 모티브 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길 끝에 대형 전광판이 있는 백화점이 있는 건 영화상에서 창작된 부분이다.

2.4. 서울올림픽주경기장 [편집]


'How It's Done' 공연의 배경, 추후 루미의 노쇼로 불발된 'Golden'의 첫 라이브 무대가 이곳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며, 월드 아이돌 시상식도 여기서 열렸다.

원래는 라이센싱 확보를 확정지을 수 없어 독자적인 디자인으로 계획했지만, 리모델 허가를 받아내 진행될 수 있었다고 한다.# 작중에선 Y자형 스테이지로 리모델링된 디자인으로 나온다.
애니메이션과 실제 위치 비교

작중 위치 상으로도 현실과 동일하게 묘사된다.

2.5. 서울 지하철 7호선, 청담대교, 자양역 [편집]


두 번째 Takedown 씬이자 열차 전투 장면에서 청담역부터 자양역(구 뚝섬유원지역, 작중에서는 '섬유원지'로 등장) 구간이 구현되었는데, 열차 모습[4]부터 청담대교까지 자세하게 묘사되었다. 열차 내부도 의자 구조가 미국식이던 어벤져스의 한국 장면과 달리 양옆에 세로로 붙은 의자들과 맨 끝에 분홍색 임산부석 등 실제 서울을 비롯한 한국 도시철도의 특징이 매우 잘 구현되어 있다. 물론 현실과 다른 점이 여럿 있는데 스크린도어가 없다는 것부터[5] 1기 지하철에서 쓰던 것에 가까운 역명판 모양, 역 번호가 510번인 것, 편성번호가 429편성인 것, 중앙행이라는 열차 행선지, 일부만 열리는 출입문, 가공전차선의 무시[6] 등으로 애니메이션임을 감안하면 무시해도 될 수준일 정도로 구현이 잘 되어있다.

자양역(작중 섬유원지역) 배경은 그 밖에도 Golden 뮤비를 보고 있는 시청자들 무리 중 하나, 또 첫 번째 Takedown 씬에서 악귀에게 덮쳐질 뻔한 학생을 헌트릭스가 구출할 때도 나온다.

2.6. 롯데월드타워(서울스카이) [편집]


헌트릭스 숙소의 배경으로, 실제로는 롯데타워 내 117층 이상에 위치한 서울스카이 전망대이다.

2.7. 남산서울타워 [편집]


최종전에서 사자 보이즈가 공연한 곳으로, 작중에선 5각형 스타디움이 있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 남산타워에는 공연장이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에서 실존했던 오각형 공연장으로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이 있었으며, 2018년 6월 철거되었다.

2.8. 낙산공원 [편집]


루미와 진우가 두 번째로 만나 데이트를 한 곳. 낙산공원 성곽에서 특유의 야경이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실제 모습과 거의 똑같이 묘사되었다.

이전에 첫 번째 Takedown 씬에서 운동하는 아줌마들이 악귀에게 덮쳐질 뻔하자 헌트릭스가 구출할 때 나오기도 했다.

참고로 성곽에는 올라갈 수 없다. 당연히 안전상의 조치로 성곽 너머로 낙상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일부 유튜버 중에서는 이 부분을 후처리를 통해 성곽에 올라가있는 것처럼 편집해서 올렸다.

2.9. 북촌한옥마을 [편집]


루미와 진우가 첫 번째로 만난 곳이자, 세 번째로 만나 데이트(Free)를 한 곳이다. 실제 거주민들이 있는 곳이어서 이미 여러 경고 표지판이 많이 생긴 곳이니 방문할 계획이 있다면 꼭 소음에 주의해야 한다. 작품 속 루미와 진우처럼 야밤에 노래 부르면 바로 경찰이 출동한다. 이곳에는 현대의 서울과 과거의 서울이 공존하는 사진을 찍을수 있는 사진 스폿이 있다.

2.10. 한강 [편집]


루미가 더피를 타고 기지로 돌아올 때 한강을 가로질러 날아간 장면에서 등장, 각도상으로 계산했을 때 청담대교 → 헌트릭스타워(현실의 롯데월드타워) 쪽을 날아서 갔으므로 잠실한강공원 인근 상공을 거쳐 갔을 것으로 추론 가능하다.

2.11. 서울한방진흥센터 [편집]


루미가 목소리를 잃고 방문하는 HAN의원의 모티브이다. 작중 한의원은 100% 포도주스를 한약이라고 속여 파는 등 전형적인 돌팔이로 나오므로 썩 좋게 묘사되지는 않지만, 그래도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흥행으로 평소에 월 방문자는 6천~7천 명에서 6, 7월에는 방문자 수가 1만 5천~2만 명 수준으로 늘어났다고 한다.

모티브로만 따왔을 뿐 작중 묘사된 위치나 건물 규모는 상당히 다르다. 실제 서울한방진흥센터 쪽이 훨씬 더 규모가 크며, 작중 사이즈는 서울한방진흥센터 내 '한방카페'에 더 가깝다.

2.12. 경복궁 / 창덕궁 [편집]


진우의 과거 회상에서 궁궐로 등장한다. 일단 작중 공개된 진우의 나이는 400살 정도로 광해군 시대의 사람이기 때문에, 진우가 살아있을 시절의 경복궁은 임진왜란 도중 소실되어 폐허인 상태였다. 따라서 1600년대 배경에 2층 누각이 있는 궁궐이 등장한다면 1608년에 중건된 창덕궁 인정전일 확률이 높다. 단, 영화에서 나타난 왕과 중전의 모습이 연산군을 다룬 영화 왕의 남자에서 레퍼런스를 따왔다는 점, 거리의 악공이 궁궐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 가능했던 시대가 연산군 대밖에 없었다는 점을 토대로 제기되는 연산군 시대설을 적용하면 경복궁이 맞다.

2.13. 제주 민속촌 서낭당 [편집]


처음 셀린이 헌트릭스 멤버 3명을 헌터로 임명할 때, 그 이후 루미의 과거 회상, 루미가 흑화한 후 셀린을 찾아갈 때 등장한 장소로, 모티브는 제주민속촌에 위치한 서낭당이다. 설정상 셀린의 어머니의 무덤 포함 역대 헌터들의 무덤이 근처에 있으며 셀린이 관리하고 있다. 실제 제주민속촌에 무덤이 있지는 않지만, 실제 제주도의 장묘 문화인 '산담'을 모티브하였다. 돌하르방이 여러 번 등장하는 걸 보면 설정상으로도 제주특별자치도임을 알 수 있다.#[7] Golden 뮤비 초반에도 해당 서낭당을 모티브한 세트장이 나온다.

[1] 참고로 케데헌은 실사 촬영물이 아닌 애니메이션이기 때문에 '촬영지'라는 표현은 틀렸다.#[2] 사진 속 파도는 합성이 아닌 실제 Wave라는 미디어 아트로 각도에 따른 착시를 이용해 입체 효과를 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기법 자체가 해당 Wave 이후로 유행하였다.#[3] 물론 작중에서 처럼 스크린마저 뚫고 나오는 입체 효과는 불가능하며 그저 연출적 허용이다. 아니면 사자 보이즈가 악귀이기 때문에 사람들을 홀려 환각을 보여준 것으로도 해석 가능하다.[4] 상표권 문제인지 서울교통공사 로고와 사명 대신 도시 지하철이라는 옛 운영사인 서울도시철도에 가까운 가상의 사명과 로고로 대체되었다.[5] 2009년 이전에는 스크린도어가 없었는데## 옛 이미지를 참고한 듯하다.[6] 극 중 열차 지붕 위에서 결투를 벌이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싸울 공간을 위해 가공전차선이 현실보다 높고, 감전 묘사도 없다.[7] 당시 완전히 흑화한 루미가 악귀 특유의 능력인 순간이동을 구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순식간이 서울과 제주도를 왔다갔다 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52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4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