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학생회(블루 아카이브)

최근 수정 시각: ()
파일:blue-archive-alt-ko.svg
파일:School_Icon_ETC.png
[ 기타 ]

기울임
: 플레이어블로 출시되지 않은 학생 (총학생회 제외)
취소선
: 더미데이터로 존재하는 캐릭터
: 틀:인게임 학생명부
1. 개요2. 목적과 활동3. 구성4. 멤버5. 작중 행적6. 기타

1. 개요 [편집]

2. 목적과 활동 [편집]

키보토스의 모든 중앙 행정시설을 통제하고 학원간의 분쟁, 정치 등을 조율한다.[1] 스토리의 주무대인 각 학원들은 독자적인 세력권을 구성하고 있어 총학생회의 존재감이 비교적 옅긴 하지만 엄연히 키보토스의 모든 행정시설을 통제 및 관리하는 기관인 만큼 키보토스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세력이다.

3. 구성 [편집]

공식 트위터에서 공개된 총학생회 구성도
메인 스토리 Vol.4에서 카야의 입을 빌려 총학생회가 재무실, 조정실, 방위실 등의 11개의 분과로 구성된 행정위원회와 그와 별개로 린이 관할하는 통괄실을 합쳐 구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후 공식 트위터를 통해 총학생회의 구성도가 공개됐고[2], 메인 스토리 4편 2장 공개 이후 위의 구성도로 갱신되었다.
  • 통괄실: 총학생회를 통괄·조율하는 부서.

4. 멤버 [편집]

메인 스토리 Vol.4 시점까지 공개된 총학생회 임원이 얼마 되지 않는데, 카야의 말대로라면 SRT 폭스 소대가 학원의 폐쇄 여론이 이는 것에 불만을 품고 폐쇄파 임원 여럿을 습격하고 부상을 입혔기 때문이다. 이 일로 생텀 타워 일부가 전소되고 다수의 임원들이 병원 신세를 지고 있으며 나나가미 린을 비롯한 SRT 폐쇄파의 입지가 오히려 강화되었다고.[8]
  • 총학생회장
    플레이어를 연방수사부 샬레의 고문 교사로 임명한 뒤 실종된 총학생회의 회장. 프롤로그에서 선생의 말을 듣지 않은 자신의 실수로 일이 벌어졌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뭔가 잘못된 선택을 하여 파국을 맞은 모양이다.
  • 인재자원실장
    카야의 파벌 중 하나로 붉은겨울 연방학원 출신이다. 현재로선 노네임드 캐릭터이며, 나이 및 학년은 불명. 린을 실각시키고 카야를 옹립하기 위해 모교 학생인 미노리에게 접촉해 시위를 의뢰한다. 본래 인재자원실장은 보수를 주고 시위를 의뢰하려고 했던 듯하나 미노리는 권력자를 대상으로 한 투쟁에 대가를 받을 수 없다며 돈 한 푼 받지 않고 무상으로 시위를 해 줬다. 이 덕분에 카야는 미노리를 이용해 혼란을 야기해 린 파벌을 대거 축출하며 린을 경질시키고 자신이 총학생회장 대행이 되는 데 성공한다. 이후 인재자원실장은 이들을 만난 뒤 역시 붉은겨울 출신이라고 감탄하고는 잘 해줬다며 성과를 치하한다.

    그러나 미노리는 단순한 시위꾼이 아니라 시위 그 자체가 목적인 막가파 시위꾼이었다. 그래서 린의 후임이 된 카야를 노리고 새로운 규탄 시위를 벌인다. 인재자원실장은 취임 첫날인 대행에게 무슨 책임이 있냐며, 그건 전임자에게 물어야 할 게 아니냐고 황당해한다. 이에 미노리는 부하의 잘못은 상사의 책임이라고 대답하고 키보토스에서 벌어지는 문제는 키보토스를 총괄하는 총학생회에 책임이 있고 총학생회의 책임은 수장인 '현직' 총학생회장이 지는 것이 당연하다는 논리를 내세운다. 용역비를 준 것도 아니라 통제를 벗어난 용역부를 제지할 명분이 없음에도 총학생회의 권한으로 구금시킬 수 있다는 협박까지 동원해 막아서지만, 붉은겨울에서 그 정도 협박은 협박 축에도 안 든다는 일축과 함께 도리어 용역부 시위대에게 제대로 힘 한 번 못 써 보고 린치당한다.
  • ???
    파일:BA_총학생회0422가.png
    2부의 예고편이라 할 수 있는 4.5th PV의 가장 마지막 장면에 등장한 정체불명의 인물.

    현재는 자리가 빈 총학생회장의 집무실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첫 등장했으며, 금발에 붉은 브릿지가 들어간 헤어스타일[9]에 총학생회 제복을 입고 있다. 어떤 이유로 새로 뽑힌 차기 총학생회장이거나[10] 시계를 착용하고 있기에 이전 세대의 총학생회장일지도 모른다는 일부 유저들의 의견이 있다. 혹은 아예 패러랠 월드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내부 배경은 총학생회라는 점과 뒤의 바깥 배경이 암전될 때 황혼의 토리이 안쪽과 같은 배경이 드러나면서 4.5th PV에서 동시에 예고가 나왔던 카르바노그의 토끼와 백화요란 편과 연결고리가 있다.

5. 작중 행적 [편집]

게임 시작 시점에서 총학생회장의 실종 이후 대부분 행정이 마비되었고 치안은 개판 5분 전이 되었으며 선생이 싯딤의 상자를 통해 생텀 타워의 통제권을 탈환한 이후로도 회복되지 않아 연방수사동아리 샬레가 그 뒷처리를 위해 동분서주하는 것이 주된 스토리라인이다. 문제는 영토에 비해 행정력이 부족하고 사방에서 폭주하는 민원량에 비해 몇몇 임원이 일을 열심히 하지 않는 것처럼 묘사되어 권한대행 린에 대한 업무량이 과중하고 공무원 마인드로 대외적으로 평판이 나쁘다는 것.

프롤로그에서는 총학생회장이 재직해 있을 당시에는 각 학원의 의사를 무시하고 독단적인 권한 행사와 지나친 간섭을 하다가 학생들의 불신을 초래한 것으로 암시된다. 다만 그녀가 실종되자 바로 무정부 사태가 터질 뻔했을 정도로 총학생회장이 있을 당시 총학생회의 권력 또한 막강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총학생회장이 실종되고 연방수사동아리 샬레가 발족하면서 선생이 총학생회장의 역할을 일부 대리하게 되자 에덴조약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우리 총학생회는 각 학원 자치구의 일에 관해서는 각 학원의 대응에 맡기고 있으며 총학생회의 지나친 개입은 삼가고 있다."는 한마디로 일축한다.

1부 최종편에서는 색채의 습격을 막기 위해 아비도스, 밀레니엄, 트리니티, RABBIT 소대 등 여러 학교와 연합해 대항전을 펼쳤다.

2부에서는 방위실장 시라누이 카야쿠데타를 일으켜 린이 축출당하면서 총학생회가 잠시 카야 체제로 전환되었으나 이내 RABBIT 소대의 활약으로 카야는 실각되고 린 체제로 다시 돌아온다. 다만 카야 체제 당시 행정이 엉망이었던지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산더미같은 업무가 기다리는 중.

6. 기타 [편집]

  • 복장에는 치마 왼쪽 아래에 별이 그려져 있다는 공통점이 있는데, 공식 아트북에 따르면 별의 갯수가 학년을 나타낸다고 한다. 다만 3학년으로 밝혀진 시라누이 카야가 별이 2개만 그려져 있는 오류가 있다. 상술한 학년을 나타내는 별 외에도 넥타이에 별똥별이 그려져 있으며 모든 총학생회 출신 캐릭터들의 헤일로에는 별 디자인이 포함되어 있다.
  • 린과 모모카 둘 다 머리를 쓰다듬으면 싫어하는 표정을 짓는다. 아유무는 눈을 감는데 썩 좋지만은 않은 표정이다. 아오이는 얼굴을 붉히며 쑥스러워한다.
  • 총학생회 멤버가 되려면 중학교 단계에서 총학생회로 자원해야 하는 것인지, 각 학교에서 멤버가 차출되는 것인지 불명이었으나 메인 스토리 카르바노그의 토끼 2장에서 인재자원실장이 붉은겨울 연방학원 출신이라는 점, 하이네는 붉은겨울 연방학원 출신이 아니라는 점이 공개되면서 총학생회 임원들은 각각 따로 출신 학교가 있는 걸로 밝혀졌다. 구조를 보아 원 소속 학교에서 차출이나 자원 또는 파견 형태로 운영되는 것으로 보인다.[11] 이에 대한 강제성은 불명.

    총학생회 멤버들이 원래 재학하던 학교가 각자 따로 있다는 설정이 공개되면서 각 멤버들의 모교를 추측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게헨나 출신 학생은 다른 학교에선 찾아볼 수 없는 특유의 뿔이 있는 스모모[12], 하스미처럼 검은 날개가 있는 아유무는 트리니티, 뿔과 꼬리가 있고 교통, 특히 열차 운행을 총괄하는 모모카는 하이랜더 출신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 외엔 엘프귀를 가진 아오이와 린이 있지만 엘프귀는 전 학원 학생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라 위의 셋을 제외한 남은 인원들은 별다른 특징이 없다.[13]
  • 이들도 엄연히 학생이지만 게임에서의 역할 상 많은 유저들이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출시될 가능성은 한없이 낮다고 여기는 집단이다. 특히 플레이어블로 출시되지 않았는데 이미 발렌타인 인연 스토리가 존재하는 이나 모모카, 아유무, 아오이 등은 게임 내부 데이터 상으로도 NPC 취급으로, 데이터 적으로도 평범한 플레이어블 캐릭터들과는 완전히 별개로 취급당하고 있다. 그 때문인지 총학생회의 학생들은 대부분 스탠딩 일러에 총기가 없다.[14]
  • 키보토스를 총괄하는 조직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치안 조직인 발키리 경찰학교를 제외하면 별다른 군 병력을 운용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총학생회장이 건재할 때는 SRT 특수학원이 있기는 했지만, 이 역시 소수 정예의 직속 특수부대 같은 느낌이지 군 병력이라기에는 뭔가 애매한 느낌이다. 이 때문인지 카야는 본인이 방위실장임에도 발키리 경찰학교가 근신에 들어가자 달리 동원할 병력이 없어서 카이저 코퍼레이션 병력을 용병으로 고용해서 써먹다가 래빗 소대에 체포당했다.

[1] 키보토스가 전 세계이며 키보토스의 학원들국가에 비유한다면, 총학생회의 역할은 그 학원간의 분쟁이나 사태의 조정·해결이라는 점에서 현실 세계의 유엔(국제연합)에 가까우며, 자체적인 무력과 인프라 통제권 및 사법권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 연방정부와도 유사하다.[2] 이전 구성도 [행방불명] 현재 나나가미 린이 대행을 맡고 있다.[부재중] 4.1 4.2 FOX 소대의 생텀타워 습격시 부상으로 입원중[탄핵] 2부에서 시라누이 카야가 쿠데타를 일으켜 일시적으로 총학생회장 대행직이 되었으나 얼마 안 가 탄핵소추를 당하자 자동으로 발키리 경찰학교 교정국에 수감되어 모든 직무가 정지되었다. 스토리에서 보여준 정보를 따져본다면 방위차장이 대행직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7] 2부에서의 언급에 의하면 붉은겨울 연방학원 출신이라고 한다. 그 외에는 상세정보 불명[8] 아이러니하게도 2부에서는 결국 이 일이 린 지지파가 구심점을 잃고 린이 권한대행에서 해임당하는 계기가 되어 버린다.[9] 말쿠트와니부치 아카리와 같은 눈동자 때문에 아카리라고 불린 것처럼 아사히나 피나랑 같은 헤어스타일이라 피나는 총학생회 출신 아니냐는 말이 오가기도 했다.[10] 만약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총학생회장 대리인 샬레의 존재 이유가 더 이상 없어졌다는 이유 등으로 갈등이 생겨 해당 스토리 보스가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11] 사실 대책위원회 1장에서 호시노는 '그래야 학생 수를 늘려 상원의원도 배출하고 총학생회에서 발언권도 생기고 하니까.'라고 언급했기에, 초기부터 총학생회로 학생이 차출 내지는 파견되는 구조임을 넌지시 던져줬다고 볼 수 있다.[12] 게헨나 학생이 아닌데 뿔이 있는 치세의 경우엔 게헨나 학생처럼 검은 컬러에 두꺼운 뿔이 아닌 오니를 연상시키는 특유의 가늘고 붉은 뿔이다.[13] 린과 아오이가 완벽주의자 기질이 있는 것은 밀레니엄과 성향이 비슷하다.[14] 물론 설정상 이들 또한 개인 총기를 소지하고 있으며, 린과 카야는 직접 총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49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0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