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파리(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r40)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이 문서는 사건/사고를 다룹니다.
이 문서에 적힌 사건/사고에 피해를 받은 개인 또는 단체가 있을 것입니다. 그들을 향해
"X를 눌러 조의를 표하십시오."
이 문서에 적힌 사건/사고에 피해를 받은 개인 또는 단체가 있을 것입니다. 그들을 향해
"X를 눌러 조의를 표하십시오."
|
1. 개요2. 범례3. 방송인 사이버 불링4. 일반인 사이버 불링 관련5. 언론인 사이버 불링
5.1. 글로벌E 기자 사이버 불링
6. 왁타버스 내부 관련 논란 및 사건 사고7. 연예인 비하 관련8. 커뮤니티 논란 및 사건 사고9. 현실 사건 사고 관련9.1. 주르르 생일 지하철 전광판 통행방해 사건9.2. 릴파 생일 카페 방문객의 스쿨존 불법 주차 및 번호판 위반 사건9.3. 러브 딜리버리 2 실존 인물 무허가 RPF 선동 및 온파이어 게임즈 해체
1. 개요 [편집]
2. 범례 [편집]
이하는 본 문서 및 하위 문서들에서 사용되는 범례이다.
- 윗첨자는 해당 출처가 올라간 플랫폼을 의미한다.
예: #루리웹, #왁물원, #펨코, #X, #개드립- 종합 게시판 커뮤니티의 경우, 갤러리 등의 하위 게시판 이름 및 약칭이 표시될 수 있다.
예: #버스나갤, #숲방갤, #싱벙갤, #돌마갤, #실베, #포텐- [ 주요 하위 게시판 약칭 범례 펼치기 · 접기 ]
- 실베고마갤고세구 마이너 갤러리돌마갤돌미갤돌스갤디맥갤버고갤버스나갤숲밍길숲방갤스갤싱벙갤왁마갤트버갤트위치 버츄얼 마이너 갤러리
- 출처 링크가 가리키는 게시글이 다른 원본 게시글을 캡쳐 또는 보존한 용도의 게시글일 경우, 원본 플랫폼이 아랫첨자와 괄호로 표시될 수 있다.
예: #버스나갤(돌스갤)
- 링크 설명 뒤에 (삭제됨) 이 쓰여진 출처는 삭제된 게시글 또는 게시판 자체가 폐쇄된 등 요인으로 인해 접근 불가능한 출처임을 의미한다.
- 출처 중 와 같은 아이콘으로 표시된 출처는 SOOP 다시보기를 의미한다.
- [링크xx], [아카이브xx] 등의 각주는 다수의 출처 링크를 정리한 각주이며, 각각 일반 링크, 아카이브 링크를 정리한 각주를 의미한다.
- xx 부분은 기본적으로
<문단 번호>-<순서>
형식이며, 각각 해당 문단의 번호와 동일 문단 내의 여러 각주를 구분하기 위한 순서 구분자를 의미한다.
- 표xx. 형식의 이름을 가진 표는 목록 내의 개별 항목을 요약한 표, 참고표xx. 형식의 이름을 가진 표는 그 외의 표를 의미한다.
3. 방송인 사이버 불링 [편집]
4. 일반인 사이버 불링 관련 [편집]
4.1. T1 간담회 일반인 사이버 불링 [편집]
T1 간담회에 의문을 제기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사이버 불링을 가했다는 내용으로 논란이 되었다. #1@ #2삭제됨@ #3@ 2025년 6월에 진행된 T1 간담회에서 참가한 방청객들의 질의응답을 받는 시간에서 최근 T1 사옥에서 진행된 고세구의 사옥 방문 행사에 관련해 과거 이세계아이돌 팬덤이 케리아 선수를 사이버 불링을 했다고 주장하며, 해당 팬덤에 대한 문제를 언급하면서 이에 대한 확인과 조치를 요청하는 질문이 등장하자 해당 발언을 한 방청객의 외모를 가지고 인신공격을 자행해 논란이 되었다.펨코삭제됨@ 실제로 이세계아이돌 팬 갤러리에서 케리아 조리돌림성 밈을 2년 넘게 소비한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해당 글쓴이는 따효니 사이버불링을 조장한 이파리라는 점이 다시금 주목받았다.
또한 해당 글쓴이는 따효니 사이버불링을 조장한 이파리라는 점이 다시금 주목받았다.
|
4.2. KBS PD 사이버 불링 [편집]
4.3. 그림 작가 조리돌림 [편집]
팬카페인 왁물원에서 활동하던, 한 그림 작가를 대상으로 집단적인 조리돌림을 가한 사건이다. 해당 그림 작가는 집단적인 비난을 받은 후 아래의 사과문을 작성, 이후 사과문을 제외한 모든 게시물과 팬아트 글을 삭제하고 팬카페에서 탈퇴하였다.###
당분간 조용히 있겠습니다 단지 예쁘게 그린다는게 다른사람들에게는 욕망표출,변태같은놈 일수도있고 올릴때마다 다른사람이 제 그림보면서 불편한 감정까지 느낀다는걸 제가 그 생각까지는 못한것도 있고.. 불편을끼쳐 죄송합니다 그림 작가가 작성한 사과문 2025. 07. 14 출처 |
다음날 해당 작가는, 픽시브를 통해 해당 작품을 재업로드한 뒤 추가적인 입장을 글로 아래와 같이 남겼다. 해당 입장의 요지는 팬아트를 올리자마자 비난부터 들어와 정신적으로 힘들며, 다른 버츄얼 유튜버로 창작 활동을 이전한다는 내용이었다.#
마지막될수도 있는 세돌 그림 어제 (7.14기준) 그린 그림이지만 (와이셔츠만 입은것만) 올라오자마자 이것도 뭐라뭐라 하시고 비난부터 하시길래..계속 이런식으로 하다보면 제 멘탈이 무너질거 같아서 팬아트는 다른 버튜버분 쪽으로 이전 할려고 합니다 ㅇㅁㅇ 수위규정 도 강해서 여태까지 규정 못지키고 그림 짤린건 제 잘못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비하,욕설 등은 하지말아주세요 저도 사람입니다 그동안 이세돌 그림 봐주신 모든 분들께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픽시브에 그림과 함께 올라온 입장문 2025. 07. 15 아카이브 |
결국 3주 뒤 해당 작가는 픽시브를 통해 더이상 팬아트를 그리지 않겠다는 공지를 올렸다.
공지 안녕하세요 다름이아닌 본론으로 말씀드리자면 앞으로는 팬아트 아예 안그릴예정입니다. 왁물원 탈퇴후 스텔멤버분 그렸지만 음..예전부터 당해왔던게 생각나고 현타씨게와서 스텔,이세돌 등등 다른거 다 그림자체 안그릴예정입니다 이유는 여러가지.. 있고 팬아트는 무기한 중단이지만 팬아트 올리면서 중간에 잠깐잠깐 했던 캐릭터 3D모델링 및 애니메이션 위주로 올릴꺼 같아요 바로 올릴정도의 실력은 전혀없지만 지금도 직장다니면서 운동하고 그 하루에 짧은 시간내서 차근차근 배우고있습니다. 모델링.. 은근힘들더군요..ㅎㅎ 늦더라도 기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팬아트때문에 저를 보러와주신분들께는 죄송한마음밖에 없습니다. 한편으로는 고맙습니다. 😄 |
5. 언론인 사이버 불링 [편집]
5.1. 글로벌E 기자 사이버 불링 [편집]
왁타버스의 여러 논란에 대해 기사가 보도되자, 왁물원에서 기자를 향해 사이버 불링을 가한 사건이다. # @
글로벌E에서는 WJMAX 저작권 침해 논란, 왁타버스 채널 영상 대규모 삭제 등 왁타버스 관련 사건들을 수차례 보도하였다. 이후 해당 기사를 접한 왁물원의 이파리들은 보도한 기자를 향해 비난 및 조리돌림을 하였다.
글로벌E측은 후속 기사를 통해 작업자의 임금 관련 폭로 및 무급 노동 논란 등 관련 내용에 대해 본격적으로 취재하고 댓글 및 이메일 등으로 명예훼손을 한 우왁굳 팬들로 추정되는 인원들에 대한 법적조치에도 나서겠다고 밝혔다.기사 # @
이후 우왁굳의 사과문이 올라온 뒤, 유튜브 댓글에서 문의 답변을 요청한 기자를 향한 사이버 불링이 이어지자, 7월 7일 글로벌E 측에서 기자 본인이 당한 사이버불링의 경험을 보도하였고 기사 이후 8월 13일 기사를 통해 사이버 불링을 행한 사람들이 이메일을 통한 공식적인 사과 및 관련 내용 삭제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모두 법적조치에 나설 것임을 예고했다.기사
글로벌E에서는 WJMAX 저작권 침해 논란, 왁타버스 채널 영상 대규모 삭제 등 왁타버스 관련 사건들을 수차례 보도하였다. 이후 해당 기사를 접한 왁물원의 이파리들은 보도한 기자를 향해 비난 및 조리돌림을 하였다.
글로벌E측은 후속 기사를 통해 작업자의 임금 관련 폭로 및 무급 노동 논란 등 관련 내용에 대해 본격적으로 취재하고 댓글 및 이메일 등으로 명예훼손을 한 우왁굳 팬들로 추정되는 인원들에 대한 법적조치에도 나서겠다고 밝혔다.기사 # @
이후 우왁굳의 사과문이 올라온 뒤, 유튜브 댓글에서 문의 답변을 요청한 기자를 향한 사이버 불링이 이어지자, 7월 7일 글로벌E 측에서 기자 본인이 당한 사이버불링의 경험을 보도하였고 기사 이후 8월 13일 기사를 통해 사이버 불링을 행한 사람들이 이메일을 통한 공식적인 사과 및 관련 내용 삭제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모두 법적조치에 나설 것임을 예고했다.기사
6. 왁타버스 내부 관련 논란 및 사건 사고 [편집]
7. 연예인 비하 관련 [편집]
7.1. PLAVE 비하 [편집]
7.1.1. 이세계아이돌 팬튜브의 날조 [편집]
이세계아이돌의 팬튜브#가 PLAVE에 대한 허위 정보를 퍼뜨리고 비방을 일삼다가 커뮤니티 개념글에 박제된 사건. #1버스나갤 해당 게시글에는 2024년 8월 22일 연합뉴스 유튜브에 올라온 'PLAVE 멜론 톱100 1위... 올해 보이그룹 최초' 
영상에 특정 유저가 남긴 댓글이 담겨있었다. 댓글 게시자는 플레이브의 탄생 속 비밀에는 이세돌이 숨어있다. VLAST의 대표는 그 과정에서 이세돌의 팬덤과 문화를 많이 참고 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2024년 4월 22일 간담회에서 VLAST의 대표가 이세계아이돌에 대한 질문을 받아 대답한 적은 있지만, 해당 발언은 아예 나온 적이 없는 날조였음이 밝혀졌다. #2[아카이브39]
추가로 댓글 게시자가 2024년 8월 20일에 발매된 PLAVE의 'Pump Up The Volume!' M/V에 악플을 남긴 것도 적발됐다. # @ 게시자는 PLAVE의 곡에 대해 '조회수 프리징에 걸린 게 아니라 돈주고 노출시켰다가 기간 끝나서 이제 조회수가 안 오르는 거임. 그니깐 900만 조회수가 뻥튀기 조회수라는 거임'이라며 근거 없는 댓글을 수차례 도배했다. 자신을 저지하는 사람에게 '이세돌 4집 안 나와서 빡치니깐 가만히 있어라잉'이라는 댓글을 달기도 했다.
자신을 당당하게 팬이라 밝히는 것에서 분탕질을 일삼는 인원으로 간주할 수 있으나, 문제는 당사자의 채널에 업로드 되어있던 영상 목록이었다. 이 채널에는 2023년 7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업로드 된 3개의 영상이 있었고 모두 이세계아이돌의 업적을 칭송하는 내용이었다. 특히 맨 처음 올린 '이세계아이돌 업적 모음 50가지'
@는 무려 19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500개 이상의 댓글에 이파리들의 반응이 담겨있으며, 게시자는 잘못된 정보를 댓글로 정정하며 팬들과 활발하게 소통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전형적인 팬튜브의 모습을 보였다.
추가로 댓글 게시자가 2024년 8월 20일에 발매된 PLAVE의 'Pump Up The Volume!' M/V에 악플을 남긴 것도 적발됐다. # @ 게시자는 PLAVE의 곡에 대해 '조회수 프리징에 걸린 게 아니라 돈주고 노출시켰다가 기간 끝나서 이제 조회수가 안 오르는 거임. 그니깐 900만 조회수가 뻥튀기 조회수라는 거임'이라며 근거 없는 댓글을 수차례 도배했다. 자신을 저지하는 사람에게 '이세돌 4집 안 나와서 빡치니깐 가만히 있어라잉'이라는 댓글을 달기도 했다.
자신을 당당하게 팬이라 밝히는 것에서 분탕질을 일삼는 인원으로 간주할 수 있으나, 문제는 당사자의 채널에 업로드 되어있던 영상 목록이었다. 이 채널에는 2023년 7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업로드 된 3개의 영상이 있었고 모두 이세계아이돌의 업적을 칭송하는 내용이었다. 특히 맨 처음 올린 '이세계아이돌 업적 모음 50가지'
7.1.2. 왁타버스 공식 채널 댓글 [편집]
2025년 3월 25일, 버츄얼 스나 미니 갤러리에 '유튜브 이파리의 가면을 검거했다'는 내용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 @ 게시자는 이세계아이돌 실물 관련 논란 및 사이버 불링 피해를 다룬 유튜버 영상을 보던 도중 이세계아이돌을 옹호하는 댓글을 발견했고, 댓글 게시자가 스트리머 한동숙의 프로필 사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수상히 여겨 과거 왁타버스와 관련된 영상 댓글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해당 사용자가 각각 1년 전, 3년 전에 왁타버스 채널의 KIDDING(M/V), RE : WIND(M/V)에 응원 댓글을 남겼고, 고세구의 유튜브에도 15개 이상의 댓글을 게시한 것을 발견하게 된다. 특히 해당 사용자는 그외에도 왁타버스 채널에 업로드된 오리지널 곡 중 하나인 Ready Action(M/V)에 유난히 많은 댓글을 남겼는데, 이것이 바로 PLAVE를 향한 다수의 비방 댓글이었다. 그 댓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해당 영상에 PLAVE 관련 댓글이 달리게 된 이유는 따로 있는데, 이 영상은 2024년 9월경 촉발된 왁타버스 M/V의 PLAVE 표절 사건의 원본이었기 때문이다. 2024년 8월 22일 데뷔한 버츄얼 그룹 에이팟츠의 여름 비 뮤비가 PLAVE의 M/V를 표절하여 사과문을 게시하는 일이 있었고, 플레이브 측에 대한 사과 보단 제작진에 대한 옹호 위주의 사과문에서 위화감을 느껴 제작진을 확인해보니 이 M/V를 만든 인력 중 다수가 왁타버스 인력이었다. 그리고 논란이 된 제작진의 작업물을 살펴보던 과정에서 PLAVE의 아바타 및 M/V 연출과 거의 흡사한 Ready Action이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한 추가적인 갈등이 발생한 것이다. 해당 사건은 더쿠에서 11만 이상의 조회수와 800개의 댓글이 달리며 뜨거운 화제가 되었다.#@
또한 'Ready Action'의 댓글창에는 최초 인원을 제외하고도 왁타버스 채널에 댓글을 각각 25개, 100개 이상 남긴 기존 시청자들도 PLAVE를 비하한 흔적이 남아있어 논란이 됐다. 2025년 4월 2일 기준으로도 영상에는 해당 댓글들이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다.
그 결과 해당 사용자가 각각 1년 전, 3년 전에 왁타버스 채널의 KIDDING(M/V), RE : WIND(M/V)에 응원 댓글을 남겼고, 고세구의 유튜브에도 15개 이상의 댓글을 게시한 것을 발견하게 된다. 특히 해당 사용자는 그외에도 왁타버스 채널에 업로드된 오리지널 곡 중 하나인 Ready Action(M/V)에 유난히 많은 댓글을 남겼는데, 이것이 바로 PLAVE를 향한 다수의 비방 댓글이었다. 그 댓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댓글 내역 펼치기 · 접기 ]
해당 영상에 PLAVE 관련 댓글이 달리게 된 이유는 따로 있는데, 이 영상은 2024년 9월경 촉발된 왁타버스 M/V의 PLAVE 표절 사건의 원본이었기 때문이다. 2024년 8월 22일 데뷔한 버츄얼 그룹 에이팟츠의 여름 비 뮤비가 PLAVE의 M/V를 표절하여 사과문을 게시하는 일이 있었고, 플레이브 측에 대한 사과 보단 제작진에 대한 옹호 위주의 사과문에서 위화감을 느껴 제작진을 확인해보니 이 M/V를 만든 인력 중 다수가 왁타버스 인력이었다. 그리고 논란이 된 제작진의 작업물을 살펴보던 과정에서 PLAVE의 아바타 및 M/V 연출과 거의 흡사한 Ready Action이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한 추가적인 갈등이 발생한 것이다. 해당 사건은 더쿠에서 11만 이상의 조회수와 800개의 댓글이 달리며 뜨거운 화제가 되었다.#@
또한 'Ready Action'의 댓글창에는 최초 인원을 제외하고도 왁타버스 채널에 댓글을 각각 25개, 100개 이상 남긴 기존 시청자들도 PLAVE를 비하한 흔적이 남아있어 논란이 됐다. 2025년 4월 2일 기준으로도 영상에는 해당 댓글들이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다.
7.2. QWER 비하 [편집]
2024년 5월, 에펨코리아 포텐터짐 게시판에서 한 이파리가 QWER을 비하하다 적발된 것이 2025년에 재조명된 사건이다. 당시 한 유저가 QWER과 관련된 게시글에 '그래서 얘네 PLAVE는 넘었냐'고 물어보자, '크라욘'이라는 닉네임의 유저가 'QWER은 PLAVE가 아니라 이세돌부터 넘어야 한다'는 댓글을 단 것으로 싸움이 시작됐다. 해당 유저는 이세계아이돌의 멜론 차트 성적을 내세우며 QWER의 인기와 업적, 팬덤 규모를 비하하였다.
이 유저의 작성글에는 이세계아이돌이 SOOP과 전혀 관련이 없던 2022년, 아프리카TV 게시판에 프리아와 이세계아이돌을 비교하며 작성했던 게시글#1이 존재했다. 더불어 2023년 이세계아이돌 이적이 확정된 후의 글,#2 이세계아이돌 미니 갤러리 출처의 굿즈 정보#3 등이 있었지만, 인터넷방송 게시판에서 차단#4을 당한 적이 있다는 이유로 분탕종자로 간주되며 사건은 일단락되었다.인터넷방송 게시판 작성글 기록아프리카TV 게시판 작성글 기록[아카이브40]
하지만 2025년 1월 또 하나의 사건이 발생했다. 아카네 리제 커버곡 테러 의혹으로 인해 이파리와 에펨코리아 치지직 게시판 유저들 양측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을 때, 모습을 감췄던 해당 사용자가 다시 등장해 이파리의 변호를 하기 시작한 것이다. 심지어 해당 내용은 당시에 숲 스트리밍 미니 갤러리에 있던 갤러리와 완전히 동일한 내용이었고,#1 이에 대해 추궁하자 본인이 쓴 글이 맞다며 조롱하는 모습까지 보였다.#2[아카이브41]
추가로 숲 스트리밍 미니 갤러리에서 원글을 작성한 사람의 식별코드를 검색해 본 결과, 이파리 팬 갤러리인 숲 방송 미니 갤러리 월별 활동 랭킹에 들어갈 정도의 열성적인 활동자인 것으로 드러났다.#1 또한, 과거 에펨코리아에서 아이리 칸나의 음원 성적을 비하하며 멸칭을 사용한 사실도 확인되었다.#2[아카이브42]
그러나 에펨코리아 SOOP 게시판에서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치지직 게시판 밴 이력이 있다는 이유 때문에 팬이 아닌 비호감작이라 주장하며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7.3. IRISÉ 비하 [편집]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소속 아이리제를 비방하는 왁물원의 한 이파리[7] |
느그자[8]: (아이리제) 고척돔 쳐 나오기만 해봐라 진짜 #버스나갤@
이세계아이돌 실물 관련 논란이 확산되자 왁물원 회원들은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에 메일을 보내 사이버 불링 피해 해결을 요청했지만, 보낸 메일은 읽지 않음 표시로 되어있고 같은 패러블 소속의 아이리제 관련 메일만 읽음 표시로 되어있다는 이유로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와 아이리제에 대한 비난 및 비방이 이어졌던 사건이다. 해당 게시글왁물원@
이파리 팬덤은 이전부터 이세계아이돌에 대한 날조나 비방 목적의 게시글을 패러블에게 메일로 제보해왔으나 패러블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은 물론 메일을 읽지조차 않은 것으로 추정되어 이미 많은 불만이 축적되어 있었다. #1#2[아카이브43] 하지만 이러한 불만을 패러블의 조치와 무관한 아이리제에게도 표출하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행동이다.
이후 우왁굳의 2차 입장 표명을 통해 패러블 측은 대응을 원했으나, 우왁굳 본인과 이세계아이돌 측에서 대응을 참작 중이었으며 메일이 읽지 않음 표시인 것은 서버에 관련 메일들을 따로 저장했기 때문에 확인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패러블을 향한 무분별한 의혹 제기와 아이리제를 향한 근거 없는 비방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세계아이돌 실물 관련 논란이 확산되자 왁물원 회원들은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에 메일을 보내 사이버 불링 피해 해결을 요청했지만, 보낸 메일은 읽지 않음 표시로 되어있고 같은 패러블 소속의 아이리제 관련 메일만 읽음 표시로 되어있다는 이유로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와 아이리제에 대한 비난 및 비방이 이어졌던 사건이다. 해당 게시글왁물원@
이파리 팬덤은 이전부터 이세계아이돌에 대한 날조나 비방 목적의 게시글을 패러블에게 메일로 제보해왔으나 패러블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은 물론 메일을 읽지조차 않은 것으로 추정되어 이미 많은 불만이 축적되어 있었다. #1#2[아카이브43] 하지만 이러한 불만을 패러블의 조치와 무관한 아이리제에게도 표출하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행동이다.
이후 우왁굳의 2차 입장 표명을 통해 패러블 측은 대응을 원했으나, 우왁굳 본인과 이세계아이돌 측에서 대응을 참작 중이었으며 메일이 읽지 않음 표시인 것은 서버에 관련 메일들을 따로 저장했기 때문에 확인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패러블을 향한 무분별한 의혹 제기와 아이리제를 향한 근거 없는 비방이 발생하게 되었다.
8. 커뮤니티 논란 및 사건 사고 [편집]
9. 현실 사건 사고 관련 [편집]
9.1. 주르르 생일 지하철 전광판 통행방해 사건 [편집]
2022년,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진행한 생일 전광판 이벤트를 통해 6월이 생일인 주르르가 당첨되었고, 이에 따라 고속터미널역사 내 전광판에 생일 축하 광고가 송출되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팬들이 현장을 방문해 인증 사진을 촬영했으나, 무분별한 질서와 엽기적인 행동들이 이어지며 공공장소의 통행을 방해하고 질서를 어지럽혔다는 비판을 받았다. #1실베, #2개드립, #3루리웹 @1@2@3
당시 주르르는 이세돌 소속 활동 초기로 현재와 달리 규모(MCN, 개인팀 등)가 작았으며, 팬덤 통제 경험 역시 부족했다. 또한 해당 이벤트는 이세돌 측이 아닌 외부 어플리케이션 주최로 독자적으로 진행된 것을 참고하여 방송인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은 적었다. 주르르는 전광판 소식을 접한 뒤 자체적으로 인증 이벤트를 진행했고, 통행 방해 문제가 불거진 후에는 인증 이벤트를 축소하는 등의 대응을 취했다.
지하철에 몰려든 팬들로 인해 민원이 발생했고 그 중 일부는 지하철 전광판 앞에서 절을 하거나, 특이한 복장을 입고 인증샷을 촬영하는 등의 행위를 벌였고, 이로 인해 공공질서가 훼손되었다는 지적을 받았다. 특히, 해당 인증 행위는 일부 서브컬쳐 인증샷에서 볼 수 있는 행위라고 하나, 장소가 일반인들 이용이 빈번한 공공장소의 지하철 통로였다는 점에서 팬덤의 행위에 대한 비판의 수위가 높았다.
당시 주르르는 이세돌 소속 활동 초기로 현재와 달리 규모(MCN, 개인팀 등)가 작았으며, 팬덤 통제 경험 역시 부족했다. 또한 해당 이벤트는 이세돌 측이 아닌 외부 어플리케이션 주최로 독자적으로 진행된 것을 참고하여 방송인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은 적었다. 주르르는 전광판 소식을 접한 뒤 자체적으로 인증 이벤트를 진행했고, 통행 방해 문제가 불거진 후에는 인증 이벤트를 축소하는 등의 대응을 취했다.
지하철에 몰려든 팬들로 인해 민원이 발생했고 그 중 일부는 지하철 전광판 앞에서 절을 하거나, 특이한 복장을 입고 인증샷을 촬영하는 등의 행위를 벌였고, 이로 인해 공공질서가 훼손되었다는 지적을 받았다. 특히, 해당 인증 행위는 일부 서브컬쳐 인증샷에서 볼 수 있는 행위라고 하나, 장소가 일반인들 이용이 빈번한 공공장소의 지하철 통로였다는 점에서 팬덤의 행위에 대한 비판의 수위가 높았다.
9.2. 릴파 생일 카페 방문객의 스쿨존 불법 주차 및 번호판 위반 사건 [편집]
릴파 생일 카페 이벤트의 마지막 날인 2023년 3월 12일, 경기도 수원시의 세류초등학교 정문 앞에서 릴파의 사진이 부착된 이타샤 차량[10] 등 차량 두 대가 번호판을 가린 채 불법 주차되어 있었고, 이를 목격한 인근 주민의 신고로 경찰이 출동하여 단속된 사건이다.
해당 차량 소유자들은 학교 정문 앞에 번호판을 가린 채[11] 불법 주차하였는데, 주차된 곳은 스쿨존(어린이보호구역)이자 횡단보도여서 주정차가 금지된 구역이었다.
이 사건은 신고자가 직접 개드립넷에 게시했으며, 이후 에펨코리아 포텐글에도 올라갔다.[링크16][아카이브75] @4
해당 차량 소유자들은 학교 정문 앞에 번호판을 가린 채[11] 불법 주차하였는데, 주차된 곳은 스쿨존(어린이보호구역)이자 횡단보도여서 주정차가 금지된 구역이었다.
이 사건은 신고자가 직접 개드립넷에 게시했으며, 이후 에펨코리아 포텐글에도 올라갔다.[링크16][아카이브75] @4
9.3. 러브 딜리버리 2 실존 인물 무허가 RPF 선동 및 온파이어 게임즈 해체 [편집]
왁물원 인기글에서 먼저 러브 딜리버리 2의 여주인공과 릴파의 방송 시작 배경, 머리핀, 거주지가 유사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왁물원을 비롯한 여러 이세계아이돌 커뮤니티에서 이파리들은 "릴파를 바탕으로 유사 RPF를 제작했다"며 온파이어 게임즈를 강하게 비난하였다. #1왁물원#2왁물원
이 논란으로 러브 딜리버리 2는 STOVE 플랫폼에서 판매가 중단되었으며, 이미 게임을 구매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환불 절차가 진행되었다. 결국 온파이어 게임즈는 후속작을 발표하지 못한 채 사업을 종료하였다.
왁물원에서 처음 제기된 주장은 다른 커뮤니티에도 확산되었다. 해당 주장이 사실인지 검증되지 않았음에도, 풍월량 공식 팬카페에 게시글을 올려 "해당 게임의 문제가 수정되더라도 플레이하지 말 것"을 스트리머에게 강력히 요구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풍월량 팬카페 캡처 에펨코리아에서도 왁물원과 동일한 주장이 재차 제기되며 논란이 가중되었다. #3[아카이브76]
온파이어 게임즈 측은 '릴파와 어떠한 관련도 없으며 작업에 참여한 보조 작가를 통해 이를 충분히 증명할 수 있다'고 공식 입장문을 발표하였고, 이후 여주인공 서사의 모티브가 된 당사자에게 동의까지 받고 개발했다는 내용을 밝혔다. 온파이어 게임즈 입장문 두 번째 입장문X 1차 사과문[아카이브77]
이 논란으로 러브 딜리버리 2는 STOVE 플랫폼에서 판매가 중단되었으며, 이미 게임을 구매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환불 절차가 진행되었다. 결국 온파이어 게임즈는 후속작을 발표하지 못한 채 사업을 종료하였다.
왁물원에서 처음 제기된 주장은 다른 커뮤니티에도 확산되었다. 해당 주장이 사실인지 검증되지 않았음에도, 풍월량 공식 팬카페에 게시글을 올려 "해당 게임의 문제가 수정되더라도 플레이하지 말 것"을 스트리머에게 강력히 요구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풍월량 팬카페 캡처 에펨코리아에서도 왁물원과 동일한 주장이 재차 제기되며 논란이 가중되었다. #3[아카이브76]
온파이어 게임즈 측은 '릴파와 어떠한 관련도 없으며 작업에 참여한 보조 작가를 통해 이를 충분히 증명할 수 있다'고 공식 입장문을 발표하였고, 이후 여주인공 서사의 모티브가 된 당사자에게 동의까지 받고 개발했다는 내용을 밝혔다. 온파이어 게임즈 입장문 두 번째 입장문X 1차 사과문[아카이브77]
이 과정에서 이세계아이돌의 매니저 콘셉트로 활동하며 이파리로 알려진 뢴트게늄은 자신의 팬카페에 "개씨이발럼들"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온파이어 게임즈를 향한 비난에 동참하면서 해당 논란은 더욱 심화되었다.#@@2
팬들의 움직임도 더욱 거세졌다. '게임 자체가 다시는 세상에 나올 수 없도록 나올 때마다 배급을 터트려야 한다'고 주장하거나 #@ '판매 중지가 풀릴 때마다 신고를 해야 한다'며 #1 #2[아카이브78] 과격한 발언을 이어갔다.
결국 온파이어 게임즈 측은 해당 논란을 일체 부인한 뒤 사과문을 게시하였다. 사과문에는 소속사와의 계약 만료까지 몰래 방송한 지인의 서사를 허락 하에 여주인공의 서사로 썼다고 해명했다. X 1차 사과문 X 2차 사과문 간담회 총정리[아카이브79] 그러나 바로 위 문단에 있는 이세계아이돌 갤러리의 글과 X 사과문 속 댓글처럼 이 내용 마저 믿지 못하겠다며 자신들의 편향된 추측에만 의존한 채 게임사를 비난하는 행위는 멈추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온파이어게임즈는 해체되고 현재까지도 그들이 무단 RPF를 했다는 것이 커뮤니티 내에서 사실처럼 통용되고 있다.해당 논란에 대한 2025년 4월 4일 루리웹 글 @
@아카이브1@아카이브2
# # @
한편 릴파 소속사인 패러블 엔터테인먼트는 사건 당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관련 제보를 받겠다"는 입장만 밝히며 법적 대응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 @ 하지만 사건 발생 1년이 지난 현재까지 패러블 측은 구체적인 법적 조치 결과를 공식 발표하지 않았다. 이는 당초 강경 대응을 예고했던 태도와 대비된다.
팬들의 움직임도 더욱 거세졌다. '게임 자체가 다시는 세상에 나올 수 없도록 나올 때마다 배급을 터트려야 한다'고 주장하거나 #@ '판매 중지가 풀릴 때마다 신고를 해야 한다'며 #1 #2[아카이브78] 과격한 발언을 이어갔다.
결국 온파이어 게임즈 측은 해당 논란을 일체 부인한 뒤 사과문을 게시하였다. 사과문에는 소속사와의 계약 만료까지 몰래 방송한 지인의 서사를 허락 하에 여주인공의 서사로 썼다고 해명했다. X 1차 사과문 X 2차 사과문 간담회 총정리[아카이브79] 그러나 바로 위 문단에 있는 이세계아이돌 갤러리의 글과 X 사과문 속 댓글처럼 이 내용 마저 믿지 못하겠다며 자신들의 편향된 추측에만 의존한 채 게임사를 비난하는 행위는 멈추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온파이어게임즈는 해체되고 현재까지도 그들이 무단 RPF를 했다는 것이 커뮤니티 내에서 사실처럼 통용되고 있다.해당 논란에 대한 2025년 4월 4일 루리웹 글 @
@아카이브1@아카이브2
# # @
한편 릴파 소속사인 패러블 엔터테인먼트는 사건 당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관련 제보를 받겠다"는 입장만 밝히며 법적 대응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 @ 하지만 사건 발생 1년이 지난 현재까지 패러블 측은 구체적인 법적 조치 결과를 공식 발표하지 않았다. 이는 당초 강경 대응을 예고했던 태도와 대비된다.
[아카이브] @1@2[2] 해당 게시글에서는 AI 자막 추출을 사용하여 '케리아' 선수에 대한 언급이 '캐리아'로 적혀있다.[아카이브39] @1 @2[아카이브40] @1 @2 @3 @4 인터넷방송 게시판 작성글 기록 아프리카TV 게시판 작성글 기록[아카이브41] @1 @2[아카이브42] @1 @2[7] 해당 회원은 4등급인 침팬치로, 두 번째로 높은 등급에 속한다.[8] 왁물원 내 등급 중 최고 등급에 속한다.[아카이브43] @1 @2[10] 이타샤 제작을 했다는 사실을 왁물원에 업로드한 기록이 있는 이파리이다.
#왁물원 @[11] 누구든지 등록번호판을 가리거나 알아보기 곤란하게 하여서는 아니 되며, 그러한 자동차를 운행하여서도 아니 된다(자동차관리법 제 10조 제5항, 제7항).[링크16] #1 #2 #3#4[아카이브75] @1 @2 @3[아카이브76] @1 @2 @풍캎 @3[아카이브77] 온파이어 게임즈 입장문 두 번째 입장문 X 1차 사과문[아카이브78] @1 @2[아카이브79] X 1차 사과문 X 2차 사과문 간담회 총정리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