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초시 시내버스
최근 수정 시각: ()
분류
1. 개요 [편집]
2. 노선 정보 [편집]
2.1. 시내버스 [편집]
2.2. 마을버스 [편집]
3. 도색 [편집]
4. 운임과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 [편집]
종류 | 일반인 | 청소년 | 초등학생 |
속초시 | 1,700원 | 1,360원 | 850원 |
속초시(교통카드) | 1,530원 | 1,230원 | 770원 |
3,230원 | 2,590원 | 1,620원 | |
시계외 구간요금 | 138원/km | 80% | 50% |
현재 조정된 운임은 2023년 1월 1일자로 조정된 것으로써, 교통카드 사용시 10% 요금이 할인된다. 또한 시외운행 시 구간요금은 시 경계부터의 거리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즉, 한두 정거장을 이동하더라도 만약 시 경계를 넘었다면 추가요금이 나온다는 것. 거리가 멀어서 비싼 건 어쩔 수 없지만 문제는 속초시가 상당히 작다 보니 실제 이동거리에 비해 부당하게 비싼 구간요금을 부담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는 것이다.[7]
속초시 시내버스 사용 가능 교통카드 | |
2012년 10월 1일 전국 시단위 지역중에는 마지막으로 교통카드 제도를 실시하였으며, 선불 교통카드로는 캐시비, 마이비카드, 로카모빌리티(EB), 하나로카드, 레일플러스, 티머니, 한페이를 사용할 수 있다. 후불 교통카드로는 KB국민카드, BC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농협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8]가 사용되고 있다. 마이비카드와 이비카드는 원래 사용이 불가능했으나 2013년 중반 펌웨어 개편 이후 사용이 가능해졌으며 레일플러스는 2014년 10월 25일 출시와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며, 한페이도 2014년 즈음 호환, 티머니는 2016년 1월 30일 호환되었다. 관련기사
2017년 8월 1일에 무료환승제도를 시행하였다. 속초시 시내 관내 구간만을 시내버스 노선에 한정하여 환승이 가능하며, 고성군과 양양군간의 환승제도가 아직 협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관계로 고성군과 양양군으로 나가는 시내버스 및 고성군, 양양군 인가의 노선은 무료환승 대상에서 제외 되었다. 환승시간은 90분이며 1회 한정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환승할인 적용이 되지 않는 노선 중에 속초에서 나름 핵심 노선에 속하는 1번과 9번이 있어 불편이 있는 편이다.
- 무료환승 적용 노선
- 속초시 시내 관내만을 운행하는 노선
- 마을버스 노선
- 무료환승 미적용 및 제외 노선
- 속초시 ↔ 고성군 및 양양군 경유 노선
- 고성군 및 양양군 인가 노선
- 동일 노선 환승 불가
- 무료환승 조건: 1회에 한해 90분 이내
현재 속초시 관내에 거주하거나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만 70세 이상 노인들을 위한 어르신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속초시 시내버스에 한정하며 인근 고성군이나 양양군으로 넘어가는 노선은 적용이 되지 않는다. 서울특별시에서 시행중인 기후동행카드와 성격이 비슷하다[9].
5. 특성 [편집]
- 도시가 작고 인근 지자체와 인접해 있기 때문에 남쪽의 양양군, 북쪽의 고성군을 잇는 노선과 서쪽의 설악산소공원 및 한화리조트, 델피노리조트를 잇는 노선, 시내 중심지와 조양동 및 교동의 택지지역을 잇는 시내순환 노선으로 크게 삼분되어 있다.[12]
- 1번 계열 노선들(1-1,3-1,7-1,9-1)은 본선들(1,3,7,9)과는 달리 영랑동을 경유하지 않고 시외버스터미널-속초의료원을 경유한다.
- 시내버스 운수사의 근로시간제 시행으로 노선 감축이 불가피해지자 소외지역인 바람꽃마을, 장천마을, 이목리 지역 등을 잇는 속초시 마을버스를 2019년 7월에 개통하였다. 다만 1일 운행횟수가 1~3회로 배차간격이 매우 길고, 명확하지 않은 운행노선과 시간표 등으로 이용객은 그다지 많지 않은 편이다.
- BIS가 존재하나, 2022년 3월부터 카카오 지도나 네이버 지도에서 실시간 위치를 검색할 경우 시스템 점검중이라고만 뜨며 BIS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가, 2023년 3월경 정상화되었다. 단, 간성영업소 차량은 BIS에 조회되지 않기 때문에 1번 버스를 탈 때는 배차간격이 실제보다 길어보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 막차가 매우 이른 편이다. 속초 시내 기준 22시 이후에 모든 버스가 끊긴다. 속초시에서 제일 늦게까지 운행하는 4번 마을버스 막차가 시청 21:10이다.
[A] 1.1 1.2 2023년 11월 기준[3] 아예 없는건 아니고 마을버스 3번이 지나긴 한다.[4] 본래 500번이 해당 도로를 경유했었으나 폐지되었다.[5] 속초시계(쌍천교)를 넘어서면서 거리비례요금 징수(속초 장사동 종점 ↔ 설악산입구까지 속초 시내 요금 적용, 설악산입구 ↔ 양양군 강현면 물치리부터 시계외요금 적용.)[6] 강원여객 9, 9-1, 9-2 노선 한정[7] 속초시 설악동에서 양양읍내까지는 약 11~12km인데 요금은 3230원이다. 1km당 250원이 넘는다.[8] 롯데카드, 현대카드는 전국 공통인 MT형이 아니면 M형을 사용하는 원주·횡성을 제외한 다른 강원도 지역과 마찬가지로 T형만 사용 가능.[9] 차이가 있다면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민은 물론 내외국인이나 연령 무관으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있지만 속초시 어르신 카드는 만 70세 이상 속초시민 및 노인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역, 공항버스를 제외하고 경기도를 오가는 서울 차적 간선, 지선버스는 경기도 안에서도 사용가능하나 속초시 어르신 카드는 인접 고성, 양양군에서 관할하는 속초시 출입 노선에서 사용이 불가하다.[10] 고성군 관할(간성영업소) 차량이 운행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따라서 1번과 1-1번에서는 사용이 어렵다.[11] 속초시 관할 차량은 버스 전면에 속초시 어르신 교통카드 시행 문구가 부착되어 있다.[12] 서쪽에 인제군이 접하고 있지만 설악산이 있다. 따라서 미시령을 넘어야 하는데 현재 미시령터널은 요금제이고 미시령옛길은 길이 험하고 폭설, 폭우, 태풍, 산사태 등으로 인한 통제가 잦아 미시령만 넘으면 노선을 만드는 것이 가능한 상황임에도 인제군에서 속초를 잇는 버스는 아직 없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