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에트 공화국
최근 수정 시각: ()
1. 개요 [편집]
러시아어: Сове́т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영어: Soviet Republic/Council Republic
소비에트 공화국, 혹은 평의회 공화국은 몇몇 공산주의 국가의 국호로 쓰였다.
주로 소련의 구성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국호가 등장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는 소련 밖에서도 쓰인 적이 있으나, 그런 국가의 대부분이 미승인국이나 괴뢰국인 경우가 많았으며 대부분이 소련과 같이 국체를 길게 유지하지 못했다. 냉전기 이후로 이 국호를 유지한 것은 소련의 구성국들뿐이었고,[1] 1991년 소련 붕괴 이후에는 완전히 소멸하였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Soviet Socialist Republic)은 영어로 SSR, 러시아어로는 ССР로 줄였다. 이들을 묶은 연방이 소련, 즉 USSR(СССР)이다. 유고슬라비아는 이와 비슷하지만 '소비에트'는 없고 각 구성국을 SR(Socialist Republic)로 칭했다. 현재 이들 국가는 해체되었기 때문에(소련 해체, 유고슬라비아 전쟁) 연방 시절 구성국이었던 시기를 표현할 때 '우크라이나 SSR', '크로아티아 SR' 식으로 부르곤 한다.
영어: Soviet Republic/Council Republic
소비에트 공화국, 혹은 평의회 공화국은 몇몇 공산주의 국가의 국호로 쓰였다.
주로 소련의 구성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국호가 등장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는 소련 밖에서도 쓰인 적이 있으나, 그런 국가의 대부분이 미승인국이나 괴뢰국인 경우가 많았으며 대부분이 소련과 같이 국체를 길게 유지하지 못했다. 냉전기 이후로 이 국호를 유지한 것은 소련의 구성국들뿐이었고,[1] 1991년 소련 붕괴 이후에는 완전히 소멸하였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Soviet Socialist Republic)은 영어로 SSR, 러시아어로는 ССР로 줄였다. 이들을 묶은 연방이 소련, 즉 USSR(СССР)이다. 유고슬라비아는 이와 비슷하지만 '소비에트'는 없고 각 구성국을 SR(Socialist Republic)로 칭했다. 현재 이들 국가는 해체되었기 때문에(소련 해체, 유고슬라비아 전쟁) 연방 시절 구성국이었던 시기를 표현할 때 '우크라이나 SSR', '크로아티아 SR' 식으로 부르곤 한다.
2. 이 국호를 썼던 나라들 [편집]
- 라트비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1940년 이후에 세워진 소련 구성국 라트비아와는 다른 국가다.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1918): 1940년 이후에 세워진 소련 구성국 리투아니아와는 다른 국가로 리투아니아-벨라루스로 합쳐졌다.
- 벨로루시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1919년)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공화국: 위의 인민공화국과는 다른 국가다.
[1] 이외의 공산권 국가는 '인민 공화국', '민주 공화국', '사회주의 공화국'과 같은 국호를 사용했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