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동(서울)

최근 수정 시각: ()
종로구행정동
사직동
社稷洞 | Sajik-dong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행정표준코드
3000042
관할 법정동
[ 펼치기 · 접기 ]
통의동, 적선동, 체부동,
필운동, 내자동, 사직동,
도렴동, 당주동, 내수동,
세종로, 신문로1~2가
하위 행정구역
16통 68반
면적
  1. 23㎢
인구
8,995명[1]
인구밀도
7,403.25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종로구
곽상언 (초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1선거구
윤종복 (초선)
종로구의원 | 가 선거구
여봉무 (재선)
이응주 (초선)
주민센터
경희궁1길 15 (신문로2가 1-122)
1. 행정동
1.1. 개요1.2. 행정구역 변동사1.3. 주요 시설
1.3.1. 기관1.3.2. 공원1.3.3. 상업1.3.4. 교육
1.3.4.1. 초등학교1.3.4.2. 고등학교
1.3.5. 주거
1.3.5.1. 아파트1.3.5.2. 오피스텔
1.4. 교통
1.4.1. 버스1.4.2. 철도
1.4.2.1. 도시철도
1.4.3. 도로
1.4.3.1. 대로1.4.3.2. 로1.4.3.3. 길1.4.3.4. 터널
2. 법정동
2.1. 개요2.2. 상세
3. 출신 인물4. 관련 문서

1. 행정동 [편집]

1.1. 개요 [편집]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행정동. 동주민센터는 경희궁1길 15(신문로2가 1-122)에 있다. 사직동, 체부동, 필운동, 내자동, 통의동, 적선동, 도렴동, 당주동, 내수동, 신문로1가, 신문로2가의 전 지역과 세종로(1번지, 76번지 2호, 76번지 14호, 82번지 1호, 82번지 14호, 100번지, 139번지 제외)를 관할한다.

이 지역을 기준으로 뒷편은 산지가 시작되는 청운효자동평창동으로 가는 방향이고, 앞편에는 도심이 위치하였기 때문에 예전부터 이 지역은 서울 북부의 대표적인 부촌 지역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 때문에 주변에 있는 평창동과 함께 종로구 내에서 보수 성향이 가장 강한 지역으로 꼽힌다.

1.2. 행정구역 변동사 [편집]

1955년 4월 18일 행정동제의 실시 때 현 사직동 외에도 여러 행정동이 있었다.
  • 신문동 - 신문로 1,2가
  • 중앙동 - 당주동, 도렴동, 세종로(1번지 제외)
  • 종교동 - 내수동, 내자동
  • 사직동 - 사직동
  • 매동 - 필운동, 체부동
  • 백송동 - 통의동, 적선동

1970년 5월 5일 행정동 개편이 있었다.
  • 세종로동 - 중앙동(당주동, 도렴동, 세종로[1번지 제외] + 종교동 일부(내수동)
  • 신문로동 - 신문동(신문로 1, 2가) 개칭
  • 체부동 - 매동(필운동, 체부동) 개칭 + 종교동 일부(내자동)
  • 사직동
  • 효자동 - 백송동(통의동, 적선동) + 청송동(창성동, 효자동)
1975년 10월 1일 행정동 개편이 있었다.[2]
  • 세종로동 - 신문로동(신문로 1,2가) + 세종로동(당주동, 도렴동, 내수동, 세종로[1번지 제외]) 합동
  • 사직동 - 사직동 + 체부동(필운동, 체부동, 내자동) 합동
  • 효자동 - 효자동(통의동, 적선동, 창성동, 효자동) + 옥인동 일부(통인동) 합동

1977년 9월 1일 행정동 개편이 있었다.
  • 세종로동 - 신문로 1,2가, 당주동, 도렴동, 내수동, 세종로[3]
  • 사직동 - 사직동(사직동, 필운동, 체부동, 내자동) + 효자동 일부(통의동, 적선동) 합동

1998년 12월 1일 행정동 개편이 있었다. 현재의 행정동 사직동이다.
  • 사직동 - 사직동(사직동, 필운동, 체부동, 내자동, 통의동, 적선동)과 세종로동(신문로 1,2가, 당주동, 도렴동, 내수동, 세종로) 합동.

1.3. 주요 시설 [편집]

1.3.1. 기관 [편집]

1.3.2. 공원 [편집]

1.3.3. 상업 [편집]

1.3.4. 교육 [편집]

1.3.4.1. 초등학교 [편집]

행정동 사직동 관내에는 필운동에 매동초등학교가 있다. 다만 관내 모든 지역이 매동초등학교의 통학구역은 아니며 경희궁의 동쪽, 경희궁의 아침 아파트의 밑으로는 서울덕수초등학교로 통학한다. 중학교는 대신중학교배화여자중학교로 진학하는 편이다.
1.3.4.2. 고등학교 [편집]

1.3.5. 주거 [편집]

1.3.5.1. 아파트 [편집]
  • 광화문 스페이스본 1단지 (사직로8길 4)
  • 광화문 스페이스본 2단지 (경희궁길 57)
  • 신동아 블루아 광화문의 꿈 (사직로 102)
  • 덕수궁 디팰리스 (새문안로2길 10)
  • 파크팰리스 (사직로8길 20)
  • 경희궁의 아침 2단지 (사직로8길 24)
  • 경희궁의 아침 3단지 (사직로8길 34)
  • 경희궁의 아침 4단지 (새문안로3길 23)
  • 세종로 대우 아파트 (새문안로3길 30)
  • 세종아파트 (세종대로23길 54)
  • 신문로 빌딩 (새문안로3길 12)
  • 미도파 (세종대로23길 47)
1.3.5.2. 오피스텔 [편집]
  • 파크뷰타워오피스텔 (사직로 96)
  • 쌍용플래티넘오피스텔 (새문안로5가길 28)
  • 광화문시대오피스텔 (사직로8길 42)
  • 용비어천가오피스텔 (새문안로3길 36)
  • 광화문오피시아오피스텔 (새문안로 92)

1.4. 교통 [편집]

1.4.1. 버스 [편집]

1.4.2. 철도 [편집]

1.4.2.1. 도시철도 [편집]

1.4.3. 도로 [편집]

1.4.3.1. 대로 [편집]
1.4.3.2. [편집]
1.4.3.3. [편집]
1.4.3.4. 터널 [편집]

2. 법정동 [편집]

종로구법정동
사직동
社稷洞 | Sajik-dong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종로구
행정표준코드
1111011500
관할 행정동
사직동
면적
0.28㎢

2.1. 개요 [편집]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법정동. 행정동 사직동의 관할에 속한다. 동명은 사직로 89에 있는 사직단에서 유래하였다.

2.2. 상세 [편집]

사직로가 동의 중앙부를 동서로 관통한다. 사직로의 위쪽으로 사직단서울특별시교육청종로도서관, 서울특별시교육청 어린이도서관이 있고 행촌동 방향으로 종로문화체육센터가 자리잡고 있다. 인왕산 안쪽으로는 단군성전과 황학정이 위치해있다. 사직로 위쪽 동네는 대중교통으로 서울 버스 종로05를 이용할 수 있다.

사직로 아래쪽은 주로 주택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사직2구역은 빈집이 많은 낙후지역이며 래미안 광화문이 들어설 예정이다. 과거 사직1구역에는 광화문 스페이스본 1,2단지가 있다.

3. 출신 인물 [편집]

4. 관련 문서 [편집]

[1] 2024년 9월 주민등록인구[2] 서대문구, 동대문구의 일부 편입이 있었다.[3] 법정로 세종로는 행정동 청운동 편입[4] 세종로 76번지 4호[5] 세종로 84번지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