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기

최근 수정 시각: ()
분류
사사기
/
판관
◀ 이전 장
다음 장 ▶
표기
Book of Judges영어
Livre de Juges프랑스어
Liber Iudicum라틴어
사사기/판관기한국어
저자
분량
21장
1. 개요

1. 개요 [편집]

《사사기》(Judges)는 히브리 성경과 기독교 구약성경의 역사서 중 하나로, 여호수아가 죽은 이후부터 이스라엘에 왕이 세워지기 전까지의 혼란스러운 시기를 다룬 책이다. 히브리어 원제는 “쇼페팀(שֹׁפְטִים)”으로, ‘재판관들’ 또는 ‘지도자들’을 뜻한다. 여기서 말하는 ‘사사’(士師)는 단순히 재판을 하는 재판관이 아니라, 군사적 지도자, 종교적 중재자, 민족의 구원자 역할을 수행한 지역적 리더를 의미한다.

사사기의 중심 주제는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죄 – 징계 – 회개 – 구원 – 평화 – 재타락”의 사이클이다. 이스라엘 백성은 가나안 정복 후 각 지파별로 흩어져 살게 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하나님을 잊고 우상숭배에 빠지며, 그 결과로 이방 민족들의 억압과 침략을 받는다. 그러면 백성은 하나님께 부르짖고, 하나님은 사사를 일으켜 그들을 구원하신다. 하지만 사사가 죽고 나면, 백성은 다시 우상과 악행에 빠지는 영적·도덕적 퇴행의 역사가 반복된다.

책에 등장하는 주요 사사들로는 에훗, 드보라, 기드온, 입다, 삼손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특정 시기 특정 지역에서 활동한 인물들로, 통일된 국가 지도자가 없었던 이스라엘의 약점을 상징하기도 한다. 특히 여성 사사 드보라, 수수께끼와 괴력을 가진 삼손, 믿음과 의심 사이에서 갈등하는 기드온 같은 인물들은 단순한 전사라기보다 복합적이고 인간적인 존재들로 묘사된다.

사사기는 또한 이스라엘의 도덕적 혼란과 사회적 붕괴를 드러내는 사건들로 가득하다. 후반부에는 레위인 첩 사건, 베냐민 지파 전쟁, 미가의 신상과 단 지파의 우상 숭배 사건 등, 공공 정의의 부재와 종교 타락, 윤리적 붕괴가 적나라하게 그려진다. 이 모든 내용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한 구절로 집약된다: “그 때에 이스라엘에 왕이 없으므로 각기 자기 소견에 옳은 대로 행하였더라.”

이 책은 이스라엘이 왕을 필요로 하게 된 역사적·신학적 배경을 제시하는 과도기적 문서로 이해되며, 사무엘상·열왕기서로 이어지는 이스라엘 왕정 시대 서사의 도입부 역할을 한다. 동시에 이는 하나님의 통치를 거부하고 인간의 판단대로 살아갈 때 혼돈과 타락이 필연적임을 보여주는 신학적 경고이기도 하다.

결국 《사사기》는 이스라엘이 하나님과의 언약에서 점점 멀어져 갈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그리고 그 속에서도 끊임없이 구원을 베푸시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보여주는, 어두우면서도 은혜가 깃든 역사서라 할 수 있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