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의 원흉이 되는 최강악역 최종보스 여왕은 국민을 위해 헌신합니다(애니메이션 1기)
최근 수정 시각: ()
분류
비극의 원흉이 되는 최강악역 최종보스 여왕은 국민을 위해 헌신합니다 (2023) 悲劇の元凶となる最強外道 ラスボス女王は民の為に尽くします。 The Most Heretical Last Boss Queen From Villainess to Savior | |||||||||||||||||||||||||||||||||||||||||||||||||||||
|
1. 개요 [편집]
일본의 라이트 노벨 비극의 원흉이 되는 최강악역 최종보스 여왕은 국민을 위해 헌신합니다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1기. 감독은 닛타 노리오, 방영 시기는 2023년 7월.
2. 공개 정보 [편집]
2.1. PV [편집]
2.1.1. 대한민국 [편집]
애니맥스 PV |
2.1.2. 일본 [편집]
티저 PV |
PV 1탄 |
PV 2탄 |
2.2. 키 비주얼 [편집]
3. 줄거리 [편집]
8세의 왕녀 프라이드 로열 아이비
그녀는 갑자기 전생의 그녀가 일본에 사는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났던 어디에나 있는
평범한 소녀였던 것을 깨닫는다.
그리고 지금 자신의 모습은 여성향 게임의
최강 악역 최종 보스인 것을…
다시 태어난 곳은 여성향 게임
"너와 한 줄기 빛을"의 세계. 게임 스토리에서
프라이드 는 나라와 국민을 괴롭히는 최악의 여왕이 된다.
자신이 그런 최종 보스라는 것을 깨달은 그녀는
게임을 했던 기억을 바탕으로 자신만이
할 수 있는 '비극의 회피'를 목표로 한다.
앞으로 일어날 비극을 회피하고 등장인물들
모두 행복해질 수 있는 세계를 만들기 위해
나라를 위해 국민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능력 최고, 최강 악역 왕녀의 최종 보스 회피 판타지.
4. 등장인물 [편집]
5. 설정 [편집]
6. 주제가 [편집]
6.1. OP [편집]
OP 救世主 구세주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노래 | |||||||||||||||||||||||||||||||||||||||||||||||||||||||||||||||||||||||||||||||||||||||||||||||||||||||||||||||||||||||||||||||||||||||||||||||||||||||||||||||||||||||||||||
작사 | |||||||||||||||||||||||||||||||||||||||||||||||||||||||||||||||||||||||||||||||||||||||||||||||||||||||||||||||||||||||||||||||||||||||||||||||||||||||||||||||||||||||||||||
작곡 | |||||||||||||||||||||||||||||||||||||||||||||||||||||||||||||||||||||||||||||||||||||||||||||||||||||||||||||||||||||||||||||||||||||||||||||||||||||||||||||||||||||||||||||
편곡 | 月詠み 히로사와 유야(廣澤優也) | ||||||||||||||||||||||||||||||||||||||||||||||||||||||||||||||||||||||||||||||||||||||||||||||||||||||||||||||||||||||||||||||||||||||||||||||||||||||||||||||||||||||||||||
|
6.2. ED [편집]
ED PRIDE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노래 | 쵸큐메이(チョーキューメイ) | ||||||
작사 | 우루하(麗) | ||||||
작곡 | |||||||
편곡 | |||||||
|
7. 회차 목록 [편집]
회차 | 제목[1]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我儘王女は目を覚ます~ 제멋대로 왕녀가 눈을 뜨다 | 아카오 데코 (赤尾でこ) | 시무라 조지 (志村錠児) | 키노시타 유키에 (木下雪映) 토시다 카즈유키 (土信田和幸) 오카다 에리카 (岡田絵里香) 無鍚櫻花アニメーション | 나카야마 유미 (中山裕美) | 日/韓: 2023.07.07. 하이라이트 | |
제2화 | ~極悪王女は義弟に願う~ 극악 왕녀는 의동생에게 바란다 | 누마야마 마유 (沼山茉由) | 에지마 아카리 (江島あかり) 우에아카 유카리 (上赤由香里) 카와모토 카즈타카 (川本和孝) 사토 나츠미 (佐藤なつみ) 타케우치 히로시 (竹内 寛) 핫토리 미유 (服部未夢) 후지 아야나 (藤 彩七) 모리이즈미 아야코 (森泉亜矢子) | 日/韓: 2023.07.14. 하이라이트 | |||
제3화 | ~外道王女と騎士団~ 악역 왕녀와 기사단 | 히라타 타카히로 (平田貴大) | 자오샤오촨 (趙小川) 王敏 陳玲玲 장하이화 (姜海華) 徐超 | 나카야마 유미 코노 히토미 (河野仁美) | 日/韓: 2023.07.21. 하이라이트 | ||
제4화 | ~最低王女と誓いの青年~ 최악의 왕녀와 맹세의 청년 | 아키야마 토모코 (秋山朋子) | 이시이 노조미 (石井希美) | 키노시타 유키에 이보라 (李普螺) 무라타 마코토 (村田 誠) 야마가타 아키 (山縣亜紀) | 나카야마 유미 | 日/韓: 2023.07.28. 하이라이트 | |
제5화 | ~酷悪王女と剣~ 악역 왕녀와 검 | 이후쿠베 타카시 (伊福部 崇) | 나가시마 아키코 (永島昭子) | 시무라 조지 | 키노시타 유키에 토시다 카즈유키 오카다 에리카 야마가타 아키 | 쇼우지 야스카즈 (東海林康和) 사토 타카 (佐藤 陵) | 日/韓: 2023.08.04. 하이라이트 |
제6화 | ~自己中王女は裁く~ 자기중심적인 왕녀는 판결한다 | 츠치야 미치히로 (土屋理敬) | 타니구치 코사쿠 (谷口工作) | 누마야마 마유 | 카케다 센코 (懸田扇子) 紫灯珈 카와모토 카즈타카 (川本和孝) 시미즈 료타 (清水椋大) 하타 아이코 (秦 相子) 스즈키 리노 (鈴木莉乃) 엔도 리카 (遠藤里蘭) 니시하라 치아키 (西原千晶) | 쿠와바라 마이 (桑原麻衣) 나카야마 유미 코노 히토미 | 日/韓: 2023.08.11. 하이라이트 |
제7화 | ~冷酷王女とヤメルヒト~ 냉혹한 왕녀와 고뇌하는 자 | 이후쿠베 타카시 | 닛타 노리오 | 모리타 유키 (森田侑希) | 자오샤오촨 陳玲玲 장하이화 | 나카야마 유미 | 日/韓: 2023.08.18. 하이라이트 |
제8화 | ~無礼王女と裁き~ 무례한 왕녀와 심판 | 아키야마 토모코 | 니시다 켄이치 (西田健一) | 오오노 미요 (大野美葉) 이보라 무라타 마코토 (村田 誠) 성원용 (成元鎔) 박가연 (朴佳連) 조경주 (曺暻柱) | 쇼우지 야스카즈 사토 타카 | 日/韓: 2023.08.25. 하이라이트 | |
제9화 | ~残酷王女と罪人~ 잔혹한 왕녀와 죄인 | 아카오 데코 | 닛타 노리오 이시이 테루 (石井 輝) | 이시이 테루 | 키노시타 유키에 야마가타 아키 토시다 카즈유키 오카다 에리카 쿠로사와 히로미 (黒澤浩美) | 쿠와바라 마이 코노 히토미 | 日/韓: 2023.09.01. 하이라이트 |
제10화 | ~薄情王女は潜入する~ 냉정한 왕녀는 잠입한다 | 츠치야 미치히로 | 나가시마 아키코 | 누마야마 마유 | 타케우치 히로시 에지마 아카리 카와모토 카즈타카 후지 아야나 나카가와 미노루 (中川 実) 호소카와 마나 (細川茉奈) 엔도 리카 와타나베 잇페이타 (渡辺一平太) | 나카야마 유미 | 日/韓: 2023.09.08. 하이라이트 |
제11화 | ~残酷王女と命令~ 잔혹한 왕녀와 명령 | 이후쿠베 타카시 | 아키야마 토모코 | 이시이 노조미 (石井希美) | 오오노 미요 이보라 무라타 마코토 야마가타 아키 아키모토 유이치 (秋元勇一) | 쇼우지 야스카즈 사토 타카 아베 유리 (阿部祐里) | 日/韓: 2023.09.15. 하이라이트 |
제12화 | ~悪虐王女は未来に向かう~ 극악무도 왕녀는 미래로 향한다 | 아카오 데코 | 닛타 노리오 | 키노시타 유키에 야마가타 아키 토시다 카즈유키 오카다 에리카 쿠로사와 히로미 | 코노 히토미 쿠와바라 마이 야마토 아오이 | 日/韓: 2023.09.22. 하이라이트 |
8. 해외 공개 [편집]
8.1. 대한민국 [편집]
한국에는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2023년 3분기 한일 동시방영작으로 가져와 자막으로 방영하였다.
9. 평가 [편집]
9.1. 방영 전 [편집]
제작사 OLM의 에이스 애니메이터들이 2022년에 대거 퇴사하여 코지마 히로아키를 따라가 버그 필름스로 이적한 정황이 있어 퀄리티 하락의 우려가 존재한다. 또 감독 닛타 노리오는 OLM에 오래 재직하긴 했으나 애니메이터 인맥이 적고, 프로듀서 요시오카 다이스케도 작화에 투자를 하는 프로듀서는 아니었기 때문에 에이스 인물들의 공백 악영향을 직빵으로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인신매매 섬멸전 관련 정보가 트위터[2] 및 PV 2탄[3]에서 공개된 것, 그리고 방영 개시 1달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2차 PV까지 공개되었음에도 캐릭터 소개에 레온이 추가되지 않는 것[4]으로 보아 애니메이션 분량은 섬멸전까지인 것으로 추정된다. 팬덤에서도 보통 1쿨 구성이라면 질베르 에피소드 또는 섬멸전 에피소드까지일거라는 게 가장 주된 예상이었다.
인신매매 섬멸전 관련 정보가 트위터[2] 및 PV 2탄[3]에서 공개된 것, 그리고 방영 개시 1달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2차 PV까지 공개되었음에도 캐릭터 소개에 레온이 추가되지 않는 것[4]으로 보아 애니메이션 분량은 섬멸전까지인 것으로 추정된다. 팬덤에서도 보통 1쿨 구성이라면 질베르 에피소드 또는 섬멸전 에피소드까지일거라는 게 가장 주된 예상이었다.
9.2. 방영 후 [편집]
수려한 영상미와 드라마 전개를 지켜낸 수작으로 평가받은 악영 영애물이다.
- 스토리
과거 악행 전개를 그대로 재현하여 보여주는 트라우마 자극 전개를 통해 작품에 이입시키는 자극적 드라마 전개를 취하고 있다. 덕분에 원작보다도 다양한 시청층에게 쉽게 어필하며 빠른 몰입을 유도해냈다. 이를 기반으로 스토리 몰입력이 뛰어난 작품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 성우
드라마 전개가 가장 주요 매력으로 어필된 만큼 주인공 프라이드 로열 아이비 역할의 파이루즈 아이를 비롯한 조연 모두가 뛰어난 정극 연기를 보여주었다. 특히 아이의 울음 연기가 필요했던 스테일 로열 아이비의 어린 시절 연기를 우치다 마아야가 훌륭하게 소화해주었다는 평을 받았다. 그 외에는 4화에서도 높은 퀄리티의 연설대담에서 다양한 성우의 연기력이 빛난 덕에 대단한 호평을 받았다.
10. 기타 [편집]
- 해당 작품은 스토리 반영 비율로만 보면 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이긴 하지만 작화로는 동명의 라이트 노벨 원작 만화를 원형으로 삼고 있다. 이로 인해 캐릭터 원안에 코믹스 작가의 이름이 크레딧에 올라와 있다.[6]
[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2] 섬멸전 에피소드에서 첫 등장하는 캐릭터인 세페크와 케메트의 성우가 트위터에 공개되었다.[3] 바르가 우는 장면과 사복 아서가 동굴에서 도적단을 상대하는 전투씬은 섬멸전의 장면이다. 원작 2부까지 포함해도 아서가 기사단의 단복이나 갑옷이 아닌 사복 차림으로 다수의 도적을 상대로 전투하는 장면은 섬멸전밖에 없다.[4] 곁가지 에피소드를 제외하고 섬멸전 바로 다음 에피소드가 바로 레온 에피소드다.[5] 다만 종영 1년 뒤인 2024년에는 주어진 예산 안에 노력한 것이라고 재평가되기도 했다. #[6] 단순히 이름만 올라온 게 아니라, PV를 보면 그림체 자체가 원작이 아니라 코믹스 기반이다. 원작의 그림체가 너무 별로거나 호불호가 강하면 원작의 그림체를 따르지 않고 코믹스처럼 다른 쪽으로 가는 경우가 없진 않다. 반대로 원작의 삽화가 준수하더라도 극화 하기엔 부적절한 화풍인 경우 좀 더 그리기 쉬운 작화인 코믹스의 그림체를 채용하기도 한다. 이미 앞서 극성 라이트 노벨 팬들이 코믹스 작가에게 사이버불링을 저질러 결국 작가는 코믹스 제작을 중단했고 더 이상 코미컬라이즈 의뢰를 안 받겠다는 선언을 했지만, 제작 과정에 어느 정도 관여를 했거나 혹은 코믹스의 그림체와 디자인을 사용하겠다는 합의가 이루어진 듯.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