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 아카이브 The Animation
최근 수정 시각: ()
블루 아카이브 The Animation (2024) ブルーアーカイブ The Animation Blue Archive The Animation | ||||||||||||||||||||||||||||||||||||||||||||||||||||||||||||||||||||||
|
1. 개요 [편집]
동료, 학교, 우리가 있는 곳.
仲間。学校。私たちの居場所。
2. 공개 정보 [편집]
원작 게임이 런칭부터 스토리와 캐릭터 양면에서 큰 반향과 인기를 얻으면서 TVA 제작에 대한 열망의 목소리가 커져왔다. 애니메이션, 영화화 등 미디어 믹스 전개는 게임을 더 팔기 위해선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실적이기 때문에 늦든 빠르든 언젠가는 나올 것이라고 확신하는 반응도 적지 않았다. 공식적으로 애니화 가능성이 처음 밝혀진 것은 G-CON X IGC 2021에서의 강연으로 해당 강연에서 김용하 프로듀서는 블루 아카이브의 IP 확장과 애니화 가능성 질문에 PD 개인적으로도 애니화를 원한다고도 밝혔고 Yostar와도 여러 방면에서 협의를 하고 있다고 답변하여 장기적으로는 TV 애니메이션이 제작될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또한 TVA 제작 발표 전에도 여러 단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TVA화에 대해 어느 정도 암시도 있었다.
2023년 1월 22일 개최된 2주년 방송 블루아카 라이브! 세컨드 애니버서리 SP에서 TV 애니메이션 제작이 결정되었다. 여기서는 제작 사실과 아로나가 그려진 티저 비주얼만 공개하였으며, 그 외 PV와 세부 제작진 및 캐스트는 추후에 미루었다.
2023년 7월 23일, 여름의 블루아카 라이브! 앗뜨뜨 SP 방송에서 2.5주년 숏 애니 제작 소식과 함께 TV 애니메이션 주요 제작진으로 감독은 야마기시 다이고, 캐릭터 디자인 및 총 작화감독은 하기와라 히로미츠, 제작사는 Yostar Pictures / studio CANDY BOX로 공개되었으며, 여기에 아로나와 스나오오카미 시로코의 설정화가 공개되었다.
야마기시 다이고 감독은 감독 코멘트를 통해 "때로는 격렬하고 그럼에도 조금은 슬픈 그녀들만의 청춘 이야기로 만들고 싶다." 라고 코멘트했다.
공개 시기에 대해서는 일단 IGC에서 김용하 프로듀서가 2024년 초에 공개된다고 코멘트했다.
2023년 12월 진행된 대만 서버 인터뷰에서 김용하 PD가 언급한 바로는 본 애니메이션은 최종 감독 단계에 이르렀으며 메인 스토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진다고 한다. #
원작이 되는 게임의 스토리가 상당히 길고 세계관 또한 방대한 편이라 이를 어떻게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가도 주요 논의점 중 하나였다. 앤솔러지 코믹스처럼 옴니버스 식으로 나오지 않겠냐는 이야기부터 그래도 스토리 빼면 남는 게 캐릭터 말고 없으니 스토리를 중심적으로 다루는 시즌제일 가능성이 높다는 등의 추론이 많이 오갔다.
현재 애니메이션 제작이 최종 감독단계에 이르렀습니다. ⋯(중략)⋯ TV 애니메이션의 줄거리는 게임의 주요 스토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김용하 총괄PD (출처: 4GAMERS)
이후 대만에서 열린 G-EIGHT에서 김용하 총괄PD는 제작이 순탄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했으며, 메인 스토리를 기반으로 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년 1월 13일에 공개된 아니메 재팬 참여 리스트에서 쇼치쿠 산하로 참여한다고 한다. #1 #2 여기에 Anime Japan 2024 참가 명단에서 밝혀진 제작위원회 명칭이 '아비도스 상점가'로 밝혀지고 2024년 1월 진행된 3주년 공식 방송에서 대책위원회 멤버들이 그려진 키 비주얼과 티저 PV가 나오면서 본작에서는 Vol.1 대책위원회 편을 진행하는 게 사실상 확정되었다.
2024년 1월 20일에 개최된 3주년 방송 블루아카페스! ~3큐베리머치, 선생님♪~ 스페셜 스테이지 1일차에서 밝혀진 정보에 따르면 예상대로 Vol.1 대책위원회 편의 애니메이션화임이 확정되었다. 이 시점에서 등장 캐릭터는 아로나, 대책위원회, 흥신소 68만 공개되었으며, 또한 홈페이지와 X(구 트위터)가 갱신되어 상당한 양의 정보가 공개되었다.
그 후 다음날인 2024년 1월 22일부터 공식 X(구 트위터)에 공개된 캐릭터들의 아침 인사가 업로드되었다. 또한 동년 1월 29일에 아로나의 아침 인사와 함께 설정화가 다시 공개됐는데, # 첫 공개 때 같았던 동공 색상을 수정한 것이 확인됐다.
2024년 3월 11일, 구체적인 방영 시기가 공개되었다. 테레비 도쿄 계열에서는 4월 7일부터 매주 일요일 23시 45분마다 방영되며, BS11 한정으로 4월 9일부터 매주 화요일 00시 00분마다 방영된다. #
2024년 3월 23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AnimeJapan 2024의 출전이 결정되었다. Yostar 부스에서 토크 스테이지, 코스프레 촬영회 등이 실시되었으며, 첫날인 3월 23일에는 15:00~16:00에, 두 번째 날인 3월 24일에는 14:00~15:00에 진행된 스페셜 스테이지를 통해 본작의 최신 정보도 공개되었다.
그 후 다음날인 2024년 1월 22일부터 공식 X(구 트위터)에 공개된 캐릭터들의 아침 인사가 업로드되었다. 또한 동년 1월 29일에 아로나의 아침 인사와 함께 설정화가 다시 공개됐는데, # 첫 공개 때 같았던 동공 색상을 수정한 것이 확인됐다.
2024년 3월 11일, 구체적인 방영 시기가 공개되었다. 테레비 도쿄 계열에서는 4월 7일부터 매주 일요일 23시 45분마다 방영되며, BS11 한정으로 4월 9일부터 매주 화요일 00시 00분마다 방영된다. #
2024년 3월 23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AnimeJapan 2024의 출전이 결정되었다. Yostar 부스에서 토크 스테이지, 코스프레 촬영회 등이 실시되었으며, 첫날인 3월 23일에는 15:00~16:00에, 두 번째 날인 3월 24일에는 14:00~15:00에 진행된 스페셜 스테이지를 통해 본작의 최신 정보도 공개되었다.
2.1. PV [편집]
2.1.1. 본편 [편집]
제작 결정 PV |
티저 PV |
애니박스 PV |
방송 직전 PV |
1분으로 알아보는 블루 아카이브 |
2.1.2. 캐릭터 [편집]
2.2. 키 비주얼 [편집]
티저 비주얼 | 키 비주얼 |
2.3. AnimeJapan [편집]
2024년 3월 23일 ~ 24일 양일간 진행된 AnimeJapan 2024에서 특설 코너를 통해 애니메이션 관련 다양한 정보가 공개되었다.
2.3.1. 1일차 [편집]
AnimeJapan 스페셜 스테이지 Day1 |
2024년 3월 23일, 1일차 스페셜 스테이지가 진행되었다.
- 최초로 작중 선생의 모습이 공개되었으나, 탈진해 엎드러진 모습으로 엉덩이만 나왔다. 선생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2일차에 공개되었다.
2.3.2. 2일차 [편집]
AnimeJapan 스페셜 스테이지 Day2 |
3월 24일, 2일차 스페셜 스테이지가 진행되었다.
- 애니메이션판 선생의 모습이 공개되었다.
- 선생의 성우가 사카타 쇼고로 공개되었다. 성우 본인이 직접 스테이지에 등장했는데, 설정화와 매우 높은 싱크로율을 보였다. 스테이지에 나와 있던 여성 성우들이 '선생님이다!'를 연신 외쳤다.
3. 줄거리 [편집]
''여기가 우리가 있을 곳이니까''
수천개의 학교로 형성된 거대 학원도시 '키보토스'.
여기서는 총을 든 학생들이 싸우는 모습을 언제 어디서든 볼 수 있다.
그 많은 학교들 중의 하나이며 모래 속에 묻혀있는 '아비도스 고등학교'는 폐교 위기에 직면해있다.
어떡하든 학교를 살리려는 대책위원회의 다섯 학생들.
그리고 그들 앞에 나타난 어른, 선생님.
이들의 만남이 이 이야기의 시작이 된다.애니박스 공식 줄거리
- [ 일본어 원문 보기 ]
- ここが、私たちの居場所だから
数千を超える学校で形成された巨大な学園都市「キヴォトス」
ここでは銃を手にした生徒たちの諍いが、日常的な風景になっている。
その中で、砂に包まれた「アビドス高等学校」は廃校の危機に瀕していた。
状況を脱すべく奮闘する「対策委員会」の5人の生徒が、「先生」と呼ばれる“大人”と出会い、物語は動き始める。
生徒と青春、学園と銃。彼女たちが目指す未来はー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편집]
등장인물 | 성우 |
<기타> | |
5. 설정 [편집]
6. 주제가 [편집]
6.1. OP [편집]
OP / 1화, 12화 ED 青春のアーカイブ 청춘 아카이브 | ||||||||||||||||||||||||||||||||||||||||||||
TV ver. | ||||||||||||||||||||||||||||||||||||||||||||
Full ver. | ||||||||||||||||||||||||||||||||||||||||||||
노래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 ||||||||||||||||||||||||||||||||||||||||||||
|
오프닝은 10十10이 13 ~ 45초 부분을 연출하고 그 외에는 게소 이쿠오가 연출했다. 10十10이 나카야마 류의 제자라 그런지 체인소 맨에 참가했던 애니메이터가 많이 참가했다.
초반 12초까지는 본편에서 생략된 원작 초반부[11]의 내용을 간략하게 담고 있다.
밝은 분위기로 연출했지만 서브리미널 기법을 사용해 잠깐 지나가는 프레임에 어두운 장면, 원작 스포일러 장면들이 여럿 들어갔다. 게소 이쿠오 말로는 한 번 보면 알 수 없는 연출을 했으니 여러 번 봐달라고 한다. 10十10 말로는 짧은 오프닝인데도 이 기법을 써서 장면 수가 120컷이나 된다고 한다. 스포일러가 되는 부분들은 워낙 순식간에 스쳐 지나가는 터라 일부러 캡처해서 보지 않으면 인지하지 못할 정도이다.[12]
2024년 5월 12일 자정을 기해 엔딩곡과 함께 숏버전 음원이 공개되었으며, 7월 24일에 정식 음원이 발매되었다. # 이보다 한달 앞선 6월 24일 자정에 온라인에서 풀버전을 공개하였다.
6.2. ED [편집]
ED 真昼の空の月 한낮의 달 | |||||||||||||||||||||||||||||||||||||||||||||||||
TV ver. | |||||||||||||||||||||||||||||||||||||||||||||||||
Full ver. | |||||||||||||||||||||||||||||||||||||||||||||||||
노래 | |||||||||||||||||||||||||||||||||||||||||||||||||
작사 | RED(레드) | ||||||||||||||||||||||||||||||||||||||||||||||||
작곡 | |||||||||||||||||||||||||||||||||||||||||||||||||
편곡 | |||||||||||||||||||||||||||||||||||||||||||||||||
|
7. 회차 목록 [편집]
회차 | 제목[14] | 시나리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アビドス高等学校 廃校対策委員会 아비도스 고등학교 폐교 대책위원회 | 야마기시 다이고 오오노기 히로시 (大野木 寛) | 야마기시 다이고 | 日: 2024.04.07. 韓: 2024.04.08. | ||||
Archive 2 | 私は認めない! 나는 인정할 수 없어! | 오오노기 히로시 | 모리 나나 于卓鷺 사이토 요시코 (齊藤佳子) 후펑청 (胡峰城) 穆亜蝶 | 하기와라 히로미츠 사이토 켄고 | 日: 2024.04.14. 韓: 2024.04.15. | ||
Archive 3 | 便利屋68にお任せください 흥신소 68이 해결해 드립니다 | 오오노기 히로시 야마기시 다이고 | 마스다 토시히코 (増田敏彦) 야마기시 다이고 | 코바야시 카즈노리 (小林寿徳) | 모리 나나 | 日: 2024.04.21. 韓: 2024.04.22. | |
Archive 4 | 覆面水着団☆ 수영복 복면단☆ | 오오노기 히로시 | 아즈마 료스케 (東 亮佑) | 코마츠 카즈마 (小松和真) | 시미즈 타쿠마 (清水拓磨) 키쿠타 유지 (菊田裕司) 아오키 유코 (青木裕子) Zearth Sato 사토 미네코 (佐藤美音子) GrandGuerrilla 사이토 나오키 (齋藤直貴) 타카이시 마미 (高石まみ) 츠보시 (つぼし) 스기야마 아리사 (杉山有沙) 시라카바 니오 (白樺 鳰) 오오야 유카 (大矢由香) 쿠니요시 아즈미 (国吉杏美) 쿠도 마나 (工藤真奈) 요시타케 하츠히 (吉武はつひ) | 사이토 켄고 모리 나나 | 日: 2024.04.28. 韓: 2024.04.29.[21] |
Archive 5 | 友達なんかじゃない! 친구 같은 게 아냐! | 토모야마 쿠니 (友山くに) | 쿠니모토 카즈호 (國本一穂) | 카이도 히로유키 요시다 류이치로 (吉田龍一郎) 코바야시 시오리 츠키야마 쇼타 (築山翔太) 이세종 신나라 | 日: 2024.05.05. 韓: 2024.05.06. | ||
Archive 6 | ゲヘナ風紀委員会 게헨나 선도부 | 슈 샤오메이[22] (朱暁) | 모리 나나 | 日: 2024.05.12. 韓: 2024.05.13. | |||
Archive 7 | 前に進むしか… 앞으로 나아갈 수밖에... | 오오노기 히로시 | 나카시마 마사오키 (中島政興) | 시미즈 카이토 (清水海都) 유키 시즈쿠 (ユキシズク) 오기소 하루카 (小木曾 遥) 스사 사치 (須佐祥智) | 코구레 리나 (小暮梨奈) 타테노 안나 (立野杏奈) 모리시게 호타루 (守重 蛍) | 日: 2024.05.19. 韓: 2024.05.20. | |
Archive 8 | 秘密 비밀 | 와타나베 테루시게 (渡辺輝重) 야마기시 다이고 | 야기하라 유이 후펑청 LUXIF 叶昌 周俊杰 | 모리 나나 | 日: 2024.05.26. 韓: 2024.05.27. | ||
Archive 9[25] | アビドス砂漠へ 아비도스 사막으로 | 오오노기 히로시 | 호시카와 타카후미 야마기시 다이고 | 타베 신이치 (田部伸一) | 사사키 마사카츠 | 日: 2024.06.02. 韓: 2024.06.03. | |
Archive 10 | 唯一意味のある場所 유일하게 의미 있는 장소 | 아사후지 호타루 (浅藤 蛍) | 마키 슌지 | 후펑청 쿠로에 레이 (黒絵レイ) 야마모토 츠키호 (山本月穂) 키타지마 유키 (北島勇樹) 모리 나나 하기와라 히로미츠 捨月動画 | 하기와라 히로미츠 모리 나나 | 日: 2024.06.09. 韓: 2024.06.10. | |
Archive 11 | 私の生徒だから 나의 학생이니까 | 토모야마 쿠니 | 타베 신이치 | 사사키 마사카츠 | 모리 나나 타테노 안나 | 日: 2024.06.16. 韓: 2024.06.17. | |
Archive 12 | ただいま 다녀왔어 | 아사후지 호타루 | 마키 슌지 야마기시 다이고 | 마키 슌지 야마기시 다이고 슈 샤오메이 | 사이토 켄고 야기하라 유이 모리 나나 하기와라 히로미츠 후펑청 周俊杰 沈珞丙 李奕钧 丁熠晨 李文婧 崔芝兰 徐光咏 雷江龙 捨月動画 야마모토 히로노리[E] (山本浩憲) | 모리 나나 하기와라 히로미츠 | 日: 2024.06.23. 韓: 2024.06.24. |
8. 회차별 WEB 예고편 [편집]
| |
| |
| |
| |
| |
| |
| |
| |
| |
| |
|
9. 해외 공개 [편집]
9.1. 대한민국 [편집]
9.1.1. 방영 전 정보 [편집]
2024년 3월 18일, 애니박스를 통해 방영이 확정되었는데 꽤나 이례적이라는 반응이 많은 편이다. 그도 그럴 것이 게임 공식 오리지널 굿즈를 주로 애니플러스샵에서 팔았을 뿐만 아니라 콜라보 카페도 2번이나 진행했을 정도였으니 애니 방영 확정 전만 하더라도 애니플러스가 가져올 것이라 당연시하거나 못 해도 자회사인 애니맥스가 맡지 않겠느냐는 여론이 많았다.
그러나 이는 한국에 국한된 이야기이며, 해당 애니가 일본에서 제작 및 방영하는 일본산 애니메이션인 데다 일본 블루 아카이브는 Yostar에서 서비스 하는 중이라 Yostar 굿즈의 오프라인 판매는 일본 애니메이트로 굿즈를 판매하는 특성상 한국에도 애니메이션 관련 굿즈 판매를 위해 대원방송으로의 방영이 된 것으로 보인다.[27]
대원방송의 수입확정 소식에 일부 애니메이션 시청자들은 봇치 더 록!과 같이 자막 오역 등의 문제는 물론 시청권 제약[28]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는 편이다. 다만 시청권 제약 문제는 봇치 더 록! 독점 건으로 비판을 받았던 걸 반성했는지 이후로는 대원 판권 작품들도 Laftel 등 외부 VOD 업체에 적극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29]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최초 공개 시에는 방영 시간대가 매주 (월) 01:30이었으나 너무 밤늦은 시각이라는 항의가 많아서인지 1시간 당겨서 매주 (월) 00:30에 방영하게 되었다. #
수입사가 더빙 방영을 지향하는 편인 대원방송 계열임에도 한국어 더빙판이 나오지 않았다. 이는 2024년 7월 23일에서야 원작의 한국어 음성이 글로벌 서버에 공개되었기 때문이다.[30]
2024년 4월 4일, 라프텔이 블루 아카이브 애니메이션의 공개상태를 공개 예정으로 변경하였으며, 라프텔 공식 트위터를 통해서도 신작 동시방영작 라인업 공개를 통해 업로드 예정이라 밝히게 되면서 본 애니메이션을 라프텔을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 왓챠를 포함한 타 OTT에서도 공개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는 한국에 국한된 이야기이며, 해당 애니가 일본에서 제작 및 방영하는 일본산 애니메이션인 데다 일본 블루 아카이브는 Yostar에서 서비스 하는 중이라 Yostar 굿즈의 오프라인 판매는 일본 애니메이트로 굿즈를 판매하는 특성상 한국에도 애니메이션 관련 굿즈 판매를 위해 대원방송으로의 방영이 된 것으로 보인다.[27]
대원방송의 수입확정 소식에 일부 애니메이션 시청자들은 봇치 더 록!과 같이 자막 오역 등의 문제는 물론 시청권 제약[28]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는 편이다. 다만 시청권 제약 문제는 봇치 더 록! 독점 건으로 비판을 받았던 걸 반성했는지 이후로는 대원 판권 작품들도 Laftel 등 외부 VOD 업체에 적극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29]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최초 공개 시에는 방영 시간대가 매주 (월) 01:30이었으나 너무 밤늦은 시각이라는 항의가 많아서인지 1시간 당겨서 매주 (월) 00:30에 방영하게 되었다. #
수입사가 더빙 방영을 지향하는 편인 대원방송 계열임에도 한국어 더빙판이 나오지 않았다. 이는 2024년 7월 23일에서야 원작의 한국어 음성이 글로벌 서버에 공개되었기 때문이다.[30]
2024년 4월 4일, 라프텔이 블루 아카이브 애니메이션의 공개상태를 공개 예정으로 변경하였으며, 라프텔 공식 트위터를 통해서도 신작 동시방영작 라인업 공개를 통해 업로드 예정이라 밝히게 되면서 본 애니메이션을 라프텔을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 왓챠를 포함한 타 OTT에서도 공개될 예정이다.#
9.1.2. 방영 이후 [편집]
오프닝에 사용하는 타이틀 로고는 CG 편집이 되지 않은 채로 원본 그대로 방영되었다.[31] 그나마 다른 간판이나 칠판 등의 배경 자막 작업은 꼼꼼하게 이뤄졌다.
제이박스 기준, 번역은 김언정이 맡았으며 연출은 이소인 PD가 맡았다.
시바세키 라멘 간판에 그려진 마스터 시바의 파이프 담배가 검열되어 한국 방송사들의 줏대 없는 검열 기준이 다시 웃음거리가 되었다.#1#2
방송용 자막이라 그런지 원작에서 나오던 '짱(ちゃん)' 호칭은 생략됐다.[32]
대원방송 특유의 고질적인 자막 문제는 여전했는데, 2화의 최초 방영 시에는 오프닝 가사가 잘못 표기되기도 했고[33], 3화에서는 호시노의 이름을 뜬금없이 외래어 표기법을 따른 '다'카나시 호시노로 표기하기도 했으며, 이후 마지막화에서도 똑같은 실수가 발생했다. 대원방송은 반요 야샤히메 때부터 온갖 발번역과 발편집으로 비판받다가 결국 봇치 더 록!에서 삽질의 정점을 찍었는데, 이번에도 전혀 개선의 여지가 없자 시청자들 사이에서 차라리 이럴 거면 다른 회사에 판권을 넘기라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고유명사 표기 역시 공식 표기와 엇갈려서, 아비도스 모래축제를 아비도스 사막축제로 번역했다.[34]
제이박스 기준, 번역은 김언정이 맡았으며 연출은 이소인 PD가 맡았다.
시바세키 라멘 간판에 그려진 마스터 시바의 파이프 담배가 검열되어 한국 방송사들의 줏대 없는 검열 기준이 다시 웃음거리가 되었다.#1#2
방송용 자막이라 그런지 원작에서 나오던 '짱(ちゃん)' 호칭은 생략됐다.[32]
대원방송 특유의 고질적인 자막 문제는 여전했는데, 2화의 최초 방영 시에는 오프닝 가사가 잘못 표기되기도 했고[33], 3화에서는 호시노의 이름을 뜬금없이 외래어 표기법을 따른 '다'카나시 호시노로 표기하기도 했으며, 이후 마지막화에서도 똑같은 실수가 발생했다. 대원방송은 반요 야샤히메 때부터 온갖 발번역과 발편집으로 비판받다가 결국 봇치 더 록!에서 삽질의 정점을 찍었는데, 이번에도 전혀 개선의 여지가 없자 시청자들 사이에서 차라리 이럴 거면 다른 회사에 판권을 넘기라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고유명사 표기 역시 공식 표기와 엇갈려서, 아비도스 모래축제를 아비도스 사막축제로 번역했다.[34]
9.2. 중국 [편집]
빌리빌리 蔚蓝档案 The Animation 페이지
빌리빌리를 통해 중국어 자막 버전으로 공개되었다. 일본 방영 2시간 후 공개된다. 접속 IP에 따른 지역락이 걸려 있어 중국 본토가 아닌 곳에서는 시청이 불가능하다. 특별행정구인 홍콩, 마카오와 하나의 중국으로 취급하는 대만의 경우는 불명.
빌리빌리를 통해 중국어 자막 버전으로 공개되었다. 일본 방영 2시간 후 공개된다. 접속 IP에 따른 지역락이 걸려 있어 중국 본토가 아닌 곳에서는 시청이 불가능하다. 특별행정구인 홍콩, 마카오와 하나의 중국으로 취급하는 대만의 경우는 불명.
9.3. 글로벌 [편집]
첫 방영 때부터 공식적으로 애니원 아시아 채널에서 하루 뒤 영상이 올라왔다. 하지만 동남아시아 인터넷 사용자만 시청이 가능하도록 제한되어서 VPN을 쓰지 않는 이상 다른 국가에서는 볼 수 없었다.
2024년 5월 23일부터 블루 아카이브 글로벌 공식 채널에서 매주 업로드가 시작됐다. 광고 없는 풀영상이며 자막은 영어만 있다.
2024년 5월 23일부터 블루 아카이브 글로벌 공식 채널에서 매주 업로드가 시작됐다. 광고 없는 풀영상이며 자막은 영어만 있다.
10. 평가 [편집]
11. 원작과의 차이점 [편집]
12. 미디어 믹스 [편집]
12.1. BD [편집]
Vol. | 발매일 | 수록 내용 | 고유 특전 |
2024. 08. 28. |
|
| |
2024. 09. 25. |
|
| |
2024. 10. 30. |
|
| |
2024. 11. 27. |
|
|
공통 특전 | ||
BD 각 권마다 공통적으로 들어있는 특전이다. 즉, 4권 전부 샀다면 아래의 특전을 4배씩 받을 수 있다. | ||
|
|
|
전권 구매 특전 |
1권부터 4권까지 전부 사야 획득할 수 있는 특전이다. 4개의 특전 쿠폰 코드를 전부 입력 시 자동으로 우편함에 들어온다. |
|
총 4권 구성으로, 각 권마다 TVA 3개 회차 수록에 가격은 권당 10만원이다.
2024년 4월 18일 애니메이트코리아 온라인샵에서 예약상품으로 BD 및 구매 특전이 공개되었다.# 정작 블루 아카이브 TVA 공식 트위터와 일본 애니메이트에서는 BD와 관련된 소식의 업데이트가 없었다. 또한 한국 애니메이트 온라인샵 상품 페이지 또한 곧 내려갔다. 한국 애니메이트 쪽 착오로 공지가 먼저 올라간 것 같다는 의견이 있다.
2024년 4월 20일 블루아카 라이브!에서 제대로 된 BD 정보가 공개됐다.
일본 쪽에서 판매되는 BD는 일본 서버에서만, 한국 애니메이트에서 판매되는 BD는 글로벌 서버에서만 인게임 특전을 적용할 수 있으니 한국에서 일섭을 플레이하는 경우에는 구매 시 주의할 것.
흔히 있는 오디오 코멘터리가 없는 등 특전이 부실하다는 점을 지적하지만 반대로 인게임 특전은 생각보다 많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특히 기존에는 한 학생당 하나씩 존재했던 메모리얼 로비가 새로 추가된다는 점, 그리고 4권을 다 사야 마지막 호시노의 추가 메모리얼 로비가 해금된다는 점이 강력한 인질이라는 평이다. 소개 문구로 보았을 때 각 권의 표지 일러스트가 곧 새로 추가되는 메모리얼 로비로 추정된다.
한편 BD 특전으로 지급되는 메모리얼 로비의 경우, 대사가 없는 단순한 배경 메모리얼 로비다. 추후 대사 추가 여부는 미지수.
BD의 애니메이션 본편의 경우 방영 당시 지적 받은 문제점들이 거의 수정되지 않아서 팬들의 원성을 샀다. #
12.2. 블루아카 라디오! [편집]
애니메이션 방영에 맞춰 초! A&G+[36]에서 선행 공개 후, 하루 뒤 유튜브에서 공개하는 라디오 프로그램. 노노미 역의 미우라 치유키, 하루카 역의 이시토비 에리카가 진행한다. 애니메이션 종료 후에도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다. 방송 담당 프로듀서 역시 블루아카와 관련된 트윗을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올리는 편으로, 가챠 결과 등의 트윗이 올라오기도 한다.
방송 1주년차인 2025년 4월부터는 초! A&G+에서 나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한다.
방송 1주년차인 2025년 4월부터는 초! A&G+에서 나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한다.
# | 공개일 | 링크 | 비고 |
1 | 2024. 04. 01. | ||
2 | 2024. 04. 08. | ||
3 | 2024. 04. 15. | ||
4 | 2024. 04. 22. | ||
5 | 2024. 04. 29. | ||
6 | 2024. 05. 06. | ||
7 | 2024. 05. 13. | ||
8 | 2024. 05. 20. | ||
9 | 2024. 05. 27. | ||
10 | 2024. 06. 03. | ||
11 | 2024. 06. 10. | ||
12 | 2024. 06. 17. | ||
13 | 2024. 06. 24. | ||
14 | 2024. 07. 01. | ||
15 | 2024. 07. 08. | ||
16 | 2024. 07. 15. | ||
17 | 2024. 07. 22. | ||
18 | 2024. 07. 29. | ||
19 | 2024. 08. 05. | ||
20 | 2024. 08. 12. | ||
21 | 2024. 08. 17. | ||
22 | 2024. 08. 26. | ||
23 | 2024. 09. 02. | ||
24 | 2024. 09. 09. | ||
25 | 2024. 09. 16. | ||
26 | 2024. 09. 23. | ||
27 | 2024. 09. 30. | ||
28 | 2024. 10. 07. | ||
29 | 2024. 10. 14. | ||
30 | 2024. 10. 21. | ||
31 | 2024. 10. 28. | ||
32 | 2024. 11. 04. | ||
33 | 2024. 11. 11. | ||
34 | 2024. 11. 18. | ||
35 | 2024. 11. 25. | 게스트로 치나츠좌 타카츠카 토모히토가 특별 참여했다. | |
36 | 2024. 12. 02. | ||
37 | 2024. 12. 09. | ||
38 | 2024. 12. 17. | ||
39 | 2024. 12. 24. | ||
40 | 2024. 12. 31. | ||
41 | 2025. 01. 06. | ||
42 | 2025. 01. 13. | ||
43 | 2025. 01. 20. | ||
44 | 2025. 01. 27. | ||
45 | 2025. 02. 03. | ||
46 | 2025. 02. 10. | ||
47 | 2025. 02. 17. | ||
48 | 2025. 02. 24. | ||
49 | 2025. 03. 03. | ||
50 | 2025. 03. 10. | ||
51 | 2025. 03. 17. | ||
52 | 2025. 03. 24. | ||
- | 2025. 04. 01. | ||
- | 2025. 04. 05. | ||
53 | 2025. 04. 08. | ||
54 | 2025. 04. 15. | ||
55 | 2025. 04. 22. | ||
56 | 2025. 04. 29. | ||
57 | 2025. 05. 06. | ||
58 | 2025. 05. 13. | ||
59 | 2025. 05. 20. | ||
60 | 2025. 05. 27. | ||
61 | 2025. 06. 03. | ||
62 | 2025. 06. 10. | ||
63 | 2025. 06. 17. | 게스트로 총력전좌 이치키 미츠히로가 특별 참여했다. | |
64 | 2025. 06. 24. | ||
65 | 2025. 07. 01. | ||
66 | 2025. 07. 08. | ||
67 | 2025. 07. 15. | ||
68 | 2025. 07. 22. | ||
69 | 2025. 07. 29. | ||
70 | 2025. 08. 05. | ||
71 | 2025. 08. 12. | ||
72 | 2025. 08. 19. |
13. 기타 [편집]
- 일본 내수판의 로고가 게임 원작의 로고와는 약간 다르다.
- 시간이 지나고 2025년 한국 지역 한정으로 진짜 시바세키 라멘 팝업 스토어를 열면서 해당 만우절 이벤트가 현실이 되었다.
- 2024년 4월 7일부터 방영 기간 중 한국, 일본, 글로벌 서버 공통으로 매주 일요일 22시에 특별 인게임 보상이 지급된다.2024년 4월 21일 지급분에는 일본 서버에서는 지급되었던 일반 강화석 20개가 타 서버에서는 누락되었다가 뒤늦게 지급되었다.#
- TVING의 생방송 최고 시청률은 1화의 56%다.
- 1화를 유튜브를 통해 무료로 공개했다. 이후의 에피소드들은 전반부만 기간 한정으로 공개한다.
- 한국 블루 아카이브 팬덤에서는 최종장 크레딧 등재 문제와 스튜디오 뿌리 사태 등에서 넥슨게임즈 측과 여러 번 마찰을 빚고 아예 관계까지 끊은 화솔이 TV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논란이 일었으며, 주요 커뮤니티에선 부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
- 피자헛과 콜라보 이벤트를 개시한다.
14. 둘러보기 [편집]
[1] 구성업체 비공개.[2] 매주 02:00에 공개된다.[3] 실제로 단순 감수뿐만 아니라 스태프롤에서 김용하 총괄 프로듀서와 더불어 아트 디렉터 즉흥환상에 시나리오 디렉터 isakusan 등 원작 게임의 제작진들까지 크레딧되었다.[4] 이와 별개로 2020년 3분기작 아라드: 역전의 바퀴 이후로는 3년 반 정도가 흐른 시점이다.[5] 여담으로 공개일이 카요코 생일이다.[a] 6.1 6.2 6.3 6.4 6.5 게임 오리지널 성우이며, 애니메이션에선 대사없이 얼굴만 비췄다.[11] 프롤로그부터 대책위원회편 1화까지.[12] 게소 이쿠오가 존경한다는 안노 히데아키가 자주 쓰는 기법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몇 초 안에 수장의 장면컷을 삽입했던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OP인 잔혹한 천사의 테제가 있다.[13] 블루아카 참여작으로 수토끼 PV의 원화를 제작한 적이 있다.[14]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박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A] 15.1 15.2 15.3 15.4 액션[E] 16.1 16.2 16.3 16.4 16.5 이펙트[21] Laftel에서 하루 빠른 28일에 업로드했다 지우는 사고가 있었다.[22] studio CANDY BOX의 대표이사.[25] 실버 하청 편.[27] 한국 애니메이트 사업권은 대원에서 가지고 있다.[28] 제이박스 이외의 타 OTT 업체 및 VOD 업체로의 공급이 안 되는 경우 등.[29] 이 경우 대원 판권 작품은 자사 VOD 업체인 제이박스를 제외한 VOD 업체에서 다운로드 소장을 못하게 하는 대신 스트리밍 감상만 가능한 조건으로 공급한다.[30] 다만, 한국어 음성이 추가된 이후에도 추후 더빙을 할 보장은 없는 게 후토탐정 애니처럼 더빙판을 만들고도 남았을 작품을 안 만들고 넘긴 사례도 있어 어디까지나 팬들의 기대에 불과하다. 게다가 김용하는 물론이고 팬들 대다수가 고개를 돌릴 정도로 해당 애니 자체가 망작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에 더빙될 가능성은 더 낮아졌다.[31] 다만 넥슨의 주도로 더빙판이 성사된다면 그때는 원피스와 같이 CG 한글화 작업이 가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32] 정식 자막에서는 '짱' 호칭은 웬만하면 생략되는 편이지만, 가끔 부득이하다 싶으면 살리기도 한다. 과거 애니플러스가 액셀 월드에서 무리하게 해당 호칭을 생략하기 위해 아직 밝혀지지도 않았던 여주인공 흑설공주의 본명을 멋대로 지어내서 비판받은 전적이 있다.[33] '웃는 것도 우는 것도'라고 번역해야 하는데 '우는 것도 우는 것도'로 잘못 표기했다. 아이러니한 건 1화 방영 종료 후 사전 공개된 오프닝에서는 자막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참고로 2화는 스태프롤 등의 자막이 변경되면서 편집이 새로 됐다.[34] 참고로 초반에는 인게임 공식 표기인 모래축제로 번역한 부분이 있다. 번역 과정에서 감수가 미흡했던 것으로 추측된다.[35] 시바세키 라멘 봉지라면 발매 영상.[36] 플랫폼 특성상 화면이 작고 화질이 매우 안 좋았다.[37] 원작자 하마지 아키도 블루 아카이브의 팬이다. 해당 문서 참조.[38] 그런데 본작의 퀄리티가 처참하게 나오자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케로리라든 누구든 사이토에게 블루 아카이브를 더 적극적으로 영업해서 감독으로 불러오자는 반응도 더러 있다.[39] 신데렐라 걸즈 극장을 담당했다가 요스타로 이직한 일러스트레이터로, 블루 아카이브 출시 당시에도 축전을 그렸으며 한국에서는 안녕하세유녀! 짤로 더 유명하다.[40] 본래 치마 왼쪽이 트여있지만 오프닝에선 오른쪽이 트여있다.[41] 참고로 이런 사고가 처음이 아니고, 동년 4월 5일 시끌별 녀석들 역시 36화를 현지 휴방 중에 먼저 OTT에 공급하는 바람에 대거 유출되어 뒤늦게 내리는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다. 이쪽은 오프닝 영상 변경 등의 직접적인 변경점이 있어 더더욱 비판을 받았다.[42] 참고로 애니메이션에선 각색으로 인해 복면을 쓴 아야네는 등장하지 않았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