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조: 워더링 웨이브/공명자

최근 수정 시각: ()
분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명조: 워더링 웨이브

1. 개요2. 설정3. 속성
3.1. 응결3.2. 용융3.3. 전도3.4. 기류3.5. 회절3.6. 인멸
4. 전투 스타일
4.1. 역할군
4.1.1. 생존 치료4.1.2. 메인 딜러4.1.3. 빠른 협주
4.2. 피해 유형
4.2.1. 일반 공격 피해4.2.2. 강공격 피해4.2.3. 공명 스킬 피해4.2.4. 공명 해방 피해
4.3. 보조 능력
4.3.1. 견인4.3.2. 협동 공격4.3.3. 정체4.3.4. 공명 해방 차지4.3.5. 공진 수치 파괴4.3.6. 경직 저항력
4.4. 부스트
4.4.1. 피해 부스트4.4.2. 속성 피해 부스트4.4.3. 스킬 피해 부스트4.4.4. 기타 피해 부스트
4.5. 이상 효과
4.5.1. 풍식4.5.2. 전자4.5.3. 서리4.5.4. 불꽃4.5.5. 광학4.5.6. 암흑
5. 스킬6. 육성
6.1. 레벨
7. 체형
7.1. S7.2. MS7.3. M7.4. XL7.5. Z
8. 호감도9. 출시 예정10. 공명자 목록
10.1. 속성 내 무기 분류
11. 여담

1. 개요 [편집]

명조: 워더링 웨이브》의 플레이어블 캐릭터를 통칭하는 공명자(Resonator|共鸣者)의 인게임 정보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2. 설정 [편집]

파일:namuarrow.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세계관 내 설정에 대한 내용은 공명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세계관 내 설정:
    공명자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3. 속성 [편집]



명조에는 응결, 용융, 전도, 기류, 회절, 인멸, 총 6개의 속성이 존재하고 방랑자를 제외한 모든 공명자는 이 중에서 하나의 속성을 가진다. 여타 RPG 게임에서 묘사되는 , 얼음, 바람, 전기 + 빛과 어둠 속성과 일치한다고 보면 된다.[1] 단, 속성 간의 상성이나 조합 요소는 딱히 없고[2][3] 속성 내 조합이나 캐릭터 컨셉을 나누는 지표 정도로만 확인되고 있다.

3.1. 응결 [편집]


응결(condensation)은 기체액체로 변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묘사 상으로는 얼음 형태로 냉각되는 결빙(freezing) 반응까지 포함하기에 사실상의 얼음 속성과 다를 바 없다. 유일한 예외는 그림을 실체화시키는 능력의 절지. 절지의 경우 붓 그림(액체)를 실체(고체)로 바꾼다는 점에서 응결 속성이 된 것으로 보인다.

주변을 얼린다는 느낌의 응결 속성의 적들과는 딴판으로 좁은 범위에 쏟아 붓는 딜링을 가진 캐릭터들이 많다. 2.0 버전 출시 이전까지 상시 캐릭터인 능양을 제외하면 5성 메인 딜러가 없었지만 카를로타의 출시 이후로는 만능 딜포터 절지와의 조합이 연구되면서 필드에서는 느리지만 딜링 하나는 파괴적인 보스전의 첨병으로 군림하고 있다.

3.2. 용융 [편집]


용융(melting)은 고체액체상전이를 일으키는 현상으로, 작중에서는 고열이나 불꽃을 다루는 불 속성 능력으로 묘사된다. 앙코의 경우 능력의 본질은 상상을 구현하는 힘이지만, 이 능력을 통해 구름이와 그늘이가 불꽃을 다룰 수 있으므로[4] 용융 속성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앙코를 제외하면 기동성을 위시로 하는 움직임을 하며[5] 다재다능하여 자주 꺼내게 되는 캐릭터들이 포진해있다. 특징적인 부분으로 용융 속성의 공명자들은 스택을 모으는 것을 주력 딜링으로 하면서, 반주 스킬은 다른 캐릭터로 스왑하면 사라지는 불완전한 성능을 가졌다. 때문에 기류 속성만큼은 아니지만, 가장 고점이 높은 장리-브렌트로도 서로를 상호보완하는 완벽한 파티를 만들기는 힘들다.

3.3. 전도 [편집]


전도(conduction)는 열이나 전기가 흐르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전류자력을 다룰 경우 이 속성에 포함되며 사실상 전기 속성과 동일하다.

성능 관련한 세팅에서 가장 말이 많았는데, 전도 속성이 메인 에코 세트인 '울려퍼지는 뇌음'의 4코스트 에코가 나쁜 평가를 받는 뇌운과 천둥 듀오 밖에 없었기 때문인데, 리나시타 지역에서 나온 악몽 에코 덕분에 지금은 성능 문제가 완화되었다.

음림-상리요의 상호보완적인 파티 성능은 명조에서 처음으로 완성된 제대로 된 속성 사이클이기 때문에 인기가 높고 지금까지도 현재진행형이다. 특징적인 부분으로는 연무와 음림의 협동 공격이나 상리요의 공명 스킬, 악몽.천둥의 비늘 에코 등 캐릭터가 필드에 존재하지 않을 때도 존재감을 발휘하는 기술이 많다.

3.4. 기류 [편집]


기류(air current)는 열이나 기압 차로 인한 공기의 흐름으로, 바람을 비롯한 대기을 조종하는 능력으로 묘사된다. 일반적인 바람 속성 능력과 대동소이하지만 안개를 조종하는 알토을 다루는 카르티시아유노가 있는 등 기상 현상 전체를 아우르는 속성으로 묘사되는 편. 컨셉에 맞게 적을 끌어모으는 '견인' 능력을 보유한 캐릭터가 다수 포진되어 있다.

가장 오랫동안 업데이트가 되지 않았던 속성으로 무려 오픈 첫 픽업 캐릭터인 기염 이후로 단 한명의 신캐도 나오지 않은 상태였지만. 추후 2.3 버전에 샤콘이 시너지가 없던 기류 방랑자가 가진 풍식 효과를 함께 가지고 출시하면서 홀대 받는 속성이라는 취급을 면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2.4 버전에서 리나시타의 카르티시아가 풍식 딜러로 출시되었다.

3.5. 회절 [편집]


회절(diffraction)은 파동이 장애물을 만났을 때 에워 돌아 나가 넓게 퍼지는 현상으로, 고전 물리학에서는 빛이 파동으로 나타날 때 밝고 어두운 패턴이 교대로 나타나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작중에서는 빛 속성 정도의 취급을 받고 있지만 여섯 속성 중에서 인멸과 함께 난해함 투탑을 달린다. 용어에 맞게 소리를 다루는 캐릭터가 있는가 하면, 식물과 공생하거나, 아예 시간을 조작하거나, 순수한 에너지체인 경우도 있는 등 컨셉에 국한되지 않는 각양각색의 능력자가 확인되고 있다.

명실상부한 명조의 귀족 속성으로, 4성 캐릭터 하나 없이 5성 캐릭터로만 이루어진 초호화 구성에다 출시 직후부터 리나시타 지역이 추가 된 이후에도 위상이 조금도 떨어지지 않은 인권 서포터인 벨리나파수인, 1티어 딜러인 금희로 라인업도 심상치 않다. 금희와 파수인은 메인 스토리의 주역으로 나와 전용 에코까지 받았고, 페비 또한 광학 효과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파티원으로 절대 뺄 수가 없는 필수적인 캐릭터이다. 그리고 페비의 광학 서포팅을 받는 젠니는 어느 엔드컨텐츠에서든 훌륭하게 활약하는 최상위권 딜러이다. 메타에서 회절 캐릭이 이탈한 경우는 2.4 기준 단 한 번도 없는 셈.

2.5 버전 기준, 인멸과 같이 남성 방랑자를 제외하면 여성 캐릭터들로만 이루어진 속성이다

3.6. 인멸 [편집]


인멸(湮滅)은 자취 없이 없어진다는 뜻이나 원문은 물리학에서 입자반입자가 만나 사라지는 현상인 소멸(annihilation)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는 어둠 속성 취급이지만 회절 속성과 마찬가지로 꽤나 중구난방한 경향을 보인다. 파괴적인 잔상에서 비롯된 능력이거나, 혈액을 조종한다거나, 실드를 생성해낸다거나, 몸에서 식충 식물을 피워낸다거나... 그나마 이렇다 할 특색이 없는 도기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파괴적인 능력이 많이 엿보이는 게 그나마의 특징이다.

인멸 방랑자의 무료 배포 캐릭터 수준을 아득히 뛰어 넘는 준수한 데미지와 카멜리아의 출시 당시 파괴적인 딜링, 그 카멜리아를 보좌하는 완벽한 서포터인 로코코 덕분에 특혜 받는 속성이라는 취급이 있었으나, 성능과는 별개로 게임 초창기 버전에 역경의 탑에서 인멸 속성을 저격하는 몹 구성에, 2.0 버전 기준으로 인멸 속성 내성을 가진 적이 가장 많아서 밸런싱을 위해 억까를 당하는 속성이라는 의견도 있다.

2.5 버전 기준, 회절과 같이 남성 방랑자를 제외하고 여성 캐릭터들로만 이루어진 속성이다

4. 전투 스타일 [편집]

인게임에서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태그 기능. 크게 5가지 분류로 나뉘어 있다. 본 문서에서는 해당 분류를 임의로 역할군[6] / 피해 유형 / 보조 능력 / 부스트 / 이상 효과로 이름 붙여서 설명한다. 해당 분류에서 역할군 태그는 어떤 캐릭터든 최소 1개 포함되어 있지만 그 외의 태그는 캐릭터에 따라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4.1. 역할군 [편집]

4.1.1. 생존 치료 [편집]


힐러 & 서포터. 아군의 생존에 관여하는 캐릭터에게 포함된 태그로 치유 능력이 없더라도 보호막 등의 수단으로 아군을 지원해줄 수 있다면 해당 분류에 포함된다. 생존 치료 태그를 달고 있는 캐릭터 중에서도 전체 피해 부스트 버프를 달고 있는 힐러 캐릭터는 어떤 조합에서도 선호되는 0티어 캐릭터 취급을 받고 있다.

4.1.2. 메인 딜러 [편집]


대미지 딜러. 파티 내에서 메인 딜러로 기용 가능한 캐릭터에게 붙는 태그이다. 순수하게 공격 능력 위주로 설계됐기 때문에 투딜 조합으로 설계된 캐릭터가 아닌 이상 지원 능력이 거의 없다시피하며 이로 인해 반주 스킬도 부스트 관련 효과 없이 피해를 주는 효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파티의 메인으로 사용되는 탓인지 초창기에 4성 캐릭터 중 메인 딜러 태그를 달고 있는 건 치샤밖에 없었고 이후 추가되는 대부분의 한정 픽업 5성 캐릭터가 이 분류에 들어갔다.

4.1.3. 빠른 협주 [편집]


빠르게 협주 에너지를 채울 수 있는 캐릭터에게 붙는 태그이다. 일반적으로 딜러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면서 아군 지원 능력까지 겸비한 시너지 딜러가 주로 포진되어 있다. 메인 딜러 캐릭터와 생존 치료 캐릭터 사이에서 사이클을 이어가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잦으며 그 특성상 퀵스왑 플레이에도 최적화된 캐릭터가 많다. 1.4 버전에서는 메인 딜러 포지션과 빠른 협주 포지션을 겸하는 카멜리아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4.2. 피해 유형 [편집]

4.2.1. 일반 공격 피해 [편집]


공격 스킬의 피해 판정 대부분이 일반 공격인 캐릭터. 일반 공격 피해 부스트 태그를 달고 있는 캐릭터와 궁합이 좋다.

4.2.2. 강공격 피해 [편집]


공격 스킬의 피해 판정 대부분이 강공격인 캐릭터. 강공격 피해 부스트 태그를 달고 있는 캐릭터와 궁합이 좋다.

4.2.3. 공명 스킬 피해 [편집]

4.2.4. 공명 해방 피해 [편집]


공격 스킬의 피해 판정 대부분이 공명 해방인 캐릭터. 공명 해방 피해 부스트 태그를 달고 있는 캐릭터와 궁합이 좋다.

4.3. 보조 능력 [편집]

4.3.1. 견인 [편집]


적들을 특정 위치로 모아둘 수 있는 캐릭터. 간단히 말해 몹몰이 캐릭터다. 몹몰이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때문에 초기에는 설정상 바람을 다루는 기류 속성 캐릭터가 대부분이었지만 1.3 버전에서 회절 속성의 파수인이 추가, 그후에 2.0 버전에 인멸 속성의 로코코가 추가되어 기류 속성의 영역만이 아니게 되었다.

4.3.2. 협동 공격 [편집]


필드에 나와있지 않아도 적을 공격할 수 있는 캐릭터. 지속적으로 공격을 가하는 장판을 설치하거나, 필드에 나와있는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반응에 공격하는 메커니즘이 많다. 금희는 메커니즘 상 협동 공격 캐릭터를 요구하기 때문에 금희와 잘 어울리는 캐릭터들이다.

4.3.3. 정체 [편집]

정체
일정 범위 내에서 목표의 행동 속도 낮추기 가능
凝滞 | 停滞 | Stagnation

적의 행동을 정지시키는 캐릭터. 1.3 버전 기준으로 유일하게 회절 속성 방랑자 만이 갖고 있는 태그이다.

4.3.4. 공명 해방 차지 [편집]

공명 해방 차지
파티 내 특정 캐릭터의 공명 에너지 회복 가능
共鸣解放充能 | 共鳴解放チャージ | Resonance Liberation Regeneration

공명 에너지를 채워줄 수 있는 캐릭터.

4.3.5. 공진 수치 파괴 [편집]

공진 수치 파괴
효과적으로 목표의 공진 수치 감소 가능
共振摧毁 | 共振度削り | Vibration Strength Reduction

적의 공진 수치를 감소시켜 빠르게 마비 상태에 빠트릴 수 있는 캐릭터

4.3.6. 경직 저항력 [편집]

경직 저항력
파티 내 특정 캐릭터의 경직 저항력 향상 가능
抗打断 | 中断耐性 | Interruption Resistance Boost

아군의 경직 저항력을 높여주는 캐릭터.

4.4. 부스트 [편집]

4.4.1. 피해 부스트 [편집]


아군 전체에게 피해 부스트를 지원하는 캐릭터. 피해 부스트는 속성 / 스킬이 무엇이든 적용되는 버프이기 때문에 범용성이 굉장히 높은 효과이다. 후술할 '특정 피해 부스트' 효과는 교대로 나온 공명자 1명에게만 버프를 주고 교체 시 버프가 끊기는 경우가 많지만, 해당 효과는 파티 내 모든 캐릭터를 대상으로 버프를 주기 때문에 유저들 사이에서 더 선호되고 있다. 아래에 나열된 특화 피해 부스트와 비교했을 때 높은 범용성을 가지는 대신, 그 수치가 다소 낮게 책정되어있다.

4.4.2. 속성 피해 부스트 [편집]

기류 피해 부스트
파티 내 특정 캐릭터의 기류 피해 부스트 가능
气动伤害加深 | 気動ダメージブースト | Aero DMG Amplification
전도 피해 부스트
파티 내 특정 캐릭터의 전도 피해 부스트 가능
导电伤害加深 | 電導ダメージブースト | Electro DMG Amplification
용융 피해 부스트
파티 내 특정 캐릭터의 용융 피해 부스트 가능
热熔伤害加深 | 焦熱ダメージブースト | Fusion DMG Amplification
응결 피해 부스트
파티 내 특정 캐릭터의 응결 피해 부스트 가능
冷凝伤害加深 | 凝縮ダメージブースト | Glacio DMG Amplification
회절 피해 부스트
파티 내 특정 캐릭터의 회절 피해 부스트 가능
衍射伤害加深 | 回折ダメージブースト | Spectro DMG Amplification

4.4.3. 스킬 피해 부스트 [편집]

일반 공격 피해 부스트
파티 내 특정 캐릭터의 일반 공격 피해 부스트 가능
普攻伤害加深 | 通常攻撃ダメージブースト | Basic Attack DMG Amplification
강공격 피해 부스트
파티 내 특정 캐릭터의 강공격 피해 부스트 가능
重击伤害加深 | 重撃ダメージブースト | Heavy Attack DMG Amplification
공명 해방 피해 부스트
파티 내 특정 캐릭터의 공명 해방 피해 부스트 가능
共鸣解放伤害加深 | 共鳴解放ダメージブースト | Resonance Liberation DMG Amplification

4.4.4. 기타 피해 부스트 [편집]

협동 공격 피해 부스트
파티 내 특정 캐릭터의 협동 공격 피해 부스트 가능
协同攻击伤害加深 | 協同攻撃ダメージブースト | Coordinated Attack DMG Amplification

1.3 버전 기준 유호 만이 갖고 있는 반주 스킬.

4.5. 이상 효과 [편집]

이상 효과라는 디버프를 부여하는 캐릭터와, 이상 효과에 연계되는 대미지 매커니즘을 가진 캐릭터가 포함되는 역할군. 대미지는 공명자[7]와 적의 레벨 차이, 적의 방어력과 속성 저항, 이상 효과 부스트 버프에 영향받는다. 캐릭터 중에는 메커니즘을 강화시키거나[8] 아예 이상 효과의 메커니즘을 바꾸는[9] 효과를 갖고 있는 경우가 있다.

4.5.1. 풍식 [편집]

기류 방랑자는 타속성 이상 효과를 풍식으로 전환 가능하다. 사콘의 경우에는 일정간격마다 풍식을 부여하며, 카르티시아는 풍식 도트 데미지 간격 단축, 도트 데미지 증가가 있어 풍식 효과의 데미지를 늘려줄 수 있으며, 변신 후, 특정 공격시 풍식 효과를 소모하는 식으로 딜을 한다.

4.5.2. 전자 [편집]

전자
전자 효과 사용 가능
电磁 | 電磁効果 | Electro Flare

4.5.3. 서리 [편집]

서리
서리 효과 사용 가능
霜渐 | 結霜効果 | Glacio Chafe

4.5.4. 불꽃 [편집]

불꽃
불꽃 효과 사용 가능
聚爆 | 斉爆効果 | Fusion Burst

4.5.5. 광학 [편집]

회랑자의 경우에는 광학 효과 부여를 처음부터 가지고 있진 않으며, 메인 스토리 2부 도입부에서 임무 아이템 「지난날의 염념」을 얻으면서 해당 기능이 추가된다. 젠니는 광학 효과를 흡수하여[10] 데미지 딜링을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4.5.6. 암흑 [편집]

암흑
암흑 효과 사용 가능
虚湮 | 虚滅効果 | Havoc Bane

5. 스킬 [편집]

모든 공명자는 기본 공격, 공명 스킬, 공명 회로, 공명 해방, 변주 스킬의 레벨을 1에서 10까지 육성가능하다.[11] 육성재료는 필드에서 구할수 있는 재료, 응소의 영역에서만 획득 가능한 재료가 같이 들어가며[12] 7~10레벨부터는 군가의 중주에서만 획득 가능한 주간 보스 재료가 들어간다. 대부분의 공명자들이 공통적으로 1레벨과 10레벨의 계수차이가 정확히 2배나 차이 나기 때문에, 스킬 레벨업은 육성에서 중요한 요소다.

6. 육성 [편집]

6.1. 레벨 [편집]

레벨
경험치
클램 코인
01
''''''>>
10
7,000
2,450
10
''''''>>
20
26,300
9,205
20
''''''>>
30
61,200
21,420
30
''''''>>
40
114,300
40,005
40
''''''>>
50
188,300
65,905
50
''''''>>
60
286,600
100,310
60
''''''>>
70
413,000
144,550
70
''''''>>
80
572,400
200,340
80
''''''>>
90
768,900
269,115
합계
2,438,000
853,300

7. 체형 [편집]

7.1. S [편집]

Small

어린이의 체형에 해당한다.

7.2. MS [편집]

Medium Small

청소년의 체형에 해당한다. 1.3 버전에서 처음으로 추가되었다.

7.3. M [편집]

Medium

성인의 체형에 해당한다. 여성 M 체형은 모든 체형을 통틀어서 가장 많이 쓰이는 체형으로, 여성 캐릭터의 과반수가 이 체형을 공유하고 있다.

7.4. XL [편집]

Extra large

장신성인 체형에 해당한다. 남성 캐릭터의 대부분은 남성 XL 체형을 공유하고 있다.

7.5. Z [편집]

수호신 공명자의 변신 체형에 해당한다. 현 시점에서는 카르티시아의 변신 상태인 플뢰르 드 리스가 홀로 이 체형에 분류된다.

8. 호감도 [편집]

공명자의 프로필을 전부 개방하기 위한 조건. 호감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대상 캐릭터를 파티에 편재하고 해당 파티로 다음 컨텐츠를 수행하면 된다.
  • 일일퀘스트 수행
  • 플레이트 소모 컨텐츠 수행[16]
호감도의 최고 등급은 5등급이며 방랑자는 호감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9. 출시 예정 [편집]

10. 공명자 목록 [편집]

10.1. 속성 내 무기 분류 [편집]

11. 여담 [편집]

  • 〈유니버스 인류 기록: 뒤얽힌 별들〉 게시글은 캐릭터의 성흔을 강조하는 전신 일러스트를 사용했지만, 2.0 버전 기준으로 튜닝 화면에서 볼 수 있는 일러스트를 쓰는 양식으로 바뀌게 되었다. 1.4 버전 캐릭터인 카멜리아와 2.0 버전 캐릭터인 카를로타와의 비교. 5성 캐릭터 기준 기존은 인게임 스탠딩 일러스트 예시, 유니버스 인류 기록 일러스트 예시, 튜닝 일러스트 예시 총 3개의 바리에이션이 있었다면 지금은 2개로 줄어버린 셈.
  • 다만, 리나시타 이후 캐릭터 중에서도 일러스트가 3개인 캐릭터가 존재한다. 페비젠니가 그 예시인데, 이 둘은 선행 공개 게시글에서 인게임 스탠딩 일러스트와는 완전히 다른 개별 일러스트가 쓰였다. # # 같은 시기 공개된 카를로타, 로코코, 브렌트는 스탠딩 일러스트를 그대로 사용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9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1] 인게임 묘사 상으로는 판타지 세계관에 흔히 나오는 원소 능력보다 물질의 상태 변화에 가깝다. 고체, 액체, 플라스마, 기체 / 창조, 파괴와 비슷한 묘사를 한다.[2] 1차 CBT 기준 속성 조합에 따른 버프 효과인 '하모니 이펙트'가 존재하였으나 2차 CBT 이후 캐릭터가 개별로 갖는 '반주 스킬'로 대체되었다.[3] 대신 특정 속성에 한정 버프를 주는 스킬을 보유한 캐릭터가 있어서 잘 확인해야 한다.[4] 캐릭터 스토리를 보면, 고아원이 불타버리는 사건이 발생했을 때 '뜨거운 화염의 축복을 받았다'는 식으로 후천적으로 불꽃 능력을 얻었음이 암시된다. 앙코는 태어났을 때부터 능력의 징후를 보이던 선천적 공명자이고 확실하게 능력의 징후를 보였던 시기는 고아원에 들어가기 훨씬 전에 일어났던 자신의 엄마의 장례식이었다.[5] 용융 속성의 4코스트 에코인 지옥불 기사도 잠시동안 주행하여 빠르게 이동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6] 메인딜러, 빠른 협주, 생존 치료[7] 이상 효과를 부여한 캐릭터 중에서 가장 레벨이 높은 캐릭터를 기준으로 계산된다.[8] 카르티시아는 풍식 도트 데미지 간격 단축, 도트 데미지 증가가 있다[9] 광학을 강렬한 불기운으로 바꿔버리는 젠니가 그 예시.[10] 부여한 광학 효과는 즉각즉각 사라지므로 광학 도트 데미지는 기대할 수 없다[11] 반주 스킬은 레벨업이 없다[12] 필드에서 획득 가능한건 응소의 영역에서도 획득 가능하다[NPC] 13.1 13.2 13.3 [NPC] 13.1 13.2 13.3 [NPC] 13.1 13.2 13.3 [16] 과거엔 스킬재료던전같은 입장전 파티 교체가 가능한 던전에서 파티를 교체해서 클리어시, 교체전 필드 파티가 호감도를 얻는 버그가 있었으나 패치되어 던전내에서 사용한 캐릭터만 호감도를 얻는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