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조: 워더링 웨이브
최근 수정 시각: ()
분류
| |||||||||
개발 · 유통 | |||||||||
플랫폼 | |||||||||
ESD | |||||||||
장르 | |||||||||
출시 | |||||||||
엔진 | |||||||||
언어 | |||||||||
심의 등급 | |||||||||
해외 등급 |
| ||||||||
관련 사이트 | |||||||||
상점 페이지 |
1. 개요 [편집]
공식 런칭 트레일러 | 액션의 잔상, 끝없는 모험 |
2. 출시 전 정보 [편집]
3. 시스템 요구 사양 [편집]
4. 일정 [편집]
5. 업데이트 [편집]
6. 시놉시스 [편집]
《명조》는 자유로운 액션 전투와 다양한 오픈 월드 탐사를 즐길 수 있는 오픈월드 액션 RPG 입니다. 당신은 이 세상에서 눈을 뜬 방랑자. 기억을 되찾아 자신이 누구인지 알기 위해, 수많은 공명자와 만나 동료들과 함께 비명을 극복하는 여정을 떠납니다. 파도가 세상을 휩쓸지라도, 문명은 굳건히 나아가리라. KURO GAMES 공식 홈페이지 게임 소개 |
7. 컨셉 아트 [편집]
8. 세계관 [편집]
8.1. 스토리 [편집]
8.2. 등장인물 및 세력 [편집]
8.3. 설정 [편집]
8.4. 지역 [편집]
9. 시스템 [편집]
9.1. 공명자 [편집]
9.2. 전투 [편집]
9.3. 튜닝 [편집]
9.4. 적 [편집]
9.5. 데이터 스테이션 [편집]
9.6. 선약 방송국 [편집]
10. 콘텐츠 [편집]
10.1. 이벤트 [편집]
10.2. 역경의 탑 [편집]
10.3. 죽음의 노래와 바닷속 폐허 [편집]
11. 아이템 [편집]
12. OST [편집]
13. 평가 [편집]
14. 흥행 [편집]
공식 런칭 1주일 전, 사전 예약 3,000만 명을 달성하였고 5월 23일 부로 공식 런칭을 시작했다. 출시 직후 국내를 비롯한 일본, 미국, 대만 등의 국가에서 애플 앱스토어 기준 무료 게임 인기 순위 1위를 차지하였으나 본진인 중국에서는 하필 이틀 전에 출시된 지하성과 용사: 기원 =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에 밀려 2위에 머무르는 모습을 보였다.[13] # 5월 중의 초반 매출에서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나 앱스토어 양쪽 다 10위권 내에 오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출시 5일간 발생한 추정 매출 및 국가별 유저 추정치에 대한 기사가 발행되었다. 추정 매출은 1,000만 달러, 한화 약 138억원이다. PC 플랫폼은 통계 추산이 불가하여 모바일 기준으로 추정한 기사다. # 또한, 5일간의 매출로 5월 글로벌 모바일 게임 매출 9위에 위치한 것으로 보인다.
7월 2일, 시장 데이터 분석 기업 센서 타워는 명조가 출시 1달 간 글로벌 누적 다운로드 약 1,500만 건, 누적 매출 약 6,600만 달러(900억 원)를 달성했다고 분석했다. # 해당 집계는 중국 내 자체 플랫폼은 제외된 수치이며 PC 버전의 매출을 반영하면 그보다 더 많은 매출을 거두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기할 점으로는 퍼블리싱 서비스를 진행 중인 국가 중에서도 유독 한국에서의 인구수 대비 매출이 높게 측정되는 것[14]으로 확인되었다. 센서타워는 "한국 시장이 게임의 재정적 성공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분석했으며, 실제로 디스이즈게임의 현남일 기자가 분석한 데이터에서 24년 8월 매출의 경우에는 한국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4년 12월, 더 게임 어워드 2024에서는 플레이어의 목소리상 부문에서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 검은 신화: 오공에 밀려 수상은 실패하였으나 원신, 젠레스 존 제로, 엘든 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 등의 쟁쟁한 작품들과 함께 최종 후보까지 올라가는 모습을 보였다.
24년 후반부 흥행을 살펴보면 신규 픽업 캐릭터가 추가되는 업데이트 시기마다 매출 순위 상위권에 올라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2.0 버전이 업데이트 된 25년 1월달에는 매출 순위가 10위 권으로 크게 반등하였다. # 또한 비교적 저조했던 중국이나 일본 서버에서의 매출도 어느정도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꾸준하게 흥행을 이어나가는 중이다. #
24년 타이베이 게임쇼 게임 스타 어워드 PC/모바일 부문에서 가작상을 수상했다. #
25년 2.4버전에 반등해, 구글 플레이 기준 한국 게임순위 1위, 일본 전체 앱 1위, 대만 전체 앱 1위, 중국 게임 순위 2위를 기록했다. #
출시 5일간 발생한 추정 매출 및 국가별 유저 추정치에 대한 기사가 발행되었다. 추정 매출은 1,000만 달러, 한화 약 138억원이다. PC 플랫폼은 통계 추산이 불가하여 모바일 기준으로 추정한 기사다. # 또한, 5일간의 매출로 5월 글로벌 모바일 게임 매출 9위에 위치한 것으로 보인다.
7월 2일, 시장 데이터 분석 기업 센서 타워는 명조가 출시 1달 간 글로벌 누적 다운로드 약 1,500만 건, 누적 매출 약 6,600만 달러(900억 원)를 달성했다고 분석했다. # 해당 집계는 중국 내 자체 플랫폼은 제외된 수치이며 PC 버전의 매출을 반영하면 그보다 더 많은 매출을 거두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기할 점으로는 퍼블리싱 서비스를 진행 중인 국가 중에서도 유독 한국에서의 인구수 대비 매출이 높게 측정되는 것[14]으로 확인되었다. 센서타워는 "한국 시장이 게임의 재정적 성공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분석했으며, 실제로 디스이즈게임의 현남일 기자가 분석한 데이터에서 24년 8월 매출의 경우에는 한국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4년 12월, 더 게임 어워드 2024에서는 플레이어의 목소리상 부문에서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 검은 신화: 오공에 밀려 수상은 실패하였으나 원신, 젠레스 존 제로, 엘든 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 등의 쟁쟁한 작품들과 함께 최종 후보까지 올라가는 모습을 보였다.
24년 후반부 흥행을 살펴보면 신규 픽업 캐릭터가 추가되는 업데이트 시기마다 매출 순위 상위권에 올라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2.0 버전이 업데이트 된 25년 1월달에는 매출 순위가 10위 권으로 크게 반등하였다. # 또한 비교적 저조했던 중국이나 일본 서버에서의 매출도 어느정도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꾸준하게 흥행을 이어나가는 중이다. #
24년 타이베이 게임쇼 게임 스타 어워드 PC/모바일 부문에서 가작상을 수상했다. #
25년 2.4버전에 반등해, 구글 플레이 기준 한국 게임순위 1위, 일본 전체 앱 1위, 대만 전체 앱 1위, 중국 게임 순위 2위를 기록했다. #
15. 논란 및 사건 사고 [편집]
16. 행사 및 콜라보 [편집]
17. 기타 [편집]
- 한국 공식 출시 명칭은 한자 표기와 영어 표기를 혼용해 명조: 워더링 웨이브로 쓴다. 원어인 중국어 포함 다른 한자 문화권에서는 부제 없이 한자 표기만을 사용하거나 괄호를 통해 鸣潮 (Wuthering Waves) 식으로 표기한다. 영어권에서는 Wuthering Waves 만을 사용하고 있다.
- 북미 쪽에서는 줄임말로 'Wuthering Waves'의 앞글자를 딴 'WW'나 'WuWa'가 사용된다.
- 개발사의 전작인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를 암시하는 이스터 에그가 있다.
- 스토리 내에서 치샤가 수석 지휘관과 소대가 주역인 고전 영웅극이 있다며 극 중의 유명한 대사인 「이게 바로 수석의 실력이다!」를 언급한다. 이 고전극은 4년 넘게 연재 중이라고 언급되는데, 명조의 출시일 기준 퍼니싱도 출시 4년차를 넘겼었다.
- 캐릭터 생성 시 닉네임 글자 수 제한이 1~12자로 표기되어 있지만 바이트 수 기준이라서 한글 닉네임은 6글자가 최대다.
- 출시 2일 전인 2024년 5월 21일에 구글 사전 다운로드가 먼저 오픈되었다.
- 전작과 달리 영어 더빙은 미국이 아닌 영국의 SIDE UK에서 진행했으며 영국에서 활동하는 성우들을 캐스팅했다.
- "강력한 기류가 풍기는 의자"라는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의 버질 패러디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 2026년에 사이버펑크: 엣지러너와 콜라보레이션을 할 예정이다.
17.1. 퍼니싱 동일 세계관 설 [편집]
쿠로의 전작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과의 여럿 공통점과 역원조성에서의 떡밥 등으로 같은 세계관이 아니냐는 말이 있다. 둘의 세계관적 공통점은 아래와 같은데,
공통 부분 | 명조 | 퍼니싱 |
한때 기술적으로 정점을 이뤘던 시대 존재 | 고속성장의 시대 | 황금 시대 |
인류 대부분을 사망시키고 아포칼립스를 일으킨 원인 | 비명 | 퍼니싱 바이러스 |
인류를 모방함과 동시에 인류의 주적인 생명체 | 문장 불일치 환상 | 이합 생명체 |
진화를 통해 강대한 힘을 얻은 존재 | 애도자 | 미확인 생명체 |
특히 마지막 3가지 공통점으로 인해 퍼니싱 세계관과 같은 세계관이 아니냐는 설이 나오고 있다. 이유는 아래와 같다.
‘모든 가능성에서 인류의 진정한 미래를 관찰하고 목격하는 것. 피와 살로 열리지 않은 문에 닿는 순간. 우리는 인류의 존속 가능성을 알고 싶어. 우리는 최종적인 “시련”을 통해 함께 “규칙”을 깨는 미래를 기다려 왔어. 여기에 도착했으니――’
'너의 의지로, 우리에게 네 답을 알려줘.’각명나선 21-18 [시간의 끝]에서 관측자들이 공개한 본인들의 목적
퍼니싱의 메인 스토리 각명나선에서 인류를 지켜보는 고차원의 존재인 관측자들이 등장한다. 이들의 목적은 인류가 현재 시련을 넘어서는 것으로, 이에 대한 시련의 통과 가능성의 증거로 그들은 한 가지를 말한다.
‘너희가 “인간형 생물체”라고 부르는 생명은 지금까지 이런 종류의 생물들이 진화해 온 정점이야. 인류가 진정으로 그들을 격파했을 때 인류의 미래에 새로운 가능성이 있단다.’
즉 이합 생명체들이 진화한, 인류를 모방해 태어난 '인간형 생물체'를 격파해야만 비로소 시련을 통과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생긴다는 말이다.
우리는 단지 관측체 의지의 집합이야. “규칙” 때문에 인간의 역사에 직접적으로 간섭할 수 없었고, 관측 초기에는 과도한 간섭으로 이제 막 출발한 세 개의 문명을 가속하여 무너뜨렸어.각명나선 21-18 [시간의 끝]에서 관측자들이 리에게 한 말
거기에 관측자들은 본인들이 멸망시킨 3개의 문명을 언급하는데, 이는 퍼니싱 세계관에서 지구 문명 외에 다른 문명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지구처럼 시련을 받는 문명이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여기서 위에 말한 공통점을 다시 본다면 폭발과 비명은 인류가 맞닥뜨린 시련의 시작이고, 환상들과 이합생명체는 계속 모방하며 진화해 인류를 압박하는 시련이며, 인간형 생물체와 애도자는 인류가 시련의 통과 가능성을 증명하기 의해 격파해야 할 진화된 존재라고 볼 수 있다.
즉 명조는 퍼니싱의 지구와 같은 우주에 존재하는 외계 행성의 이야기일지도 모르며 이들도 지구처럼 시련을 받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만약 명조 세계관도 시련의 한가운데라면 분명 관측자들이 관찰할 것이기에, 위의 가설이 진짜였으며 스토리 내에서 퍼니싱처럼 관측자들이 등장한다면 어쩌면 그들의 입을 통해 퍼니싱 세계관 캐릭터들을 이야기를 듣는 이스터에그가 있을지도 모른다.
늠질명연에서는 아예 퍼니싱 바이러스와 승격 네트워크가 고도화된 문명에 나타나 선별을 행하는 개념이 지구에서 구현된 형태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명조와의 동일 세계관 가능성이 급격히 증가했다.
그 외에도 신해이도에서 추가된 액원조성에서도 명조에 관한 떡밥이 나오는데,
세계의 재앙을 씻어낸다…. 그것이 끝없는 비원입니다.
들리시나요? 귓가에 울려 퍼지는 비명(悲鸣)과도 같은 파도가 밀려오는 소리(潮涌) 말입니다.액원조성이 시작할 때 나오는 크레도의 말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세계관, '파도 소리'(潮声)라 불리는 재앙, 잃어버린 고대의 지혜, 심연으로 향하는 여정…액원조성 진엔딩에서 나오는 주인공이 쓴 소설의 내용
아예 대놓고 파도 소리(= 명조)가 언급되며 명조의 세상을 한차례 멸망시킨 것이 비명이라는 점, 그리고 크레도가 말한 비명과도 같은 파도 소리로 액원조성이 명조와 굉장히 밀접한 관계일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하지만 이외에 명조와 관련성이 있는 부분은 아직은 없다.
그나마 하나 꼽자면 퍼니싱의 주인공은 크레도와 함께 작은 바닷가 마을로 향하는데, 명조에도 비슷한 느낌의 지역이 공개되었다.
하지만 이외에 명조와 관련성이 있는 부분은 아직은 없다.
그나마 하나 꼽자면 퍼니싱의 주인공은 크레도와 함께 작은 바닷가 마을로 향하는데, 명조에도 비슷한 느낌의 지역이 공개되었다.
콘셉트 PV에서 공개된 바다 주변에 위치한 지역 |
저는 당신에게서 받은 모든 것을 간직… 아니, 잘 활용하도록 하죠.
별의 광대한 파도 소리를 잠재우기 위해, 생명을 더욱 빛나는 결정체로 응집시키기 위해…
이 다음… "우리"와 "당신들"과의 더 나은 만남을 위하여.액원조성 엔딩 '독자'
이후 마지막 엔딩 '독자'가 공개되었지만 딱히 명조와 관련되어 보이는 내용은 나오지 않았다.
크레도의 마지막 인사도 명조의 내용 관련이라기보다는 게임사크레도가 유저(당신)에게 받은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을 통한 경험 및 피드백들(모든 것)을 통해 명조: 워더링 웨이브(더 나은 다음 만남)를 약속하는 내용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크레도의 마지막 인사도 명조의 내용 관련이라기보다는 게임사크레도가 유저(당신)에게 받은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을 통한 경험 및 피드백들(모든 것)을 통해 명조: 워더링 웨이브(더 나은 다음 만남)를 약속하는 내용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18. 둘러보기 [편집]
[1] 진동 기능 지원, PS5 Pro 대응[2]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3] Solaris-3, 즉 지구[MetalFX] 4.1 4.2 바이오닉 A13또는 M1이상이여야만 활성화 가능[FSR] 5.1 5.2 세부버전은 불명. 플러그인 자체는 FSR 1.0의 것을 사용하나 FSR 2의 플러그인은 언리얼 4.26.2부터 지원하기에 대신 FSR 1.0의 것을 사용하는걸수도 있다. 게임내에서는 단순한 on off만 조정가능하며 ini파일을 조작해야 샤프닝 설정을 조정 할 수 있다. 타 업스케일링을 사용할수 없는 GPU에서만 사용가능하다.[6] 퀄컴의 업스케일링 기술. FSR과 비교했을때 샤프닝 차이로 약간 더 흐릿한대신 그만큼 자연스러운편이다.[7] 퀄컴에서 개발한 프레임 보간 기술, 스냅드래곤 8 Elite AP 이상 탑제 기기 한정 (갤럭시 기준 S25 이상), 네이티브 최대 60FPS에서 x2 보간 후 최대 120FPS 지원.[8] Steam에서 실행할시 실행 옵션에 -dx11 추가. 에픽게임즈 런처에서 실행할시 에픽게임즈의 실행 옵션보다 런처의 옵션이 우선시 된다.[9] NVIDIA RTX 20 시리즈 및 Intel Arc 시리즈 이상 GPU만 활성화 가능. 라데온은 밝혀지진 않았으나 RX 400 시리즈에서 구동되는 것이 확인되었다.#[10] 출시당시에도 DLL파일 자체는 3.1이고 리플렉스도 있으나 핵심기술인 FG이 제거돼서 사실상 2.X 취급받았었다. 심지어 엔비디아 공식 홈페이지에서 새로 출시한 게임을 소개할 때도 2로 소개했을정도.# 현재는 2.1패치를 거쳐 DLL파일 버전이 3.7로 올라감과 동시에 정상적으로 지원한다.[13] 중국에서 던파는 한 때 국민게임급이었고, 본가인 한국에선 메이저 게임 말석에 겨우 붙어있을 정도로 쇠락한 2020년대에도 중국 내 PC 게임 순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으며, 실제로 던파 모바일은 출시되자마자 기존 중국 모바일 게임계에서 절대 넘을 수 없는 산으로 여겨진 부동의 1순위 아너 오브 킹즈마저 제치고 1위로 올라서 무려 28일동안 1위를 차지했다.[14] 다운로드 당 매출(RPD)을 비교했을 때, 한국이 약 16달러, 중국 iOS는 4 달러, 일본은 14 달러, 미국은 5 달러의 다운로드 당 매출을 기록했다. [15] 중국 서버 기준으로 마침 1.3 업데이트 기간에는 퍼니싱에서 나나미 망성지적의 캐릭터 픽업이 진행중이었다.[16] 인게임에서 '으앙...'으로 설정된 SD 이모티콘이다. 여기에 구걸하는 듯한 말풍선 효과가 추가되어있다.[17] 인게임에서 '한숨'으로 설정된 SD 이모티콘이다.[18] 인게임에서 '응?'으로 설정된 SD 이모티콘이다.[19] 핵심 파일을 먼저 업데이트하고 인게임 내에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이 아닌 앱스토어 내 dmg 파일에 핵심 파일과 설치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모두 하나로 묶여있기 때문. 비슷한 사례로 Nintendo Switch판 오버워치나 Warframe의 경우 메인 데이터가 매우 작고 그것을 매우 거대한 업데이트 파일 하나로 퉁치기 때문에 업데이트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길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