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베르스타펜

최근 수정 시각: ()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namuarrow.svg  
베르스타펜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해당 인물의 아버지에 대한 내용은 요스 베르스타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해당 인물의 개인 팀에 대한 내용은 베르스타펜.com 레이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IMG_0861.png
2025 포뮬러 1
참가 드라이버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
[[맥라렌 포뮬러 1 팀|{{{#!wiki style="width: 100%; border-left: 5px solid #ff8000; padding: 3px 10px; margin-top: 4px"
{{{#000,#fff '''{{{+1 '''맥라렌'''}}}'''[[파일:mclaren-2025.png|width=36&align=right]]}}}}}}]]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949498; padding: 1px; margin: -10px 5px -15px 5px"
}}}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오스카 피아스트리'''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15]]]]}}}}}} {{{#!wiki style=""
[[파일:OSCPIA01.png|width=36&align=left]][[오스카 피아스트리|[[파일:25OP.png|width=100%]]]]}}}}}}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랜도 노리스'''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16]]]]}}}}}} {{{#!wiki style=""
[[파일:LANNOR01.png|width=30&align=left]][[랜도 노리스|[[파일:25LN.png|width=100%]]]]}}}}}}}}}
[[맥라렌 MCL39|[[파일:MCL39.png|width=240&align=center]]]]
}}}}}}
#000,#fff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
[[스쿠데리아 페라리 HP|{{{#!wiki style="width: 100%; border-left: 5px solid #E8002E; padding: 3px 10px; margin-top: 4px"
{{{#000,#fff '''{{{+1 '''페라리'''}}}'''[[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svg|width=19&align=right]]}}}}}}]]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949498; padding: 1px; margin: -10px 5px -15px 5px"
}}}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샤를 르클레르''' ⬛ [[모나코|[[파일:모나코 국기.svg|width=13]]]]}}}}}} {{{#!wiki style=""
[[파일:CHALEC01.png|width=36&align=left]][[샤를 르클레르|[[파일:25CL.png|width=100%]]]]}}}}}}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루이스 해밀턴'''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16]]]]}}}}}} {{{#!wiki style=""
[[파일:LEWHAM01.png|width=36&align=left]][[루이스 해밀턴|[[파일:25LH.png|width=100%]]]]}}}}}}}}}
[[페라리 SF-25|[[파일:SF-25.png|width=240&align=center]]]]
}}}}}}
#000,#fff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wiki style="width: 100%; border-left: 5px solid #3671C6; padding: 3px 10px; margin-top: 4px"
{{{#000,#fff '''{{{+1 '''레드불 레이싱'''}}}'''[[파일:레드불 심볼.svg|width=45&align=right]]}}}}}}]]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949498; padding: 1px; margin: -10px 5px -15px 5px"
}}}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막스 베르스타펜'''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13]]]]}}}}}} {{{#!wiki style=""
[[파일:Max Verstappen.svg|width=20&align=left]][[막스 베르스타펜|[[파일:25MV.png|width=100%]]]]}}}}}}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리암 로슨'''[*RB 2R 중국 그랑프리까지] 🟨 [[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15]]]]}}}}}} {{{#!wiki style=""
[[파일:LIALAW01.png|width=40&align=left]][[리암 로슨|[[파일:25LL.png|width=100%]]]]}}}}}}}}}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1 {{{#000,#fff '''츠노다 유키[*RedBull 3R 일본 그랑프리부터]'''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15]]]]}}}}}} {{{#!wiki style=""
[[파일:Yuki Tsunoda.svg|width=45&align=left]][[츠노다 유키|[[파일:yuktsu01.png|width=100%]]]]}}}}}}}}}
[[레드불 레이싱 RB21|[[파일:RB21.png|width=240&align=center]]]]
}}}}}}
#000,#fff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wiki style="width: 100%; border-left: 5px solid #29F4D2; padding: 3px 10px; margin-top: 4px"
{{{#000,#fff '''{{{+1 '''메르세데스'''}}}'''[[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width=28&align=right]]}}}}}}]]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949498; padding: 1px; margin: -10px 5px -15px 5px"
}}}
{{{#949498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조지 러셀'''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16]]]]}}}}}} {{{#!wiki style=""
[[파일:GEORUS01.png|width=36&align=left]][[조지 러셀|[[파일:25GR.png|width=100%]]]]}}}}}}}}}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안드레아 키미 안토넬리'''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13]]]]}}}}}} {{{#!wiki style=""
[[파일:ANDANT01.png|width=32&align=left]][[안드레아 키미 안토넬리|[[파일:25AKA.png|width=100%]]]]}}}}}}
[[메르세데스-AMG F1 W16 E 퍼포먼스|[[파일:W16.png|width=240&align=center]]]]
}}}}}}
#000,#fff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
[[애스턴 마틴 아람코 포뮬러 원 팀|{{{#!wiki style="width: 100%; border-left: 5px solid #00594E; padding: 3px 10px; margin-top: 4px"
{{{#000,#fff '''{{{+1 '''애스턴 마틴'''}}}'''[[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svg|width=50&align=right&theme=light]][[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width=50&align=right&theme=dark]]}}}}}}]]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949498; padding: 1px; margin: -10px 5px -15px 5px"
}}}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랜스 스트롤''' ⬛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14]]]]}}}}}} {{{#!wiki style=""
[[파일:LANSTR01.png|width=36&align=left]][[랜스 스트롤|[[파일:25LS.png|width=100%]]]]}}}}}}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페르난도 알론소'''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13]]]]}}}}}} {{{#!wiki style=""
[[파일:FERALO01.png|width=40&align=left]][[페르난도 알론소|[[파일:25FA.png|width=100%]]]]}}}}}}}}}
[[애스턴 마틴 AMR25|[[파일:AMR25.png|width=240&align=center]]]]
}}}}}}
#000,#fff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
[[BWT 알핀 포뮬러 원 팀|{{{#!wiki style="width: 100%; border-left: 5px solid #00a1e8; padding: 3px 10px; margin-top: 4px"
{{{#000,#fff '''{{{+1 '''알핀'''}}}'''[[파일:alpine-2025.png|width=35&align=right]]}}}}}}]]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949498; padding: 1px; margin: -10px 5px -15px 5px"
}}}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피에르 가슬리'''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13]]]]}}}}}} {{{#!wiki style=""
[[파일:PIEGAS01.png|width=36&align=left]][[피에르 가슬리|[[파일:25PG.png|width=100%]]]]}}}}}}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잭 두한[*DOO 6R [[마이애미 그랑프리]]까지]'''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15]]]]}}}}}} {{{#!wiki style=""
[[파일:JACDOO01.png|width=36&align=left]][[잭 두한|[[파일:25JD.png|width=100%]]]]}}}}}}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프랑코 콜라핀토[*COL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부터 최소 5경기]'''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15]]]]}}}}}} {{{#!wiki style=""
[[파일:알핀43번임시.png|width=36&align=left]][[프랑코 콜라핀토|[[파일:IMG_콜알핀토.png|width=100%]]]]}}}}}}}}}}}}
[[알핀 A525|[[파일:A525.png|width=240&align=center]]]]
}}}}}}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에스테반 오콘'''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13]]]]}}}}}} {{{#!wiki style=""
[[파일:ESTOCO01.png|width=36&align=left]][[에스테반 오콘|[[파일:25EO.png|width=100%]]]]}}}}}}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올리버 베어먼'''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16]]]]}}}}}} {{{#!wiki style=""
[[파일:OLIBEA01.png|width=40&align=left]][[올리버 베어먼|[[파일:25OB.png|width=100%]]]]}}}}}}}}}{{{#949498
[[하스 VF-25|[[파일:VF-25.png|width=240&align=center]]]]
}}}
#000,#fff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
[[비자 캐시 앱 레이싱 불스 포뮬러 원 팀|{{{#!wiki style="width: 100%; border-left: 5px solid #6592FF; padding: 3px 10px; margin-top: 4px"
{{{#000,#fff '''{{{+1 '''레이싱 불스'''}}}'''[[파일:racing-bulls-2025.png|width=33&align=right]]}}}}}}]]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949498; padding: 1px; margin: -10px 5px -15px 5px"
}}}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아이작 하자르'''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15]]]]}}}}}} {{{#!wiki style=""
[[파일:ISAHAD01.png|width=36&align=left]][[아이작 하자르|[[파일:25IH.png|width=100%]]]]}}}}}}}}}{{{#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츠노다 유키'''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15]]]]}}}}}}[*RB 2R 중국 그랑프리까지] {{{#!wiki style=""
[[파일:YUKTSU01.png|width=36&align=left]][[츠노다 유키|[[파일:25YT.png|width=100%]]]]}}}}}}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리암 로슨''' 🟨 [[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15]]]]}}}}}}[*RedBull 3R 일본 그랑프리부터] {{{#!wiki style=""
[[파일:30-2025-4-24-.png|width=36&align=left]][[리암 로슨|[[파일:lialaw01.png|width=100%]]]]}}}}}}}}}
[[RB VCARB 02|[[파일:VCARB 02.png|width=240&align=center]]]]
}}}}}}
#000,#fff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
[[아틀라시안 윌리엄스 레이싱|{{{#!wiki style="width: 100%; border-left: 5px solid #1868db; padding: 3px 10px; margin-top: 4px"
{{{#000,#fff '''{{{+1 '''윌리엄스'''}}}'''[[파일:williams-2025.png|width=30&align=right]]}}}}}}]]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949498; padding: 1px; margin: -10px 5px -15px 5px"
}}}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알렉스 알본''' ⬛ [[태국|[[파일:태국 국기.svg|width=15]]]]}}}}}} {{{#!wiki style=""
[[파일:ALEALB01.png|width=36&align=left]][[알렉스 알본|[[파일:25AA.png|width=100%]]]]}}}}}}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카를로스 사인츠'''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15]]]]}}}}}} {{{#!wiki style=""
[[파일:CARSAI01.png|width=36&align=left]][[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파일:25CS.png|width=100%]]]]}}}}}}}}}
[[윌리엄스 FW47|[[파일:FW47.png|width=240&align=center]]]]
}}}}}}
#000,#fff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32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10px 0px 0px; border-right: 1.6px solid currentcolor; border-top: 1.6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2px 2px"
[[스테이크 F1 팀 킥 자우버|{{{#!wiki style="width: 100%; border-left: 5px solid #52E252; padding: 3px 10px; margin-top: 4px"
{{{#000,#fff '''{{{+1 '''자우버'''}}}'''[[파일:IMG_kick-sauber.png|width=28&align=right]]}}}}}}]]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949498; padding: 1px; margin: -10px 5px -15px 5px"
}}}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니코 휠켄베르크'''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13]]]]}}}}}} {{{#!wiki style=""
[[파일:NICHUL01.png|width=36&align=left]][[니코 휠켄베르크|[[파일:25NH.png|width=100%]]]]}}}}}} {{{#949498
{{{#!wiki style="padding: 2px; width: 100%; max-width: calc(150px / 1);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0px 0px 10px 0px; border-right: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px solid currentcolor; vertical-align: top; color: currentcolor; font-size: 0.9em; text-align: left; margin: 5px 2px 10px 2px"
{{{-2 {{{#000,#fff '''가브리에우 보르툴레투'''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15]]]]}}}}}} {{{#!wiki style=""
[[파일:GABBOR01.png|width=28&align=left]][[가브리에우 보르툴레투|[[파일:25GB.png|width=100%]]]]}}}}}}}}}
[[킥 자우버 C45|[[파일:C45.png|width=240&align=center]]]]
}}}}}}


*드라이버 이름 옆의 정사각형은 각 선수들 차량의 카메라 팟 색상을 의미한다.[1]
각주 [ 펼치기 · 접기 ]
파일:25막스.jpg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No. 1
막스 베르스타펜
Max Verstappen
본명
막스 에밀리안 페르스타펀[1][2][3]
Max Emilian Verstappen
출생
국적
신체
181cm|72kg
가족
아버지 요스 베르스타펜
어머니 소피 컴펜
여동생 빅토리아 베르스타펜
이복 여동생 블루 제이 베르스타펜
이복 남동생 야손 베르스타펜
이복 여동생 밀라 베르스타펜
딸 릴리 베르스타펜[4][5]
소속 팀
레이스 엔트리
223경기
레이스 스타트
월드 챔피언
4회[6] (2021, 2022, 2023, 2024)
그랑프리 우승
65회[7]
포디움
117회[8]
스프린트 우승
12회[9]
폴 포지션
44회[10]
스프린트 폴 포지션
9회[11]
패스티스트 랩
34회[12]
폴 투 윈
33회[13]
해트트릭
13회[14]
그랜드 슬램
5회[15]
커리어 포인트
3210.5
첫 경기
첫 그랑프리 우승
최근 그랑프리 우승
지난 시즌 성적
(2024 시즌)
1위 (437 pts)
최고 챔피언십 순위
1위
최고 스타팅 그리드 순위
1위
최고 레이스 기록
1위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홈페이지
서명
파일:MaxVerstappenSignature.png

1. 개요2. 생애3. 드라이빙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역대 팀메이트와의 상대 전적6. 어록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편집]


네덜란드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소속 F1 드라이버.

포뮬러 1 역사를 통틀어 가장 어린 나이에 데뷔한 드라이버이며, 2021시즌부터 2024시즌까지 월드 챔피언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현 F1의 디펜딩 챔피언이다.

2. 생애 [편집]

아버지는 네덜란드 국적의 전직 포뮬러 1 레이싱 드라이버인 요스 베르스타펜이고, 어머니는 벨기에 국적의 레이싱 드라이버 소피 컴펜[16]으로, 벨기에에서 나고 자랐다. 부모 모두 레이싱 드라이버인만큼[17] 어렸을 적부터 부모님을 따라 카트를 타는 것이 자연스러웠다.

이러한 배경으로 4살 때 카트를 운전하기 시작했고, 2006년에 벨기에 주니어 카트 대회에서 처음으로 우승을 따냈다. 이후 여러 카트 챔피언십 챔피언 자리를 따내고,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포뮬러 클래스에 입문하게 된다.

자신의 엄청난 재능을 아낌없이 구사하다, 17세 5일의 나이로 2014년 스즈카에서 FP1을 위해 처음으로 F1 차량에 올랐고, 이후 2015년 17세 166일이라는 다시 깨지기 힘든 최연소 드라이버 기록을 갈아치우며 화려한 데뷔를 하게 된다.

"다시 깨지기 힘든" 이라고 하는 이유는 그가 데뷔한 이후 FIA에서 연령 규정을 변경하여 18세 미만인 드라이버에게는 슈퍼 라이선스를 발급하지 않기로 하였기 때문.[18]

2.1. 선수 경력 [편집]

파일:떡밥위키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막스 베르스타펜/선수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드라이빙 스타일 [편집]

특이하게도 원랩보다는 레이스에 강한 스타일로 데뷔하였으며, 특히 레인 컨디션에서의 능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최근에는 아무에게나 레인 마스터라고 불러주는 경우가 많지만 막스의 경우는 유독 레인 컨디션에서 강한 능력을 보여주는데, 과거 레인 컨디션에서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주던 아일톤 세나가 그립을 찾는 천부적인 재능을 가졌다면 막스의 경우 다른 드라이버들과 전혀 다른 자신만의 라인을 타는 것으로 이를 해결한다. 최근의 사례로는 2024 상파울루 그랑프리에서 그런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스타트에서부터 아무도 가지 않던 바깥쪽 라인을 타며 추월에 성공하고, 노면이 젖었음에도 과감하게 레이트 브레이킹을 시전하는 등 레인 컨디션에서 무려 16그리드를 끌어올리며 진정한 레인마스터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역대 최고라는 아일톤 세나 이외의 누군가 한 사람을 레인마스터로 불러야 한다면, 그것은 베르스타펜 그리고 랜스 스트롤[19]일 것이다. 미끄러지는 리어를 잘 컨트롤한다는 면도 비슷하다. 레인컨디션 승률이 40%가 넘는 것은 세나와 베르스타펜이 유이하며, 통산 승률 대비 레인컨디션 승률이 10%이상 높은 것도 역시 두 드라이버뿐이다. 다만 2025년 영국 그랑프리에서 젖은 노면 컨디션에서 스핀하며 거의 처음으로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었다.

루이스 해밀턴이 데뷔 초에 보여준 스타일과 비슷한 편이다. 정밀하게 레이싱 라인을 그리며 경기를 운영하는 스타일[20]과는 거리가 멀고 그때그때 본능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 돋보인다. 다소 위험할 정도로 공격적인 경기 운영 역시 데뷔 초의 해밀턴과 유사한 점이다.[21] 다만 때로는 그 정도가 조금 지나쳐 좋지 않은 결과를 불러오는 경우도 있다. 이 점은 많은 F1 팬들이 경험이 쌓이다 보면 개선될 것이라고 보았고, 2020시즌에 20대 후반의 해밀턴 이상의 군더더기 없는 만능 드라이빙을 보여주며 입증하였다.

레이싱 스타일은 굉장히 공격적이다. 타이어를 아끼면서 크루징하기보다 차라리 피트 스탑을 한 번 더 하고, 타이어의 퍼포먼스를 끌어올려서 가능한 한 빨리 달려 추월하는 것을 선호한다. 하지만 이러한 것은 그의 성향일 뿐 타이어 관리가 젬병인 스타일도 아닌 게, 막스는 드물게 데뷔 초에도 숏런보다 롱런이 장점으로 꼽힌 드라이버다. 커리어 초중반 폴 포지션은 당대 가장 좋은 차를 가졌던 해밀턴 때문에 많이 해본 적이 없기에 폴 투 윈보다는 다른 그리드에서 출발해 우승한 적이 많다. 처음으로 메르세데스와 경쟁할 만한 차를 탔던 2021시즌부터는 폴투윈을 점점 추가하기 시작했으며, 이 시즌부터 무엇보다 빛나는 것은 아주 디테일링한 드라이빙과 타이어 관리, 그리고 철저하고 완벽한 전략 수행 능력이다. 사실 폴투윈 확률이 77%가 넘을 정도로 포지션 우위를 정교하게 지켜내는데 이는 물론 레드불 핏월의 전략팀의 기여도와 무관하지 않다. 단지 잘 하다가도 잊을만 하면 불거지는 스타트 직후 문제가 있으며 이는 옥의 티.

막스의 최고 장점은 어떤 스타일의 레이스 카가 던져져도 적응해내고 최고의 퍼포먼스를 낸다는 점인데, 이건 그 해밀턴에게도 없는 비상한 능력이다. 그가 소속된 팀인 레드불은 빠르나 트리키한 차를 만들기로 유명하다. 그런 와중에 막스는 2022시즌을 치르면서 사실상 세컨드 드라이버인 세르히오 페레스의 도움조차 필요없이 메르세데스나 페라리 두 대를 상대할 정도로 레이스에서 흔들림이 없고 빠르다. 2022시즌의 레드불 전략 팀이 전체 10팀들 중 가장 유연하고 강력한 전략을 펼치는 덕택도 있지만, 그걸 적을 때는 두 대, 많게는 세, 네 대가 쪼아대는 틈에도 팀이 요구하는 랩타임을 완벽하게 유지하고 타이어를 아껴 전략 팀이 구상한 전략을 그대로 실현시키는, 가히 레이싱 기계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드라이빙을 보여주고 있다.

팀 라디오에서는 꽤 자주 그립이 없다고 하는데, 그립이 정말 없는 게 아니라 비정상적으로 높은 프런트 그립을 선호해서 레이스 카의 세팅이 높은 그립에 최적화되어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리어 그립은 거의 신경쓰지 않는데 이는 같은 팀 선배였던 베텔과는 전혀 다른 성향이다.

정교한 스티어링 컨트롤과 빠른 반사 신경을 바탕으로, 루즈한 리어와 매우 샤프한 프런트 그립을 선호한다. 브레이크, 개스페달로 차체 회전을 극대화 시키는 스타일 (코너, 상황마다 그 필요성과 중요성이 다르지만 이를 기반으로 한 운전스타일과 그 자신감은 정말 큰 장점이자 무기이다). 레드불에서 경쟁한 알렉산더 알본이 실제로 인터뷰에서 밝힌 것인데, 막스와 자신 모두 프런트에 예민한 타입이지만 막스는 그 예민함이 어나더 레벨이라고 했다. 비유를 들어 마우스 커서의 민감도를 최대치로 올리면 마우스를 조금만 움직여도 마우스 커서는 화면을 엄청난 속도로 가로지르는데 막스가 차를 운전하는 게 그것과 같다는 것. 막스는 시즌이 진행되고 업데이트가 계속될수록 차의 프런트를 계속해서 더 예민하게 만들어달라고 했고 그럴 때마다 그만큼 빨라졌다고 한다. 그의 운전감각이 상상을 초월하는 정교함을 가졌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기술진 인재의 유출이 심각한 2025 시즌에 들어서는 막스 본인조차 컨트롤에 불만을 표할 정도로 개발 부서 측에서 차량 세팅에 실패한 듯 하며, 그 정도가 과도해 이후 팀메이트들의 부진이라는 부작용으로 이어지게 된다.

4. 연도별 성적 [편집]

시즌
시리즈
경기
우승
폴 포지션
패스티스트 랩
포디움
포인트
순위
2014
플로리다 윈터 시리즈
-
12
2
3
3
5
-
3위
유럽 포뮬러 3
판 아머스푸르트 레이싱
33
10
7
7
16
411
3위
1
0
0
1
0
-
7위
잔드보르트 마스터스
모토파크
1
1
1
0
1
-
1위
2015
19
0
0
0
0
49
12위
2016
4
0
0
0
0
204
5위
17
1
0
1
7
2017
20
2
0
1
4
168
6위
2018
21
2
0
2
11
249
4위
2019
21
3
2
3
9
278
3위
2020
17
2
1
3
11
214
3위
2021
22
10
10
6
18
395.5
1위
2022
22
15
7
5
17
454
1위
2023
22
19
12
9
21
575
1위
2024
24
9
8
3
14
437
1위
2025
14
2
4
1
5
187
3위*
* :현재 진행 중

5. 역대 팀메이트와의 상대 전적 [편집]

  • 한 시리즈의 50% 이상의 레이스에 참가한 시리즈에 한해 비교.
  • 한 시리즈에 50% 이상의 레이스에 참가한 드라이버들만 반영.
  • 종합 챔피언십 시리즈만 반영.
시즌
시리즈
드라이버
레이스
우승
폴 포지션
패스티스트 랩
포디움
포인트
순위
2014
FIA 포뮬러 3 유러피언 챔피언십
막스 베르스타펜
33
10
7
7
16
411
3위
파일:미국 국기.svg
구스타보 메네제스
33
0
1
0
2
91
11위
줄스 스짐코비악
33
0
0
0
0
17
20위
2015
막스 베르스타펜
19
0
0
0
0
49
12위
19
0
0
0
0
18
15위
2016
막스 베르스타펜
4
0
0
0
0
10위[23]
4
0
0
0
0
14위[25]
막스 베르스타펜
17
1
0
1
7
191[26]
5위[27]
1
1
4
8
200[29]
2017
막스 베르스타펜
20
2
0
1
4
168
6위
20
1
0
1
9
200
5위
2018
막스 베르스타펜
21
2
0
2
11
249
4위
21
2
2
4
2
170
6위
2019
막스 베르스타펜
2
1
3
5
181[32]
3위[33]
12
0
0
2
0
6위[35]
막스 베르스타펜
3
2
3
9
3위[38]
9
0
0
2
0
6위[40]
2020
막스 베르스타펜
17
2
1
3
11
214
3위
17
0
0
0
2
105
7위
2021
막스 베르스타펜
22
10
10
6
18
395.5
1위
22
1
0
2
5
190
4위
2022
막스 베르스타펜
22
15
7
5
17
454
1위
22
2
1
3
11
305
3위
2023
막스 베르스타펜
22
19
12
9
21
575
1위
22
2
2
2
9
285
2위
2024
막스 베르스타펜
24
9
8
3
14
437
1위
24
0
0
1
4
152
8위
2025
막스 베르스타펜
2
0
0
0
1
36
2위[2R]
2
0
0
0
0
0
17위[2R]
막스 베르스타펜
2
4
1
4
151
3위[44]
12
0
0
0
0
7
18위[45]

6. 어록 [편집]

"What he did to Kimi twice on the straight, and to Vettel as well. Just calm down. You're going to kill someone."
"캐멀 스트레이트에서 두 번이나 키미에게 한 짓과 베텔에게도 한 짓을 떠올려 보세요. 당신은 언젠가 누군가를 죽일 겁니다."

"He should watch a little with his statements that someone dies, because he himself has killed someone."
"빌뇌브는 누군가 죽는다는 발언에 조심해야 해요. 왜나면 본인이 누군가를 죽여봤기 때문이죠."[46]

2016시즌 13R 벨기에 GP, 자크 빌뇌브와의 인터뷰 中
In every sport there is always hate and people being jealous, so I guess it is that. (중략) It is very unfair, and on social media you have all these keyboard warriors who just type something, and they never say it to my face. That's very weak I find, (중략) over‑complicate the situation to try to find something behind it that is not there. That annoys me.
모든 스포츠에는 항상 증오와 질투가 섞여있는 것 같애요. (중략) 매우 불공평하죠, 소셜 미디어에서 키보드 워리어들이 하는 말들을 현실에선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중략) 그들은 조그만것에도 과하게 반응하며 일을 지나치게 키워 비난하려고 해요. 그게 정말 짜증납니다.

2018시즌 9R 오스트리아 GP를 앞두고[47]
What a fucking idiot! What a fucking idiot!
좆같은 빡통새끼가! 좆같은 빡통새끼가!

2018시즌 20R 브라질 GP 레이스, 백마커였던 에스테반 오콘과 충돌한 후[48][49]
Go back with the fucking setting! It keeps saying the fucking...I can't change it!
이 좆같은 세팅부터 어떻게 해 봐! 계속 문제가 있다고 뜨는데... 바꿀 수가 없다고!

2020시즌 1R 오스트리아 GP, 레이스 11랩에 전자계통으로 리타이어를 하며
They are so fucking blind man, it's unbelievable. Why not just tell them to move?!
얘네는 씨발 앞이 안 보이나 봐. 그냥 좀 저리 비키라고 하면 안 돼?!

2020시즌 2R 스티리아 GP FP2, 차량들에게 계속해서 방해를 받자
Aaaahh fuck sake!!!
아아아 진짜 씨발!!!

2020시즌 2R 스티리아 GP Q3, 마지막 코너에서 미끄러지며
Fucking! Dickhead! Jesus christ! Yeah mate... I find this unbelievable! How he can be so blind?!
씨발! 좆대가리! 돌겠네! 와 진짜... 이게 말이 되냐! 눈깔이 삐지 않고서야 저럴 수 있냐고.

2020시즌 5R 영국 GP 레이스 中
So no power!! Fuck![50]
출력이 안 나와!! 쳐돌겠네!
Yeah I'm stuck! This what you get! With this fucking shitshow! Honestly!
그래 나 못 나간다! 이제 만족하냐! 이 좆같은 꼬라지 보이냐고! 씨발 진짜!

2020시즌 9R 토스카나 GP에서 최악의 스타트를 보낸 뒤 사고에 휘말려 자갈에 꽂혀 리타이어하게 된 상황에서
Mate, is this fucking guy blind? What the fuck is wrong with him. Jesus Christ. What a retard. I have damage. What a mongol. I sweared.
저 새끼 눈깔이 삐였냐? 뭔 지랄이야 씨발. 환장하겠네, 저 저능아 때문에 차 파손된 것 같아. 아, 다운증후군 새끼.

2020시즌 12R 포르투갈 GP FP2, 스트롤과 충돌 이후
Yeah fuck! I couldn't anything there. Fuck sake!
그래 씨발! 나 여기서 아무 것도 못 한다. 지랄났네!

2020시즌 16R 사키르 GP 레이스, 페레즈, 르클레르와 충돌 이후
Fucking Tire! FUCKKKK!!
병신같은 타이어! 씨바알!!!!!!!

2021시즌 아제르바이잔 GP 레이스, 후반에 갑작스러운 타이어 펑쳐 이후
잔피에로 람비아스[51]: Oh My Lord, Max! Oh My God! (오 맙소사, 막스! 세상에!)

막스 베르스타펜: YEEEEEEESSSSSSS! (좋았어!!!!!!!!!!!!!!)

잔피에로 람비아스: You're the world champion! You are the world champion! Yes! (넌 월드 챔피언이야! 넌 월드 챔피언이라고! 좋았어!)

막스 베르스타펜: YEEEEESSSSS! OH MY GOD! HAHA HAAA! (예스!!!!!! 오 마이 갓!! 하하하하하!)

Yes! (좋았어!)

WOOOHHH! YEEESSS! OH MY GOD!! (우하하하하! 좋았다고! 오 신이시여!!)

크리스천 호너: Max Verstappen! You are the world champion! The World Champion! (막스 베르스타펜! 넌 월드 챔피언이야! 월드 챔피언이라고!)[52]

잔피에로 람비아스: Mate you.. You absolutely deserve it, You absolutely deserve it! you've had no luck! (넌... 넌 우승할 자격이 있어, 넌 그럴 자격이 있다고! 단지 운이 아니야!")
(중략)

크리스천 호너: Max! We are so proud of you! (막스! 우리는 너가 정말 자랑스러워!)

21시즌 22R 아부다비 GP 이후, 자신의 첫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달성을 확정 지은 후.
"Box Max! Box, box, box!"
"피트로 들어와, 막스!"

"WTF? WTF? WTF are you guys saying? Unbelievable mate... I don't get it, WTF is this saying? WTF is this about?"
"씨발? 뭔 지랄인데? 씨발 니들 뭐라고 씨부리는 건데? 참 놀랍네... 이해가 안 되네, 이게 뭔데? 이게 씨발 뭐냐고?"

2022시즌 17R 싱가포르 그랑프리, 레드불의 연료 계산 착오라는 흔치 않은 실수로 인해 폴 포지션을 얻지 못하자[53]
"Hey man, this brake is so ******. It's different yesterday. What this is a ****."
" 이 브레이크 너무 좆같잖아. 어제랑 느낌이 달라. 진짜 개씨발이네."

"Understood."
"알겠어."

(중략)

"Same pace Hamilton."
"해밀턴이랑 페이스는 똑같아."

"Please no talking. I'm in the braking."
"말 걸지 마. 지금 브레이킹 중이잖아."

"Understood, Max."
"알겠어, 막스."

(중략)

"Gap, 3.6."
"3.6초 차이야."

"No talking in the breaking man, ******!"
"아 씨발, 브레이킹 중일 때는 말 좀 걸지 말라니까!"

2023시즌 19R 미국 GP 레이스, 브레이크가 어제와 다르다며 불평하는데 엔지니어가 말을 걸자#[54]
Yeah, but I mean, it's always if, if, if... right? If my mom had balls, she would be my dad.
맨날 그 소리네요. 근데 항상 가정이잖아요. 그렇죠? 만약 제 어머니께 불알이 달려 있었다면, 어머니가 아니라 아버지가 됐겠죠.

2024시즌 6R 마이애미 GP 종료 후 기자회견 中, 랜도 노리스가 세이프티 카 상황 없이도 우승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No, Mate. Don't give me that bullshit. You guys gave me this fucking strategy, ok? I'm trying to rescue what's left. Fuck sake...
아니. 나한테 이래라저래라 하지마. 니네가 나한테 좆같은 전략을 준거잖아? 어떻게든 살 길 찾는 중이니까 좀 닥쳐봐...#

2024시즌 13R 헝가리 GP 레이스 中, 레드불 전략팀의 실책으로 루이스 해밀턴샤를 르클레르 에게 언더컷을 당한 후 엔지니어와 언쟁을 벌이며
Hello? What the fuck!
저기요? 뭔 개짓거리야!

2024시즌 14R 벨기에 GP Q1, 저우관위에 의해 자신의 플라잉 랩을 방해받자
A lot.
많이 바꿨죠.
Maybe?
아마도?
It's an unknown.
몰라요.
I will find out tomorrow.
내일 알아봐야죠.
I'm answering. Just not a lot.
대답하고 있잖아요. 많이 대답하고 있지 않을 뿐이지.

2024시즌 18R 싱가포르 그랑프리, 퀄리파잉 직후 FIA 공식 기자회견에서 그랑프리 시작 전 자신이 받은 사회봉사 징계[55]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인터뷰 내내 단답으로 대답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세한 인터뷰는 인터뷰 룸 바깥으로 나가 기자들을 모아 놓고 진행하였으며, 레이스가 끝난 뒤에도 FIA의 행태를 비판하며 심지어는 은퇴를 암시하는 발언까지 하였다.
Thank you Daniel
고마워, 다니엘

2024시즌 18R 싱가포르 GP 레이스가 끝난 직후, 레이스 엔지니어에게 다니엘 리카도가 패랩을 챙겼다는 소식을 들은 후[56]
****** it's a lot water but...Let's try a lap.
비 한번 존나게도 오네...그래도 한 번 달려보자.

2024시즌 21R 상파울루 GP 레이스 中, 폭우가 계속 내리자
"It's been a long time coming mate, but the boy was that worth the wait. You are the man."
"우승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어. 하지만 기다릴 만한 가치가 있었지. 너가 승자야."

"AAAHHH YESSS!!! HA HA! What an unbelievable race guys! You know that it is? Simply lovely! I'll tell you that!"
"좋았어!!! 하하! 믿기지가 않는 레이스야! 이런걸 뭐라고 부르는지 알아? 심플리 러블리라고! 너한테 이걸 말하고 싶었어!"

"Max! That was amazing! 17th to 1st. That was a world champion's drive. You were absolutely a class of your own today. You almost put 2016 into the shade there. That was absoultely masterful. Fantastic!"
"막스! 대단했어! 17위에서 우승이라니. 월드 챔피언의 운전이었어. 오늘 완전 압도적이었지. 2016시즌 시절을 보는 듯 했어. 정말 대단해!"

"Ahh well done everyone. Never give up. Ha ha! What a day. Emotions left and right. Haha. Unbelievable!"
"아 모두 잘했어. 포기하지 마. 하하! 정말 대단한 날이야. 감정이 왔다갔다하네. 하하. 믿기지가 않네!"

"And that is how we silence them."
"그리고 그것이 그들을 입다물게 만든 방법이야."

"Exactly."
"정확해."

2024시즌 21R 상파울루 GP, 무려 17위에서 우승을 한 후[57][58]
Yeah I think the grass was a bit... was not really well cut on the right-hand side so... I think, yeah Lando saw that as well and... yeah he made sure that it was nicely cut.
오른쪽 옆 잔디가 잘 깎여져 있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랜도가 그걸 보고 다듬으러 가더라고요.

2025시즌 3R 일본 GP 레이스 후 인터뷰 中
”Why the fuck have we? What is this tyre?”
”씨발 왜? 이게 뭔 타이어야?“

”Now that’s the hard tyre Max.”
“막스, 하드 타이어야.”

“Why? Why are we on a hard?”
”왜 하드 타이어를 장착한거야?”

“That was the only option.“
”선택지가 그거밖에 없었어.“
----#
2025시즌 9R 스페인 GP 레이스, 세이프티 카 발동[59] 후 피트 스탑을 하고 나서[60][61]
“I’m out. I got hit like crazy. Fuck idiots”
“끝났네. 개같이 받혀버렸어. 씨발 빡대가리새끼들“

2025시즌 11R 오스트리아 GP 레이스, 안토넬리한테 리어 타이어를 충돌당해 리타이어한 후.[62][63]
Hopefully then maybe people will not mention it too much any more.
이젠 사람들이 그 얘기(챔피언십 경쟁)좀 덜 했으면 좋겠네요.

2025시즌 11R 오스트리아 GP 레이스 리타이어 직후에 이번 경기가 드라이버 챔피언십 경쟁에 어떤 의미냐고 묻는 기자의 질문에

7. 여담 [편집]

  • 가족 자체가 레이싱에 관련이 깊은데, 어머니는 카트링에 출전한 경력이 있고 어머니의 삼촌 역시 랠리드라이버였으며 그의 아들 또한 나스카 유로시리즈 챔피언인 레이싱 집안 출신이고, 아버지인 요스 베르스타펜 또한 전 F1 드라이버 출신이었으며 독일 포뮬러 3 챔피언까지 땄던 기록이 있다. 베네통 시절에는 포디움에 등극하기도 했으며, 지금보다 포인트 제도가 더 빡빡했던 시절에도 꾸준히 포인트를 벌어다주며 베네통을 상위권에 끌어올린 드라이버들 중 한 명이다. 다만 우승권 드라이버는 아니었던 탓에 2경기를 남기고 조니 허버트에게 시트를 뺏겼으며, 이후로는 커리어 내내 부진하며 2003년 이후 F1을 떠났다.
  • 아버지 요스가 어린 시절 막스에게 상당히 거칠게 키웠다는 말이 있다. 주로 논란이 된 것이 어린 시절의 막스가 카트 레이싱을 우승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막말을 한 뒤 주유소에 버려두고 갔다던가[64], 때린다던가 했다는 게 언급된다. 막스가 겨울철에 손이 얼어도 카트를 계속 태운 것을 웃으면서 인터뷰한 영상도 유명하다. 한편으로는 막스의 트랙에서 욕을 아무렇게나 일삼는 성격이 10대의 어린 시절 어려운 선수 생활과 요스의 성질을 물려받아 나오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있다. 다행히도 막스와 양녀 페넬로피의 관계를 보면 그게 막스의 자녀관 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두 부자간의 관계는 원만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히려 막스는 학대에 가까운 아버지의 혹독한 훈육 방식이 자신을 강한 드라이버로 만들었다고 할 정도이다. 이외에도 요스는 전 애인[65]에 대한 살인미수 혐의로 체포된 적도 있었고, 그 전 애인에게도 폭행을 일삼아 입건되기도 했다. 또한 자신의 아버지[66]와 함께 카트 경기장에서 학부모를 폭행해 두개골 골절상을 입혀 합의 끝에 5년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던, 진심으로 막스가 사이코패스 살인마로 자라지 않은 게 기적일 수준의 아스트랄한 전적을 가지고 있다.
  • Q: 막스, 왜 그렇게... 사고가 잦다고 생각하나요?[67]
    A: 몰라요. (한참 침묵이 흐르고) 그리고... 이 기자회견 하기 전에도 얘기했는데, 이 질문 이제 슬슬 짜증나거든요. 그러니까... 네. (똑같은) 질문을 몇 번 더 받으면 머리로 들이받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2018 시즌 캐나다 그랑프리 이후 기자회견 도중에 나온 말. 막스는 또 자신의 사고 횟수가 그렇게 심각한 수준이 아니며 왜 다들 엄청난 일인 것처럼 호들갑을 떠는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 만 17세의 F1에 역대 최연소로 데뷔하여[68] 최연소 패스티스트 랩, 최연소 득점, 최연소 포디움, 최연소 그랑프리 우승, 최연소 드라이버 그랜드슬램 등 F1 내 거의 모든 최연소 기록을 갱신하였다. 하지만 월드 챔피언 타이틀은 24세였던 2021년에 처음으로 얻게 되면서 제바스티안 페텔, 루이스 해밀턴, 페르난도 알론소의 기록을 경신하지 못하고 역대 최연소 챔피언 4위에 머물렀다.
  • 페텔에게서 최연소 그랑프리 우승 기록은 가져왔지만 폴 포지션 기록은 가져오지 못했다. 최연소 기록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2018 시즌 내에 폴 포지션을 받아야 하나 그러지 못했기 때문. 가끔씩 폴을 따내는 다니엘 리카도에 비해 핫랩이 좋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2018 멕시코 그랑프리에서는 FP1, 2, 3, 심지어 Q1, 2까지 내리 패스티스트 랩을 달성하며 첫 폴 포지션에 대한 기대를 불어넣었으나, Q3에서 아쉽게도 팀메이트 리카도에게 0.026초 밀리면서 2그리드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 순위 표시 그래픽에는 코드명이 'VER'로 표기되지만, 데뷔 초반인 2016시즌까지는 장에릭 베르뉴와 혼동될 것을 우려했는지 'VES'로 표기되었다. 이후 2017시즌이 되어서야 지금의 VER로 돌아왔다.
  • 퀄리파잉에서 다른 앞 차들에게 막히는 것을 굉장히 싫어한다. 그러나 정작 자신도 연습 주행과 퀄리파잉에서는 종종 뒤에 오는 다른 드라이버들에게 비켜주지 못할 때가 있는데, 일례로 2020시즌 영국 그랑프리스페인 그랑프리에서는 에스테반 오콘니콜라스 라티피에게서 "다른 드라이버들이 블로킹하는 것에 대해서 항상 불평하면서 정작 자기도 블로킹한다(He complains about people blocking him all the time. He's not any better.)"라는 소리를 들었다.
  • 한때 스타트가 정말 좋지 못했다. 웃긴 것은 2019시즌 오스트리아 그랑프리나 독일 그랑프리처럼 스타트를 역대급으로 망해도 우승하는 이상한 레이스가 몇 번 있었다는 것. 그만큼 레이스 운영은 괜찮으며 숏런보다는 롱런과 레이스에서 강점을 보인다. 하지만 이 부분도 2020시즌 기준으로는 단순 개선, 그 이상의 실력 급상승으로 시작과 동시에 치고 나가는 일이 대부분이다. 헝가리 그랑프리에서 7위로 그리드에 시작해 첫 랩에 2위까지 올라가질 않나, 70주년 그랑프리에서 혼자 하드 타이어로 시작해 3번째 그리드였던 레이싱 포인트 대타 니코 휠켄베르크를 첫 코너에서 깔끔하게 추월하기도 했으며 이젠 그리드에서도 손꼽히는 스타트 강자, 아니 그냥 만능 드라이버가 되었다.
  • 데뷔 초에는 워낙 어린 나이에 데뷔한데다 경험 부족, 성숙하지 못한 드라이빙과 언행 등으로 파스토르 말도나도의 재림이 아닐까 하는 불안감을 주었으나, 연차가 조금씩 쌓이면서 그런 모습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특히 과거의 대책 없이 공격적인 드라이빙은 많이 줄어들었고, 2018시즌 중국 그랑프리에서 있었던 페텔과의 충돌에 대해서는 먼저 사과하는 등 멘탈 면에서도 많은 성장이 있었다. 다만 같은 해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에서는 리카도의 추월을 막는 과정에서 반칙성 무브먼트를 선보이며 장렬히 더블 리타이어를 하는 등 아직 미숙한 점이 보인다. 그럼에도 컨디션이 좋은 날에는 그야말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엄청난 기량을 보여준다.
  • 성격 면에서도 데뷔 초에는 엄청난 관심을 한몸에 끌 만큼 밉상이었으나, 연차가 쌓이고 나서는 이전만큼 어그로를 끄는 일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시 이 바닥의 드라이버답게 한 성깔 한다. 2018시즌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오콘과 싸운 것만 봐도 알 수 있듯[69] 상당히 다혈질에다[70] 엄청난 승부욕 또한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가장 치열하게 승부를 겨룬 팀메이트였던 리카도와도 서먹한 관계가 아닐까 싶지만, 의외로 둘의 사이는 매우 좋은 편이다. 원래도 친했지만 리카도가 레드불을 나가고 나서는 더욱 좋아진 것으로 보인다. 페텔과는 초반에 서로 열심히 싸우곤 했는데[71], 2017시즌에 챔피언 경쟁을 하던 페텔에게 크래쉬를 일으켰을 때 쿨하게 사과받고 넘어간 것 때문인지 그 이후 페텔의 실수로 본인이 레이스를 말아먹은 다음에도 쿨하게 사과를 받아주는 등 어느 정도 원만해진 듯하다.
  • 위의 성격과 관련하여 2020시즌 포르투갈 그랑프리 연습 주행에서 랜스 스트롤에게 한 "다운 증후군 환자 녀석(What a Mongol)" 발언이 논란이 된 적이 있다. 평소에도 발언 수위가 거센 편이었지만 이번 발언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장애 비하 발언이라 FIA와 레드불이 대응에 상당히 애를 먹었다는 후문. # 네덜란드어와 영어 사전에 '병신'이나 '다운 증후군 환자'의 뜻으로 등록되어있으며, 요즘은 빈도가 줄었지만 나이 많은 사람들 위주로 자주 사용되던 단어로 이 사건을 계기로 사전이 바뀌고 네덜란드 국민들은 이 단어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게 되었다. #1 #2
  • 위에서 서술했듯 운전면허보다 F1 라이센스를 먼저 땄다.[72] 간혹 어린 나이에 데뷔하는 드라이버들에게 있는 일이었다.[73]
  • 네덜란드 팬들이 만들어 준 헌정곡 "Super Max"가 있다. 후렴구인 '막스 막스 막스 슈퍼 막스 막스 슈퍼슈퍼' 부분이 중독성이 있어서 막스가 폴 포지션을 획득하거나 그랑프리 우승을 할 때마다 팬덤에서는 이 곡을 찾는다.[74] 현재 F1의 밈 제왕 취급을 받는 랜도 노리스가 막스와 스트리밍할 때마다 신나게 틀어댔는데, 막스 본인은 노래를 만들어준 건 고마운데 자기가 듣기에는 너무 부끄럽다고 한다. 그러거나 말거나 팬들은 너무 좋아하는 곡이라 2021시즌에 그가 첫 월드 챔피언이 된 직후 한동안 스포티파이에서 실시간 인기곡 세계 1위를 찍기도 했다. 그리고 2021년에 공식 후속곡이 나왔다.
  • 젊은 드라이버답게 게임을 많이 하는데, 평소에 취미로 하는 것도 심레이싱이고 iRacing에서 Top 3 안에 드는 탑랭커다. Team Redline이라는 심레이싱 팀 소속으로 활동하며, 매주 몇 번은 해당 팀의 트위치 방송을 통해 인터넷 방송을 한다. 재미로만 하는 것은 아니라서 그랑프리가 없을 때 감을 잃지 않기 위함은 물론이고, 실제 레이스 카를 몰아본 적이 없는 심레이서들이 구사하는 드라이빙과 전략에서 배울 것이 있다고 생각하여 그들과 비슷한 수준에 오를 목적으로 게임도 승부욕을 꽉꽉 채워서 한다고. 은퇴 후 계획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심레이싱 관련한 사업을 구상 중이라고 답했을 정도로 심레이싱에 진심이다. # 농담삼아 막스의 직업은 심레이서고 F1은 주말에만 하는 부업이라고 그러기도 했다. GT를 주력으로 굴리는데, 랭크가 꽤 높은 iRacing 플레이어라면 우연찮게 F1 경기가 없는 비시즌에 막스를 만날 수도 있다. 버추얼 르망 24시, 배서스트 12시 등등 굵직굵직한 이벤트 경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심지어는 2024 이몰라 레이스에서 퀄리파잉을 끝낸 후 심레이싱 내구레이스를 뛰고 레이스에 나갔다.
  • 심레이싱과 관련하여 2024시즌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때는 퀄리파잉에서 폴 포지션을 딴 이후 레이스 당일 새벽 4시까지 심레이싱 인터넷 방송을 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심지어 연습 주행날인 목요일에도, 퀄리파잉날인 금요일에도 새벽까지 iRacing 방송을 했다. 본인의 게임 장비도 없이 컴퓨터 앞에 앉아 호텔방에서 게임하고 있는 모습이 압권. 컨디션 조절 겸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게임을 하는데 유럽 시간대로 계속 지내느라 늦게 잤다고 한다. 당시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의 일정이 하필 iRacing 우천 관련 업데이트가 있던 날이라 Team Redline 동료들과 게임에 심취한 듯하다. 그 외에도 레이스 도중 다른 드라이버에게 컨택을 당하자 화를 참지 못하고 어뢰를 갈겨버려 실격당한 전적도 있다.#
  • 진심으로 하는 게임은 FIFA(FC) 시리즈인데, FIFA 프로게이머랑 게임을 할 수 있게 되었을 때 아이처럼 신나했다. 물론 떡이 되도록 발렸다. 심지어 그랑프리 기간에도 피파를 한다! 같은 피파 매니아인 사인츠랑 호텔 구석에서 피파를 시작했는데 몇 시간이 지나도록 계속 피파를 했고 결국 그 둘 주변으로 드라이버를 비롯한 온갖 F1 관련 스태프들이 모여 매치를 구경했다고 한다. 자신이 매긴 F1 드라이버들의 피파 실력은 당연히 자신이 탑이고, 그 밑으로 사인츠, 랜도 노리스 순이라고 한다. 한편 사인츠는 자신이 진짜 탑이라고 주장하는 중. 이후 FC 25의 공식 출시 트레일러에도 출연했다.
  • 피파 시리즈를 좋아하는 만큼 축구도 좋아하는데, FC 바르셀로나PSV 에인트호번의 팬이라고 한다. 축구를 좋아해서 그런지 아약스 시절의 프렝키 더용과 만나서 피파 대결을 하기도 했다. 팀메이트 츠노다도 레이싱을 안 했으면 축구선수를 했을 것이라며 축구에 엄청 진심이기로 유명하나, 이 분은 키가...
  • 현재 공식적으로 연애를 하고 있는데, 여자친구는 넬슨 피케의 딸이자 다닐 크비얏의 전 여친[75] 켈리 피케다. 크비얏과의 사이에선 딸까지 있는 관계. 1988년생으로 9살 차이가 난다. 크비얏의 딸인 페넬로피[76]는 막스가 방송할 때 가끔씩 막스를 방해하러 깜짝 출연하기도 한다. 막스에게 스킨쉽를 과감하게 하는 걸 보면 가장으로써의 역할은 잘 하고 있는 듯.
  • 2025년 5월 2일, 여자친구인 켈리 피케가 드디어 막스의 친딸을 무사히 출산하였다. 이름은 릴리 베르스타펜 (Lily Verstappen).
  • 네덜란드어, 영어, 독일어 3개 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다. 여담으로 독일어는 미하엘 슈마허와 함께 카트를 타면서 배웠다고 한다.
  • 2022년 9월에 네덜란드인 최초의 F1 드라이버 챔피언을 달성한 활약 등으로 네덜란드의 훈장인 오라녜나사우 훈장을 수여받았다.
  • 2023년 7월 17일, 인스타그램 팔로워 1000만을 달성했다.
  • 네덜란드 맥주인 하이네켄 광고를 찍어 화제가 되었다. 팬들은 광고를 보고 연기가 아니라 막스 그 자체라고 평한다. #
  • 아버지가 네덜란드인이고 어머니가 벨기에인 선천적 이중국적자이다. 어린 시절에 벨기에인 어머니는 막스가 벨기에에서 태어난 벨기에인이라는 뉘앙스의 인터뷰를 하기도 했지만, 아버지 요스는 막스가 네덜란드와 벨기에가 축구를 하면 네덜란드를 응원하는 네덜란드인이라고 밝혔고 F1에는 네덜란드 국적으로 출전 중이다. 국적은 여전히 이중국적인 것으로 보인다.
  • 부모의 이혼 후, 여동생 빅토리아 베르스타펜은 어머니와 살기로 했고 본인은 아버지와 살기로 했다. 다만 아버지와 살면서도 플란데런 지역, 특히 네덜란드와의 국경 지역에서 거주했기 때문에 F1 데뷔 이후 모나코로 이사가기 전까지는 쭉 벨기에에서 살았다고 한다.[77] 낮에는 벨기에에서 학교를 다니고 오후에는 네덜란드에서 카트를 탔다고 한다. 동복동생인 빅토리아 이외에도 나이 차가 많이 나는 3명의 이복동생이 있다.
  • 네덜란드 DJ 마틴 게릭스와 매우 친하다. 마틴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마틴이 막스의 경기에 응원하러 가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2022년에 마틴이 DJ Mag Top 100에서 1위를, 막스는 2년 연속으로 월드 챔피언에 등극하였다. 네덜란드에서 각 분야에서 가장 최고인 두 인물이 절친인 셈이다.
  • 2023시즌 들어 여러 가지 징크스를 깨는데 성공했다. 무려 2017년부터 계속되어온 개막전 우승자 징크스[78]와 2020시즌부터 계속된 몬차 우승자 징크스[79]가 그 예시.
  • 닮은 꼴로 아이스 에이지에 나오는 시드가 있다. 팀메이트였던 리카도도 핸드폰으로 합성한 사진을 보여주며 놀린다.[80] 이후 2020년대 이후의 F1 관련 밈들에서 막스를 캐릭터로 표현할 때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 애스턴 마틴 발키리, 페라리 몬자 SP2, 르노 스포트 R.S. 01 등 다양한 자동차를 소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거의 모든 레이스에서 차량에 대한 불평[81]이나 징징대는 라디오들이 많이 나와 시청자들에게 웃음을 삼겨 주고 있다. 이런 라디오들을 속칭 ‘막징징’ 이라고 하며 밈으로 쓰는데 웃긴건 막징징을 시전한 그랑프리는 거의 우승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다만 2024시즌 중반부터 레드불차가 예전같은 성능을 못보여주면서 막징징이 더 늘고있고 우승을 더이상 하지 못하자 막징징이 더 심해졌다. 그래서 나온 명언이 2024 헝가리 그랑프리 당시 그의 레이스 엔지니어인 람비아스가 한 "Childish" 이다.[82]
  • 24시즌 막바지에 들어서 조지 러셀과의 앙숙 관계가 꽤나 큰 이슈로 떠오르는 중이다. 23시즌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에서 급격하게 사이가 나빠진 것을 기점으로 계속해서 좋지 못한 관계를 이어오다 아부다비 레이스 전 인터뷰에서 러셀은 카메라 앞과 뒤에서 정말 다른 모습을 보인다는 얘기를 하며 러셀에 대한 불만을 표출했고, 러셀도 베르스타펜의 행동은 정말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인터뷰를 하며 둘 사이의 갈등은 점점 커지는 중이다. 하스, 애스턴 마틴 드라이버들[83]을 제외한 16명 드라이버 전원이 모인 연말 회식에서도 러셀과 베르스타펜은 서로 양쪽 맨끝에 앉고 눈도 안 마주치는 모습들을 보여주었다. 리암 로슨이 후에 팟캐스트에서 밝힌바로 RB멤버들 맞은 편에 막스가 앉게 되었고 리암은 다른 멤버들이 점차 합류하면서, 다른 편으로 앉도록 유도하여 러셀이 오기전에 막스 옆좌석만 비도록 했다고 한다. 러셀이 왔을때 막스가 친절히 앉으라고 했으나 러셀은 의자를 집어들어 반대편에 해밀턴이 있는 자리로 갔다고 밝혔다.#
  • 2025년 2월 19일, 베르스타펜이 애스턴 마틴과 접촉을 하였다는 사실이 확정되었다. 다만, 그동안 루머성 소식으로 나오던 F1 시트 관련이 아니라 GT3 프로그램 관련하여 자신의 팀을 창단하기 위해 도움을 받는다는 것으로 보여진다.#
  • 2025년 3월 6일, 막스 베르스타펜의 개인 팀인 베르스타펜.com 레이싱 X 레드불GT 월드 챌린지 유럽에 출전 의사를 발표하였다. 2 Seas 모터스포츠의 도움을 받아 출전할 예정이며, 골드 클래스의 인듀어런스 한정 출전을 발표하였다. 라인업으로는 역시 베르스타펜.com의 후원을 받는 DTM에도 출전중인 티에리 뵈르멜렌, 베르스타펜.com 소속 e스포츠 팀인 팀 레드라인 소속 크리스 룰햄과 해리 킹 라인업으로 출전할 예정이다.
  • 2025년 5월 9일, 막스 베르스타펜이 에밀 프레이 레이싱의 296 GT3로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에서 테스트를 하였다. 참가명은 가명으로 프란츠 헤르만 (Franz Hermann). 참가 이유는 향후 뉘르부르크링 24시뉘르부르크링 내구 시리즈에 참가하기 위한 라이선스 획득이 목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
  • 2025년 5월 29일, 아버지 요스 베르스타펜과 함께 FIA 라이선스를 요청하였고 그 결과 막스는 플래티넘 랭크를, 요스는 골드 랭크를 부여받았다.
  • 2025년 6월 17일, 다른 F1 드라이버들이 곧 개봉하는 F1 75주년 기념 영화 F1 더 무비 시사회에 참여한 것과 달리, 베르스타펜은 자신이 설립한 팀인 베르스타펜.com 레이싱의 밴티지 GT3 EVO를 테스트하기 위해 스파-프랑코샹 서킷으로 향했다.
  • 실제 F1 더 무비 내에서 현 시즌의 디펜딩 월드 챔피언이라는 점 때문인지 루이스 해밀턴과 함께 비중을 크게 받았으며[84] 작중 실제 드라이버들 중에서 페르난도 알론소와 함께 유이하게 대사가 있다. 레이스 시작 전 그리드 위에서 개막식을 진행할 때나 각 그랑프리에서 포디움에 올라서는 모습으로 짤막하게 나오다가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는 조슈아를 우승시키기 위해 이겨야 하는 중간 보스를 맡게 된다. [85]
  • 고양이를 정말 좋아한다. 무려 사진 한 장만 보고 고양이 종류를 다 맞출 정도. 실제로도 지미(Jimmy), 사시(Sassy), 도넛(Donut)이라는 고양이 셋과 니노(Nino)라는 개 한마리를 키우고 있다.
Tu! Tu! Tu! Du! Max Verstappen!
  • 전술했듯 2021년에는 Super Max라는 응원가가 있었지만 축구 선수 응원가 등 여러 방면에서 유명한 노래인 'Papa's Got a Brand New Pigbag'를 원곡으로 하는 새로운 응원가인 '33 Max Verstappen'이 발표되며 인기를 끌고있다. 특히 한국팬들에게도 잊을 수 없는 노래인데 박지성의 일명 '위송빠레'로 불린 응원가와 같은 노래이다. 마침 박지성이 PSV 에인트호번에서 뛰던 시절에 쓰인 응원가인데, 베르스타펜 역시 PSV 아인트호번의 팬이다. 노래가 노래인 만큼 중독성이 뛰어나 다른 팀 팬들도 좋아하는 노래이며 막스의 밈에 단골로 나오는 노래이다. 보통 밈의 내용은 학교의 등교시간이라던가 약속 시간 같은 시간 제한이 걸린 상황에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막스의 응원가가 나오고 그의 기록이 나오며 여유있게 도착했다는 내용이다. 2024년 네덜란드 그랑프리 중에서도 관중들이 떼창을 하는 등 인기가 계속되었다. 똑같은 스타일의 응원가가 세르히오 페레스, 페르난도 알론소를 토대로도 만들어졌다. F1 더 무비를 통해 막스의 팬이 되었는지 최근에는 LG 트윈스의 투수 박명근의 등장곡으로도 쓰이고 있다.
  • 2025년 들어 인도 듀오링고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자주 언급되며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8. 둘러보기 [편집]

2014 잔드보르트 마스터스 우승
2013
파일:스웨덴 국기.svg 펠릭스 로젠크비스트
(KFZ-테일레24 뮈케 모터스포트)
201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막스 베르스타펜
(모토파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99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1] /mɑks eːˈmilijɑn vɛrˈstɑpə(n)/[2] Emilian은 영어 이름이라서 네덜란드어식으로 발음하지 않는다. 때문에 네덜란드어 표기법 적용을 받지 않는다.[3] 네덜란드어의 v(/ve/)가 어두에 올 경우, 무성 순치 마찰음 (/f/)에 가깝게 발음한다. 이를 네덜란드어 표기법에서는 'ㅍ'로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네덜란드어의 e (/e/)는 강세 여부에 따라 /eː/, /ɛ/, /ə/ 등으로 발음되는데, 네덜란드어 표기법에서는 e가 2음절 이상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 오는 경우와, 단음절 단어의 어말인 경우에는 '어'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에'로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이 원칙에 따라서 막스 페르스타펀으로 부르는 게 맞지만, 호나우지뉴, 마이크 트라웃의 사례처럼 이미 베르스타펜이라는 이름이 더 인지도가 높기 때문에 이 문서에서는 베르스타펜으로 서술한다.[4] 2025년생으로 켈리 피케와의 친딸이지만, 켈리 피케와 아직 결혼하지는 않았다.[5] 가끔 유튜브에 나오는 페넬로페 크비얏(2019년생, 애칭 P)은 다닐 크비얏다닐 크비얏의 전여친인 켈리 피케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베르스타펜의 친딸이 아니며, 아직은 법적으로도 부모가 아니다.[6] 알랭 프로스트, 세바스티안 베텔과 함께 역대 공동 3위[7] 역대 3위[8] 역대 4위[9] 역대 1위[10] 역대 5위[11] 역대 1위[12] 역대 6위[13] 역대 3위[14] 역대 3위[15] 역대 3위[16] 레이싱 집안사람으로 본인은 물론이거니와 삼촌인 폴 컴펜과 그의 아들 안토니 컴펜 모두 각각 랠리 드라이버와 레이싱 드라이버였다. 드라이버를 여러명 배출할 정도로 부유한 환경출신이라는걸 증명하듯 부친인 로버트 컴펜은 벨기에 프로리그의 KRC 헹크의 전 회장직을 맡았던 사람이다.[17]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아주 어릴 적부터 탈 것을 다루는 데 재능이 있었다고 한다. 무려 2살 때 쿼드 바이크를 탔다고.[18] 메르세데스의 촉망받는 유망주인 안드레아 키미 안토넬리가 재량이라는 명목 하에 17세에 슈퍼 라이선스를 발급받긴 했지만, 이미 17세 166일은 지난 상황이기에 한동안 해당 기록은 깨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19] 그러나 랜스는 우천 컨디션에서 잘 하기 때문에 애매하다는 평이 많다. 어떤 의미에선 이게 진정한 레인 마스터일지도...세나와 막스는 비오건 말건 그냥 엄청 잘하니.[20] 예를 들면 제바스티안 페텔이나 젠슨 버튼, 라이벌인 샤를 르클레르 등이 있다. 참고로 2020시즌 이후에는 전성기의 페텔처럼 레이스 카에 비해 랩타임이 강해졌다.[21] 해밀턴은 연차가 쌓인 이후 그야말로 완전체의 모습을 보인다. 정밀한 레이스 운영은 물론 상황 변화에 따른 본능적인 대처 역시 매우 뛰어나다. 다만 막스처럼 데뷔 초에는 '해밀턴 탓'이라는 밈이 유행했던 것처럼 때로는 과도하게 공격적이고, 때로는 미숙하다는 평도 받고는 했다.[22] 당시 획득 포인트.[23] 당시 순위.[24] 당시 획득 포인트.[25] 당시 순위.[26] 레드불 승격 이후 획득 포인트.[27] 최종 챔피언십 순위.[VER] 막스의 레드불 승격 이후의 결과 기준.[29] 막스의 레드불 승격 이후 리카도 본인의 획득 포인트.[최종] 챔피언십 순위.[GAS] 가슬리의 토로 로쏘 강등 이전까지의 결과 기준.[32] 당시 획득 포인트.[33] 당시 순위.[34] 당시 획득 포인트.[35] 당시 순위.[ALB] 알본의 레드불 승격 이후의 결과 기준.[37] 알본의 레드불 승격 이후의 포인트.[38] 최종 챔피언십 순위.[39] 레드불 승격 이후 획득 포인트.[40] 최종 챔피언십 순위.[2R] 41.1 41.2 중국 GP 종료 당시 순위.[43] 츠노다의 레드불 승격 직후의 레이스 결과들[44] 실시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45] 실시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46] 베르스타펜이 언급한 사건은 2001시즌 호주 GP에서 자크 빌뇌브와 랄프 슈마허 간의 충돌에서 발생한 파편을 마샬이 맞고 현장에서 즉사한 사건이다.[47] 당시 베르스타펜은 무리한 주행으로 중국과 모나코에서 승리를 놓치고 말았다. 작년 시즌까지 호의적이던 여론이 180도 바뀌어 베르스타펜에게 비난을 쏟아내자 한 말이다.[48] 이 충돌로 인해 막스 베르스타펜은 우승을 놓치게 되었다.[49] 레이스가 끝난 직후 뚜껑이 열린 베르스타펜은 당시 오콘의 소속팀인 포스 인디아의 패독에 쳐들어가 오콘을 거세게 밀치는 등 과격한 행동을 해 거의 치고받기 직전까지 갔었고 이 때문에 FIA로부터 사회봉사 명령을 받아 이듬해 포뮬러 E 마셜로 일하기도 했다.[50] 3그리드에서 출발했으나 스타트에서 엔진 출력에 심각한 문제가 있어 격노하며 남긴 라디오. 피에르 가슬리, 키미 라이코넨, 로맹 그로장이 있는 중하위권까지 순식간에 처졌다.[51] 베르스타펜의 레이스 엔지니어. 흥분한 톤이 알렉산더 알본과 비슷하기도 하고 람비아스가 평소 흥분된 톤으로 말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에, 많은 이들이 당시 리저브 드라이버였던 알본이 한 말로 기억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람비아스가 한 것이 맞다고 직접 밝혔다.#[52] 참고로 그는 자팀 드라이버가 월드 챔피언을 확정지으면 이 대사를 한다. 대표적으로 세바스티안 베텔에게도 이 대사를 하였다.[53] 섹터 2까지 2022시즌 싱가포르 그랑프리 폴 포지션이였던 샤를 르클레르보다 0.7초 가까이 앞서 있었다.당연하지 연료 한 랩 분량이 없는데[54] 이후 엔지니어는 "알겠어...(Understood...)"라며 시무룩하게 대답하는 게 안습.[55] 레이스 카의 성능에 불만을 표출하며 "Car was fxxked"라는 발언을 하였는데 FIA는 드라이버들의 욕설을 제재하려는 내부 방침에 따라 베르스타펜에게 징계를 내렸다. 그리고 이는 베르스타펜뿐만 아니라 다른 드라이버들의 반발도 불러일으켰다.[56] 2024시즌 중후반, 노리스와 드라이버 챔피언쉽을 경쟁하고 있고, 싱가포르 그랑프리가 다니엘 리카도의 마지막 레이스일 것이 거의 확정 났기에 이런 말을 한 것으로 추정한다.[57] 스페인 GP 이후, 11경기만의 우승이다.[58] 자신의 우승콜인 이 Simply lovely에는 여러 뜻이 있는데, 오랜만에 우승을 해서 평소보다 더 크게 자축했다고 보기도 하고, 랜도 노리스가 지난 네덜란드 그랑프리에서 크루징 우승 후 막스의 시그니쳐인 Simply lovely를 따라했는데 이에 대한 응답이라고 보는 팬들도 있다.[59] 키미 안토넬리가 파워 유닛 문제로 인해 리타이어[60] 레드불 전략 팀이 레이스가 10랩, 그마저도 세이프티 카때문에 6랩 남짓밖에 안 남을 상태에서 10랩 가량 사용한 소프트 타이어를 버리고 하드 타이어로 교체하는 엄청난 전략 미스를 저질렀다.[61] 평소의 짜증이 가득한 막스의 팀라디오와 달리, 정말 당황해서 평범하게 질문을 하는 막스의 어조를 들을 수 있다.[62] 안토넬리가 1랩 3번 코너 진입 중에 리어 락업이 걸리면서 앞에 있던 로슨을 피해 코너 안쪽으로 틀었다가 프론트 휠까지 락이 걸리면서 코너를 돌던 베르스타펜의 리어 타이어를 들이받았다.[63] 충돌 직후 베르스타펜은 안토넬리의 사과를 받아주었으며, 스튜어드는 안토넬리의 단독 과실로 판단해 안토넬리에게 다음 영국 GP 3그리드 강등 페널티와 페널티 포인트 2점을 부과했다.[64] 후일 막스에 의하면 5분 거리에 있던 어머니가 막스를 데리러 왔다고 한다.[65] 즉 막스의 어머니.[66] 막스에겐 할아버지[67] 다른 단어를 쓰려다가 사고(accident)로 바꾼 것처럼 들렸는데, 막스 입장에선 비아냥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었다.[68] 17세 166일[69] 다만 이 상황은 오콘의 이해하기 힘든 대삽질로 우승이 날아간 것이기에 막스의 반응이 이해가 간다는 의견이 많다.[70] 아버지 요스의 성격을 물려받은 게 아니냐는 말고 있었으나 20대 중반을 넘기고 성격이 크게 유해진 걸 봐선 요스 성격을 빼닮은 정도까진 아닌 모양이다. 그리고 몇몇 일화를 보면 요스 역시 자신의 아버지로부터 성격을 물려받은 듯.[71] 일단 막스가 레이스 도중 페라리와의 컨택이 많았고, 페텔도 페텔이지만 당시 페텔의 팀메이트였던 키미 라이코넨이 특히 피해를 많이 받았다.[72] 지금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 사례로 FIA 레이스 라이선스 규정이 바뀌면서 슈퍼 라이선스 취득을 위해선 만 18세 이상이라는 나이 제한과 기존 라이센스를 발급받은 ASN 국가의 운전면허증이 요구된다.[73] 사실 일반 공도에서의 일반 승용차 운전과 서킷에서의 포뮬러 레이싱 운전은 완전히 다르다.[74] 심지어 2021시즌에 막스의 홈 경기인 네덜란드 그랑프리에서는 팬들이 경기장에서 이 노래를 신나게 틀어댔다. 공식 중계에서도 음량을 줄여 송출했음에도 아주 선명하게 들렸을 정도였다.[75] 사실혼[76] 막스는 이니셜 만 따서 'P'라고만 부른다.[77] 모나코 이주 이유가 다른 드라이버들과는 달리 세금문제 때문은 아니라 밝혔는데, 쭉 살아오던 벨기에도 조세회피처이기때문이고, 아버지인 요스 역시 세금때문에 벨기에로 이주했기 때문이다.[78] 개막전을 우승하면 무조건 시즌을 2위로 마무리하는 징크스. 2017시즌과 2018시즌에 페텔, 2019시즌과 2020시즌에 발테리 보타스, 2021시즌에 루이스 해밀턴, 2022시즌에 샤를 르클레르가 이 징크스에 걸려버렸다.[79] 몬차에서 열린 레이스를 우승하면 그 다음 해에 열린 레이스에서 무조건 리타이어한다는 징크스이다. 2019시즌 우승자 샤를 르클레르는 2020시즌 레이스에서 사고에 휘말려 리타이어했고, 2020시즌 우승자 피에르 가슬리는 2021시즌 레이스에서 서스펜션 문제로 리타이어했으며, 2021시즌 우승자 리카도는 2022시즌 레이스에서 오일 누수로 리타이어했다.[80] 파일:막스형제.png[81] 브레이크가 X같다고 하거나, 그립이 떨어진다는 등[82] 애같이 굴지 말라 혹은 미성숙하게 굴지 말라는 말로, 육두문자는 안들어갔지만 굉장히 모욕적인 말이다.[83] 팀 회장인 로렌스 스트롤과 같이 회식했다고 한다.[84] 다만 루이스는 본작에 제작자로 참여했다는 걸 감안해야한다.[85]
초강력 스포주의!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피폭이 두렵다면 문단을 접거나 조용히 뒤로가기를 누르십시오.
이 때문에 뒤쳐진 헤이스가 일부러 막스의 앞에서 블루 플래그가 다 올라가기 전까지 물고 늘어지자 짜증을 내더니 얼마 지나지 않아 헤이스에게 중지를 날리면서 그대로 추월해버리며 그 실력을 뽐냈다. 이후 레인 컨디션 상태에서 P2까지 올라온 조슈아를 위해 헤이스가 한 번 더 같은 전략을 시도해 조슈아를 막스에게 최대한 붙여 그를 이기게끔 해주려 했으나 조슈아가 첫 승리를 목전에 두고 흥분하면서 조금만 더 참아야 한다는 소니의 말을 무시하고 섣부르게 추월하려다 큰 사고가 나면서 실패하게 된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