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무루 템페스트
최근 수정 시각: ()
리무루 템페스트의 관련 틀 | ||||||||||||||||||||||||||||||||||||||||||||||||||||||||||||||||||||||||||||||||||||||||||||||||||||||||||||||||||||||||||||||||||||||||||||||||||||||||||||||||||||
|
리무루 템페스트 リムル=テンペスト|Tempest Rimuru | |
캐릭터 프로필 | |
이름 | 미카미 사토루 (三上悟, Satoru Mikami)[1] |
리무루 템페스트 (リムル=テンペスト, Rimuru Tempest)[2] | |
출생 | 불명[3] |
종족 | 슬라임 → 데몬 슬라임 → 얼티밋 슬라임 |
성별 | |
신체 | 120cm → 160cm |
이명 | 뉴비 → 카오스 크리에이터 |
소속 / 지위 | |
가족[7] | |
1인칭 | |
성우 | |
1. 개요 [편집]
2. 특징 [편집]
3. 작중 행적 [편집]
4. 미디어 믹스 [편집]
4.1. 일곱 개의 대죄: GRAND CROSS [편집]
파일:리무르.jpg
일곱개의 대죄 그랜드 크로스에서 2022년 4월 28일 두번째로 전생슬과의 콜라보를 진행하였다. 다른 전생슬 캐릭터와 함께 【옥타그램(팔성마왕)】마왕 리무루=템페스트 캐릭터가 출시되었다. 필살기로 메기도를 사용한다.
4.2. 그랑블루 판타지 [편집]
2024년 11월 15일부터 개시된 전생슬 콜라보에서 참전하였다.
5. 여담 [편집]
최종결전이 끝난 후 기준으로 나이는 아무도 모른다. 리무루는 시공의 끝에 날려졌을 때 별의 수명이 다하고 우주가 끝날 때까지 잠들어 있었는데 이를 바탕으로 최소라도 10³⁵살[13](...)이다. 베루도라는 시간의 영향을 받지 않는 허수 공간에 있었기에 예외. 진짜 아무것도 없는 허무공간이라면 10¹⁰⁰⁰살쯤은 먹었다.(...) 과거로 다시 돌아오긴 하였지만 결국 미래에서 그만큼의 시간을 보내다 돌아온 거기 때문에 작중 가장 나이가 많다고 할 수 있다.
주인공이 이세계로 소환되어 마왕이 되어 국가를 건국하고 주인공 세력이 가장 강하고 인간 세력과 대립하는 종족으로 이루어진 점을 들어 오버로드의 아인즈 울 고운과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둘 다 비슷한 이세계물이라는 점에서 최근 전생슬 마왕과 용의 건국담과 오버로드가 콜라보를 했다.
[14]대체로 훈훈한 분위기인 이쪽과 달리 저쪽은 꿈도 희망도 없는 다크 판타지라는 게 다르다.(...) 그 외에도 슬라임이면서 엄청나게 강력하다는 것과 최강급 동료들을 두었다는 공통점에서 터무니없는 스킬로 이세계 방랑 밥의 스이와 언급되는 경우도 있다.
전생슬의 흥행 성공으로 리무루 인기가 많아지면서 판타지물이나 이세계물에 나오는 슬라임만 등장할 때마다 리무루라고 부르는 밈이 유행하게 된다. 심지어 타작품에 강한 슬라임이 등장하면 '이게 다 전생슬 덕분에 최약체 슬라임이 강하게 묘사된 것이다'라고 착각하는 이들도 있을 정도.[15]
주인공이 이세계로 소환되어 마왕이 되어 국가를 건국하고 주인공 세력이 가장 강하고 인간 세력과 대립하는 종족으로 이루어진 점을 들어 오버로드의 아인즈 울 고운과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둘 다 비슷한 이세계물이라는 점에서 최근 전생슬 마왕과 용의 건국담과 오버로드가 콜라보를 했다.
[14]
전생슬의 흥행 성공으로 리무루 인기가 많아지면서 판타지물이나 이세계물에 나오는 슬라임만 등장할 때마다 리무루라고 부르는 밈이 유행하게 된다. 심지어 타작품에 강한 슬라임이 등장하면 '이게 다 전생슬 덕분에 최약체 슬라임이 강하게 묘사된 것이다'라고 착각하는 이들도 있을 정도.[15]
5.1. 인기투표 전적 [편집]
인기투표 수상 이력 | ||||||||||
|
원작의 팬덤 체급이 워낙 크기 때문에, 외부 인기 투표의 대명사 중 하나인 모에 토너먼트에서도 이세계물 주인공 캐릭터 중 가장 성공한 캐릭터가 되었다. 다만 초기에 신인 자격으로 국제 사이모에 리그와 Best Girl Contest에 참여할 땐, 리무루가 남캐인지 여캐인지 운영진 사이에서도 논쟁거리가 되었다. 누구처럼 제 3의 성별 이라던가 즉 2011년 키노시타 히데요시 이후 참가 자체만으로 가장 큰 화두를 불러온 게 바로 이 슬라임이었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양대 2세대 메이저 모토 대회를 중심으로 여러 대회의 운영진이 같이 모여 성별 판별이 가능한 전생을 기준으로 둬야 한다는 결론을 냈고, 리무루는 그렇게 모토계 전반에서 남성부에 배정되는 것으로 약속된다.
파일:2019 Scepter.png
이후, 리무루는 처음 참여한 국사모 2019에서 아쿠아마린 목걸이를 따는 등 성공적인 출발을 했다. 비록 그 이후 정규시즌에서 부진하여 2패를 했다. 하지만 다시금 결선이 되어 부활한 뒤 아즈사가와 사쿠타를 결승에서 근소하게 이기고, 키리토가 첫 번째 로얄로더가 된 지 무려 7년만에 남성부 두 번째 로얄로더에 등극했다.[16] 다른 메이저 모토 BGC에서도 나름 꾸준한 역량을 보여주었다. 첫 참가인 20년도에 64강, 21년도엔 128강을 찍는 등 그답지 못한 모습을 보여 주기도 했지만, 세 번째 기회인 22시즌에 잭팟이 터진다. 그에게 부정적이었던 여론을 뚫고 알폰스 엘릭, 가츠, 이시다 쇼야 등 양덕들에게 인기가 많은 남캐들을 결선에서만 줄줄이 격파하며 결승까지 간다. 비록 마지막에 만난 상대가 강적 히키가야 하치만이라 결실을 이루진 못했지만, 괜히 국사모 우승자들이 아님을 만 천하에 증명해 보였다.
이 두 대회와 달리 일본식 이세계물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나쁘고 여존남비이기까지 한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에서는 뚜렷한 성적을 내지 못했다. 19시즌엔 17강에서 떨어지고도 득표가 많아 작년 키리토 다음으로 10위 안에 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공식에서 집계를 하지 않아 TOP 8 진입에 실패했다. 이후 시즌에서는 매 번 32강을 넘지 못하는 중. 그래도 리무루의 통산 성적은 우승 10회 + 준우승 5회로, 남성부 기준 원탑 를르슈와 2인자 호타로, 3인자를 두고 다투는 하치만과 리바이 바로 다음 정도의 강자로 꼽히며 2010년대 남캐 사천왕 중 가장 체급이 낮은 키리토와는 비벼질 정도가 되었다. 비록 저 사천왕과 접점은 없고 시로가네 미유키, 아즈사가와 사쿠타와 확장기 3대 남캐로 묶여 고점은 미유키에 밀린다는 평을 받지만, 셋 중 커리어를 꾸준히 쌓고 가장 롱런한 캐릭터는 단연 그였다.
파일:2019 Scepter.png
이후, 리무루는 처음 참여한 국사모 2019에서 아쿠아마린 목걸이를 따는 등 성공적인 출발을 했다. 비록 그 이후 정규시즌에서 부진하여 2패를 했다. 하지만 다시금 결선이 되어 부활한 뒤 아즈사가와 사쿠타를 결승에서 근소하게 이기고, 키리토가 첫 번째 로얄로더가 된 지 무려 7년만에 남성부 두 번째 로얄로더에 등극했다.[16] 다른 메이저 모토 BGC에서도 나름 꾸준한 역량을 보여주었다. 첫 참가인 20년도에 64강, 21년도엔 128강을 찍는 등 그답지 못한 모습을 보여 주기도 했지만, 세 번째 기회인 22시즌에 잭팟이 터진다. 그에게 부정적이었던 여론을 뚫고 알폰스 엘릭, 가츠, 이시다 쇼야 등 양덕들에게 인기가 많은 남캐들을 결선에서만 줄줄이 격파하며 결승까지 간다. 비록 마지막에 만난 상대가 강적 히키가야 하치만이라 결실을 이루진 못했지만, 괜히 국사모 우승자들이 아님을 만 천하에 증명해 보였다.
이 두 대회와 달리 일본식 이세계물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나쁘고 여존남비이기까지 한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에서는 뚜렷한 성적을 내지 못했다. 19시즌엔 17강에서 떨어지고도 득표가 많아 작년 키리토 다음으로 10위 안에 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공식에서 집계를 하지 않아 TOP 8 진입에 실패했다. 이후 시즌에서는 매 번 32강을 넘지 못하는 중. 그래도 리무루의 통산 성적은 우승 10회 + 준우승 5회로, 남성부 기준 원탑 를르슈와 2인자 호타로, 3인자를 두고 다투는 하치만과 리바이 바로 다음 정도의 강자로 꼽히며 2010년대 남캐 사천왕 중 가장 체급이 낮은 키리토와는 비벼질 정도가 되었다. 비록 저 사천왕과 접점은 없고 시로가네 미유키, 아즈사가와 사쿠타와 확장기 3대 남캐로 묶여 고점은 미유키에 밀린다는 평을 받지만, 셋 중 커리어를 꾸준히 쌓고 가장 롱런한 캐릭터는 단연 그였다.
6. 관련 문서 [편집]
[1] 현재의 이름인 리무루 템페스트가 아닌, 전생 전 인간시절 사용한 이름.[2] 전생 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이름.[3] 전생 전의 나이는 37세[4] 태생적으로 슬라임은 무성이지만 인간태의 외견은 여성인 시즈의 육신을 베이스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여성체에 가깝고, 정신은 전생의 영향으로 남성체에 가깝다.[5] 베루도라가 쥬라 대삼림 전역의 실질적인 주인 및 수호신격의 존재라면, 이쪽은 쥬라 대삼림 전역의 지배 및 통치 개념이다.[6] 고블린 마을 ➡ 쥬라 템페스트 연방국[7] 게임판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마왕과 용의 건국담 한정.[8] 해당 성우의 첫 주역이자 가장 대표적인 배역. 리무루 특유의 능글맞고 어린애같은 성격을 잘 살려냈다는 호평을 받고있다.[9] 전생 미카미 사토루의 성우는 테라시마 타쿠마.[10] 일곱 개의 대죄: GRAND CROSS, 가디언 테일즈 콜라보 한정. 애니판은 미더빙이다.[11] 전생은 제이슨 리브렉트.[12] 소설판에서 에렌 일행과 시즈를 마을로 데리고 온 후, 대접할 때 말한 대사이다. 애니판으로는 6화. 원본은 슬라임(드래곤 퀘스트)의 간판 대사이며 리무루도 게임의 대사라고 슬쩍 언급한다. 드래곤 퀘스트 4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마을이나 우물 등에서 숨어사는 슬라임 NPC라면 대부분 "僕 悪いスライムじゃないよ"로 시작하는 것이 불문율처럼 되었다. 마린 슬라임처럼 셀프 패러디한 사례도 있다.[13] 양성자의 붕괴 하한선[14] 공교롭게도 아인즈 울 고운 역을 맡은 히노 사토시는 전생슬 2기에서 그루시스 역을, 리무루 템페스트 역을 맡은 오카사키 미호는 오버로드 3기에서 포아일 역을 맡았다.[15] 슬라임을 보면 알겠지만 전생슬 이전부터 이미 강력한 슬라임이 등장하는 작품은 존재했다. 대표적인 것이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의 우즈다. 다만 실제 우즈를 알고있는 사람보다 리무루를 알고 있는 사람 수가 더 많다보니 자연스럽게 슬라임=리무루를 떠올린다고 한다. 그래도 슬라임=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인 사람도 다수 존재한다.[16] 물론 그 이후엔 ToC(챔피언 토너먼트)에서나 22시즌엔 이 만한 포스를 보여주지 못했지만.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