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뷔

최근 수정 시각: ()
파일:namuarrow.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비요크의 데뷔 앨범에 대한 내용은 Debu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비요크의 데뷔 앨범:
    Debut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1. 개요2. 유래 및 의미 발전3. 기타

1. 개요 [편집]

Début

'어떤 한 분야에서 대중들에게 첫 선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주로 방송이나 스포츠 등 예체능 분야에서 많이 쓰는데, 업계마다 지칭하는 말이 조금씩 다르다.

2. 유래 및 의미 발전 [편집]

어원은 프랑스 사교계에서 비롯되었는데 유년기를 지나 사회 적령기가 된 귀족 처녀들이 공식적으로 사교계에 선보이는 행사 혹은 그 참가자 자체를 일컫는 '데뷔탕트(데뷰턴트)'에서 유래한 말이다.

현대에는 사교계뿐만 아니라 연예계에 신인이 등장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더 많이 쓰이는 것을 넘어 의미를 더 확장하여 연예계를 포함한 방송계, 무용계, 음악계, 미술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문학 작가에 한해 '등단'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1] 신문 기사를 쓰는 언론계나 법정에서 공방을 주고 받는 법조계에서도 쓰인다. 연극, 뮤지컬 계에서는 '입봉'이라는 일본식 은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술가가 데뷔를 하기 위해 내보인 첫 작품을 데뷔작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첫 작품이란 아마추어 시절의 습작은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자신의 이름을 걸고 발표한 작품으로서 대가를 받는 저작물부터 센다. 이 대가성의 여부가 프로와 아마추어를 가르는 큰 차이이기도 하다.

3. 기타 [편집]

  • 영어의 Debut는 프랑스어 차용어로, 프랑스어 표기는 Début이다. 본래의 의미는 "처음", "시작"이라는 뜻이다. 이 때 발음은 데뷰([debju])다. 간혹 '데븃(데뷰트)'이라고 잘못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
  • 데뷔탕트에 대해서는 사교계 문서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 활동 종료 이후 새로 데뷔하거나 하는 경우 재데뷔라는 용어가 있다.
  • 일본에는 '고교데뷔(高校デビュー)'라는 유행어가 있다. 중학생 시절까지 어린 태를 벗지 못했거나 만족스럽지 못한 학창생활을 보낸 학생들이 고등학교 입학과 동시에(중학교 시절 친구들과는 헤어지게 되어 거의 새로운 환경에 들어서게 되므로 그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이전과는 180도 다른 성격 또는 외모를 표방하는 것을 말한다. 대학에 가면서 이렇게 하는 경우도 있는데 '대학 데뷔'라고 부른다.
[1] 단, 문학 작가의 경우 신춘문예 등을 수상한 경우에만 등단이라고 하며, 그 밖의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