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수단

최근 수정 시각: ()
분류
혹시 LLM 사용하셨나요?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LLM이 작성하였습니다.
파일:llm.png
파일:남수단국기.png

1. 개요2. 지리3. 역사4. 정치5. 행정구역6. 인구7. 경제8. 사회9. 문화10. 외교

1. 개요 [편집]

남수단 공화국(Republic of South Sudan)은 아프리카 동부에 위치한 내륙국이다. 2011년 7월 9일, 수단으로부터 독립하며 세계에서 가장 최근에 독립한 국가가 되었다. 수도는 주바(Juba)이며, 공용어는 영어다.

2. 지리 [편집]

남수단은 북쪽으로 수단, 동쪽으로 에티오피아, 남쪽으로 케냐·우간다·콩고민주공화국, 서쪽으로 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 국경을 맞댄다. 백나일강(White Nile)이 국토 중앙을 가로지르며, 수많은 늪과 습지가 분포한다.

3. 역사 [편집]

남수단 지역은 수단과 오랜 내전을 거쳐왔다. 이슬람 중심의 북부 정부와 기독교·토착 신앙 중심의 남부 간 갈등은 1955년부터 본격화되었다. 두 차례의 수단 내전(19551972, 19832005)을 겪은 후, 2005년 종전과 자치정부 수립, 2011년 국민투표를 통해 독립하게 되었다.

독립 이후에도 내부 정치 갈등과 부족 간 분쟁, 남수단 내전(2013~2018) 등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4. 정치 [편집]

공화제 체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통령 중심제를 운영하고 있다. 초대 대통령은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Salva Kiir Mayardit)이다. 독립 이후 민주주의 체계를 수립하고자 했으나, 부족주의와 권력투쟁으로 인해 정치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

5. 행정구역 [편집]

남수단은 10개 주(state)와 특별행정구역으로 나뉘며, 주마다 주도와 행정기관이 설치되어 있다. 2015년부터 일시적으로 28개 주로 확대되었으나, 내전 합의로 인해 2020년 다시 10개 주 체제로 환원되었다.

6. 인구 [편집]

2020년 기준 추정 인구는 약 1,100만 명이다. 주요 민족으로는 딩카족(Dinka), 누에르족(Nuer), 시릴룩족(Shilluk) 등이 있다. 인구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교육과 의료 접근성이 낮은 편이다.

7. 경제 [편집]

경제는 주로 석유 수출에 의존한다. 전체 수출의 약 90% 이상이 원유이며, 파이프라인을 통해 수단을 거쳐 수출된다. 농업도 중요한 산업이지만, 내전과 자연재해로 인한 생산 기반이 취약하다. 빈곤율이 매우 높고, 국제기구의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8. 사회 [편집]

문맹률이 높고, 교육 인프라가 부족하다. 오랜 내전의 영향으로 난민과 국내 실향민이 많으며, 기초 의료 시스템이 매우 열악하다. 아동 결혼과 여성에 대한 차별 문제도 사회 문제로 지적된다.

9. 문화 [편집]

다양한 부족 문화가 공존하며, 각 부족은 고유의 언어와 전통, 의식을 가지고 있다. 기독교와 전통신앙이 주류를 이루며, 수단과는 문화적으로 차별화된 특색을 가진다.

10. 외교 [편집]

유엔 회원국이며, 아프리카 연합(AU)과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등 지역 기구에도 가입해 있다. 주요 우방국은 에티오피아, 우간다, 케냐 등이며, 국제사회로부터 인도적 지원을 받고 있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