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속초 버스 1
최근 수정 시각: ()
1. 노선 정보 [편집]
1.1. 1번 [편집]
기점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대포동(대포종점)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상리(동해상사 간성영업소) | ||
종점행 | 첫차 | 08:13 | 기점행 | 첫차 | 07:20 |
막차 | 20:10 | 막차 | 20:30 | ||
운수사명 | 배차간격 | 1일 15회(간성행) / 1일 12회(속초행) | |||
노선 | 대포종점 - 속초고속버스터미널 - 119구조대 - 119구조대(아남프라자) - 갯배입구.관광수산시장 - 수복탑 - 영금정입구 - 우림연립(장사동) - 잼버리장입구 - 봉포항입구 - 경동대 입구- 천진해수욕장입구(토성면사무소) - 청간리 - (아야진초등학교/아야진항) - 교암2리(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 삼포리 - 오호리.송지호해수욕장입구 - 공현진 - (가진리) - 향목리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 고성군청앞 - 동해상사 간성영업소 |
기점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대포동(대포종점)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마차진리(마차진종점) | ||
종점행 | 첫차 | 06:45 | 기점행 | 첫차 | 08:15 |
막차 | 16:20 | 막차 | 18:55 | ||
운수사명 | 배차간격 | 1일 13회(대진행) / 1일 16회(속초행) | |||
노선 | 대포종점 - 속초고속버스터미널 - 119구조대 - 119구조대(아남프라자) - 갯배입구.관광수산시장 - 수복탑 - 영금정입구 - 우림연립(장사동) - 잼버리장입구 - 봉포항입구 - 경동대입구 - 천진해수욕장입구(토성면사무소) - 청간리 - (아야진초등학교/아야진항) - 교암2리(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 삼포리 - 오호리.송지호해수욕장입구 - 공현진 - (가진리) - 향목리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 고성군청앞 - 대대리검문소 - 송죽리 - 반암리 - (송포2리 / 거진읍사무소앞) - 자산리 - 거진우체국(거진종합버스터미널) - 거진시내버스종점 - 거진시장앞 - 동진아파트 - 화포리 - 화진포 만남의광장입구 - 현내면사무소(대진시외버스터미널) - 대진어판장- 신촌마을 - 마차진종점 |
1.2. 1-1번 [편집]
기점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대포동(대포종점)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상리(동해상사 간성영업소) | ||
종점행 | 첫차 | 09:20 | 기점행 | 첫차 | 06:30 |
막차 | 21:00 | 막차 | 21:05 | ||
운수사명 | 배차간격 | 1일 8회(간성행) / 1일 12회(속초행) | |||
노선 |
기점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대포동(대포종점)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마차진리(마차진종점) | ||
종점행 | 첫차 | 06:25 | 기점행 | 첫차 | 06:30 |
막차 | 20:30 | 막차 | 20:10 | ||
운수사명 | 배차간격 | 1일 23회 (대진행) / 1일 20회(속초행) | |||
노선 | 대포종점 - 속초고속버스터미널 - 119구조대(아남프라자) - 갯배입구.관광수산시장 - 속초시외버스터미널 - 속초의료원 - 우림연립(장사동) - 잼버리장입구 - 봉포항입구 - 경동대입구 - 천진해수욕장입구(토성면사무소) - 청간리 - (아야진초등학교/아야진항) - 교암2리 - 삼포리 - 오호리.송지호해수욕장입구 - 공현진 - (가진리) - 향목리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 고성군청앞 - 대대리검문소 - 송죽리 - 반암리 - (송포2리 / 거진읍사무소앞) - 자산리 - 거진우체국(거진종합버스터미널) - 거진시내버스종점 - 거진시장앞 - 동진아파트 - 화포리 - 화진포 만남의광장입구 - 대진어판장 - 현내면사무소(대진시외버스터미널) - 대진어판장 - 신촌마을 - 마차진종점 |
1.3. 1-2번 [편집]
기점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대포동(대포종점)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마차진리(마차진리) | ||
종점행 | 첫차 | 08:0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08:00 | 막차 | - | ||
운수사명 | 배차간격 | 1일 1회(학기중 평일에만 운행) | |||
노선 | 대포종점 → 속초고속버스터미널 → 119구조대(아남프라자) → 삼환아파트입구 → 속초양양교육지원청 → 금호로얄아파트 → 타워맨션입구 → 속초의료원 → 우림연립(장사동) → 잼버리장입구 → 봉포항입구 → 경동대입구 →천진해수욕장입구(토성면사무소) → 아야진 → 청간리 → 교암2리 → 삼포리 → 오호리.송지호해수욕장입구 → 공현진 → 가진리입구 → 향목리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 고성군청앞 → 대대리검문소 → 송죽리 → 반암리 → 거진읍사무소앞 → 자산리 → 거진우체국(거진종합버스터미널) → 거진시내버스종점 → 거진시장앞 → 동진아파트 → 화포리 → 화진포 만남의광장입구 → 현내면사무소(대진시외버스터미널) → 대진어판장 → 신촌마을 → 마차진종점 |
1.4. 폐지된 노선 [편집]
2. 개요 [편집]
동해상사고속에서 운행하는 속초시 시내버스 겸 고성군 농어촌버스 노선.
3. 역사 [편집]
- 2002년 3월 쯤에 의료원과 시외터미널을 경유하는 1-1번이 분리신설되었다.
- 2006년 8월 20일에 가진리 경유 지선이 신설되었다. 관련 기사
- 간성읍 상리(동해상사 간성영업소) 이북으로 가는 노선들은 지선이었으나, 한 노선으로 합쳐 운행하는 등 불법운행 문제가 불거지면서, 고성군 각지에서 대포동으로 가는 걸로 변경되었다.
- 주 68시간 준수와 적자 해결을 위해 2018년 12월 1일에 시간표가 개정되어 첫차는 늦춰지고, 막차는 앞당겨졌다. 이 때 학기중 평일 시간표와 그 외 기간 시간표가 사라지고 통합 시간표로 바뀌었다. 또한 마달리나 도원3리 행 노선과 1-2번이 폐지되었다. 관련 기사 총 운행횟수는 간성 방향이 1일 93회(학기중 평일)에서 65회로, 속초 방향이 1일 98회(학기중 평일)에서 64회로 감회되었다.
- 2018년 12월 10일에 1-2번이 1일 2회(감회분: 07:35(간성 종착))에서 1회로 감회되었다.
- 2020년 3월 16일에 고성군 마을버스 개통으로 나머지 지선인 명파, 산북행을 폐지하고, 기종점을 간성과 대진으로 이원화 하는 과정에서 거진 종착 노선이 폐지되었다.
- 2022년 1월 1일부터 단일요금제가 시행되어 전 구간 어디든 기본운임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4. 특징 [편집]
- 이 노선은 고성군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속초시 시내버스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1번과 1-1번이라는 시내버스 안에서만 동일하게 고성군과 속초시의 같은 면허끼리나 고성군 마을버스 차량과의 환승은 가능하다.
- 속초시에서 9번(양양행), 55번(시내순환)에 이어 가장 자주 오는 노선이며, '속초 - 간성 - 거진 - 대진' 축선을 잇는 노선이기도 하다.
- 상행 부분은 간성행, 대진(마차진)행 두 갈래로 나뉘며, 대부분 대진까지 간다.
- 영랑동 경유가 1번, 속초의료원과 시외버스터미널 경유가 1-1번, 속초중학교와 속초의료원 경유가 1-2번이다[1]. 1번(영랑동)을 탄 경우 시외터미널에서 200m 떨어진 "수복탑" 정류장을 이용할 수 있으며, 1-2번의 경우 시외터미널에서 300m 떨어진 "문화회관" 정류장을 이용하면 된다. 시간표에는 1-1번이 의료원 경유로, 1번이 영랑동 경유로 표시 되어 있다. 고속터미널의 경우 마차진발 간성종착 차량을 제외한 모든 순번이 바로 앞에 정차한다.
- 예전에는 자사 고유도색부터 속초시, 고성군 자체도색과 강릉시 도색의 차량 등 다양한 도색을 볼 수 있었으나, 지금은 강릉 도색만 남았다.
- 거진에서는 대진, 대포항 방면 양방향 동일하게 운행하므로 행선기를 잘 확인하여야 한다.
4.1. 시간표 [편집]
속초시 및 고성군 홈페이지에도 시간표가 기재되어있다. 속초시[6], 고성군
2024년 9월 13일 기준이며, 중간 경유지 도착 예정 시간은 교통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참고로만 활용할 것.
파일:간성마차진시간표.png
마차진 출발 차량의 경우, 게재된 시간보다 5분 일찍 출발한다.
파일:대포항시간표.png
2024년 9월 13일 기준이며, 중간 경유지 도착 예정 시간은 교통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참고로만 활용할 것.
파일:간성마차진시간표.png
마차진 출발 차량의 경우, 게재된 시간보다 5분 일찍 출발한다.
파일:대포항시간표.png
4.2. 운임 [편집]
2022년 1월 1일 이후로 속초시 시내버스 기본요금만 받는다.
2021년 12월 31일까지 간성시내에서 속초시까지 전 구간 이용시 운임은 성인 기준 4,000원(현금) 3,600원(교통카드)[7]을 받았으나 2022년 1월 1일에 단일요금제 시행으로 인하여 전 구간 이용시 성인 기준 현금 1,700원, 카드 1,530원이면 전구간 어디든지 갈 수 있게 된다.
2022년 단일요금 시행 이전에는 속초구간은 전구간 동일요금이지만 경계인 우림연립 정류장을 지나면 km당 116.14원씩 가산되었다.
속초시 시내버스와는 환승할인이 되지 않지만, 고성군 마을버스와는 환승할인이 가능하며, 1번과 1-1번간 환승도 가능하다.
아래는 인상 전(2014년 10월 1일) 운임표다. 개인이 여러 운임표를 통합해 만든 것이다. #
2021년 12월 31일까지 간성시내에서 속초시까지 전 구간 이용시 운임은 성인 기준 4,000원(현금) 3,600원(교통카드)[7]을 받았으나 2022년 1월 1일에 단일요금제 시행으로 인하여 전 구간 이용시 성인 기준 현금 1,700원, 카드 1,530원이면 전구간 어디든지 갈 수 있게 된다.
2022년 단일요금 시행 이전에는 속초구간은 전구간 동일요금이지만 경계인 우림연립 정류장을 지나면 km당 116.14원씩 가산되었다.
속초시 시내버스와는 환승할인이 되지 않지만, 고성군 마을버스와는 환승할인이 가능하며, 1번과 1-1번간 환승도 가능하다.
아래는 인상 전(2014년 10월 1일) 운임표다. 개인이 여러 운임표를 통합해 만든 것이다. #
[1] 마차진 방면 학기중 평일 1일 1편도 운행. 아야진, 가진리, 송포리 미경유[2] 지도를 봐도 제대로 알기 어려운 수준이다. 다만 가진·아야진 지선은 순번이 겹치지 않아 동시에 경유하지 않으며, 송포리 지선 역시 아야진은 들어가지 않는다. 게다가 이 노선 자체가 너무 어지러운 코스를 운행하다보니 가끔씩 손님도 아니고 버스를 운행하는 승무원이 길을 헷갈리는 웃지못할 이야기를 연출할 때도 있다.[3] 속초영업소 차량의 경우 여기저기로다가 돌려막기로 운용된다.[4] 66번이 운행하지 않는 주말에는 1, 3, 7, 9, 9-1 운행[5] 학기중 평일 아침 77번 운행.[6] 송포리 경유 시간표는 표시되어있지 않다.[7] 교통카드 이용시 10% 할인율 적용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