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련/정치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입법부 == [include(틀:관련 문서, 문서명1=소련 공산당, 문서명2=소련 최고회의)] 소련은 '''[[소련 공산당]]'''이 이끄는 일당제 국가였기 때문에 국가 권력 기구와 별도로 당내 권력이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소련 공산당의 최고의결기관은 '''소련 공산당 대회'''(Съезд КПСС/Congress of the CPSU)이며, 여기서는 당의 기본 노선을 설정하고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Центральный Комитет КПСС/Central Committee of the CPSU) 위원과 후보 위원을 선출한다. 당 대회는 1년에 4회 정도 개회하며, 폐회 중에는 당 중앙위원회에서 업무를 전담한다. 중앙위 위원의 임기는 5년이다. 당 중앙위원회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Секретариат ЦК КПСС)을 운영해 10여 명의 서기와 사무관들로 하여금 실무를 담당하게 했고, 중앙위 위원 중에서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1952년부터 1966년까지는 '지도국' 정도의 뜻인 'Президиум(Presidium)'를 썼으나 1966년에 정치국이라는 명칭으로 환원했다.]을 구성해 중요한 현안을 처리할 권한을 부여했다. 즉, 서기국과 정치국은 당의 핵심 권력 기관이었다. 다만 이 체제는 [[스탈린]] 집권 이후부터 확립된 체제로, 소련의 통치 체제는 시기 별로 차이가 있다. [[레닌]] 생전에는 소브나르콤의 주석이 최고 지도자였지만, 총서기였던 스탈린이 최고 권력자가 되면서 총서기 직책이 최고 권력자를 상징하게 되었다. 스탈린 시기에 확립한 소련의 통치 체제는 대다수 사회주의 국가들이 모방했다. 소련 말기에는 [[페레스트로이카]]로 인해 [[일당제]]를 폐지하고 [[다당제]]를 도입하면서 통치권자의 직함이 대통령으로 변화하지만, 1년도 지나지 못해 소련이 붕괴하면서 사라졌다. 당 정치국 위원을 비롯한 실세들은 국가 기구인 소련 최고 회의나 장관 회의의 직책들을 겸임해 당권과 행정권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브레즈네프 시절에는 [[삼두정치]]의 일원이었던 니콜라이 포드고르니가 은퇴한 후, 총서기인 브레즈네프가 소련 최고회의 의장을 겸직하기도 했다. 스탈린과 흐루쇼프도 상당 기간 동안 장관회의 의장 직책을 겸임했다. 명목상으로는 입법부에 해당하는 최고 소비에트 의장이 통수권자이고, 행정부에 속하는 장관 회의의 의장이 정부 수반이었으나 정치 거물들이 당권을 기초로 해서 행정 권력을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에 소련의 권력 구조는 대단히 복잡했다. 게다가 흐루쇼프와 브레즈네프가 강력한 권위와 지도력을 행사하긴 했어도 스탈린 사후의 크렘린은 집단 지도 체제를 지향했기 때문에 완전한 1인 독재 체제는 아니었다. 이러한 정치 구조는 냉전 이후에 탄생한 사회주의 국가들에도 이식되어 냉전 시기 사회주의 국가들에서 벌어진 당내 권력 투쟁의 배경이 되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