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몽골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인구 === 세계적으로 영토는 방대한데 [[인구]]가 너무 적은 사례로 언급된다. 남한 면적의 15배가 넘는 넓은 나라임에도 인구가 대략 351만 명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부산광역시]]와 비슷한 인구다.[* 여담으로 "아주 넓은 땅을 가진 대국이면서도 인구가 적은 몽골도 있는데, [[이스라엘]]이 [[인구]]가 적지만 [[시나이 반도]]를 가지지 못 할 이유가 있느냐"라면서 1970년대 말에 이스라엘 극우들이나 [[하레디]], 강경파 군부 지도자들이 몽골을 예로 들며 중동전쟁에서 이집트로부터 강탈한 시나이 반도의 영유권을 유지하자고 주장한 적이 있었다. 물론 이런 예를 들며 결사반대했지만, 결국 당시 이스라엘의 메나헴 베긴 총리는 시나이 반도를 [[1982년]] [[이집트]]에게 반환했다.] 이 340만 인구도 많이 늘어난 것으로 1960년에는 그 광대한 면적에 인구가 고작 '''97만 7600명'''밖에 되지 않았다![* 1제곱킬로미터당 '''0.6명'''만 살았다는 뜻이다.] 몽골의 [[인구 밀도]]를 [[대한민국]]에 적용하자면, 남한 땅 전체에 인구가 21만 명 정도[* 대략 [[충주시]]만 한 인구이다.]이거나, 남한 인구에 면적이 2376만 km²[* [[러시아]]의 1.4배이다.]인 것과 동일한 밀도이다. 1km^^2^^당 2.07명[* 대한민국 기초자치단체 중 인구 밀도가 가장 낮은 [[영양군]]이 19명/km^^2^^로 몽골의 9배가 넘는다. 영양군 내에서조차 깡촌인 수비면마저도 7.5명/km^^2^^이니 몽골의 인구 밀도는 수비면의 30%도 안 된다.는 것이다.]이란 인구 밀도로 '''독립국가로서는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지역'''이다.[* 몽골보다 더한 사례로는 [[포클랜드 제도]], [[그린란드]]를 들 수 있으나, 포클랜드는 [[영국]]의 속령이고 [[그린란드]]는 [[덴마크]]의 자치령이라 독립국이 아니다. 참고로 2위는 나미브 사막을 끼고 있는 [[나미비아]].]([[국가별 인구 밀도 순위]] 문서 참고) 참고로 몽골의 가축의 수는 도합 7500만 마리가 넘는다. 그리고 몽골 내에서 사는 몽골인보다 내몽골(중국 자치구)에서 사는 몽골인(중국 국적)이 훨씬 많다. 내몽골에 사는 몽골인은 500만 명을 넘는 정도다. 사실 최고 전성기인 몽골 제국 시절에도 몽골인 인구는 굉장히 적었는데, [[원나라]] 시절 몽골인은 지배 계급이면서도 전체 인구의 1.5%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한족의 반란을 우려해서 부엌칼도 10가구당 1자루만 허락하는 등 가혹한 억압을 시행해야 했다. 1990년대 초반이래로 출산율이 한 동안 격감해서 2003년과 2004년에는 출산율이 인구대체선 밑으로 떨어지기는 했지만 2000년대 중후반 이후로는 출산율이 반등하는데 성공하여 한중일 및 북한, 대만, 홍콩 및 마카오를 비롯한 타 동북아권 국가와 러시아에 비하면 유소년 인구비율이 훨씬 높고, 인구증가율 자체는 연 1% 중후반대로 안정적인 수준을 기록하게 되었다. 특히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합계출산율 3명대 초반이라는 타 동북아권 인구기관에서 부러워할 꿈의 수치까지도 나왔을 정도이고 2020년대 와서도 합계출산율이 2명대 후반으로 한국과 중국의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 내지 일본의 1950년대 초중반 정도 출산율이다. 2022년 현재 345만 명인데 2032년에 400만 명이 넘으리라 예상한다. [[몽골인]] 중에는 몽골족이 주류지만 서쪽엔 [[카자흐족]]이 많이 산다. 몽골 서부 바잉을기 아이막은 주민의 90% 이상이 카자흐족이다. 그 외에도 [[투바인]], [[어웡키족]], [[러시아인]], [[중국인]]도 일부 거주하고 있다.[[http://icom.kr/hGZsj|#]] [[수도권]] 인구 집중이 굉장히 심하다. 수도 인구가 전 인구의 2분의 1이다. 최대도시 [[울란바토르]]는 인구가 150만 명에 가까운데, 제2도시 [[에르데네트]]의 인구는 고작 10만 명이다. 나머지 지방도시들은 1만~2만 명이면 큰 편이다. 한국이었다면 울란바토르는 [[광역시]] 정도 인구는 되는 정도로, 한국에 있었어도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정도 대도시 중 하나 정도는 되겠지만, 제2도시 에르데네트의 10만 명은 한국에서는 간신히 [[시(행정구역)|시]] 취급을 받을 수준이다. 게다가 몽골의 모든 기간시설이 울란바토르에 집중되었지만, 개발할 땅 대비 사회기반시설은 매우 부족하다 보니 백만 명이 넘는 인구를 감당하기에는 여러모로 굉장히 버겁다. 시내에는 도시로서 필요한 건 전부 갖추지만, 시내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바로 [[게르]]촌이다. 울란바토르 안에도 게르촌이 있다. 시내 게르촌은 어느 정도 공급이 되지만, 시외에는 수도나 배관, 난방시설도 없어서 물을 길어 쓰고 추우면 난로에 타이어라도 때서 쓴다. 그래서 겨울철에는 매연이 엄청나다. 이들 도시 거주 인구는 사실상 한국 등 이웃 국가들의 도시 거주민과 별다를 것 없는 생활을 한다. 한국 사람이 흔히 몽골 하면 떠올리는 게르(천막)에서 자고 말 타는 사람들의 수는 상당하지만 적어도 몽골 사람의 절반은 그렇지 않다는 얘기다. 게르에 사는 사람 자체는 많지만 울란바토르 외곽의 게르촌은 주택이 없는 사람들이 전통적인 천막을 지어놓고 살고 있을 뿐이고, 작은 동물들을 길러서 먹거나 파는 것까지는 흔하다 해도 작정하고 양과 말을 수십 마리씩 길러대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한국 대도시에도 있었던 [[해방촌]]과 비슷한 상황이다. 한국도 1980년대쯤 되면 겉은 슬레이트 지붕이지만 안에는 TV와 냉장고가 있는 생활을 하는 집들도 많았다. 그리고 이들 중에 잘 사는 사람은 딱지를 얻어 신도시 아파트로 이사를 갔고 못 사는 사람은 대도시 외곽으로 더 밀려났다. 그러다 보니 몽골 국영TV에서는 한국의 "6시 내고향"처럼 몽골 초원의 전통적 생활을 조명하는 예능 프로그램을 만들어 인기를 얻고, 젊은 몽골 시청자들은 이를 우리나라 사람이 사극이나 민속촌을 들여다 보듯 나름 신기하게 여긴다고. 참고로 [[김수용(코미디언)|김수용]]이 이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갓 잡은 말의 [[고환]]을 먹었다.(!) 여담으로 몽골인들은 대체로 시력이 좋은 편이다. 시력이 나안(裸眼)으로 1.0 이상인 사람이 대다수고, 국내에서 시력 좋다고 소문나는 수준인 2.0 이상도 흔한 편이다. 그도 그럴것이 울란바토르만 벗어나도 건물이 거의 없는 탁 트인 대평원이 나오기 때문이다.[* 현대인 기준에선 놀랄 만한 사실이지만 야생 상태, 즉 구석기 시대 당시의 인간의 시력은 독수리와 비슷한 5.0을 넘나들었다고 한다. 인간 종이 가진 시력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는 환경이 몽골과 같은 환경인 것이다.] || [youtube(k5gAhDds5Y8, width=640, height=380)] || || [[EBS]] 다큐, [[인류 원형 탐험]] - 봄, 샤먼의 초원 다르하드족(Darkhad)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